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045B1 -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 Google Patents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045B1
KR101074045B1 KR1020090043444A KR20090043444A KR101074045B1 KR 101074045 B1 KR101074045 B1 KR 101074045B1 KR 1020090043444 A KR1020090043444 A KR 1020090043444A KR 20090043444 A KR20090043444 A KR 20090043444A KR 101074045 B1 KR101074045 B1 KR 101074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mounting cover
stand
decorative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442A (ko
Inventor
구경순
Original Assignee
이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구 filed Critical 이상구
Priority to KR1020090043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045B1/ko
Publication of KR20100124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12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e.g. table lamp, floor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을 제공하는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운팅커버; 상기 마운팅커버에 설치되고, 조명을 발산하는 램프를 갖는 조명대; 상기 조명대의 램프에서 발산되는 조명광의 굴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램프의 조명광을 투광시키면서 산란시키는 투광재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심미감의 제공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장식기능을 제공하는 공예품; 상기 공예품을 상기 조명대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패스너 및; 상기 패스너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조명대의 램프로 전원을 공급하여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커버상에서 상기 공예품의 장식기능을 보강하는 보조장식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장식물은, 상기 마운팅커버에 세워져서 고정되는 장식대; 상기 장식대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심미감을 제공하는 특정한 형상으로 형성된 장식재 및; 상기 장식재를 관통하여 상기 장식대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예품이 심미감을 제공하므로 장식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투광재가 조명광을 산란시키므로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램프, 조명, 투광, 굴절, 장식

Description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 DESK LAMP HAVING DECORATIVE FUNCTION }
본 발명은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 하게는 조명 및 장식기능을 한꺼번에 제공할 수 있는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실내의 조명등은 실내를 밝히는 조명뿐만 아니라 장식효과도 제공하는 장식용 조명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식용 조명장치는 실내가 간접조명되도록 발광체의 주위를 불투명 처리하여 은은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하거나 나무 등의 소품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장식용 조명장치(1)는 인조나무(3)에 설치된 램프(9)를 통해 조명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항아리(2)에 설치된 인조나무(3)에 의해 장식효과도 제공한다. 따라서, 도시된 장식용 조명장치(1)는 스탠드의 기능 및 인테리어 소품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장식용 조명장치(1)는 램프가 외부에 직접적으로 조명광을 발산하므로 조명광을 아름답게 조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시력을 저해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 램프(9)나 인조나무(3)가 분리될 수 없는 구조로 제각기 구성되므로 램 프(9)나 인조나무(3)의 파손시 램프(9)나 인조나무(3)를 부분적으로 교체하지 못하고 전체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도 있다. 즉, 램프(9) 또는 인조나무(3)의 일부분이 파손되어도 파손된 일부분만을 교체할 수 없고, 램프(9) 또는 인조나무(3)를 아예 새것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조명을 발산하는 조명부품과 심미감을 유발시키는 장식부품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장식부품에 조명광을 투광시키면서 산란시키는 산란부재가 마련된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산란부재가 조명광을 투광시키면서 산란시키므로 조명광이 간접적으로 조사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장식부품이 고정되는 베이스의 일부분이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베이스의 일부분을 탈거시킬 수 있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장식부품을 베이스에 조립식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더 나아가 장식부품을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더하여 장식부품의 장식기능을 보강하는 부품 및/또는 베이스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부품이 추가적으로 마련된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아울러, 다양한 색상의 조명광을 발산하여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하는 조명장치가 착탈가능하게 마련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조명장치의 조명색상이나 조명시간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성요소가 마련된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는, 조명을 제공하는 스탠드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운팅커버; 상기 마운팅커버에 설치되고, 조명을 발산하는 램프를 갖는 조명대; 상기 조명대의 램프에서 발산되는 조명광의 굴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램프의 조명광을 투광시키면서 산란시키는 투광재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심미감의 제공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장식기능을 제공하는 공예품; 상기 공예품을 상기 조명대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패스너 및; 상기 패스너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조명대의 램프로 전원을 공급하여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커버상에서 상기 공예품의 장식기능을 보강하는 보조장식물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는 예컨대, 상기 마운팅커버에 의해 상부가 차폐되는 상부개방형 포트 및; 상기 포트의 상부에 상기 마운팅커버를 착탈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램프는 예컨대, 소형의 할로겐등이나 형광등 또는 백열등을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예컨대, 상기 포트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 및; 상기 마운팅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돌기에 체결되는 나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대는 예컨대, 상기 마운팅커버를 하단부가 관통한 상태로 마운팅커버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램프가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수직바 및; 상기 수직바의 하단부를 상기 마운팅커버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예컨대, 상기 수직바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나사; 상기 수나사가 형성된 상기 수직바의 하단부에 돌출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마운팅커버상에 안착되면서 수직바의 하단부를 설정된 길이만큼 마운팅커버로 관통시키는 스톱돌기; 상기 스톱돌기를 갖는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면서 상기 마운팅커버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너트 및; 상기 너트 및 상기 마운팅커버의 하부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되는 스프링와셔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스톱돌기 및/또는 스프링와셔는 생략이 가능하다.
