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395B1 -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 Google Patents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395B1
KR101672395B1 KR1020160032641A KR20160032641A KR101672395B1 KR 101672395 B1 KR101672395 B1 KR 101672395B1 KR 1020160032641 A KR1020160032641 A KR 1020160032641A KR 20160032641 A KR20160032641 A KR 20160032641A KR 101672395 B1 KR101672395 B1 KR 101672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moving
shielding member
block
linear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규
Original Assignee
(주)인벤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벤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인벤티홀딩스
Priority to KR102016003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0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3Linear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05Guide rails or tracks for a linear bearing, i.e. adapted for movement of a carriage or bearing body there alo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써, 개시된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고 대향된 전후방에 차단판이 각각 설치되면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공간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장치의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체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체결블럭이 포함된 무빙구동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공간부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무빙구동부의 체결블럭과 결합되는 무빙블럭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며 상기 무빙구동부를 향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전방부위가 상기 무빙블럭 저면의 이동 경로 상 아래쪽에 근접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부위 선단부가 상기 체결블럭 측면의 이동 경로 상에 근접되어 위치되는 차폐부재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개방된 상면 위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상면의 중앙부위를 폐쇄해주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Linear motion guide having a shielding function}
본 발명은 리니어모션가이드가 작동될 때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어 외부 공간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 기계, 로봇, 컨베이어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써, 적용되는 장치에 직선 왕복 운동이 실시되는 이송대상부품과 연결되어 장치의 구동에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실시하는 대표적인 장치로 리니어모션가이드(Linear motion guide)가 있다.
리니어모션가이드는 연결된 이송대상부품의 직선 왕복 운동시 부드럽게 구동되도록 하며, 주행력 및 위치결정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장시간 고정밀도의 정밀한 구동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리니어모션가이드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면 상면이 개방된 베이스프레임과, 그러한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무빙구동부와, 그러한 무빙구동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송대상부품과 연결되는 무빙블럭 및 베이스프레임의 개방된 상면의 중심부를 폐쇄해주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리니어모션가이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즉, 종래의 리니어모션가이드는 베이스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무빙구동부가 구동되면 무빙구동부에 사용된 윤활유나 부품간 마찰에 따라 발생되는 분진 등의 이물질이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상면과 커버와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됨에 따라 공중의 미립자, 공기의 온도와 습도, 실내 압력이 유지되면서 전자 정밀기기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클린룸 환경의 자동화 라인에는 이러한 리니어모션가이드가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55319호(2006년 12월 11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이물질이 베이스프레임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리니어모션가이드를 클린룸 환경에서의 자동화 라인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고 대향된 전후방에 차단판이 각각 설치되면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공간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장치의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체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체결블럭이 포함된 무빙구동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공간부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무빙구동부의 체결블럭과 결합되는 무빙블럭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며, 상기 무빙구동부를 향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전방부위가 상기 무빙블럭 저면의 이동 경로 상 아래쪽에 근접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부위 선단부가 상기 체결블럭 측면의 이동 경로 상에 근접되어 위치되는 차폐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개방된 상면 위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상면의 중앙부위를 폐쇄해주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차폐부재는 일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저면에 하나 이상의 배기홀이 형성되고, 흡입수단을 통해 상기 공간부의 이물질이 상기 배기홀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무빙구동부의 체결블럭 양측면에 마주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가이드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대향된 양측 내면에 각각 위치하면서 상기 레일가이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레일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부재는 후방부위 선단부에 상향 절곡된 연장부를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는 안쪽면이 상기 무빙블럭 측면의 이동 경로 상에 근접되어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부재 전방부위 선단부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소정 각도 구부러져 형성될 수도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부재는 서로 동일선상에서 연결되는 복수개로 나누어져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부재는 전방부위 선단부 또는 연장부의 선단부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부재는 전방부위 선단부 또는 연장부의 선단부가 다단으로 접철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부재는 전방부위 선단부 또는 연장부의 선단부 일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구부러져 접어지면서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리니어모션가이드의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상면에 무빙구동부 및 무빙블럭의 진행 방향에 선상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 차단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상측으로 비산되더라도 차단부재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므로 리니어모션가이드를 클린룸의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의 구성을 예시한 다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의 구성을 예시한 또 다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의 일 부위를 절결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의 다른 부위를 절결한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의 구성을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의 구성요소는 크게 개방된 상면을 통해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베이스프레임과, 그러한 베이스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무빙구동부와, 무빙구동부에 연결되어 베이스프레임의 공간부 상측에서 왕복 이동되는 무빙블럭과,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상면에서 안쪽을 향해 연장 설치되는 차폐부재와, 베이스프레임의 개방된 상면 중앙부위를 가려주는 커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통해 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프레임(100)은,
도 1 및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면과 전후면이 개방된 대략 "└┘" 형태로 압출 성형될 수 있으며, 개방된 전후면에는 차단판(110)이 각각 설치되면서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부(120)가 형성된다.
