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802B1 -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오방주머니 - Google Patents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오방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802B1
KR101672802B1 KR1020160092470A KR20160092470A KR101672802B1 KR 101672802 B1 KR101672802 B1 KR 101672802B1 KR 1020160092470 A KR1020160092470 A KR 1020160092470A KR 20160092470 A KR20160092470 A KR 20160092470A KR 101672802 B1 KR101672802 B1 KR 101672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dy
storage bag
control module
generating module
s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수
Original Assignee
김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수 filed Critical 김옥수
Priority to KR1020160092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방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음악이 흘러나올 수 있도록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오방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섯 가지 색상의 헝겊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측에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되, 내면에는 제1수납주머니 및 제1수납주머니 일측의 제2수납주머니로 구성된 수납주머니가 봉재 결합되는 주머니본체;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주머니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어느 한 부분에는 1~5㎜ 범위의 길이 간격을 중심으로 양측에 바인더에 혼합된 전도성분말이 섬유재에 침투되어 경화된 한 쌍의 전도성섬유가 연결되되, 한 쌍의 전도성섬유 양단이 유연한 성질의 실리콘절연재에 의해 연결되는 스트랩;
일단이 전도성섬유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케이블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수납주머니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음향신호가 저장되는 멜로디 저장부와, 음향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향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멜로디발생모듈;
멜로디발생모듈을 제어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전도성섬유가 상호 도전되도록 사용자의 손을 한 쌍의 전도성섬유에 걸쳐 접촉하여 케이블을 통해 손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멜로디 저장부에 저장된 음향신호를 음향신호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게 하는 멜로디제어모듈;
멜로디발생모듈 및 멜로디제어모듈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배터리와, 배터리와 멜로디발생모듈 및 멜로디제어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선과, 배터리로부터 멜로디발생모듈 및 멜로디제어모듈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멜로디발생모듈과 멜로디제어모듈은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함께 배치되어 제1수납주머니에 수용되고, 전원공급장치는 제2수납주머니에 수용되며,
제1수납주머니의 하단 모서리와 제2수납주머니의 하단 모서리에는 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전원공급선을 중심으로 배터리와 케이스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오방주머니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오방주머니{Oban pocket having melody playback function}
본 발명은 오방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음악이 흘러나올 수 있도록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오방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곡선의 자태를 뽐내는 한복에는 소지품을 넣어 보관할만한 주머니가 없어, 선조들은 한복에 주머니를 만드는 대신 옷에 어울리는 다양한 주머니를 재단하여 왔으며, 이 중 복을 담는 주머니란 뜻의 복주머니가 가장 일반화되어 있다.
흔히 복주머니라 함은 정초에 길한 물건들을 안에 넣어 매어주던 두루주머니라고 하는데, 이는 둥글고 입부분에 잔주름을 지어 조인 주머니를 일컫는다. 이러한 두루주머니 안에는 액을 물리치고 화를 면한다는 의미로 곡식을 넣어 그 해의 건강과 복을 기원하기도 했다.
특히 유교적 이념으로 남녀의 생활이 엄격히 구분됐던 조선시대에는 여성들이 규방에서 주머니를 만들고, 바느질이나 자수 등을 놓으며 시간을 보냈는데, 규방 안에서 만들고 사용한 모든 규방공예품에는 복을 비는 기복신앙과 나쁜 기운을 물리치는 벽사의 의미가 담겨있다.
즉 규방공예품의 일종인 복주머니에는 가족이 평안하고 건강하게 일생을 살아가길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는데, 선조들은 우리나라 전통 오방색을 복주머니에 입혀 벽사의 의미를 강조하기도 하였다.
내용인즉 오방주머니는 다섯 가지 빛깔의 헝겊 또는 비단으로 지은 주머니를 일컫는 것으로, 청(靑:동), 백(白:서), 적(赤:남), 흑(黑:북)의 사색을 동서남북의 방위에 맞추어 주머니 전면에 배치하고, 중앙에는 사각 형태의 황색으로 이루어져 오방(五方)에서 재수가 들어온다는 뜻에서 궁중이나 양반의 집에서 주로 사용한 것이다.
