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195B1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195B1
KR101672195B1 KR1020090092569A KR20090092569A KR101672195B1 KR 101672195 B1 KR101672195 B1 KR 101672195B1 KR 1020090092569 A KR1020090092569 A KR 1020090092569A KR 20090092569 A KR20090092569 A KR 20090092569A KR 101672195 B1 KR101672195 B1 KR 101672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lexible drum
flexible
end po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025A (ko
Inventor
김성민
김종석
박대윤
홍석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195B1/ko
Priority to US12/892,407 priority patent/US8615898B2/en
Priority to US12/892,426 priority patent/US8528231B2/en
Priority to US12/892,446 priority patent/US8544188B2/en
Priority to CN201080053991XA priority patent/CN102639779A/zh
Priority to CN201080053983.5A priority patent/CN102639778B/zh
Priority to EP10820835.6A priority patent/EP2483467B1/en
Priority to EP10820834.9A priority patent/EP2483466A4/en
Priority to CN201080053995.8A priority patent/CN102639780B/zh
Priority to PCT/KR2010/006645 priority patent/WO2011040761A2/en
Priority to PCT/KR2010/006648 priority patent/WO2011040764A2/en
Priority to PCT/KR2010/006646 priority patent/WO2011040762A2/en
Priority to EP10820837.2A priority patent/EP2483468B1/en
Publication of KR20110035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025A/ko
Priority to US14/115,179 priority patent/US9316442B2/en
Priority to US13/098,824 priority patent/US862758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22Arrangements of drives, bearings,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26B11/04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the drum or receptacle having a variable outer or inner diameter in axial direction, e.g. trunconical; the drum or receptacle having a polygonal or non-cylindric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에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드럼을 플렉서블 드럼으로 대체하는 한편, 기존 원형 단면 형상의 드럼에서 비대칭 단면 형상을 가진 드럼으로 대체함으로써 보다 많은 세탁물을 투입하여 건조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플렉서블 드럼, 프레임, 회전 안내부, 드럼 구동부

Description

의류 건조기{Clothes dryer}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드럼을 플렉서블 드럼으로 대체하는 한편, 기존 원형 단면 형상의 드럼에서 비대칭 단면 형상을 가진 드럼으로 대체함으로써 보다 많은 세탁물을 투입시킬 수 있는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의하여 세탁된 젖은 세탁물을 일광을 쏘이지 않고서도 빠르고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장치로써, 전면이 개구되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어 투입된 젖은 세탁물을 강제 회전시키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구동시키는 드럼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가 상기 드럼 내부에 젖은 세탁물을 투입하고 상기 의류 건조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드럼 구동부에 의하여 젖은 세탁물이 강제 회전(텀플링)되는 동시에 상기 드럼 내부로 히팅된 공기가 송풍되어 빠른 시간 내에 젖은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상기 본체가 안정적인 형상인 직육면체의 외형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회전 구동되는 상기 드럼의 특성상 원형의 수직 단면을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어, 비교적 넓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비하여 적은 양의 세탁물을 상기 드럼 내부로 투입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상기 본체의 공간 활용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 드럼을 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이 아닌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비대칭의 단면 형상으로 구비하고, 상기 드럼을 효율적으로 회전시키는 다양한 장치 및 구성들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에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드럼을 플렉서블 드럼으로 대체하는 한편, 기존 원형 단면 형상의 드럼에서 비대칭 단면 형상을 가진 드럼으로 대체함으로써 보다 많은 세탁물을 투입시킬 수 있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 기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비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의 회전경로를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드럼과, 상기 플렉서블 드럼에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드럼 구동부와,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전후방으로 각각 걸림시킴과 아울러, 회전되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회전경로를 유지시키면서 그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안내부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공간은,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전단부 및 후단부 외측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아우터 걸림단과,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전단부 및 후단부 내측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이너 걸림단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안내부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걸림공간으로 삽입되어 걸림되면서 상기 