베이스프레임(100)은 하나의 압축물로 구성될 수 있지만, 길이가 긴 경우, 복수의 베이스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되는 실시 예로는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외측면이나 길이방향의 관통홀에 끼움홈을 형성하고, 그러한 끼움홈에 심재를 끼워 연결시켜 서로 고정시킬 수도 있고, 복수의 베이스프레임(100)을 연결부재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무빙구동부(200)는
도 1 및 도 2 에서와 같이 전술한 베이스프레임(100)의 공간부(12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구동축(210)과 그러한 구동축(210)에 연결되는 체결블럭(220)으로 구성되며, 구동축(21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23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함에 따라 구동축(210)의 회전방향에 의해 체결블럭(220)은 구동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볼트형태의 구동축(210)과 너트형태의 체결블럭(220)이 서로 나사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동축(210)의 회전 방향에 의해 체결블럭(220)이 구동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구동축(210)과 체결블럭(220)은 다른 결합수단인 벨트나 체인이나 기어의 결합방식을 통해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체결블럭(220)의 상부에 후술되는 무빙블럭(300)이 체결되지만, 체결블럭(220)을 생략하고 구동축(210)에 무빙블럭(300)을 직접 연결시켜 구동축(210)의 회전 방향에 의해 무빙블럭(300)이 구동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구동축(210)의 회전에 따라 체결블럭(220)이 직선 왕복 운동을 할 때 체결블럭(220)의 정확한 직선 왕복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2 및 도 4 내지 도 6 에서와 같이 전술한 베이스프레임(100)의 양측 내면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레일(130)을 각각 돌출 형성하고, 체결블럭(220)의 양측면에는 그러한 레일(130)이 결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레일가이드(240)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구동축(210)의 회전으로 체결블럭(220)이 구동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할 때 체결블럭(220)이 레일가이드(240)와 레일(130)의 도움을 받아 정확하면서 안정되게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 에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의 양측 내면에는 전술한 레일(130)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지지부재(140)를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하거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선상에 다수개를 설치함으로써, 레일(13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레일(130)의 변형을 방지하여 체결블럭(220)의 정확한 직선 왕복 운동을 보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40)는 베이스프레임(100)에 일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체결부품으로 결합되거나, 끼워져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무빙블럭(300)은,
전술한 무빙구동부(2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이송대상부품과 연결되어 무빙구동부(200)의 구동에 따라 이송대상부품을 왕복 이송시켜준다.
무빙블럭(3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도 1 내지 도 3 에서와 같이 대략 "└┘" 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측 상단을 이용하여 이송대상부품을 연결시킬 수 있다.
무빙블럭(300)과 전술한 체결블럭(220)의 결합 실시 예는 체결블럭(220)의 상면에 무빙블럭(300)의 저면이 볼트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체결블럭(220)의 상면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무빙블럭(300)의 저면에는 그러한 돌기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돌기홈을 구성하여 체결블럭(220)과 무빙블럭(300)간의 결합의 용이함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무빙블럭(300)에는 한쪽 측면에 감지구(도면부호 미표기)가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100)의 한쪽 바깥면에는 위치감지센서(도면부호 미표기)를 설치함으로써, 무빙블럭(300)이 왕복 이동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감지구가 위치감지센서에 감지되도록 구성하여 무빙블럭(300)의 정확한 왕복 이동 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차폐부재(400)는,
전술한 베이스프레임(100)의 양측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에서 발생 되는 윤활유 또는 부품간의 마찰에 의해 발생 되는 분진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차폐부재(4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면, 도 2 와 같이 전술한 베이스프레임(100)의 양측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그 길이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면 길이와 상응하게 구성된다.
