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013A - 스탠드 조명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연필꽂이 - Google Patents

스탠드 조명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연필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013A
KR20160146013A KR1020150082500A KR20150082500A KR20160146013A KR 20160146013 A KR20160146013 A KR 20160146013A KR 1020150082500 A KR1020150082500 A KR 1020150082500A KR 20150082500 A KR20150082500 A KR 20150082500A KR 20160146013 A KR20160146013 A KR 20160146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pencil
light
function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국
Original Assignee
정용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국 filed Critical 정용국
Priority to KR102015008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6013A/ko
Publication of KR20160146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1/00Writing implement receptacles functioning as, or combined with, writing implement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 조명기능을 갖는 다기능 연필꽂이에 관한 것으로,
연필꽂이의 기본기능인 필기도구 비치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여 스탠드조명기능이 동시에 발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필꽂이와 스탠드조명을 별개로 구비하여 사용해야함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책상위 공간소모율을 최소화하여 책상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그리고 연필꽂이의 상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또한 자체적으로 연필깍이 기능도 함께 발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필깍이 별도 구비에 따른 경제적부담을 더욱 줄이고 책상의 공간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수준의 빛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눈의 피로를 줄이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또한 스탠드조명 기능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눈부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그리고 연필꽂이와 스탠드조명 및 연필깍이 기능과 더불어 자체적으로 실내 인테리어조명 역할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스탠드 조명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연필꽂이{Multi-function pen stand with stand illumin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책상에 비치되는 연필꽂이에 관한 것으로, 연필꽂이 기능과 더불어 탁상용 스탠드조명 기능이 동시에 발휘될 수 있는 발명이다.
이를 통해 기존 연필꽂이와 스탠드조명을 별개로 구비하여 사용해야 함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책상의 공간소비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연필꽂이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스탠드조명 기능 사용 시 빛의 조사방향과 위치를 자유롭고 쉽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책상에는 연필 등의 필기구 비치를 위한 연필꽂이가 구비되고, 야간에 책상 위에 집중적으로 조명을 조사하기 위한 스탠드조명도 함께 구비되어 사용된다.
이렇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존 연필꽂이와 스탠드조명은 단순히 각각 필기도구 비치기능과 조명기능만을 할 뿐 그 외 기능은 발휘하지 못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불가피하게 이처럼 연필꽂이와 스탠드조명을 각각 별개로 구비하여 사용해야할 수밖에 없으므로, 경제적으로 부담이 됨은 물론, 책상 위에 각각 별개로 구비됨에 따라 책상 위 차지하는 공간소비율이 너무 큰 원인이 된다.
또한 기존에는 연필꽂이와 스탠드조명 외에 필요에 따라 연필깍이 등도 함께 비치되어 사용되므로, 공간소비율이 더욱 커짐은 물론, 연필깍이 구비에 따른 경제적 부담률도 더욱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되었으며,
연필꽂이의 기본기능인 필기도구 비치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여 스탠드조명기능이 동시에 발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필꽂이와 스탠드조명을 별개로 구비하여 사용해야함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책상위 공간소모율을 최소화하여 책상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연필꽂이의 상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체적으로 연필깍이 기능도 함께 발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필깍이 별도 구비에 따른 경제적부담을 더욱 줄이고 책상의 공간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수준의 빛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눈의 피로를 줄이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탠드조명 기능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눈부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연필꽂이와 스탠드조명 및 연필깍이 기능과 더불어 자체적으로 실내 인테리어조명 역할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원형블록 형태이며 상부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의 테두리에는 체결돌기가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 중 테두리 주변에는 복수개의 제1매설홈이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원형 배열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 중앙지점에는 복수개의 제2매설홈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조명설치케이스, 상기 설치공간 중 상기 안착홈 아래지점에 설치되되 전선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 외부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pcb기판 및 상기 pcb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pcb기판 