하지만 옛것을 바르게 알아야 새로운 것도 겸허히 받아들일 수 있으나,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의미가 퇴색되어 버린 듯 우리나라 전통의 오방주머니에 새로운 기술을 접목시키기 위한 기술은 아직 완전한 개방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일각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오방주머니에 새로운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연구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므로, 이에 앞장서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4424호, 2007.07.12.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음악이 흘러나올 수 있도록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오방주머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섯 가지 색상의 헝겊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측에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되, 내면에는 제1수납주머니 및 상기 제1수납주머니 일측의 제2수납주머니로 구성된 수납주머니가 봉재 결합되는 주머니본체; 상기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주머니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어느 한 부분에는 1~5㎜ 범위의 길이 간격을 중심으로 양측에 바인더에 혼합된 전도성분말이 섬유재에 침투되어 경화된 한 쌍의 전도성섬유가 연결되되, 상기 한 쌍의 전도성섬유 양단이 유연한 성질의 실리콘절연재에 의해 연결되는 스트랩; 일단이 상기 전도성섬유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수납주머니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음향신호가 저장되는 멜로디 저장부와, 상기 음향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향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멜로디발생모듈; 상기 멜로디발생모듈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전도성섬유가 상호 도전되도록 사용자의 손을 상기 한 쌍의 전도성섬유에 걸쳐 접촉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손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멜로디 저장부에 저장된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게 하는 멜로디제어모듈; 및 상기 멜로디발생모듈 및 상기 멜로디제어모듈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멜로디발생모듈 및 상기 멜로디제어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선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멜로디발생모듈 및 상기 멜로디제어모듈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멜로디발생모듈과 상기 멜로디제어모듈은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함께 배치되어 상기 제1수납주머니에 수용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제2수납주머니에 수용되며, 상기 제1수납주머니의 하단 모서리와 상기 제2수납주머니의 하단 모서리에는 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전원공급선을 중심으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케이스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오방주머니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스트랩에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전도성섬유에 사용자의 손을 걸쳐 접촉하면, 멜로디제어모듈에 의해 멜로디발생모듈로 멜로디를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트랩을 묶은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트랩을 푼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도성섬유에 손이 접촉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멜로디 재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머니본체의 내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트랩(200)을 묶은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트랩(200)을 푼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오방주머니는 청(靑:동), 백(白:서), 적(赤:남), 흑(黑:북)의 사색을 동서남북의 방위에 맞추어 전면에 배치하고, 중앙에는 사각 형태의 황색이 형성되도록 다섯 가지 색상의 헝겊으로 이루어져 스트랩(200)을 묶었다 풀었다 하면서 주머니본체(100)를 개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오방주머니는 주머니본체(100), 스트랩(200), 케이블(300), 멜로디발생모듈(400), 멜로디제어모듈(500) 및 전원공급장치(600)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음악이 흘러나올 수 있도록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머니본체(100)는 다섯 가지 색상의 헝겊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측에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되, 내면에는 수납주머니(110)가 봉재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주머니본체(100)는 오방주머니의 주머니 기능을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물건을 수납하여 개폐하면서 사용 가능하다.
단, 주머니 기능을 하는 주머니본체(100)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정도여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트랩(200)은 주머니본체(100)의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주머니본체(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어느 한 부분에는 일정 간격을 이루는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에 섬유재에 전도성분말이 침투되어 경화된 한 쌍의 전도성섬유(230)가 연결되되, 한 쌍의 전도성섬유(230) 양단이 실리콘절연재(240)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이다.