상기 공예품은 예컨대, 상기 투광재가 중앙에 고정되는 고정링 및; 상기 고정링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고정되어 상기 투광재와 함께 꽃모양을 형성하면서 상기 램프의 조명광을 산란시키는 추가 투광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예품은 전술한 꽃모양 대신 심미감을 유발시키는 케릭터나 동물모양, 식물모양 또는 예술작품이나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물품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투광재는 예컨대, 상기 램프의 조명광을 난반사시키는 브릴리언트 커팅면이 표면에 형성된 크리스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투광재는 볼 록렌즈나 오목렌즈 또는 투광가능하게 형성된 아크릴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패스너는 예컨대, 상기 공예품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끼움돌기;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을 가지며, 상기 조명대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끼움돌기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나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예컨대,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램프로 전원을 인가하는 파워서플라이 및; 상기 파워서플라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장식물은, 상기 마운팅커버에 세워져서 고정되는 장식대; 상기 장식대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심미감을 제공하는 특정한 형상으로 형성된 장식재 및; 상기 장식재를 관통하여 상기 장식대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의 중량을 가중시키는 웨이트 및; 상기 웨이트에 의해 중량이 가중된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베이스의 유동을 방지하는 논슬립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마운팅커버에 고정되고, 내부의 열기를 방열하는 방열수단을 가지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램프와 상이한 색상의 조명광을 제공하여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하는 무드램프 및; 상기 무드램프를 상기 마운팅커버에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착탈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무드램프는 엘이디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엘이디 조명등이나 형광등을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재는 예컨대, 상기 무드램프의 외측에 마련되는 걸림턱 및; 상기 마운팅커버의 하부면에 돌출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걸림턱이 걸리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드램프는 상기 마운팅커버에서 현수상태로 이탈되도록, 마운팅커버의 상부로 노출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날카로운 도구에 의해 걸리는 홈형태의 행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무드램프에서 발산되는 조명광을 마운팅커버의 상부로 확산시키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확산부재는 예컨대, 상기 무드램프의 상부를 투광가능하게 차폐하는 크리스탈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확산부재는 무드램프의 상부를 투광가능하게 차폐하는 크리스탈 아크릴판이나 표면이 요철이 형성된 유리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는 예컨대, 상기 무드램프를 점등시키는 무드램프 스위치; 상기 무드램프 스위치의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무드램프의 조명색상이나 점등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무드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예컨대, 상기 스위치의 조작상태에 따른 상기 무드램프의 조명색상이나 점등시간이 저장된 램프구동DB; 상기 무드램프 스위치의 조작시간 및 상기 무드램프의 점등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터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적합한 조명색상이나 점등시간을 상기 램프구동DB에서 선택하여 상기 무드램프 및 파워서플라이에 인가하는 셀렉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는, 꽃모양의 공예품 및 장식재가 심미감을 제공하므로 장식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공예품의 투광재가 램프의 조명광을 투광시키면서 산란시키므로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광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수직바 및 공예품이 고정부재 및 패스너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므로 필요시 수직바 및 공예품을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새척한 후 다시 원위치에 고정할 수 있고, 무드램프가 착탈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므로, 필요시 무드램프를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수리한 후 다시 원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마운팅커버가 고정구에 의해 포트에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필요시 마운팅커버를 분리한 후 포트에 내장된 부품들을 점검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웨이트 및 논슬립이 자중 및 마찰력을 통해 포트의 유동을 방지하므로 포트가 넘어지면서 공예품이나 장식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무드램프가 램프와 색다른 다양한 색상의 조명광을 제공하므로 더욱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의 제어부가 무드램프를 다양한 형태로 점등시키므로 더더욱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탠드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예품의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예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무드램프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보조공예품의 구성을 분해도시한 측면도 및; 도 8은 도 2의 스탠드에 적용되는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선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pot)(20)의 상부에 설치된 마운팅커버(mounting cover)(10)에 메인장식물(100) 및 보조장식물(200)이 설치된다.