차폐부재(40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양측 상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되거나 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차폐부재(400)가 베이스프레임(100)의 양측 상면에 일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차폐부재(40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양측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때,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설치될 수도 있지만, 차폐부재(400)의 길이가 긴 경우, 변형이나 직진도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차폐부재(400)를 적정한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로 분할 구성한 후 서로 연결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0) 또한 변형이나 직진도를 감안하여 적정한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로 구성하여 서로 연결시키고, 차폐부재(400) 또한 다수개로 구성된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와 상응한 길이가 되도록 다수개로 구성한 후 서로 연결시킨 상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베이스프레임(100)과 차폐부재(400)가 다수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베이스프레임(100) 끼리 또는 차폐부재(400) 끼리 서로 연결시킴에 있어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키거나, 끼움방식을 통해 연결시키거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을 형성한 후 그러한 끼움홈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심재 등의 연결부품을 설치하여 연결시킬 수도 있다.
한편, 차폐부재(400)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 공간부(120)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베이스프레임(100)의 어느 한쪽에 흡입수단(도면중 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저면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배기홀을 형성하고, 그러한 배기홀에 진공펌프와 같은 흡입수단을 연결시켜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 공간부(120)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도 있다.
차폐부재(40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양측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무빙구동부(200)를 향하는 전방부위(410)가 무빙구동부(200)를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면서 소정의 폭을 가지는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재(400)의 전방부위(410)는 레일가이드(240)의 상부를 가려주게 되며, 전방부위(410)의 선단부는 전술한 무빙블럭(300) 저면의 이동 경로 상 아래쪽에 위치하여 직선 왕복 이동되는 무빙블럭(300) 저면과 간섭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차폐부재(400)의 전방부위(410) 선단부는 전술한 무빙구동부(200) 측면, 곧 체결블럭(220) 측면의 이동 경로 상에 최대한 근접되면서 직선 왕복 이동되는 체결블럭(220)의 측면과 간섭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도 3 에서와 같이 차폐부재(400)의 후방부위(42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양측 상면에 설치됨에 있어 차폐부재(400)의 전방부위(410)가 아래쪽의 레일가이드(240)의 상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전방부위(410)를 일정한 높이가 될 수 있도록 후방부위(420) 하부에 높이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높이조절부에 의해 전방부위(41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경우 조절된 높이로 인하여 전방부위(410)가 무빙블럭(300) 저면의 이동경로 상과 간섭되지는 않아야 한다.
차폐부재(400)의 후방부위(420) 하부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는 후방부위(420)와 높이조절부가 개별적으로 구성되고, 높이조절부가 후방부위(420)에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높이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차폐부재(400)의 전방부위(410)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차폐부재(400)의 후방부위(420) 선단부에는 수직방향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30)가 더 구비되면서 도 3 에서와 같이 대략 전체형상이 대략 "└" 및 "┘"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이때 연장부(430)의 안쪽면은 무빙블럭(300) 측면의 이동경로 상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차폐부재(400)는 전방부위(410) 선단부가 필요에 따라 하측이나 상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기울어진 선단부는 체결블럭(220) 및 무빙블럭(300)의 이동경로 상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선단부의 기울어짐은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비산되는 이물질의 반사를 안쪽으로 유도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비산되는 이물질이 차폐부재(400)의 후방부위(420)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차폐부재(400)의 전방부위(410) 선단부 또는 연장부(430)의 선단부 및 전방부위(410) 선단부와 연장부(430)의 선단부 모두는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길이 조절되는 방법의 일 예는 각 선단부가 안테나와 같이 다단으로 접어지거나 펴지는 접철되는 구조로 구성되거나, 각 선단부가 다수개로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각 선단부의 일부분이 어느 한쪽으로 구부러져 접어지면서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폐부재(400)의 전방부위(410) 또는 연장부(430)의 선단부가 길이 조절됨은 리니어모션가이드의 사양에 따라 무빙구동부(200) 또는 베이스프레임(100)의 규격이 변화되는 경우 차폐부재(400)를 교체할 필요없이 차폐부재(4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차폐부재(400)의 효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커버(50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개방된 상면 중앙부위를 폐쇄해주기 위해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 공간부(120)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개방된 전면을 향하여 비산될 때 전술한 차폐부재(400)와 함께 베이스프레임(100) 외부로의 배출됨을 방지해주며,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 공간부(120)로 이동되는 것 또한 방지해준다.
커버는 도 1 및 도 4 내지 도 6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의 개방된 상면 위쪽에 위치하되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무빙블럭(300)과 간섭되지 않도록 무빙블럭(300) 중앙 표면의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다.
