KR101672912B1 - 포크레인용 버켓 - Google Patents

포크레인용 버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912B1
KR101672912B1 KR1020150065083A KR20150065083A KR101672912B1 KR 101672912 B1 KR101672912 B1 KR 101672912B1 KR 1020150065083 A KR1020150065083 A KR 1020150065083A KR 20150065083 A KR20150065083 A KR 20150065083A KR 101672912 B1 KR101672912 B1 KR 101672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late
bucket
longitudinal direction
wel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세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보산업 filed Critical (주)세보산업
Priority to KR1020150065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레인용 버켓에 관한 것으로서, 포크레인용 버켓은 포크레인용 버켓의 배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보강판이 고정결합되되, 상기 보강판에는 작업시 가해지는 토압과 마찰저항이 용접 부분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용접 결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크레인용 버켓의 배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 및 고정결합되는 보강판에 길이방향으로 용접 결합부를 형성하여 작업시 가해지는 토압과 마찰저항이 용접 부분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작업중 흙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강판의 이탈되거나 갈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크레인용 버켓{BUCKET FOR FORKCAR}
본 발명은 포크레인용 버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용접사의 숙련도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버켓 배면의 보강판 결합과정을 개선하여 작업 효율 및 유지 보수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포크레인용 버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크레인용 버켓은 땅을 파는데 주로 사용되고 강한 토압에 노출됨에 따라서 상기 포크레인용 버켓에는 파손(특히, 포크레인용 버켓의 배면에 터짐이나 갈라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버켓의 배면에는 보강판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판은 버켓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 보강판은 직사각형으로 절단된 평철을 밴딩한 후 버켓의 배면에 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버켓의 배면과 보강판을 결합시키는 방법은 교체를 고려하여 모든 부분을 용접하는 것이 아니고 부분적으로 용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보강판은 버켓의 배면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버켓의 배면이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로만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보강판은 버켓으로 땅을 파는 과정에서 보강판과 버켓의 결합을 위해 용접된 부분이 흙에 의해 연속 마찰이 진행되고, 반복적인 작업에 노출된 용접부분은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토압과 흙과의 마찰로 인해 마모 및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마모에 의해 용접부분이 얇아지거나 파손되어 떨어지면, 상기 보강판은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보강판이 기능을 하지 못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버켓은 배면에 상당한 토압이 가해지게 되므로 종전과 같은 터짐이나 갈라짐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보강판은 용접사의 숙련도에 따라 용접이 이루어짐으로써 용접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증가시켰던 원인 중 하나였고, 검수과정에서도 특별한 측정장비 없이 육안으로 이루어지는 검사가 진행됨으로써 용접이 적당한가의 여부는 결국 작업자들의 감각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2313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349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포크레인용 버켓의 배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 및 고정결합되는 보강판에 길이방향으로 용접 결합부를 형성하여 작업시 가해지는 토압과 마찰저항이 용접 부분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강판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용접 결합부를 통해 용접결합부분과 비용접결합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강판의 가장자리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곡면 가이드나 경사 가이드를 형성하여, 상기 보강판에 전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인 포크레인용 버켓은 포크레인용 버켓의 배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보강판이 고정결합되되, 상기 보강판에는 작업시 가해지는 토압과 마찰저항이 용접 부분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용접 결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접 결합부는 보강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내측을 향해 함몰형성되고, 상기 용접 결합부와 용접 결합부의 사이에는 비용접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 결합부는 보강판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판의 가장자리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의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곡면 가이드나 경사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크레인용 버켓의 배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 및 고정결합되는 보강판에 길이방향으로 용접 결합부를 형성하여 작업시 가해지는 토압과 마찰저항이 용접 부분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작업중 흙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강판의 이탈되거나 갈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판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용접 결합부를 통해 용접결합부분과 비용접결합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 부분과 비용접 부분을 육안으로 즉시 확인하여 용접할 수 있으므로 제조과정이 신속해지고 검수과정에서 올바른 부분에 용접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판의 가장자리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곡면 가이드나 경사 가이드를 형성하여, 상기 보강판에 전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켓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켓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켓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켓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켓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켓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원발명인 포크레인용 버켓(10)은 버켓(20)과 상기 버켓(20)의 배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장착되는 보강판(30)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원석 또는 폐기물을 채굴하고 토사와 이물질을 걸러내는 