포트(20)는 마운팅커버(10)가 장착되는 베이스이다. 포트(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원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포트(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 표면장식재(24)가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표면장식재(24)는 아크릴이나 크리스탈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소형의 장식물이다. 이러한 표면장식재(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꽃모양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마운팅커버(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마운팅커버(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20)의 상부를 실질적으로 차폐한다.
메인장식물(10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50)가 장착된 상태로 마운팅커버(10)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바(32) 및 이 수직바(32)에 설치되는 공예품(70)을 갖는다. 이러한 수직바(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 형성되거나 후술되는 보조장식물(200)의 장식대(201)와 같이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램프(5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52) 및 광원(54)으로 이루어진다. 소켓(52)은 수직바(32)에 일체적으로 마련된다. 광원(54)은 소형의 할로겐등으로 구성된다.
공예품(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꽃모양으로 형성되며,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32)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램프(50)의 일측을 차폐한다.
보조장식물(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진 장식대(201)에 일체적으로 장작되고, 메인장식물(100) 보다 작게 형성된 꽃모양의 장식재(203)로 구성된다. 장식대(201)는 도시된 바와 달리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장식대(201)는 전술한 수직바(32)와의 색다른 조화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공예품(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스탈로 구성된다. 따라서, 공예품(70)은 램프(50)의 조명광을 투광하는 동시에 굴절시키면서 산란시킨다. 보조장식물(200)의 장식재(203)도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광을 난반사시키는 브릴리언트 커팅(brilliant cutting)면이 형성된 크리스탈로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램프(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커버(10)에 마련된 곡선막대형 스위치(29)에 의해 점등된다. 이러한 스위치(29)는 금속재로 구성되어 터치식으로 작동한다.
다른 한편, 마운팅커버(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후술되는 무드램프(mood lamp)(40)가 마련된다. 무드램프(40)는 엘이디가 광원으로 이용됨에 따라 전술한 램프(50)와 상이한 색상의 조명광을 발산한다. 이러한 무드램프(40)는 마운팅커버(10)의 상부로 조명광을 발산한다.
무드램프(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커버(10)에 마련된 무드램프 스위치(110)에 의해 점등된다. 무드램프 스위치(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스위치(29)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무드램프 스위치(110)는 전술한 스위치(29)와 동일하게 터치식으로 작동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포트(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갖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이다. 그리고, 마운팅커버(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평판이다.
마운팅커버(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20)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22)에 나사(83)가 체결됨에 따라 포트(20)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때, 나사(8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커버(10)를 관통하여 돌기(22)에 체결된다. 물론, 마운팅커버(10)는 나사(83)가 돌기(22)에서 제거될 경우 포트(20)에서 분리된다. 즉, 돌기(22) 및 나사(83)는 마운팅커버(10)를 포트(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구이다.
마운팅커버(10)는 도면상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동일체로 마련되어 포트(20)의 내측에 마련된 탄성클램프(85)에 클램핑되는 볼조인트(ball joint)(84)에 의해 분리가능한 상태로 포트(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메인장식물(100)의 수직바(32)는 도면상의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너트(34a)가 체결되는 단턱(32b)을 갖는 수나사(32a)가 형성된다. 수직바(32)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커버(10)를 관통한 하단에 너트(34a)가 체결됨에 따라 마운팅커버(10)에 고정된다.