회로를 제어하는 회로제어부로 이루어진 전원제어부, 상기 pcb기판 상부면 상에 부착 설치되어 상기 전원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각 제1매설홈의 아래 지점에 상하 동일선상을 이루며 위치되는 복수개의 제1LED램프 및 상기 PCB기판 상에 부착 설치되어 상기 전원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각 제2매설홈의 아래 지점에 상하 동일선상을 이루며 위치되는 복수개의 제2LED램프,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가 투명재질이고 하단 둘레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상기 안착홈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하단면이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에 안착 되고 하단면 중 상기 제1LED램프 및 상기 제1매설홈과 상하 동일선상의 지점에는 복수개의 제1광확산유도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면 중 상기 제2LED램프 및 상기 제2매설홈과 상하 동일선상의 지점에는 복수개의 제2광확산유도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필기도구 수납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제1광확산유도홈의 내부둘레면은 상기 필기도구 수납케이스의 외곽 둘레면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고, 상기 각 제2광확산유도홈의 직경은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이며,
상기 조명설치케이스 하단부에 위치하여 책상 상에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과 상기 조명설치케이스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단부가 각각 상기 조명설치케이스의 하단면과 상기 안착판 상부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주름관 형태를 이루며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한 높낮이조절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명설치케이스 둘레면 중 특정지점에는 삽입홀이 내부를 향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 내부 둘레에는 연필용 커팅칼날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필용 커팅칼날과 연결되어 있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제2기어 및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제2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연필꽂이 기능을 하는 필기도구 수납케이스가 조명설치케이스 상에 설치되고 이 상태에서 조명설치케이스에 설치된 제1, 2LED램프가 발광하여 발생된 빛이 필기도구 수납케이스를 통과하여 외부로 발산되므로,
연필꽂이 기능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스탠드조명기능이 함께 발휘될 수 있기 때문에, 연필꽂이와 스탠드조명을 별도로 구비해야함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책상 상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2LED램프는 필기도구 수납케이스 중앙을 향해 빛을 조사하고 각 제1LED램프는 필기도구 수납케이스의 둘레면을 향하도록 빛을 조사함에 따라, 수납케이스 내부는 물론 외부를 향해 충분한 빛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야간에 필기도구 수납케이스 내부에 비치된 필기도구 종류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탠드조명 역할을 원활히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제1광확산유도홈과 제2광확산유도홈에 의해 빛이 설정된 방향을 향해 원활하게 조사될 수 있다.
필기도구 수납케이스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빛이 조사되기 때문에, 필기도구 수납케이스의 형상 및 색상 등에 따라, 빛의 조사 방향 및 색깔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자체적으로 인테리어 조명역할도 발휘할 수 있다.
조명설치케이스와 필기도구 수납케이스가 조명설치케이스 하단에 연결된 높낮이조절관에 의해 상하 승강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필기도구 수납케이스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빛의 조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스탠드조명 기능이 향상 된다.
또한 조명설치케이스에 연필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삽입홀 내에서 구동모터와 제1, 2기어에 의해 회전 가능한 연필용 커팅칼날이 위침됨에 따라, 연필을 삽입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연필용 커팅칼날이 회전하면서 연필을 깍을 수 있으므로, 결국 연필꽂이 기능과 스탠드조명 기능과 더불어 연필깍이 기능도 함께 발휘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연필꽂이와 스탠드조명 및 연필깍기를 별개로 구비하여 사용함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공간소모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LED를 통해 빛의 조사가 이루어짐에 따라, 빛의 밝기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제1, 2LED램프 중에서 선택하여 발광 여부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나 주변환경에 맞게 항시 적정 수준의 밝기로 빛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전체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저면 사시도
도3은 필기도구 수납케이스와 조명설치케이스 간 분해사시도
도4는 전체 결합 사시도
도5은 도4의 단면도
도6은 도4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7은 높낮이조절관의 길이가 증가되어 필기도구 수납케이스가 상승한 상태의 단면도
도8은 도7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5는 전체 단면도, 도6은 일부확대 단면도, 도7 및 도8은 높낮이조절관에 의해 필기도구 수납케이스가 상승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 스탠드조명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연필꽂이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설치케이스(1)와 전원제어부(9), 제1LED램프(13), 제2LED램프(14),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 높낮이조절관(28), 연필용 커팅칼날(17), 제1기어(19), 제2기어(20) 및 구동모터로 구성된다.
조명설치케이스(1)는 후술할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의 받침대 역할 및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를 통해 빛을 발산하기 위한 제1LED램프(13)와 제2LED램프(14) 및 전원제어부(9)의 설치역할과 동시에 후술할 연필깍이 기능이 설치되는 곳이다.