회전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된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상기 플렉서블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수직 단면 형상은, 상기 걸림공간의 수직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걸림단과 상기 이너 걸림단 사이에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이 관통하는 관통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의 두께는 적어도 상기 아우터 걸림단과 상기 이너 걸림단에 걸림되는 크기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 걸림단에 접촉되면서 회전되는 제1롤러와 상기 이너 걸림단에 접촉되면서 회전되는 제2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걸림단에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과 상기 이너 걸림단 사이로 세탁물 또는 세탁물로부터 발생되는 이물질이 상기 걸림공간으로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실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기존에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드럼을 플렉서블 드럼으로 대체하는 한편, 기존 원형 단면 형상의 드럼에서 비대칭 단면 형상을 가진 드럼으로 대체함으로써 보다 많은 세탁물을 투입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다 많은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같은 양의 세탁물을 건조함에 있어서도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전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b의 구성 중 플렉서블 드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b의 구성 중 드럼 구동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1b의 구성 중 드럼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도 5b는 도 1b의 구성 중 회전 안내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1b의 구성 중 회전 안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고, 전면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5)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상기 개구부(5)는, 사용자가 젖은 세탁물을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하거나 본 발명에 의한 의류 건조기(1)에 의하여 건조가 완료된 세탁물을 취출하는 세탁물의 출입부이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부(5)를 개폐하는 전면 도어(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도어(20)는 상단부가 힌지 연결되어 하단부가 힌지 연결된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개구부(5)를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 도 1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좌측단부 또는 우측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힌지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이 힌지 연결된 좌측단부 또는 우측단 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개구부(5)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5)는, 일반적인 드럼형 의류 건조기와 같이 도 1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대략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개구부(5)가 비대칭적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개구부(5)는 상측은 대략 장방형의 단면을 일부 가지도록 형성된 반면, 하측은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개구부(5)를 개폐하는 상기 전면 도어(20)의 형상 또한 상기 개구부(5)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도어(20)의 좌측단부 중 상단부가 상기 본체(10)의 전면 좌측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전면 도어(20)의 우측단부가 상기 본체(10)의 전면 좌측단부의 힌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개구부(5)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는 도 1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 프레임(30)이 설치된다. 상기 내부 프레임(30)은 상기 본체(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주요 부분으로써, 대략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 중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설치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렉서블 드럼(40)을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 작동 시,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부(5)를 통하여 투입된 젖은 세탁물을 텀블링(tumbling)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써, 전면과 배면이 개구되게 형성되되, 상/하부 및 좌우 양측이 서로 연결되어 소정의 폐회로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젖은 세탁물을 텀블링시키는 드럼의 경우 배면이 차폐된 상태의 속이 빈 리지드(Rigid)한 재질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드럼의 배면 후방에 구동모터(미도시)를 배치시켜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 작동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텀블링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드럼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상기 드럼의 형상이 원형의 수직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인 조건이었다.
그러나, 상술한 배경기술에서도 이미 밝힌 바와 같이, 원형의 수직 단면을 가지는 종래의 드럼의 경우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수직 단면을 가지는 상기 본체(10)의 모든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던 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럼을 플렉서블한 재질(즉, 유연한 재질)로 구비하되, 후술하는 드럼 구동부(60)에 의하여 회전될 때에도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일정한 수직 단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을 플렉서블 드럼(40)으로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회전될 때에도 일정한 수직 단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창출한다.