즉, 도 6 에서와 같이 커버(500)의 저면은 왕복 이동되는 무빙블럭(300) 중앙부 표면의 이동 경로상 위쪽에 이격되어 위치되며, 커버(500)의 양측 전방부위 선단부와 후방부위 선단부는 무빙블럭(300) 양측 내면의 이동 경로상 안쪽에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리니어모션가이드의 이물질 차폐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리니어모션가이드의 무빙블럭(300)에는 이송대상부품이 고정되고, 이러한 이송대상부품은 무빙구동부(200)의 구동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00)의 개방된 상면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즉, 무빙구동부(200)와 연결된 구동모터(230)가 구동되면 구동모터(230)와 연결된 구동축(210)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게 되면서 구동축(210)에 설치된 체결블럭(220)이 구동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되고, 이때 체결블럭(220)과 연결되어 있는 무빙블럭(300)이 함께 이동되면서 무빙블럭(300)에 고정된 이송대상부품이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되어 이송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 공간부(120)에서는 먼지나, 윤활유나, 무빙구동부(200)와 같은 내부 부품의 구동과정에서 부품간의 마찰을 통해 발생되는 분진 등의 이물질이 비산하게 되고, 이물질의 비산 방향은 베이스프레임(100)의 개방된 상면을 향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종래에는 이물질이 베이스프레임(100)의 양측 상면과 커버(500)의 양측 전방부위 및 후방부위 선단부 간의 간격을 통해 외부로 다량 배출됨에 따라 클린룸에서의 사용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써,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에서 개방된 상면을 향하여 비산되는 이물질이 베이스프레임(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프레임(100)의 양측 상면에 차폐부재(400)를 설치함에 따라 차폐부재(400)의 전방부위(410) 선단부는 무빙구동부(200) 체결블럭(220) 측면의 이동 경로 상에 최대한 근접되고, 차폐부재(400)의 후방부위(4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430)의 내면은 무빙블럭(300) 양측 바깥면의 이동 경로 상에 최대한 근접되면서 차폐부재(400)의 전방부위(410) 선단부와 커버(500)의 전방부위 또는 후방부위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대략 45° 전후의 기울기가 된다.
따라서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에서 개방된 상면을 통해 비산되는 이물질이 차폐부재(400)의 전방부위(410) 선단부와 커버(500)의 전방부위 또는 후방부위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틈새로 빠져나가려 할 때 그 비산 각도가 45° 이상인 경우는 커버(500)에 의해 차단이 되며, 비산 각도가 45°이하인 경우는 차폐부재(400)에 의해 차단이 되고, 정확히 45°가 되면서 차폐부재(400)의 전방부위(410) 선단부와 커버(500)의 전방부위 또는 후방부위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틈새로 빠져나가더라도 차폐부재(400)의 후방부위(4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430)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이물질을 비산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리니어모션가이드의 베이스프레임(100) 내부에 차폐부재(400)를 설치함으로써, 베이스프레임(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물질이 베이스프레임(100)의 개방된 상면을 향하여 비산되더라도 차폐부재(400)와 커버(500)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한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의 제공을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베이스프레임 110 : 차단판
120 : 공간부 130 : 레일
140 : 지지부재 200 : 무빙구동부
210 : 구동축 220 : 체결블럭
300 : 무빙블럭 400 : 차폐부재
410 : 전방부위 420 : 후방부위
430 : 연장부 500 : 커버

Claims (11)

  1. 상면이 개방되고 대향된 전후방에 차단판이 각각 설치되면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공간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장치의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체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체결블럭이 포함된 무빙구동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공간부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무빙구동부의 체결블럭과 결합되는 무빙블럭;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며, 상기 무빙구동부를 향하면서 레일가이드의 상부를 가려줄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전방부위가 상기 무빙블럭 저면의 이동 경로 상 아래쪽에서 상기 무빙블럭 저면과 간섭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전방부위의 선단부는 상기 체결블럭 측면과 간섭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전방부위에 대항되는 후방부위 선단부에는 수직방향 상측으로 연장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안쪽면은 상기 무빙블럭 측면의 간섭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후방부위 선단부에는 수직방향 하측으로 높이조절부가 조립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부를 통해 상기 전방부위와 상기 무빙블럭 저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차폐부재;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개방된 상면 위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상면의 중앙부위를 폐쇄해주는 커버;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차폐부재는 일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저면에 하나 이상의 배기홀이 형성되고, 흡입수단을 통해 상기 공간부의 이물질이 상기 배기홀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구동부의 체결블럭 양측면에 마주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가이드;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대향된 양측 내면에 각각 위치하면서 상기 레일가이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는 레일;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레일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 전방부위 선단부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소정 각도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서로 동일선상에서 연결되는 복수개로 나누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전방부위 선단부 또는 연장부의 선단부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차폐부재는 전방부위 선단부 또는 연장부의 선단부 일부분이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접혀지면서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전방부위 선단부와 연장부의 선단부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안테나와 같이 다단으로 접어지거나 펴지는 절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11. 삭제