말하자면, 스트랩(200)은 주머니본체(100)의 내부에 수납된 물건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주머니본체(100)의 상부에 개구된 개구부를 열고 닫을 수 있게 당기거나 풂에 따라 주머니본체(100) 본연의 기능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특히 스트랩(200)의 일정 부분에는 한 쌍의 전도성섬유(230)가 형성되는데, 즉 1~5㎜ 범위의 길이를 가진 제1스트랩(210)의 양단에 한 쌍의 전도성섬유(23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이 한 쌍의 전도성섬유(230)에 걸쳐 접촉하면, 추후 설명될 케이블(300), 멜로디발생모듈(400), 멜로디제어모듈(500) 및 전원공급장치(600)에 의해 주머니본체(100) 내부에서 멜로디가 재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도성섬유(230)에 손이 접촉된 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과 도 2의 A 부분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제1스트랩(210)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전도성섬유(230)에 걸쳐 손가락을 접촉하면 일측의 제1전도성섬유(232)의 전류가 도시된 화살표 방향의 손가락을 통해 제2전도성섬유(234)로 전도되어 케이블(300)로 전달되는 방식임을 알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스트랩(210)은 1~5㎜ 범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약 1㎜ 미만이면 제1스트랩(210)이 너무 짧아 제1전도성섬유(232)와 제2전도성섬유(234)의 사이에 제1스트랩(210)을 위치시켜 연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1전도성섬유(232)와 제2전도성섬유(234)가 서로 너무 쉽게 전도되어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때에도 멜로디가 재생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1스트랩(210)의 길이는 1~5㎜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여기서 한 쌍의 전도성섬유(230)는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섬유로써, 길게 연장된 형태의 섬유, 직물,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섬유재에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분말이 침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전도성분말의 분말 자체로는 섬유재에 함침되기 어려운 소재이기 때문에, 바인더에 전도성분말을 혼합한 후 섬유재에 침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바인더로는 아크릴수지, 에폭시수지 및 열경화성수지인 실리콘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상술된 종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도성분말과 혼화력이 좋은 바인더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전도성분말로는 마그네슘, 티타튬, 탄소나노튜브 및 니켈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 역시 상기한 종류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도성분말의 역할을 각각 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제1전도성섬유(232)와 제2전도성섬유(234)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전도성섬유(230) 양단은 제1스트랩(210)과 제2스트랩(220)의 사이에 실리콘절연재(2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실리콘절연재(240)는 전기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재로써, 유연한 성질로 이루어져 제1전도성섬유(232) 및 제2전도성섬유(234) 각각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1스트랩(210)을 중심으로 양측에 제1전도성섬유(232) 및 제2전도성섬유(234)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실리콘절연재(240)는 미리 정한 값의 전기 절연성을 가지고 유연할 뿐만 아니라 가열 압착 가능해 접착력도 좋으므로, 스트랩(200)과 단단히 결합되므로, 한 쌍의 전도성섬유(230) 각각의 양단이 실리콘절연재(240)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
단, 실리콘절연재(240)의 대용으로 천연고무나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러한 종류에 국한되는 것만은 아니다.
본 발명의 케이블(300)은 일단이 전도성섬유(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멜로디발생모듈(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즉 케이블(300)은 전도성섬유(230)와 멜로디발생모듈(400)의 사이에 유선으로 연결되도록 장착되어 주머니본체(100)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전도성섬유(230)와 멜로디발생모듈(4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내용인즉 케이블(300)은 전도성섬유(230)의 접속단자(미도시되었으나, 금속패드 등 접속단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와 멜로디발생모듈(400)의 접속단자(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으로, 피복재에 의해 보호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방수되는 성질의 소재가 케이블(300)의 외면에 코팅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케이블(300)의 일단은 경우에 따라 제1전도성섬유(232) 또는 제2전도성섬유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본 발명의 멜로디발생모듈(400)은 케이블(300)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수납주머니(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음향신호가 저장되는 멜로디 저장부(410)와, 음향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향신호 출력부(4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즉 멜로디발생모듈(400)은 멜로디 저장부(410)에 저장되어 있던 다양한 종류의 음향신호를 출력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3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멜로디제어모듈(500)의 제어에 따라 음향신호가 출력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음향신호 출력부(420)는 멜로디 저장부(410)에 저장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음향신호 변환부(422)와, 음향신호 변환부(422)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음향신호 증폭부(424)와, 음향신호 증폭부(424)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4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멜로디발생모듈(400)(더욱 상세하게는 멜로디발생모듈(400)과 멜로디제어모듈(500)이 함께 수용되는 케이스(미도시))의 측면에는 케이블(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미도시)가 끼워질 수 있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멜로디제어모듈(500)은 멜로디발생모듈(400)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으로, 케이블(300)을 통해 한 쌍의 전도성섬유(230)에 걸쳐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이 접촉됨을 인지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칩으로 된 구성이다.