즉,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 중 상기 본체(10)의 모서리에 인접하는 부분까지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에 많 은 양의 세탁물을 투입하여 단시간에 많은 양의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 중 불필요한 부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소형화 설계가 가능하며, 소형화 설계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주변 부품의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설계상의 효율성도 증진시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은 후술하는 드럼 구동부(60)에 의하여 회전되는 일종의 폭이 넓은 커다란 벨트로서, 회전되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내측면에서 젖은 세탁물이 마찰에 의하여 용이하게 텀블링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이 반드시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유연한 재질이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인 바, PVC, PU(Polyurethan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은 회전하면서 형상이 변형되어야 하는 플렉서블 재질이므로, 수많은 회전동안 발생되는 재질의 변경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의류 건조기(1)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외측면에 부착된 강성부재(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성부재(41)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재질보다 더 강성이 뛰어난 재질이면 어떤 재질이어도 무방하나, 일반적으로 얇고 탄성력이 좋은 스틸 판(Steel plate) 또는 고무 판(Rubber plat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성부재(41)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외측면, 즉 전방측 외측면에 1열 및 후방측 외측면에 1열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전방측 1열과 후방측 1열은 각각 어느 정도 교차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부(5)를 통하여 회전되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내측면에 투입된 젖은 세탁물은 텀블링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상기 내부 공간의 열풍에 의하여 신속하게 건조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내측면과 세탁물이 갖는 마찰력만으로는 텀블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에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은,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내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세탁물을 향하여 소정 길이 돌출된 리프터(4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리프터(42)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내측면에 융착되거나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도 5a 내지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이 원통 형상의 원형 수직 단면이 아닌 비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의 회전경로를 유지한 채 회전될 수 있도록 그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50)(150)를 더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 안내부(50)(150)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전후방으로 각각 걸림시킴과 아울러, 회전되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상기 회전경로를 유지시키면서 그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회전 안내부(50)(150)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회전을 복수개소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공간의 복수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안내부(50)(150)는, 상기 내부 프레임(30) 또는 상기 내부 공간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프렉서블 드럼(40)의 회전 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공간(52a)(52b)(152a)(152b)과,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걸림공간(52a)(52b)(152a)(152b)으로 삽입되어 걸림되면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회전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된 접촉부(44)(144a)(144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공간(52a)(52b)(152a)(152b)은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부위이다. 즉, 상기 걸림공간(52a)(52b)(152a)(152b)은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이 후술하는 드럼 구동부(60)(160)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 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유동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동시에 그 회전을 안내하는 소정의 공간이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공간(52a)(52b)(152a)(152b)은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상기 내부 프레임(30)에 설치되거나, 상기 내부 프레임(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공간(52a)(52b)(152a)(152b)은,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및 후단부 외측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아우터 걸림단(52b)(152b)과,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및 후단부 내측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이너 걸림단(52a)(152a)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이다.
상기 아우터 걸림단(52b)(152b)과 상기 이너 걸림단(52a)(152a) 사이에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관통되는 관통 슬릿(54)(15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아우터 걸림단(52b)(152b)과 상기 이너 걸림단(52a)(152a)의 선단부는 상기 접촉부(44)(144a)(14b)가 걸림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4)(144a)(144b)는, 회전되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및 후단부 일부를 지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및 후단부 일부와 함께 상기 걸림공간(52a)(52b)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회전 시 상기 걸림공간(52a)(52b)에 접촉 슬라이딩 이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회전을 안내/지지한다.
나아가, 상기 접촉부(44)(144a)(144b)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회전을 안내/지지함과 아울러, 회전되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이 일정한 형상인 비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즉,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이 회전되면서 그 형상이 미세하게 변할 수는 있지만, 상기 접촉부(44)(144a)(144b)가 상기 걸림공간(52a)(52b)(152a)(152b)에 걸림된 채로 접촉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회전을 견고하게 안내/지지하면서 일정한 형상인 비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회전 안내부(50)(150)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바, 그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 안내부(50)(150)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어떻게 되었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견고한 재질(Rigid Material)로 이루어진 드럼 대신 상기 드럼을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 가능한 보다 유연한 재질로 구비하고 상기 회전 안내부(50)(150)를 이용하여 드럼의 회전 시 비원형의 단면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을 채용함으로써, 기존 드럼의 회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했던 필수적 형상인 원형의 단면 형상을 과감히 버린 것이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첫째로, 드럼을 유연한 재질인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으로 구비한 바, 다양한 형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기존보다 모서리 부분에 대하여 더 많은 세탁물을 투입시킬 수 있으므로 대량의 세탁물을 쉽게 건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로, 기존 원형의 단면 형상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문제되었던 모서리 부분의 공간의 비효율적인 운용도 해소되게 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대 한 설계상의 효율성이 보장된다.
셋째로, 같은 양의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경우라고 가정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을 채용할 경우에는 보다 제품의 소형화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도 3a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부(60)(16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는 아래와 같이 두 가지의 실시예를 예상할 수 있다.