조명설치케이스(1)는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원형블록 형태이며, 내부에는 설치공간(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후술할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의 안착 설치를 위한 안착홈(3)이 일정깊이 함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안착홈(3)의 바닥면과 내부 둘레면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후술할 제1LED램프(13)와 제2LED램프(14)로부터 발산된 빛이 원활하게 후술할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안착홈(3)의 테두리에는 후술할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가 안착 되었을 때 상호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돌기(8)가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홈(3)의 바닥면 중 테두리 주변에는 후술할 제1LED램프(13)이 설치된 제1PCB기판(10)의 매설 설치를 위한 레일 형태의 제1설치홈(4)이 원형 레일 형태로 안착홈(3)의 바닥 중앙지점과 동심을 이루며 형성되고, 제1설치홈(4)의 위쪽 지점에는 각 제1LED램프(13)의 삽입설치를 위한 제1매설홈(5)이 제1설치홈(4)의 형성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홈(3)의 바닥면 중앙지점 주변에는 후술할 제2LED램프(14)가 설치된 제2PCB기판(11)의 매설 설치를 위한 레일 형태의 제2설치홈(6)이 원형 레일 형태로 안착홈(3)의 바닥 중앙지점과 동심을 이루며 형성되고, 제2설치홈(6)의 위쪽 지점에는 각 제2LED램프(14)의 삽입설치를 위한 제2매설홈(7)이 제2설치홈(6)의 형성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즉 제1설치홈(4)과 제2설치홈(6)은 동심의 원형 레일 형태로 형성되되, 제2설치홈(6)이 제1설치홈(4)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후술할 각 제1LED램프(13)들은 안착홈(3) 테두리 부근을 따라 원형 배열된 상태로 발광 되고, 각 제2LED램프(14)들은 안착홈(3) 중앙 부근을 따라 원형 배열된 상태로 발광 된다.
전원제어부(9)는 조명설치케이스(1)에 설치될 제1LED램프(13)와 제2LED램프(14)에 전원공급여부를 제어하여 발광여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원제어부(9)의 는 제1LED램프(13)가 설치될 제1PCB기판(10)과 제2LED램프(14)가 설치될 제2PCB기판(11) 및 제1PCB기판(10)과 제2PCB기판(11)의 회로작동 제어 역할을 하는 회로제어부(12)로 이루어진다.
제1PCB기판(10)은 전체적으로 원형 링 형태를 이루는 얇은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조명설치케이스(1)의 제1설치홈(4)에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제1PCB기판(10)은 제1설치홈(4)의 형성경로를 따라 원형 링 형태를 이루게된다.
제2PCB기판(11)도 전체적으로 제1PCB기판(10)과 동일한 원형 링 형태의 얇은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고, 조명설치케이스(1)의 제2설치홈(6)에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제2PCB기판(11)은 제2설치홈(6)의 형성경로를 따라 원형 링 형태를 이루게 된다.
제1PCB기판(10)과 제2PCB기판(11)은 조명설치케이스(1)의 설치공간(2) 내에 위치하는 마이콤(Micom)형태의 회로제어부(12)와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로제어부(12)는 외부 플러그와 연결된 전원선(15)과 연결됨에 따라, 플러그와 외부 콘센트 간 연결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제1PCB기판(10) 및 제2PCB기판(11)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회로제어부(12)는 조명설치케이스(1) 외부면에 설치되는 조명작동스위치(30)와 연결되어 조명작동스위치(30)의 작동에 따라 외부 전원을 제1PCB기판(10) 및 제2PCB기판(11)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제1LED램프(13)는 후술하는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 둘레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 사방으로의 빛 발산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제1LED램프(13)는 제1PCB기판(10) 상에 간격을 두고 부착 설치되어 회로제어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때 각 제1LED램프(13)는 조명설치케이스(1)의 각 제1매설홈(5)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 제1LED램프(13)는 각 제1매설홈(5) 내에 수용된 상태로 위치된다.
따라서 각 제1LED램프(13)는 조명설치케이스(1)의 안착홈(3) 테두리를 따라 원형 배치된 상태로 발광 된다.
제2LED램프(14)는 제2PCB기판(11) 상에 간격을 두고 부착 설치되어 회로제어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때 각 제2LED램프(14)는 조명설치케이스(1)의 각 제2매설홈(7)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 제2LED램프(14)는 각 제2매설홈(7) 내에 수용된 상태로 위치된다.
따라서 각 제2LED램프(14)는 조명설치케이스(1)의 안착홈(3) 중앙 부근에 원형배열된 상태로 해당지점에서 집중적으로 발광 된다.
조명설치케이스(1)에는 연필깍이 기능을 위한 구성요소들도 설치되는데, 이를 위한 구성요소는 연필용 커팅칼날(17)과 제1기어(19), 제2기어(20), 구동모터(21)로 구성된다.