버켓(20)은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버켓(20)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버켓(20)은 오목하게 굴곡형성되는 굴곡 몸체부(22)와 상기 굴곡 몸체부(22)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측벽(24) 및 상기 굴곡 몸체부(22)의 상부에 장착되는 힌지 연결부(26)로 구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버켓(20)은 포크레인과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26)의 작동에 따라 굴곡 몸체부(22) 및 측벽(24)을 이용하여 원석 또는 폐기물을 채굴하고 토사와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버켓(20)의 배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고정장착되는 보강판(30)은 작업시 가해지는 토압과 마찰저항이 용접 부분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용접 결합부(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판(30)은 압연강판으로 제작되는데 이는 흙과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과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접 결합부(40)는 도시된 도 1 내지 4와 같이 구성되는데, 먼저 도시된 도 1 및 2의 용접 결합부(40)는 보강판(3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홈 형상의 용접 결합부(40)가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시된 도 3 및 4의 용접 결합부(40)는 보강판(3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공 형상의 용접 결합부(40)가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용접 결합부(40)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시된 도 1 및 2의 용접 결합부(40)는 보강판(3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내측을 향해 함몰형성되고, 상기 용접 결합부(40)와 용접 결합부(40)의 사이에는 비용접부분(42)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보강판(30)의 양측 외면에 간격을 두고 홈 형상의 용접 결합부(40)를 간격을 두고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용접 결합부(40)는 도시된 도면 형상의 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여기서 상기 용접 결합부(40)를 보강판(30)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한 것은, 작업자로 하여금 용접을 해야할 부분과 비용접부분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일차적인 의미가 있다.
또한 상기 용접 결합부(40)를 보강판(30)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한 것은, 상기 버켓(20)을 사용하여 땅을 파는 경우 비용접부분(42)이 흙과 마찰하게 하고, 용접 결합부(40) 부분은 흙과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보강판(30)에 형성되는 용접 결합부(40)와 비용접부분(42)은 보강판(30)의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서, 용접시 열에 의해 열변형이 되어 경화된 용접부분은 단단하여 깨지기 쉬운 부분이므로 충격이 덜 가해지도록 용접 결합부(40)를 내측을 향해 함몰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3 및 4의 용접 결합부(40)는 보강판(3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용접 결합부(40)는 도시된 도 1 및 2와 같이 보강판(30)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보강판(30)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공(구멍) 형상의 용접 결합부(40)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판(30)에 형성되는 용접 결합부(40)의 폭과 길이 및 개수는 환경 및 목적에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 함께 도시된 도 3 및 4의 용접 결합부(40)는 용접선이 용접 결합부(40)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형성됨으로써 적은 용접작업으로도 많은 결합부분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즉 도시된 도 3 및 4의 용접 결합부(40)는 도시된 도 1 및 2의 보강판(30)의 측면에 형성시킨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동일한 용접작업으로도 두 배의 결합선을 형성시킬 수 있어 보강판(30)과 버켓(20) 배면의 결합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버켓(20)으로부터 보강판(30)을 분리시킨 후 새로운 보강판(30)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용접선 부분을 그라인더로 갈아내기만 하면 되므로 유지보수시의 작업성은 전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도시된 도 3 및 4와 같이 보강판(30)에 용접 결합부(40)를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더욱 빠른 작업성과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유지보수시 보강판(30)의 분리에는 전과 동일한 작업만으로도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포크레인용 버켓(10)은 도시된 도 5 및 6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5의 포크레인용 버켓(10)은 보강판(30)의 가장자리면(32)을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보강판(30)의 가장자리면(32)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원석 또는 폐기물을 채굴시 보강판(30)의 가장자리면(32)에 전달되는 토굴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6의 포크레인용 버켓(10)은 보강판(30)의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곡면 가이드(34)나 경사 가이드가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보강판(30)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외면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곡면 가이드(34)나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가이드를 형성하여 상기 보강판(30)에 전해지는 토굴 압력 및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포크레인용 버켓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목하게 굴곡형성되는 굴곡 몸체부(22)와 상기 굴곡 몸체부(22)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측벽(24) 및 상기 굴곡 몸체부(22)의 상부에 장착되는 힌지 연결부(26)로 구성되는 버켓(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버켓(20)의 외면으로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내측을 향해 용접 결합부(40)가 함몰형성되고, 상기 용접 결합부(40)와 용접 결합부(40)의 사이에는 비용접부분(42)이 형성되는 보강판(30)을 다수개수 준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보강판(30)을 밴딩 처리한 후, 상기 보강판(30)을 버켓(20)의 배면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용접 결합부(40)를 각각 용접(W) 처리하여, 상기 버켓(20)에 보강판(30)을 고정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버켓(20)의 배면으로 간격을 두고 보강판(30)을 용접(W)을 통해 고정결합시키면 된다.
여기서 상기 포크레인용 버켓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포크레인용 버켓은 보강판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용접 결합부를 통해 용접결합부분과 비용접결합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작업할 수 있으므로 조립시간을 줄이면서도 검수과정에서 올바른 부분에 용접이 이루어졌는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포크레인용 버켓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포크레인용 버켓,
20 : 버켓,
30 : 보강판,
40 : 용접 결합부.