이러한 수직바(32)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가 형성된 부쉬(bush)형태의 스톱돌기(33a)가 하단부에 끼워진다. 스톱돌기(33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수직바(32)의 단턱(32b)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톱돌기(33a)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커버(10)상에 안착되면서 수직바(32)의 하단부를 설정된 깊이 만큼 마운팅커버(10)로 관통시킨다. 스톱돌기(33a)는 전술한 바와 달리 용접이나 나사결합에 의해 수직바(32)에 일체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수직바(32)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와셔(spring washer)(36a)가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와셔(36a)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커버(10) 및 너트(34a) 사이에 개재되어 너트(34a)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너트(34a)는 스프링와셔(36a)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바(32)의 하단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공예품(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재(73)가 중앙에 고정된다. 투광재(7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32)에 고정되는 고정링(71)을 통해 수직바(32)의 중앙 에 고정된다. 고정링(7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또 다른 추가 투광재(75)가 설치된다. 이러한 투광재(73) 및 추가 투광재(75)는 크리스탈로 구성된다.
보조장식물(200)의 장식대(201)는 전술한 수직바(32)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의해 마운팅커버(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장식대(201)는 하단이 마운팅커버(10)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무드램프(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커버(10)에 내장되어 은폐된다. 무드램프(40)는 도면상의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커버(10)에 형성된 램프공(11)에 삽입된다. 이러한 무드램프(4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커버(10)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된 돌기형태의 스토퍼(stoper)(12)에 외주면의 걸림턱(41)이 걸림에 따라 마운팅커버(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스토퍼(12) 및 걸림턱(41)은 무드램프(40)를 마운팅커버(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부재이다.
무드램프(40)는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광원(44)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방열시키는 방열수단(43)을 갖는다. 이러한 방열수단은 핀형태나 구멍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무드램프(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광이 조사되는 상부면이 크리스탈(CT)로 투광가능하게 차폐된다. 크리스탈(CT)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커버(10)상에 전체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크리스탈(CT)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조명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재이다. 크리스탈(CT)은 조명광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크리스탈(CT)은 겹겹이 쌓이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드램프(40)는 도면상의 확대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커버(10)의 상부로 노출되는 랜즈의 테두리(41)에 행거(hanger)(6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행거(61)는 사용자의 손톱이 삽입되도록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홈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무드램프(40)는 사용자의 손톱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이러한 행거(61)는 전술한 바와 달리 가늘게 형성된 드라이버나 송곳 또는 샤프팬슬의 촉과 같이 날카로운 도구가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수직바(32)는 램프(50)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이 배선된다. 이러한 전선은 포트(20)에 내장된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27)에 연결된다.
또 한편, 포트(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서플라이(27)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회로기판(28)이 내장된다. 또, 포트(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무드램프(40)에 전기를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46) 및 무드램프(40)의 조명색상이나 점등시간을 제어하는 회로기판(45)이 내장된다. 또한, 포트(20)는 유동이 방지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weight)(25)가 내장된다.
포트(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논슬립(non slip)(26)이 마련된다. 논슬립(26)은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논슬립(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20)의 하부면에 전체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포트(20)의 하부면에 부분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표면장식재(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스크류(piece screw)(24a)에 의해 포트(20)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접착재에 의해 포트(20)의 표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추가 투광재(7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재(73)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다. 추가 투광재(75)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71)의 외주면을 따라서 동일체로 마련된 날개(71a)에 고정된다. 이때, 추가 투광재(75)는 고정나사(71b)에 의해 날개(71a)에 고정된다. 물론, 고정나사(71b)는 추가 투광재(75)를 관통한 후 날개(71a)에 체결된다.
한편, 투광재(73)는 고정링(71)을 관통하는 고정나사(71b)에 의해 고정링(71)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투광재(73)는 전술한 바와 달리 접착제에 의해 고정링(71)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예품(70)은 도면상의 확대도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32)에 형성된 홀더(91)의 끼움홈(91a) 끼움돌기(92)가 끼워짐에 따라 수직바(32)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홀더(9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홀더(91)의 끼움홈(91a) 및 끼움돌기(92)는 확대도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확대도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끼움돌기(92)는 홀더(91)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질 수 있다. 하지만, 끼움돌기(92)는 확대도 "E"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압나사(94)에 의해 홀더(91)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나사(9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91)의 측방을 관통하여 끼움돌기(92)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가압나사(94)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에 널링(knurling)이나 세레이션(serration)이 가공될 수 있다.