이때 조명설치케이스(1) 둘레면 중 특정지점에는 연필(26)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삽입홀(16)이 형성되되, 삽입홀(16)은 터널 형태로 조명설치케이스 내부까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설치공간(2) 내 삽입홀(16) 끝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연필과 접촉하여 연필을 깍아내는 연필용 커팅칼날(17)이 삽입홀(16)을 기준으로 간격을 두고 원형 배치되며, 각 연필용 커팅칼날(17)은 브라켓(18)을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브라켓(18)의 일측에는 제1기어(19)가 연결되고 제1기어(19)에는 제2기어(20)가 치합되며 제2기어(20)의 중심지점에는 구동모터(21)의 모터축이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1)에 의해 제2기어(20)가 회전하면 이와 치합된 제1기어(19)가 동시에 회전하고, 브라켓(18)을 통해 이와 연결된 각 연필용 커팅칼날(17)이 동시에 삽입홀(1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조명설치케이스(1)의 삽입홀(16)에 연필(26)의 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구동모터(21)를 작동시키면 삽입홀(16) 내에 위치한 연필(26)의 단부가 깍여질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구동모터(21)는 조명설치케이스(1) 둘레면에 형성된 연필깍기용 작동버튼(31)과 연결되어 연필깍기용 작동버튼(31)의 작동여부에 따라 작동된다.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는 기존의 연필꽂이 기능,즉 연필 등의 필기도구를 꽂아 비치하는 역할과 동시에 조명설치케이스(1)를 통해 발산된 빛을 최종적으로 외부로 발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23)이 형성된 용기 형태이며 전체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투명재질이고 하단 둘레면에는 조명설치케이스(1)의 안착홈(3)에 안착되었을 때 조명설치케이스(1)의 체결돌기(8)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둘레면 전체적으로 요철면(33)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추후 제1, 2LED램프(13, 14)로부터 발산된 빛이 수용공간(23) 내로 투광되었을 때 빛이 요철면(33)에 의해 다방향으로 산란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 외부로 발산될 때 최대한 사방으로 분산되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는 하단부가 조명설치케이스(1)의 안착홈(3)에 삽입되어 하단면이 안착홈(3)의 바닥면에 안착 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이 상태에서 조명설치케이스(1)의 각 체결돌기(8)가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의 각 체결홈(32)에 삽입 체결되으로써,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가 조명설치케이스(1)의 안착홈(3)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원치 않는 흔들림 현상이 방지되면서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의 하단면 중 각 제1LED램프(13)와 상하 동일선상의 지점에는 각 제1LED램프(13)로부터 발산된 빛을 확산시켜 조사각도를 넓히기 위한 제1광확산유도홈(24)이 배치 형성된다.
그리고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의 하단면 중 각 제2LED램프(14)와 상하 동일선상의 지점에는 각 제2LED램프(14)로부터 발산된 빛을 확산시켜 조사각도를 넓히기 위한 제2광확산유도홈(25)이 배치 형성된다.
참고로 이와 같이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에 빛의 조사각도를 넓히기 위한 광확산유도홈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LED의 특성 상 최초 빛의 조사방향 및 각도가 거의 일직선에 가깝게 발산되기 때문에,
이렇게 제1광확산유도홈(24) 및 제2광확산유도홈(25)을 통해 빛의 조사각도를 확산시킴에 따라, 결국 각 제1LED램프(13)와 각 제2LED램프(14)에서 발산된 빛이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를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되는 과정에서 제1광확산유도홈(24)과 제2광확산유도홈(25)을 통과하면서 조사각도가 넓어져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 사방으로 빛이 조사되어 스탠드조명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형성된 제1광확산유도홈(24)은 내부둘레면이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의 외부둘레면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광확산유도홈(25)은 내부 직경이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가 조명설치케이스(1)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면 각 제1LED램프(13)와 각 제2LED램프(14)가 발광하게 되고 이때 발산된 빛은 조명설치케이스(1)의 안착홈(3) 바닥면을 투과한 뒤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의 각 제1광확산유도홈(24)과 각 제2광확산유도홈(25)을 통과하는데,
이때 각 제1LED램프(13)로부터 발산된 빛은 제1광확산유도홈(24)에 의해 굴절되어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 둘레면을 향해 조사되어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 둘레면을 관통한 뒤 사방으로 조사된다.
그리고 각 제2LED램프(14)로부터 발산된 빛은 제2광확산유도홈(25)에 의해 조사각도가 확산된 상태로 위쪽을 향해 조사된다.
