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536B1 - 타이머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타이머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536B1
KR101672536B1 KR1020140042538A KR20140042538A KR101672536B1 KR 101672536 B1 KR101672536 B1 KR 101672536B1 KR 1020140042538 A KR1020140042538 A KR 1020140042538A KR 20140042538 A KR20140042538 A KR 20140042538A KR 101672536 B1 KR101672536 B1 KR 101672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
base member
emitting portion
guiding
low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7139A (ko
Inventor
황나리
Original Assignee
황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나리 filed Critical 황나리
Priority to KR1020140042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53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머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내면을 구비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을 따라 가장 높은 위치인 고점에서 가장 낮은 위치인 저점까지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측면 중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에 대면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면발광부; 및 상기 면발광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슬라이딩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저점보다 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면발광부의 발광이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저점을 향해 하강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면발광부의 노출면적이 점차 줄어들고 상기 저점에 도달하면 상기 면발광부는 소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이머 조명장치{timer light}
본 발명은 타이머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침실에서 사용되며 일정시간동안 발광된 후 발광되는 면적이 점차 줄어들면서 자동으로 소등되는 타이머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주변을 밝히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조명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침실에서도 조명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사람들은 취점 전 방의 천장에 있는 조명을 끄고 잠자리에 들거나, 혹은 침대 등의 옆에 구비된 스탠드의 스위치를 끄고 잠을 청하게 된다.
침실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조명장치는, 잠자리에 들기 전에, 스위치를 직접 꺼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사람에 따라서는 잠들기 전까지는 주변이 너무 어두운 것을 싫어하는 경우도 있고, 그리고 어두운 상태에서 잠자리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 주변물건에 부딪치는 경우도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숙면을 위해서는 잠을 자는 동안 주변이 어두워야 하기 때문에 불을 켜고 자는 것은 바람직하다 않다.
종래 조명장치에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것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조명장치의 경우, 사전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다가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면 꺼지게 된다. 즉, 일정시간동안 동일한 밝기로 켜지게 하는 조명장치인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조명장치는, 일정시간동안 동일한 밝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잠들기에 적절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조명장치, 특히 침실에서 사용되는 조명장치들은 상술한 불편함이나 위험, 단점이 존재하고 있기에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5496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잠자리에 들기 전에 일정한 시간동안 발광하다 점차 발광면이 줄어들면서 결국 소등되는 것이 가능한 타이머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조명장치는, 안내면을 구비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을 따라 가장 높은 위치인 고점에서 가장 낮은 위치인 저점까지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측면 중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에 대면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면발광부; 및 상기 면발광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슬라이딩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저점보다 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면발광부의 발광이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저점을 향해 하강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면발광부의 노출면적이 점차 줄어들고 상기 저점에 도달하면 상기 면발광부는 소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에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면 중 상기 안내면에 대면하는 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가이드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결합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저점보다 위에 위치한 경우, 그 슬라이딩부재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저점보다 위에 위치한 경우, 일측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된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부,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하편,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에는 시간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고점에 있고, 상기 시간설정부에 발광시간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설정된 발광시간동안 상기 저점까지 하강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호 접하는 부분에는 마찰력조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강속도는 상기 마찰력조정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이고, 상기 베이스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전원부가 충전될 수 있는 충전거치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에는 상기 면발광부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발광스위치부가 구비되되,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저점에 위치한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따른 타이머 조명장치에 의하면, 잠자리에 들기 전에 일정한 시간동안 발광하다 점차 발광면이 줄어들면서 결국 소등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편안하게 잠을 청할 수 있고 잠이 든 후에는 소등되어 숙면에도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조명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타이머 조명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는 도 1의 도 1의 타이머 조명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조명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조명장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조명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타이머 조명장치(1)는, 베이스부재(10), 슬라이딩부재(20), 면발광부(30) 및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딩부재(20)가 저점보다 위에 위치하는 경우, 면발광부(30)는 발광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슬라이딩부재(30)는 저점을 향해 하강하며, 슬라이딩부재(20)가 하강함에 따라 면발광부(30)의 노출면적이 점차 줄어든다. 슬라이딩부재(20)가 저점에 도달하면 면발광부(30)는 소등된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안내면(11)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부재(10)는 사각기둥이 경사지게 잘린 형태이며, 안내면(11)은 경사진면이다.