그 첫 번째 실시예로서는, 도 3a 및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 구동부(6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구동모터(60A)와, 상기 구동모터(60A)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풀리(61)와, 상기 구동풀리(61)와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 안내부(50)(150)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외측면을 회전 지지하는 회전부재(63a)(6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60A)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 하부 중 전방 또는 후방의 어느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60A)의 회전축에는 상기 구동풀리(61)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60A)의 작동 시 연동하여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풀리(61)에는 후술하는 일종의 벨트로써 제1구동벨트(64)가 감김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회전부재(63a)(63b)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회전되게 고정되고, 상기 구동풀리(61)와 제1구동벨트(64)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구동롤러(63b)와,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회전되게 고정되고, 상기 제1구동롤러(63b)와 제2구동벨트(65)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2구동롤러(63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60A)가 작동되면, 상기 구동풀리(61)가 상기 구동모터(60A)의 작동과 동시에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구동풀리(61)에 감김된 상기 제1구동벨트(64)에 의하여 상기 제1구동롤러(63b)로 상기 구동풀리(61)의 회전력이 전달됨과 아울러 다시 상기 제2구동벨트(65)에 의하여 상기 제1구동롤러(63b)의 회전력이 상기 제2구동롤러(63a)에 순차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한편, 상기 드럼 구동부(60)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 중 어느 일단부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구동롤러(63b) 및 상기 제2구동롤러(63a)와 밀착되도록 배치된 마찰력 증강 롤러(51)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찰력 증강 롤러(51)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이 상기 제1구동롤러(63b) 및 상기 제2구동롤러(63a에 의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될 때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회전을 안내하는 일종의 아이들러(IDLER)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 마찰력 증강 롤러(51)와 상기 제1구동롤러(63b) 및 상기 제2구동롤러(63a)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의 사용기간 또는 사용횟수에 비례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력 증강 롤러(51)가 상기 제1구동롤러(63b) 및 상기 제2구동롤러(63a)로부터 유격되면 상기 플렉서블 드럼(40)과 직접 마찰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기 제1구동롤러(63b) 및 상기 제2구동롤러(63a)와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작동 불량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 구동부(60)는, 상기 마찰력 증강 롤러(51)와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 일부와 연결시켜 상기 마찰력 증강 롤러(51)를 상기 제1구동롤러(63b) 및 상기 제2구동롤러(63a) 측으로 지지하는 텐셔너(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셔너(66)는, 상기 마찰력 증강 롤러(51) 및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바(bar)일 수도 있으나, 상기 마찰력 증강 롤러(51)와 상기 제1구동롤러(63b) 및 상기 제2구동롤러(63a)가 서로 유격되면 효과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에서, 상기 드럼 구동부(60)가 상술한 첫 번째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어 구현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드럼 구동부(60)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외주면 중 어느 일부에 마찰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에 소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반면에,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드럼 구동부(160)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외주면 전단부 또는 후단부 중 어느 한 부위에 좀더 많은 마찰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에 소정 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드럼 구동부(16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구동모터(160A)와, 상기 구동모터(160A)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60A)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풀리(161)와, 일단부가 상기 구동풀리(161)에 감김되고 타단부가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외주면에 감김되어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구동모터(160A)의 회전력을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에 전달하는 회전벨트(1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두 번째 실시예와 같이 구현되는 상기 드럼 구동부(60)가 채택된 상기 의류 건조기(1)는, 상기 회전벨트(164)가 직접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외주면에 감김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모터(160A)의 강한 회전력을 보다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벨트(164)와 상기 플렉서블 드럼(40)간 마찰면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상기 회전벨트(164)가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 홈(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 홈(45)은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회전벨트(164)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60A)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 중 어느 위치이어도 무방하나,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회전 운동과 간섭되지 않 는 곳이어야 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모터(160A)가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 직하방에 배치된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한편,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드럼 구동부(60)는, 상기 이탈방지 홈(45)에 삽입되어 감김된 상기 회전벨트(164)가 느슨하게 풀어져서 마찰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벨트(164)를 팽팽하게 당겨주는 텐셔너(166)를 더 포함한다.