전술한 끼움돌기(92), 홀더(91) 및 가압나사(94)는 공예품(70)을 조명대의 수직바(32)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fastener)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위치(29) 및 무드램프 스위치(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커버(10)를 관통하는 하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위치(29, 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너트(114)가 체결됨에 따라 마운팅커버(10)상에 고정된다.
스위치(29, 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절연판(112) 및 전선(113)과 연결된 단자판(113a)이 끼워진 후 너트(114)가 체결된다. 따라서, 스위치(29, 110)는 터치될 경우에만 램프를 점등하거나 소등한다.
한편, 단자판(113a)은 마운팅커버(10)의 하부면이나 전술한 포트(20)의 내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운팅커버(10)나 포트(20)가 터치되어도 램프가 점등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115는 도 3에 도시된 스톱돌기(33a)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보조장식물(200)의 장식재(20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링(203a)에 부착되는 크리스탈(202)로 구성된다. 크리스탈(202)은 전술한 메인장식물(100)의 추가 투광재(75)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앙링(203a)의 테두리에 부착된다. 이러한 장식재(203)는 중앙링(203a)을 관통하여 장식대(201)에 체결되는 볼트(205)에 의해 장식대(201)에 고정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무드램프(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제어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무드램프 스위치(110)에서 감지되는 터치신호에 따라 파워서플라이(46)를 통해 무드램프(40)에 전기를 공급한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카운터(124)가 무드램프 스위치(110)의 조작시간이나 무드램프(40)의 점등시간을 카운팅하여 셀렉터(selector)(126)에 인가한다. 또, 제어부(120)는 셀렉터(126)를 통해 무드램프(40)의 조명색상이나 점등시간을 제어한다.
셀렉터(126)는 카운터(counter)(124)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적합한 조명색상 데이터 및/또는 점등시간 데이터를 램프구동DB(122)에서 독출한 후, 이에 적합한 구동신호를 무드램프(40) 및 파워서플라이(46)에 인가하여 작동시킨다.
여기서, 전술한 카운터(124)는 조작시간, 즉 무드램프 스위치(110)의 터치시간을 카운팅하여 무드램프 스위치(110)가 연속적으로 조작되었는지 또는 한번만 조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카운터(124)는 조작시간을 카운팅하여 무드램프 스위치(110)의 터치횟수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카운터(124)는 조작시간이 0.6초로 설정될 경우, 0.6초 이내에 무드램프 스위치(110)가 한번만 터치되면 일회성으로 조작으로 판단하고, 0.6초 이내에 두번이 터치되면 연속적 조작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카운터(124)는 셀렉터(126)에 의해 선택된 점등시간을 카운팅한다. 예를 들면, 카운터(124)는 셀렉터(126)를 통해 램프구동DB(122)에서 선택된 데이터가 설정된 시간에 따라 조명광의 색상이 변화되도록 입력된 데이터일 경우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한다.
한편, 램프구동DB(122)는 무드램프 스위치(110)가 일회성으로 터치될 경우 무드램프(40)에서 특정한 색상의 조명광이 발광되고, 또 한번 일회성으로 터치될 경우 다른 색상의 조명광이 발광되도록 프로그래밍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램프구동DB(122)는 무드램프 스위치(110)가 연속적으로 터치될 경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조명광의 색상이 변환되도록 프로그래밍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의 작동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포트(20)는 마운팅커버(10)가 분리될 경우 내부의 파워서플라이(27, 46)나 회로기판(28, 45)이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워서플라이(27, 46)나 회로기판(28, 45)의 점검이나 교체가 가능하다.
메인장식물(100) 및 보조장식물(200)은 크리스탈에 의해 꽃모양의 형태로 이루어진 공예품(70) 및 장식재(203)를 통해 심미감을 제공한다.