상기 슬라이딩부재(20)는, 베이스부재(10)에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딩부재(20)는, 베이스부재(10)의 안내면(11)을 따라 고점에서 저점까지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고점'은 슬라이딩부재(20)가 가장 높은 위치로 이동했을때의 위치(도 5의(a))를 의미하며, '저점'은 슬라이딩부재(20)가 가장 낮은 위치로 이동했을때의 위치(도 5의(c))를 의미한다.
상기 면발광부(30)는 슬라이딩부재(20)의 일측면 중 베이스부재(10)의 안내면(11)에 대면하는 면에 구비된다. 도 5의 (a)를 참고하면, 슬라이딩부재(10)의 아래를 향하는 면 중, 고점에 위치할때 노출되는 대부분의 면이 면발광부(30)이다.
면발광부(30)는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면발광부(30)는 표면에는 확산판이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엘이디와 같은 발광소자가 구비된다. 따라서, 내부 발광소자의 빛이 확산판이 구비된 면발광부(40)의 전체 면적에 걸쳐 유사한 밝기로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면발광부의 모양이나 크기 그리고 내부의 발광소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상기 전원부는 면발광부(30)의 내부에 구비된 발광소자에 전기를 공급한다. 전원부는 베이스부재(10) 또는 슬라이딩부재(2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된다.전원부는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받을 수도 있고, 일회용 베터리일 수도 있으며,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 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원부는 도시하지은 않았으나, 베이스부재(10)의 내부에 구비된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충전거치대(40)가 더 구비된다. 충전거치대(40)는, 베이스부재(10)가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 내부에 구비된 전원부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충전거치대(40)의 상면에는 소켓부(32)가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부재(10)의 하측면에는 소켓부(32)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부재(10)의 하측면은 평평한 면으로 되어 있어서, 내부의 전원부에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거치대(40)로부터 분리되어 별도로 안정적으로 세워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부재(10)의 안내면(11)에는 가이드부(12)가 구비된다. 가이드부(12)는 좁은 홈 형상이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20)의 면 중 안내면(11)에 대면하는 면에는 가이드부(12)에 결합되는 가이드결합부(22)가 구비된다. 가이드결합부(22)는 가이드부(12)에 결합된 후 의도하지않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이다. 가이드결합부(22)는 가이드부(12)에 결합되어 가이드부(12)를 따라 이동한다.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부와 가이드결합부의 구체적인 형상과 구성은,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을 따라 슬라이딩부재가 원할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딩부재(20)는, 저점보다 위에 위치한 경우, 그 슬라이딩부재(20)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재(20)와 베이스부재(10)가 상호 접하는 부분에는 마찰력조정부(미도시)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마찰력조정부는 가이드부(12)와 가이드결합부(22)가 접하는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찰력조정부에 의해 슬라이딩부재의 하강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재가 베이스부재에 대해 이동하는 동안 상호 접하는 면에, 마찰력을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의 하강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부재(10)의 일측에는 시간설정부(14)가 구비되어 있다. 시간설정부(14)를 통해 사용자는 슬라이딩부재(20)가 고점에서 저점까지 이동하는 시간인 발광시간을 사전에 정할 수 있다. 시간설정부(14)는 마찰력조정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따라 마찰력을 조정하여 결과적으로 슬라이딩부재(20)가 고점에서 저점까지 하강하는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재(10)의 일측에는 발광스위치부(16)가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딩부재(20)가 저점에 이르게 되면, 전원부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면발광부는 소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슬라이딩부재가, 저점보다 위에 위치한 경우, 일측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슬라이딩부재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를 하강시킬 수 있다.