이러한 멜로디제어모듈(500)은 한 쌍의 전도성섬유(230)가 상호 도전되도록 사용자의 손을 일정 간격 이격된 제1전도성섬유(232)와 제2전도성섬유(234)에 걸쳐 접촉함에 따라, 제1전도성섬유(232) 또는 제2전도성섬유(234)에 연결된 케이블(300)을 통해 손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멜로디 저장부(410)에 저장된 음향신호를 음향신호 출력부(420)를 통해 스피커부(426)로 출력되게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멜로디 재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멜로디제어모듈(500)은 멜로디발생모듈(4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케이블(300)을 통해 한 쌍의 전도성섬유(230)에 걸쳐 사용자의 손이 접촉됨이 감지된 경우, 멜로디발생모듈(400)을 구동하여 음향신호가 스피커부(426)로 출력함을 알 수 있다.
우선 멜로디제어모듈(500)은 추후 기술될 전원공급장치(600)의 스위치(660)를 눌러 on 상태가 되면, 이를 파악하여 멜로디발생모듈(400)의 전원을 on/off시키는 작동을 하게 된다.
예컨대, 케이블(300)이 전도성섬유(230)와 멜로디발생모듈(400)의 사이에 연결되고, 전원공급장치(600)의 스위치(660)가 on되면, 멜로디발생모듈(400)이 멜로디제어모듈(500)에 의해 전원공급장치(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on 상태로 전환된 후 음향신호 출력부(420)를 통하여 음향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말하자면, 멜로디제어모듈(500)은 회로적으로 케이블(300)과 멜로디발생모듈(400)의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스트랩(200)의 제1스트랩(210)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전도성섬유(230)에 흐르는 전류가 전도되도록 손가락을 제1전도성섬유(232)와 제2전도성섬유(234)에 걸쳐 접촉됨에 따라 전류가 도통되고, 케이블(300)에 의해 이러한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된 경우, 음향신호 출력부(420)를 구동시켜 음향신호가 스피커부(426)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제1전도성섬유(232)와 제2전도성섬유(234)에 걸쳐 접촉해 있던 사용자의 손이 떨어지게 되면, 멜로디발생모듈(400)의 스피커부(426)를 통해 출력되는 멜로디가 중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 멜로디의 멈춤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단, 멜로디발생모듈(400)과 멜로디제어모듈(500)은 공간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하나의 케이스(미도시) 내부에 함께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600)는 멜로디발생모듈(400) 및 멜로디제어모듈(5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배터리(620), 전원공급선(640) 및 스위치(66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전원공급장치(600)는 배터리(620)와, 배터리(620)와 멜로디발생모듈(400) 및 멜로디제어모듈(5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선(640)과, 배터리(620)로부터 멜로디발생모듈(400) 및 멜로디제어모듈(50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치(66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머니본체(100)의 내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원공급장치(600)는 멜로디발생모듈(400)과 멜로디제어모듈(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멜로디발생모듈(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멜로디발생모듈(400)과 멜로디제어모듈(500)이 수용된 제1수납주머니(112)의 일측에 재봉에 의해 별도로 형성된 제2수납주머니(114)에 수용되어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제1수납주머니(112)에 수납된 멜로디발생모듈(400) 및 멜로디제어모듈(500)에 제2수납주머니(114)에 수용된 전원공급장치(600)의 전원공급선(640)이 연결되도록, 제1수납주머니(112)의 하단 모서리와 제2수납주머니(114)의 하단 모서리에 구멍을 관통 형성시킴에 따라, 전원공급선(640)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케이스(미도시)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터리(620)가 형성되는 것이다.