상기 텐셔너(166)는, 상술한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드럼 구동부(60)와는 달리, 상기 회전벨트(164)를 직접 지지되도록 배치된 회전 롤러일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롤러로 구성된 상기 텐셔너(166)는 상기 구동풀리(161)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벨트(164)가 팽팽해지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벨트(164)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첫 번째 실시예 및 상기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드럼 구동부(60)(160)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이 회전될 때, 상기 회전 안내부(50)(150)가 회전되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원활한 회전을 안내하면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내측면에 투입된 젖은 세탁물을 골고루 텀블링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 안내부(50)(150)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그 구성을 도 5a 및 도 5b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안내부(50)는, 도 5a 및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44)가 상기 걸림공간(52a)(52b)에 상기 플렉서블 드럼(40) 의 전단부 및 후단부 일부와 함께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44)의 수직 단면 형상은, 상기 걸림공간(52a)(52b)의 수직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44)는 상기 걸림공간(52a)(52b)에 삽입되어야 하는 바, 상기 접촉부(44)의 수직 단면의 크기는 상기 걸림공간(52a)(52b)의 수직 단면보다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아울러, 상기 접촉부(44)의 두께는 상기 관통 슬릿(54)보다는 커야 함은 당연하고, 상기 아우터 걸림단(52b)과 상기 이너 걸림단(52a)에 걸림되는 크기의 두께를 가져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안내부(50)는, 상기 걸림공간(52a)(52b)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고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내측으로 갈수록 넓은 쐐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접촉부(44)의 수직 단면 형상 또한 상기 걸림공간(52a)(52b)의 수직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공간(52a)(52b)에 설치된 상기 접촉부(44)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이 회전되면 상기 아우터 걸림단(52b)과 상기 이너 걸림단(52a)에 가까운 면이 각각 상기 아우터 걸림단(52b)의 연장 형성된 내측면과 상기 이너 걸림단(52a)의 연장 형성된 내측면에 접촉된 채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걸림단(52b)과 상기 이너 걸림단(52a)에 접촉되는 상기 접촉부(44)는 마찰력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짐이 좋다. 또한, 상기 접촉부(44)의 재질이 마찰력이 작은 재질이 아닌 경우라도 생산 과정에서 상기 접촉부(44)를 상기 아우터 걸림단(52b) 및 상기 이너 걸림단(52a)에 접촉되는 부분을 마찰력을 작도록 하는 공정인 테플론(Teflon) 코팅 처리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안내부(5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을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접촉 지지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을 팽팽하게 유지함으로써 회전되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을 비원형 단면 형상을 유지한 채 회전되도록 안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안내부(50)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고정 결합된 상기 접촉부(44)가 직접 상기 걸림공간(52a)(52b)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팽팽하게 당겨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촉부(44)가 설치되는 상기 걸림공간(52a)(52b)은 상기 아우터 걸림단(52b)과 상기 이너 걸림단(52a)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관통 슬릿(54)을 제외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접촉부(44)가 보이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이너 걸림단(52a)과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내측면 사이는 더욱 차폐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내부에 투입되어 텀블링되는 세탁물이 상기 걸림공간(52a)(52b)에 끼이거나 세탁물로부터 발생되는 작은 이물질 또는 의류 부스러기(Lint) 등과 같은 것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은 그 기능상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바, 상기 걸림공간(52a) 일단과 상기 플렉서블 드럼(40) 사이에 어느 정도 의 여유 공차는 반드시 필요한 반면, 상기 회전 안내부(50)의 기능에 역행하지 않도록 상기 이너 걸림단(52a)과 상기 플렉서블 드럼(40) 사이에 형성된 틈새가 되도록이면 작게 형성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안내부(50)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과 상기 이너 걸림단(52a) 사이에 개재된 실러(sealer)(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러(53)는, 상기 이너 걸림단(52a)의 선단부, 즉 상기 이너 걸림단(52a)의 연장된 부분에 끼워지는 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러(53)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과 상기 이너 걸림단(52a) 사이의 공차를 메워주는 동시에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이 회전하면서 접촉되더라도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회전에 영향을 주어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실러(53)는 마찰력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짐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러(53)는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찰력이 작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브러쉬 형상을 가진 부품으로써 상기 걸림공간(52a)(52b)을 형성하는 구성 중 상기 이너 걸림단(52a)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회전 안내부(50)가 상술한 제1실시예에 한정되어 구현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안내부(150)는, 도 6a 및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144a)(144b)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공간(152a)(152b)에 서 상기 아우터 걸림단(152b)에 접촉되면서 회전되는 제1롤러(144b)와, 상기 걸림공간(152a)(152b)에서 상기 이너 걸림단(152a)에 접촉되면서 회전되는 제2롤러(144a)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안내부(150)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안내부(50)와는 