Claims (5)

  1. 포크레인용 버켓의 배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보강판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보강판에는 작업시 가해지는 토압과 마찰저항이 용접 부분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용접 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용접 결합부는 보강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내측을 향해 함몰형성되고, 상기 용접 결합부와 용접 결합부의 사이에는 비용접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의 가장자리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의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곡면 가이드나 경사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레인용 버켓.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결합부는 보강판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레인용 버켓.
  4. 삭제
  5. 삭제
KR1020150065083A 2015-05-11 2015-05-11 포크레인용 버켓 KR101672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083A KR101672912B1 (ko) 2015-05-11 2015-05-11 포크레인용 버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083A KR101672912B1 (ko) 2015-05-11 2015-05-11 포크레인용 버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912B1 true KR101672912B1 (ko) 2016-11-04

Family

ID=5753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083A KR101672912B1 (ko) 2015-05-11 2015-05-11 포크레인용 버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9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7563U (ko) * 1987-08-25 1989-03-07
JPH10219726A (ja) * 1997-01-31 1998-08-18 Yutani Heavy Ind Ltd バケットの構造
KR200283496Y1 (ko) 2002-04-11 2002-07-26 동 옥 최 포크레인용 버켓
KR100693115B1 (ko) * 2005-11-08 2007-03-12 주식회사 비츠로셀 퓨즈기능을 갖는 캐소드 리드
KR20150023130A (ko) 2013-08-23 2015-03-05 대진건설 (주) 포크레인 버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7563U (ko) * 1987-08-25 1989-03-07
JPH10219726A (ja) * 1997-01-31 1998-08-18 Yutani Heavy Ind Ltd バケットの構造
KR200283496Y1 (ko) 2002-04-11 2002-07-26 동 옥 최 포크레인용 버켓
KR100693115B1 (ko) * 2005-11-08 2007-03-12 주식회사 비츠로셀 퓨즈기능을 갖는 캐소드 리드
KR20150023130A (ko) 2013-08-23 2015-03-05 대진건설 (주) 포크레인 버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593B2 (en) Excavator bucket top assembly
US9428881B1 (en) Bucket with multi-component wrapper
KR101556633B1 (ko) 건설 기계의 굴삭 버킷
KR101448704B1 (ko) 건설 기계의 굴삭 버킷
JP6723101B2 (ja) 解体道具用交換可能チップ
KR20200056464A (ko) 굴삭기 버킷 및 제조 방법
WO2015017894A1 (en) Wear-resistant armour for mining machinery
US20180029851A1 (en) Linkage assembly for machine
EP2652210B1 (en) Rock claw for a demolition hammer
KR101672912B1 (ko) 포크레인용 버켓
USRE49552E1 (en) Rock claw for demolition hammer
KR100720173B1 (ko) 굴삭기의 버켓 및 암 조인트 용접용 이당재
CN103806492A (zh) 一种挖掘机铲斗
JP2020513324A (ja) 応力保護された溝溶接を有する構造物およびそれを形成する構造部材
CN209907458U (zh) 工程机械挖斗
KR100937341B1 (ko) 크레인그래브의 그래플 투스
JP3146972U (ja) 破壊用ハンマーとその保護ケーシング
EP3056612B1 (en) Tooth block for a demolition tool
CN107956232A (zh) 岩石层地基破碎用多斗钩式铲斗装置
JP2002371582A (ja) 掘削機械のための整地作業用鋼板及び該整地作業用鋼板付きのバケット並びに該バケットの製造方法
CN205075896U (zh) 连接安装结构及具有该连接安装结构的机器
JP2022076050A (ja) 掘削バケットの修理部品、及び掘削バケット
CN204370421U (zh) 冲桩机锤牙
JP3357336B2 (ja) 掘削機械のための整地作業用鋼板及び該整地作業用鋼板付きのバケット並びに該バケットの製造方法
JP2017070977A (ja) 溶接継手、溶接構造物、建設機械及び溶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