램프(50) 및 무드램프(40)는 스위치(29, 110)가 조작될 경우, 회로기판(28, 45)에 마련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파워서플라이(27, 46)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점등된다. 이때, 공예품(70)은 투광재(73)를 통해 램프(50)에서 발산되는 조명광을 굴절시켜서 난반사한다. 따라서, 램프(50)의 조명광은 환상적으로 현란하게 산란된다. 이러한 램프(50)의 조명광은 사실상 투광재(73)를 통해 간접적으로 조사되므로 눈부심이 방지된다.
무드램프(40)의 조명광은 상부의 크리스탈(CT)로 조사된다. 따라서, 무드램프(40)의 조명광은 크리스탈(CT)에 의해 산란된다. 이때, 크리스탈(CT)은 조명광을 측면으로도 산란시킨다. 즉, 크리스탈(CT)들은 조명광을 측방으로 안내하는 광통로(光通路)를 제공한다. 이로 인하여, 무드램프(40)의 조명광은 램프공(11)의 상부로만 발산되지 않고 마운팅커버(10)의 상부면 전체로 확산된다. 즉, 무드램프(40) 의 조명광은 마운팅커버(10)의 전면으로 확산된다.
한편, 메인장식물(100)은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32)에 체결된 너트(34a)가 제거될 경우 마운팅커버(10)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수직바(32)는 새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또, 무드램프(40)는 확대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61)에 의해 들어올려질 경우 마운팅커버(10)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무드램프(40)는 새것으로 교체되거나 수리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공예품(70)의 투광재(73) 및 추가 투광재(75)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71b)가 제거될 경우 고정링(7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투광재(73) 및 추가 투광재(75)는 교체나 세척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예품(7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나사(94)가 제거되고, 끼움돌기(92)가 홀더(91)에서 이탈될 경우 수직바(32)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공예품(70)은 새것으로 교체되거나 세척된 후 다시 수직바(3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위치(29, 110)는 너트(114)가 제거될 경우 마운팅커버(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29, 110)는 교체가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보조장식물(200)의 장식재(203)는 볼트(205)가 제거될 경우 장식대(201)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장식재(203)는 새것으로 교체되거나 세척된 후 다시 장식대(20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무드램프(40)는 무드램프 스위치(110)가 한번씩 터치될 경 우 터치될 때마다 새로운 색상의 조명광을 발산한다. 이때, 카운터(124)는 일회성으로 터치된 신호를 셀렉터(126)에 인가한다. 그리고, 셀렉터(126)는 램프구동DB(122)에서 터치순서에 적합한 조명색상이 프래그래밍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파워서플라이(46)를 통해 무드램프(40)를 점등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드램프 스위치(110)를 터치하여 원하는 색상의 조명광을 선택할 수 있다.
무드램프(40)는 무드램프 스위치(110)가 연속적으로 터치될 경우, 즉 더블클릭될 경우 설정된 시간동안 다양한 색상의 조명광을 번갈아 가면서 점등시킨다. 이때, 카운터(124)는 연속적으로 터치된 신호를 셀렉터(126)에 인가한다. 그리고, 셀렉터(126)는 램프구동DB(122)에서 다양한 색상의 조명광을 번갈아 가면서 점등시키도록 프래그래밍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파워서플라이(46)를 통해 무드램프(40)를 점등시킨다.