달리, 상기 접촉부(144a)(144b)의 구성인 상기 제1롤러(144b)와 상기 제2롤러(144a)가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공간(152a)(152b)에서 상기 아우터 걸림단(152b) 및 상기 이너 걸림단(152a)에 접촉되므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회전 시 마찰력에 의한 회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안내부(150) 또한, 상기 이너 걸림단(152a)과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내측면 사이를 통하여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상기 걸림공간(152a)(152b)으로 끼이거나 세탁물로부터 발생된 작은 이물질 또는 의류 부스러기(Lint) 등이 상기 걸림공간(152a)(152b)으로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너 걸림단(152a)에 실러(sealer)(153)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안내부(50)(150)는, 상기 내부 프레임(30)의 전단부와 후단부 및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복수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상기 걸림부(44)와 상기 제2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롤러(144b) 및 상기 제2롤러(144a)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복수개소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걸림공간(52a)(52b)(152a)(152b)은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이 소정의 상기 회전경로를 따라 회전되는 동안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상기 걸림부(44)와 상기 제2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롤러(144b) 및 상기 제2롤러(144a)의 회전을 안내하여야 하므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회전경로 전부에 해당하는 상기 내부 프레임(30)의 전단부 및 후단부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의류 건조기(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미도시된 조작부를 이용하여 작동시키면, 상기 드럼 구동부(60)(160)가 작동되면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에 소정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드럼 구동부(60)(16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은 그 전단부와 후단부에 배치된 상기 회전 안내부(50)(150)의 구성 중 상기 접촉부(44)(144a)(144b)가 각각 상기 내부 프레임(3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배치된 상기 회전 안내부(50)(150)의 구성 중 상기 걸림공간(52a)(52b)(152a)(152b)에 삽입/걸림되어 접촉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을 팽팽하게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동작으로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텀블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바, 상기 플렉서블 드럼(40)의 형상이 소정의 비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을 유지하면서 상기 회전 안내부(50)(150)에 의해 회전 지지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구성 및 작동과정과 효과 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전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b의 구성 중 플렉서블 드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b의 구성 중 드럼 구동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1b의 구성 중 드럼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도 5b는 도 1b의 구성 중 회전 안내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1b의 구성 중 회전 안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의류 건조기 5: 개구부
10: 본체 20: 전면 도어
30: 내부 프레임 40: 플렉서블 드럼
41: 강성부재 42: 리프터
44,144a,144b: 접촉부 50: 회전 안내부
51: 마찰력 증강 롤러 52a: 아우터 걸림단, 걸림공간
52b: 이너 걸림단, 걸림공간 53,153: 실러
54,154: 관통 슬릿 60,160: 드럼 구동부
60A,160A: 구동모터 61,161: 구동풀리
63a,63b: 회전부재,제1,2구동롤러 64: 제1구동벨트
65: 제2구동벨트 66,166: 텐셔너
164: 회전벨트

Claims (9)

  1.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비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의 회전 경로를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드럼과;
    상기 플렉서블 드럼에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드럼 구동부와;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전단부를 전방으로 걸림시키고,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후단부를 후방으로 걸림시킴과 아울러, 회전되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회전경로를 유지시키면서 그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안내부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전단부 및 후단부 외측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아우터 걸림단과,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전단부 및 후단부 내측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이너 걸림단 사이의 소정의 공간에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 공간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안내부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걸림공간으로 삽입되어 걸림되면서 상기 회전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된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상기 플렉서블과 일체로 형성된 의류 건조기.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수직 단면 형상은, 상기 걸림공간의 수직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의류 건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걸림단과 상기 이너 걸림단 사이에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이 관통하는 관통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의 두께는 적어도 상기 아우터 걸림단과 상기 이너 걸림단에 걸림되는 크기의 두께로 형성된 의류 건조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 걸림단에 접촉되면서 회전되는 제1롤러와 상기 이너 걸림단에 접촉되면서 회전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너 걸림단에는 상기 플렉서블 드럼과 상기 이너 걸림단 사이로 세탁물 또는 세탁물로부터 발생되는 이물질이 상기 걸림공간으로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실러가 결합된 의류 건조기.