구동수단은 구동모터부와 기어부 등을 포함한 통상의 알려진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기어부는, 랙과 피니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단순히 감속비를 이용한 스퍼기어를 사용할 수도 있고, 감속기어박스와 웜 기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거나, 기어부의 감속비을 조절하는 등의 방식에 의해, 슬라이딩부재의 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데 용이하다. 슬라이딩부재의 하강속도는 시간설정부와 연결되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실시예는, 베이스부재(10)에 결합된 슬라이딩부재(20)가 저점에 있을 때(도 5의 (c))는 전체적으로 사각기둥의 심플하고 세련된 형상이다. 베이스부재(10)의 안내면(11)에는 면발광부(30)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발광스위치부(16)가 구비되되, 슬라이딩부재(20)가 저점에 위치한 경우, 발광스위치부(1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더욱 심플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느낄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베이스부재가 저점에서 벗어나 고점과 저점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자동으로 면발광부가 발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발광스위치부(16)의 옆에는 시간설정부(14)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 역시 슬라이딩부재(20)가 저점에 있는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타이머 조명장치(1)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타이머 조명장치(1)는, 슬라이딩부재(20)가 고점과 저점사이에 위치하면, 면발광부(30)에서 빛이 조사되어 주변을 밝히는 것과 동시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저점에 도달하면 면발광부가 소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면발광부(30)의 노출면적이 점차 줄어들게 되어, 빛의 강도도 점차 줄어들게 되어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딩부재(20)를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점에 위치시키면, 숨겨져 있던 면발광부(30)가 외부로 노출되고, 발광스위치의 on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면발광부(30)가 발광하게 된다. 시간이 지남에 슬라이딩부재(20)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점차 내려오게 되고 이에 따라 면발광부(30)의 노출면적이 점차 줄어들게 되어 주변은 점차 어둡게 된다. 결국 슬라이딩부재(20)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점에 이르게 되면 면발광부(30)는 모두 노출되지 않고 소등된다.
이러한 타이머 조명장치(1)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어두워지는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잠들고 일정시간 후에는 소등이 되어 숙면을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취침 전 침대 옆에 본 타이머 조명장치(1)의 슬라이딩부재(20)을 고점 혹은 고점과 저점의 원하는 위치에 놓은 후, 스위치(16)를 온(on) 시키게 되면, 점차 면발광부의 노출면적 감소로 인해 조명의 밝기가 줄어들게 되고, 결국은 저점에 도달하며 소등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충전거치대(40)와, 재충전하여 사용가능한 2차 전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충전을 완료한 후에는 자유롭게 베이스부(10)와 슬라이딩부재(20) 만을 이동시키며, 원하는 위치에 전기선을 플러그에 연결시키는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간설정부를 구비하는 경우, 면발광부가 켜져 있는 시간을 사용자가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광스위치부(16)와 시간설정부(14)는, 슬라이딩부재(20)가 저점에 있는 경우에는 노출되지 않고, 저점에서 벗어나 고점을 향해 어느 정도 이동되어야 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세련되고 단순한 이미지를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머 조명장치(1a)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상이라는 점이 앞선 실시예와 다르다. 다른 구성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타이머 조명장치(b)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머 조명장치(1b)는 전체적으로 사각기둥이 될 수도 있고, 원기둥이 될 수도 있다. 타이머 조명장치(1b)는 베이스부재(10b)와 슬라이딩부재(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선 실시예들과 차이나는 구성은 면발광부(30b, 30b')로서 2개가 구비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슬라이딩부재(20b)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점이 있는 경우, 면발광부가 슬라이딩부재(20b)에도 구비되어 발광하고 있고 그리고 베이스부재(10b)에도 구비되어 발광하고 있다. 슬라이딩부재(20b)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점까지 내려오게 되면, 각각 구비된 면발광부(30b, 30b')는 노출되지 않으며 동시에 소등된다.
설명되지 않은 구성에 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혹은 적절하게 변형되어 적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타이머 조명장치 10 ... 베이스부재
11 ... 안내면 12 ... 가이드부
20 ... 슬라이딩부재 22 ,,, 가이드결합부
30 ... 면발광부 40 ... 충전거치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안내면을 구비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을 따라 가장 높은 위치인 고점에서 가장 낮은 위치인 저점까지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측면 중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에 대면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면발광부; 및
    상기 면발광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슬라이딩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저점보다 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면발광부의 발광이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저점을 향해 하강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면발광부의 노출면적이 점차 줄어들고 상기 저점에 도달하면 상기 면발광부는 소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에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면 중 상기 안내면에 대면하는 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가이드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결합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저점보다 위에 위치한 경우, 일측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부,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조명장치.