KR1020160032641A 2016-03-18 2016-03-18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KR101672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641A KR101672395B1 (ko) 2016-03-18 2016-03-18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641A KR101672395B1 (ko) 2016-03-18 2016-03-18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395B1 true KR101672395B1 (ko) 2016-11-04

Family

ID=5753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641A KR101672395B1 (ko) 2016-03-18 2016-03-18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3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542B1 (ko) * 2016-12-19 2018-05-10 (주)인벤티홀딩스 컴펙트형 이송로봇
KR20180001803U (ko) * 2016-12-07 2018-06-18 티비아이 모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리니어 모션 모듈
KR101921480B1 (ko) * 2017-02-09 2018-11-2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직교로봇
CN110488035A (zh) * 2019-09-06 2019-11-22 南京颐兰贝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适用于生化分析加样和搅拌的通用装置
WO2022177072A1 (ko) * 2021-02-18 2022-08-25 (주)에스.피.시스템스 개방형 구조의 집진 시스템이 적용된 크린룸용 단축 로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8003U (ko) * 1988-10-18 1990-04-26
JPH066794U (ja) * 1992-06-30 1994-01-28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ボールねじのシール装置
JP2003222223A (ja) * 2002-01-31 2003-08-08 Nsk Ltd 一軸アクチュエータ
KR100655319B1 (ko) 2005-12-22 2006-12-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축이송 리니어 모션 가이드
JP2012237383A (ja) * 2011-05-12 2012-12-06 Nippon Thompson Co Ltd クリーン環境用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8003U (ko) * 1988-10-18 1990-04-26
JPH066794U (ja) * 1992-06-30 1994-01-28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ボールねじのシール装置
JP2003222223A (ja) * 2002-01-31 2003-08-08 Nsk Ltd 一軸アクチュエータ
KR100655319B1 (ko) 2005-12-22 2006-12-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축이송 리니어 모션 가이드
JP2012237383A (ja) * 2011-05-12 2012-12-06 Nippon Thompson Co Ltd クリーン環境用アクチュエータ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803U (ko) * 2016-12-07 2018-06-18 티비아이 모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리니어 모션 모듈
KR200486785Y1 (ko) * 2016-12-07 2018-06-28 티비아이 모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리니어 모션 모듈
KR101856542B1 (ko) * 2016-12-19 2018-05-10 (주)인벤티홀딩스 컴펙트형 이송로봇
KR101921480B1 (ko) * 2017-02-09 2018-11-2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직교로봇
CN110488035A (zh) * 2019-09-06 2019-11-22 南京颐兰贝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适用于生化分析加样和搅拌的通用装置
WO2022177072A1 (ko) * 2021-02-18 2022-08-25 (주)에스.피.시스템스 개방형 구조의 집진 시스템이 적용된 크린룸용 단축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395B1 (ko) 차폐기능을 가지는 리니어모션가이드
US7562595B2 (en) Dust proof sliding device
US8844415B2 (en) Table saw dust cover
EP4205621A1 (en) Vacuum cleaner station
JP2700621B2 (ja) ロボット
KR20180075829A (ko)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EP1228732A3 (de) Haushalts-Bodenstaubsauger
ITBO20010627A1 (it) Unita' operatrice per la lavorazione di pannelli di legno o simili
JP4245027B2 (ja) 昇降装置
US20170232534A1 (en) Miter saw linear movement assembly
US6089800A (en) Mobile protective cover for the sliding guides of machine tool parts
JP2000042862A (ja) スライド装置用防塵装置
KR20030091800A (ko) 전동액츄에이터
US6758650B2 (en) Bar guiding device in a feeder for feeding machine tools
US10888901B2 (en) Sorting or classifying machines
KR101856542B1 (ko) 컴펙트형 이송로봇
NL2021629B1 (en) Lift unit
CN117500647A (zh) 用于铣削出袋状凹部的铣削装置
JP3481711B2 (ja) 電動式直線往復動装置
US6439114B1 (en) Electric press with dust generation preventing device
CN108216813B (zh) 一种应用于贴标机的贴标机构
KR20120008744A (ko) 직교로봇의 모터커버
CN212553840U (zh) 一种智能t型机械手
KR20100000456A (ko) 직선이동장치
KR0176529B1 (ko) 로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