KR1020090092569A 2009-09-29 2009-09-29 의류 건조기 KR101672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569A KR101672195B1 (ko) 2009-09-29 2009-09-29 의류 건조기
US12/892,426 US8528231B2 (en) 2009-09-29 2010-09-28 Dryer
US12/892,446 US8544188B2 (en) 2009-09-29 2010-09-28 Dryer
US12/892,407 US8615898B2 (en) 2009-09-29 2010-09-28 Dryer
PCT/KR2010/006646 WO2011040762A2 (en) 2009-09-29 2010-09-29 Dryer
EP10820835.6A EP2483467B1 (en) 2009-09-29 2010-09-29 Dryer
CN201080053991XA CN102639779A (zh) 2009-09-29 2010-09-29 烘干机
CN201080053995.8A CN102639780B (zh) 2009-09-29 2010-09-29 烘干机
PCT/KR2010/006645 WO2011040761A2 (en) 2009-09-29 2010-09-29 Dryer
PCT/KR2010/006648 WO2011040764A2 (en) 2009-09-29 2010-09-29 Dryer
CN201080053983.5A CN102639778B (zh) 2009-09-29 2010-09-29 烘干机
EP10820837.2A EP2483468B1 (en) 2009-09-29 2010-09-29 Dryer
EP10820834.9A EP2483466A4 (en) 2009-09-29 2010-09-29 DRYER
US14/115,179 US9316442B2 (en) 2009-09-29 2011-05-02 Dryer
US13/098,824 US8627580B2 (en) 2009-09-29 2011-05-02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569A KR101672195B1 (ko) 2009-09-29 2009-09-29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025A KR20110035025A (ko) 2011-04-06
KR101672195B1 true KR101672195B1 (ko) 2016-11-03

Family

ID=4404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569A KR101672195B1 (ko) 2009-09-29 2009-09-29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19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7546A (en) * 1975-08-06 1977-02-15 Whirlpool Corporation Clothes dryer with flexible drum
US4669200A (en) * 1985-11-27 1987-06-02 Whirlpool Corporation Bulkhead seal for clothes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025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7580B2 (en) Dryer
US8615898B2 (en) Dryer
US9316442B2 (en) Dryer
US8667705B2 (en) Clothes dryer and lint cleaning device thereof
US20070130790A1 (en) Clothes drying machine having a sealing member
US9617677B2 (en) Laundry machine
US20120056518A1 (en) Washing machine
KR20100070707A (ko) 드럼세탁기
JP3801167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672195B1 (ko) 의류 건조기
US10895034B2 (en) Clothes dryer
JP2005137891A (ja) ローラ及びこれを備えた衣類乾燥機
KR101672194B1 (ko) 의류 건조기
KR101685344B1 (ko) 의류 건조기
KR101612801B1 (ko) 의류 건조기
KR101609141B1 (ko) 의류 건조기
KR101233248B1 (ko) 드럼세탁기용 세탁물 끼임 방지장치
CN101666020B (zh) 滚筒式洗衣机
US20230033602A1 (en) Laundry device
KR10243150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137315B1 (ko) 세탁 장치용 드럼
KR100637661B1 (ko) 의류건조기
JP2023013161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050044157A (ko) 롤러 및 이를 갖춘 의류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