이로 인해 결국 각 제1LED램프(13)와 각 제2LED램프(14)에서 발산된 빛은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를 중심으로 위쪽은 물론 전후좌우 사방을 향해 조사되므로, 마치 스탠드조명과 같은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제2LED램프(14)에서 조사된 빛은 제2광확산유도홈(25)에 의해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 내부 전체를 밝히면서 외부로 발산되기 때문에 야간에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 내부에 비치된 각 필기도구의 종류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꺼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기존 단순 연필꽂이 기능과 더불어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여 스탠드조명 기능도 함께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 연필깍기 기능도 함께 발휘되므로 연필꽂이와 스탠드조명 및 연필깍기를 별개로 구비하여 사용하던 종래기술에 비해 별도 구매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하나의 제품에 위 세가지 기능이 동시에 발휘되기 때문에 그만큼 책상 상부면에서의 공간 차지율이 최소화 된다.
그리고 발광램프를 LED로 사용함에 따라 빛의 눈부심 현상이 최소화 되고 LED의 특성 상 빛의 밝기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취향이나 주변 밝기 등에 따라 적정 조명 밝기를 조절하여 선택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LED램프의 회로 특성 상 각 제1LED램프(13)와 각 제2LED램프(14)를 모두 동시에 발광시키거나 특정 LED램프만을 선택적으로 발광시킬 수도 있으므로, 항시 상황에 맞는 밝기의 스탠드조명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능 외에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에서 빛이 조사되는 과정에서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의 상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빛의 조사방향과 조사범위를 임의대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구성요소로 안착판(27)과 높낮이조절관(28) 및 탄성스프링(29)이 구비된다.
안착판(27)은 조명설치케이스(1)의 하부면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조명설치케이스(1) 하부에 적층 위치된 상태에서 책상 상에 안착 된다.
높낮이조절관(28)은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를 실제 승강시켜 높낮이 조절 역할을 하는 것이다.
높낮이조절관(28)은 전체적으로 중공관 형태이되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원하는 길이로 인장 및 수축이 자유로운 구조를 갖는다.
높낮이조절관(28)은 조명설치케이스(1) 하부와 안착판(27) 상부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조명설치케이스(1) 하단면에 연결되며 하단부는 안착판 상부면 상에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높낮이조절관(28)의 길이를 위쪽으로 늘리면 조명설치케이스(1)와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가 함께 상승하여 그 상태에서 빛을 발산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지점에서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높낮이조절관(28)의 길이를 아래쪽으로 수축시키면 반대로 조명설치케이스(1)와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가 함께 하강한 상태에서 빛을 발산하게 된다.
이렇게 높낮이조절관(28)을 통해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를 승강시켜 빛의 조사위치를 상하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황에 맞게 빛의 조사 높이를 조절하여 스탠드조명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높낮이조절관(28)의 둘레면 내부에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스프링(29)이 매설됨에 따라 높낮이조절관(28)의 길이를 늘려 조명설치케이스(1)와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를 상승시킬 때 탄성스프링(29)의 팽창력에 의해 쉽게 상승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높낮이조절관(28)의 길이를 늘려 조명설치케이스(1)와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탄성스프링(29)이 조명설치케이스(1)와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를 아래에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높낮이조절관(28)이 조명설치케이스(1) 및 필기도구 수납케이스(22)의 무게하중에 의해 원치않게 수축되어 하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탄성스프링(29)의 탄성력은 높낮이조절관(28)을 최대로 수축시켰을 때 탄성스프링(29)도 함께 최대로 수축되고, 이때 탄성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 높낮이조절관(28)이 원치않게 스스로 길이가 증가되지 않을 수준으로 설정한다.