이러한 무드램프(40)는 램프구동DB(122)의 데이터에 의해 다양한 색상의 조명광을 빠르게 번갈아 가면서 점등시킬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서서히 번갈아 가면서 점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드램프 스위치(110)를 연속적으로 터치하여 원하는 형태의 점등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는, 공예품(70) 및 장식재(203)가 심미감을 제공하므로 장식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공예품(70)이 램프(50)의 조명광을 투광시키면서 산란시키므로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광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수직바(32) 및 장식대(201)와 공예품(70) 및 장식재(203), 그리고 무드램프(40) 및 스위치(29, 110)가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므로, 필요시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새척한 후 다시 원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공예품(70) 및 장식재(203)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분리되므로 이러한 요소들도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새척한 후 다시 원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마운팅커버(10)가 포트(20)에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필요시 마운팅커버(10)를 분리한 후 포트(20)에 내장된 부품들을 점검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아울러, 웨이트(25) 및 논슬립(26)이 포트(20)의 유동을 방지하므로 포트(20)가 넘어지면서 공예품(70)이나 장식재(20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무드램프(40)가 램프(50)와 색다른 다양한 색상의 조명광을 제공하므로 더욱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의 제어부(120)가 무드램프(40)를 다양한 형태로 점등시키므로 더더욱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조명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탠드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예품의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예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무드램프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보조공예품의 구성을 분해도시한 측면도; 및
도 8은 도 2의 스탠드에 적용되는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버판
20 : 포트
29 : 스위치
32 : 수직바
40 : 무드램프
50 : 램프
70 : 공예품
200 : 보조공예품

Claims (17)

  1. 조명을 제공하는 스탠드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운팅커버(10);
    상기 마운팅커버(10)에 설치되고, 조명을 발산하는 램프(50)를 갖는 조명대;
    상기 조명대의 램프(50)에서 발산되는 조명광의 굴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램프(50)의 조명광을 투광시키면서 산란시키는 투광재(73)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심미감의 제공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장식기능을 제공하는 공예품(70);
    상기 공예품(70)을 상기 조명대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패스너; 및
    상기 패스너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조명대의 램프(50)로 전원을 공급하여 램프(50)의 점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커버(10)상에서 상기 공예품(70)의 장식기능을 보강하는 보조장식물(200)을 더 포함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마운팅커버(10)에 의해 상부가 차폐되는 상부개방형 포트(20); 및
    상기 포트(20)의 상부에 상기 마운팅커버(10)를 착탈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포트(20)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22); 및
    상기 마운팅커버(10)를 관통하여 상기 돌기(22)에 체결되는 나사(83)를 포함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대는,
    상기 마운팅커버(10)를 하단부가 관통한 상태로 마운팅커버(1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램프(50)가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수직바(32); 및
    상기 수직바(32)의 하단부를 상기 마운팅커버(10)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바(3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나사(32a);
    상기 수나사(32a)가 형성된 상기 수직바(32)의 하단부에 돌출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마운팅커버(10)상에 안착되면서 수직바(32)의 하단부를 설정된 길이만큼 마운팅커버(10)로 관통시키는 스톱돌기(33a);
    상기 스톱돌기(33a)를 갖는 상기 수나사(32a)에 체결되면서 상기 마운팅커버(10)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너트(34a); 및
    상기 너트(34a) 및 상기 마운팅커버(10)의 하부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되는 스프링와셔(36a)를 포함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예품(70)은,
    상기 투광재(73)가 중앙에 고정되는 고정링(71); 및
    상기 고정링(7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고정되어 상기 투광재(73)와 함께 꽃모양을 형성하면서 상기 램프(50)의 조명광을 산란시키는 추가 투광재(75)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재는,
    상기 램프(50)의 조명광을 난반사시키는 브릴리언트 커팅면이 표면에 형성된 크리스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공예품(70)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끼움돌기(92);
    상기 끼움돌기(92)가 끼워지는 끼움홈(91a)을 가지며, 상기 조명대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홀더(91); 및
    상기 홀더(91)를 관통하여 상기 끼움돌기(92)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나사(94)를 더 포함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램프(50)를 점등시키는 스위치(29);