참고로, 전원공급장치(600)에는 필요에 따라 스피커부(426)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 즉, 멜로디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스위치(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멜로디를 원하는 볼륨으로 조절 가능하게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주머니본체 110: 수납주머니
112: 제1수납주머니 114: 제2수납주머니
200: 스트랩 210: 제1스트랩
220: 제2스트랩 230: 전도성섬유
232: 제1전도성섬유 234: 제2전도성섬유
240: 실리콘절연재 300: 케이블
400: 멜로디발생모듈 410: 멜로디 저장부
420: 음향신호 출력부 422: 음향신호 변환부
424: 음향신호 증폭부 426: 스피커부
500: 멜로디제어모듈 600: 전원공급장치
620: 배터리 640: 전원공급선
660: 스위치

Claims (1)

  1. 다섯 가지 색상의 헝겊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측에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되, 내면에는 제1수납주머니 및 상기 제1수납주머니 일측의 제2수납주머니로 구성된 수납주머니가 봉재 결합되는 주머니본체;
    상기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주머니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어느 한 부분에는 1~5㎜ 범위의 길이 간격을 중심으로 양측에 바인더에 혼합된 전도성분말이 섬유재에 침투되어 경화된 한 쌍의 전도성섬유가 연결되되, 상기 한 쌍의 전도성섬유 양단이 유연한 성질의 실리콘절연재에 의해 연결되는 스트랩;
    일단이 상기 전도성섬유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수납주머니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음향신호가 저장되는 멜로디 저장부와, 상기 음향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향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멜로디발생모듈;
    상기 멜로디발생모듈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전도성섬유가 상호 도전되도록 사용자의 손을 상기 한 쌍의 전도성섬유에 걸쳐 접촉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손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멜로디 저장부에 저장된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게 하는 멜로디제어모듈; 및
    상기 멜로디발생모듈 및 상기 멜로디제어모듈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멜로디발생모듈 및 상기 멜로디제어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선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멜로디발생모듈 및 상기 멜로디제어모듈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멜로디발생모듈과 상기 멜로디제어모듈은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함께 배치되어 상기 제1수납주머니에 수용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제2수납주머니에 수용되며,
    상기 제1수납주머니의 하단 모서리와 상기 제2수납주머니의 하단 모서리에는 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전원공급선을 중심으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케이스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오방주머니.
KR1020160092470A 2016-07-21 2016-07-21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오방주머니 KR101672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470A KR101672802B1 (ko) 2016-07-21 2016-07-21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오방주머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470A KR101672802B1 (ko) 2016-07-21 2016-07-21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오방주머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802B1 true KR101672802B1 (ko) 2016-11-04

Family

ID=5753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470A KR101672802B1 (ko) 2016-07-21 2016-07-21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오방주머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8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881A (ja) * 1989-06-23 1991-02-05 Takeshi Hoya 圧送方法及び装置
JP2002035439A (ja) * 2000-07-31 2002-02-05 Hanzawa Corporation:Kk ぬいぐるみ玩具
KR20070074424A (ko) 2006-01-09 2007-07-12 전병옥 휴대용 담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881A (ja) * 1989-06-23 1991-02-05 Takeshi Hoya 圧送方法及び装置
JP2002035439A (ja) * 2000-07-31 2002-02-05 Hanzawa Corporation:Kk ぬいぐるみ玩具
KR20070074424A (ko) 2006-01-09 2007-07-12 전병옥 휴대용 담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63750A1 (en) Headwear with signal generating capability
CA2535433C (en) Ear warmer with a speaker system
KR101672802B1 (ko) 멜로디 재생 기능이 탑재된 오방주머니
CN201789604U (zh) 体积可变的迷你音箱
CN207443583U (zh) 植物互动装置及植物互动系统
CN206879331U (zh) 防辐射盒子
WO2016011964A1 (zh) 连杆可转动的耳机式 mp3 或耳机
CN205306102U (zh) 一种帽子
TWM408898U (en) Composite device of headphone
CN206564620U (zh) 一种带键盘输入功能的手机智能保护套
CN204889440U (zh) 一种u型音响枕头
CN216701908U (zh) 背包
KR101311160B1 (ko) 스피커가 내장된 의류
CN206389512U (zh) 一种自由转动耳机
KR200274443Y1 (ko) 커플인형용 음성재생장치
CN205610873U (zh) 一种多功能蓝牙耳机
CN212137897U (zh) 一种无线耳机及翻译棒一体设备
CN218587314U (zh) 近耳式外放耳机
CN216017139U (zh) 一种具有防水防摔功能的蓝牙音箱
CN208400490U (zh) 高品质WiFi录音笔
CN207720363U (zh) 嵌入式运动耳机
CN214481157U (zh) 一种半悬挂站立抗震式麦克风
CN216086949U (zh) 一种手机k歌宝
CN212936126U (zh) 便携式蓝牙音箱
CN215682600U (zh) 一种手机充电式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