1;조명설치케이스 2;설치공간 3;안착홈
4;제1설치홈 5;제1매설홈 6;제2설치홈
7;제2매설홈 8;체결돌기 9;전원제어부
10;제1PCB기판 11;제2PCB기판 12;회로제어부
13;제1LED램프 14;제2LED램프 15;전원선
16;삽입홀 17;연필용 커팅칼날 18;브라켓
19;제1기어 20;제2기어 21;구동모터
22;필기도구 수납케이스 23;수용공간 24;제1광확산유도홈
25;제2광확산유도홈 26;연필 27;안착판
28;높낮이조절관 29;탄성스프링 30;조명작동스위치
31;연필깍기용 작동버튼 32;체결홈 33;요철면

Claims (3)

  1.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원형블록 형태이며 상부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의 테두리에는 체결돌기가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 중 테두리 주변에는 복수개의 제1매설홈이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원형 배열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 중앙지점에는 복수개의 제2매설홈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조명설치케이스,
    상기 설치공간 중 상기 안착홈 아래 지점에 설치되되 전선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 외부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pcb기판 및 상기 pcb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pcb기판 회로를 제어하는 회로제어부로 이루어진 전원제어부,
    상기 pcb기판 상부면 상에 부착 설치되어 상기 전원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각 제1매설홈의 아래 지점에 상하 동일선상을 이루며 위치되는 복수개의 제1LED램프 및 상기 PCB기판 상에 부착 설치되어 상기 전원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각 제2매설홈의 아래 지점에 상하 동일선상을 이루며 위치되는 복수개의 제2LED램프,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가 투명재질이고 하단 둘레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상기 안착홈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하단면이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에 안착 되고 하단면 중 상기 제1LED램프 및 상기 제1매설홈과 상하 동일선상의 지점에는 복수개의 제1광확산유도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면 중 상기 제2LED램프 및 상기 제2매설홈과 상하 동일선상의 지점에는 복수개의 제2광확산유도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필기도구 수납케이스,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조명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연필꽂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제1광확산유도홈의 내부둘레면은 상기 필기도구 수납케이스의 외곽 둘레면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고,
    상기 각 제2광확산유도홈의 직경은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이며,
    상기 조명설치케이스 하단부에 위치하여 책상 상에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과 상기 조명설치케이스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단부가 각각 상기 조명설치케이스의 하단면과 상기 안착판 상부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주름관 형태를 이루며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한 높낮이조절관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조명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연필꽂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명설치케이스 둘레면 중 특정지점에는 삽입홀이 내부를 향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 내부 둘레에는 연필용 커팅칼날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필용 커팅칼날과 연결되어 있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제2기어 및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제2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조명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연필꽂이.


KR1020150082500A 2015-06-11 2015-06-11 스탠드 조명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연필꽂이 KR20160146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00A KR20160146013A (ko) 2015-06-11 2015-06-11 스탠드 조명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연필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00A KR20160146013A (ko) 2015-06-11 2015-06-11 스탠드 조명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연필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013A true KR20160146013A (ko) 2016-12-21

Family

ID=5773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500A KR20160146013A (ko) 2015-06-11 2015-06-11 스탠드 조명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연필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60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490B1 (ko) * 2021-03-03 2021-10-20 김엽 살균기능을 갖는 데스크펜
WO2022186595A1 (ko) * 2021-03-03 2022-09-09 김엽 살균기능을 갖는 데스크 및 살균이 가능한 데스크펜 및 살균이 가능한 거치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490B1 (ko) * 2021-03-03 2021-10-20 김엽 살균기능을 갖는 데스크펜
WO2022186595A1 (ko) * 2021-03-03 2022-09-09 김엽 살균기능을 갖는 데스크 및 살균이 가능한 데스크펜 및 살균이 가능한 거치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834B2 (en) Party lamp
US8414153B2 (en) High powered universal LED lamp
WO2005031208A1 (ja) 電飾装置
US10352553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light and sound
CN110432680B (zh) 具有灯效的脚座
KR20160146013A (ko) 스탠드 조명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연필꽂이
US7489845B2 (en) Fiber optic withy light device
CN105387376A (zh) 一种智能高度可调节台灯
CN110006008B (zh) 发光装置,用于发光装置的控制单元以及用于运行发光装置的方法
US8746913B2 (en) Lava lamp holder structure improvement
US20080232104A1 (en) Display Pedestal for Decorative Objects
US20140022803A1 (en) Spotlight device
US6176595B1 (en) Vertical canopy adjustable path light
KR20160003134U (ko) 엘이디 조명등기구
JP5515003B2 (ja) 照明装置付き拡大鏡
JP2016021314A (ja) 照明装置
CN107076373B (zh) 落地灯
CN219796986U (zh) 一种多功能护眼台灯
CN218119467U (zh) 装饰灯具
KR101707797B1 (ko) 교구 기능을 갖는 조명등
CN103672550A (zh) 照明装置
KR101074045B1 (ko)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JP7050372B1 (ja) 照明器具用レンズを備える照明装置
KR101265024B1 (ko) 버블유영체가 구비된 장식 조명기구
KR20090038505A (ko) 시력보호와 함께 집중력을 높여주는 기능성 전기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