    상기 스위치(29)의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램프(50)로 전원을 인가하는 파워서플라이(27); 및
    상기 파워서플라이(27)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식물(200)은,
    상기 마운팅커버(10)에 세워져서 고정되는 장식대(201);
    상기 장식대(201)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심미감을 제공하는 특정한 형상으로 형성된 장식재(203); 및
    상기 장식재(203)를 관통하여 상기 장식대(201)에 체결되는 볼트(205)를 포함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중량을 가중시키는 웨이트(25); 및
    상기 웨이트(25)에 의해 중량이 가중된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베이스의 유동을 방지하는 논슬립(26)을 더 포함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마운팅커버(10)에 고정되고, 내부의 열기를 방열하는 방열수단(43)을 가지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램프(50)와 상이한 색상의 조명광을 제공하여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하는 무드램프(40); 및
    상기 무드램프(40)를 상기 마운팅커버(10)에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착탈부재를 더 포함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무드램프(40)의 외측에 마련되는 걸림턱(41); 및
    상기 마운팅커버(10)의 하부면에 돌출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걸림턱(41)이 걸리는 스토퍼(12)를 포함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드램프(40)는,
    상기 마운팅커버(10)에서 현수상태로 이탈되도록, 마운팅커버(10)의 상부로 노출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날카로운 도구에 의해 걸리는 홈형태의 행거(61)를 더 포함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드램프(40)에서 발산되는 조명광을 마운팅커버(10)의 상부로 확산시키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재는,
    상기 무드램프(40)의 상부를 투광가능하게 차폐하는 크리스탈(C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무드램프(40)를 점등시키는 무드램프 스위치(110);
    상기 무드램프 스위치(110)의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무드램프(40)의 조명색상이나 점등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무드램프(40)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46)를 포함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110)의 조작상태에 따른 상기 무드램프(40)의 조명색상이나 점등시간이 저장된 램프구동DB(122);
    상기 무드램프 스위치(110)의 조작시간 및 상기 무드램프(40)의 점등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124); 및
    상기 카운터(124)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적합한 조명색상이나 점등시간을 상기 램프구동DB(122)에서 선택하여 상기 무드램프(40) 및 파워서플라이(46)에 인가하는 셀렉터(126)를 포함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KR1020090043444A 2009-05-19 2009-05-19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KR101074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444A KR101074045B1 (ko) 2009-05-19 2009-05-19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444A KR101074045B1 (ko) 2009-05-19 2009-05-19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442A KR20100124442A (ko) 2010-11-29
KR101074045B1 true KR101074045B1 (ko) 2011-10-17

Family

ID=4340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444A KR101074045B1 (ko) 2009-05-19 2009-05-19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472B1 (ko) * 2011-01-21 2017-09-21 주성엔지니어링(주) 조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395Y1 (ko) 2002-03-19 2002-07-04 원진록 다색 조명과 조화의 체결부가 구비된 장식용 스탠드
JP2004186140A (ja) 2002-11-19 2004-07-02 Shozo Iwamura プラスチックチューブ付発光ダイオード及び発光ダイオード付造花並びに発光ダイオード付吸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395Y1 (ko) 2002-03-19 2002-07-04 원진록 다색 조명과 조화의 체결부가 구비된 장식용 스탠드
JP2004186140A (ja) 2002-11-19 2004-07-02 Shozo Iwamura プラスチックチューブ付発光ダイオード及び発光ダイオード付造花並びに発光ダイオード付吸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442A (ko) 201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7045B (zh) 照明元件
US20140035483A1 (en) Two ended faux candle
US20140085876A1 (en) Handheld work light including adjustable light focusing or scattering mechanism
US7489845B2 (en) Fiber optic withy light device
KR200412764Y1 (ko)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101074045B1 (ko) 장식기능을 갖는 스탠드
KR101880621B1 (ko) 조명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
CN108870182A (zh) 一种装饰线
JP4491327B2 (ja) 照明器具
JP2016143598A (ja) 芳香器機能付きキャンドルライト
KR200424253Y1 (ko) 크리스탈 조명 장식품
KR200456219Y1 (ko) 조명등
JP3140662U (ja) アクアリウム照明器具の構造
JP2001061623A (ja)
JP2005158546A (ja) 照明装置
KR200489872Y1 (ko) Led 조명등
KR200455844Y1 (ko) 반사판이 구비된 조명등용 장식커버
KR200476561Y1 (ko) 천장 매립형 조명등기구
KR20120115742A (ko) 주전등 외에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는 무드등 기능의 전기 스탠드
CN218327726U (zh) 一种室内壁挂灯
KR200482515Y1 (ko) 조명지지체를 갖는 램프
KR200305576Y1 (ko) 난조사각을 갖는 조명램프 케이스
KR200170741Y1 (ko) 무드램프
KR20100013001U (ko) 스탠드형 조명기구
CN218268671U (zh) 一种多功能灯杆及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