  6. 안내면을 구비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을 따라 가장 높은 위치인 고점에서 가장 낮은 위치인 저점까지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측면 중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에 대면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면발광부; 및
    상기 면발광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슬라이딩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저점보다 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면발광부의 발광이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저점을 향해 하강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면발광부의 노출면적이 점차 줄어들고 상기 저점에 도달하면 상기 면발광부는 소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에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면 중 상기 안내면에 대면하는 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가이드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결합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에는 시간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고점에 있고, 상기 시간설정부에 발광시간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설정된 발광시간동안 상기 저점까지 하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조명장치.
  7. 안내면을 구비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을 따라 가장 높은 위치인 고점에서 가장 낮은 위치인 저점까지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측면 중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에 대면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면발광부; 및
    상기 면발광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슬라이딩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저점보다 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면발광부의 발광이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저점을 향해 하강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면발광부의 노출면적이 점차 줄어들고 상기 저점에 도달하면 상기 면발광부는 소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에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면 중 상기 안내면에 대면하는 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가이드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결합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호 접하는 부분에는 마찰력조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강속도는 상기 마찰력조정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조명장치.
  8. 제4, 6,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이고,
    상기 베이스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전원부가 충전될 수 있는 충전거치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조명장치.
  9. 제4, 6,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내면에는 상기 면발광부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발광스위치부가 구비되되,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저점에 위치한 경우, 상기 발광스위치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조명장치.
KR1020140042538A 2014-04-09 2014-04-09 타이머 조명장치 KR101672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538A KR101672536B1 (ko) 2014-04-09 2014-04-09 타이머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538A KR101672536B1 (ko) 2014-04-09 2014-04-09 타이머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139A KR20150117139A (ko) 2015-10-19
KR101672536B1 true KR101672536B1 (ko) 2016-11-03

Family

ID=5439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538A KR101672536B1 (ko) 2014-04-09 2014-04-09 타이머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5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7346A1 (en) 2001-07-05 2003-01-09 Cooper B. William Pen-size led inspection lamp for detection of fluorescent material
JP2004039608A (ja) * 2002-07-06 2004-02-05 Amamiya Shigemasa 照明付携帯ミラ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358A (ko) * 2006-02-10 2007-08-16 송진향 외부 조도에 따라 점등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램프
KR20100072424A (ko) * 2008-12-22 2010-07-01 주식회사 엘티전자 독서등
KR20110054961A (ko) 2009-11-19 2011-05-25 주식회사 금강테크 타이머 기능이 내장된 엘이디 조명등 및 상기 엘이디 조명등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7346A1 (en) 2001-07-05 2003-01-09 Cooper B. William Pen-size led inspection lamp for detection of fluorescent material
JP2004039608A (ja) * 2002-07-06 2004-02-05 Amamiya Shigemasa 照明付携帯ミ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139A (ko) 201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7038B2 (en) Solar powered candle
KR101692213B1 (ko) 소리출력형 태양광 조명등
US20160341379A1 (en) Portable lighting system
JP7277925B2 (ja) 睡眠支援装置
KR101672536B1 (ko) 타이머 조명장치
JP3209080U (ja) 蝋燭ランプ
EP2833052A1 (en) Luminaire
KR101597778B1 (ko) 다기능 베개장치
CN105276507A (zh) 无线供电调光台灯
KR20160004263U (ko) 휴대용 다용도 조명등
WO2015079618A1 (ja) 照明器具
US20190024409A1 (en) Portable and Rechargeable Night Light for Illuminating Door Knobs
CN206522637U (zh) 一种具有可拆卸灯头的头灯
JP6547952B2 (ja) 照明制御スイッチ
KR20160146013A (ko) 스탠드 조명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연필꽂이
JP2016072846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照明システム
JP3223887U (ja) 照明装置
KR20160057652A (ko) 휴대용 배터리
KR200481012Y1 (ko) 휴대용 led 조명장치
KR101667571B1 (ko) 휴대용 복합 랜턴
KR101254045B1 (ko) 랜턴 겸용 스탠드
KR101561933B1 (ko) 다기능 센서등
KR200364518Y1 (ko) 휴대용 조명등
KR102212063B1 (ko) 조명 장치가 구비된 액자
JP2016072845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