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141B1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141B1
KR101609141B1 KR1020090105587A KR20090105587A KR101609141B1 KR 101609141 B1 KR101609141 B1 KR 101609141B1 KR 1020090105587 A KR1020090105587 A KR 1020090105587A KR 20090105587 A KR20090105587 A KR 20090105587A KR 101609141 B1 KR101609141 B1 KR 101609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drum
tumbling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ircumferential
driv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848A (ko
Inventor
김성민
김종석
박대윤
홍석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5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1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비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을 가진 고정 드럼과,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상시 미끄럼 접촉하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 드럼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텀블링시키는 텀블링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고정 드럼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물의 수용률을 높임은 물론, 내부에 수용된 젖은 세탁물을 비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을 가진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을 상기 텀블링 수단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텀블링시킴으로써 건조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고정 드럼, 비원형 수직 단면, 텀블링 수단, 텀블링 리프터

Description

의류 건조기{Clothes Dryer}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원형의 수직 단면을 가진 고정 드럼의 내부에 투입된 젖은 세탁물을 텀블링시키는 텀블링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많은 건조 공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기존 원형의 수직 단면을 가진 고정 드럼의 상부 공간의 설계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의하여 세탁된 젖은 세탁물을 일광을 쏘이지 않고서도 빠르고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장치로써,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이 개구되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되되, 원형의 수직 단면을 가지는 고정 드럼과,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 드럼에 투입된 젖은 세탁물을 텀블링시키는 텀블링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상기 텀블 링 수단이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젖은 세탁물을 텀블링시켜야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상기 고정 드럼의 수직 단면 형상이 원형일 수밖에 없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 본체의 경우에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었기에 상기 고정 드럼이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면 상기 본체의 각 모서리 부분이 불필요한 공간이 되어 내부 구성품의 설계상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젖은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고정 드럼의 수용률이 상술한 상기 본체의 불필요한 공간만큼 적어지는 문제점도 함께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비원형의 수직 단면을 가진 고정 드럼의 내부에 투입된 젖은 세탁물을 텀블링시키는 텀블링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많은 건조 공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기존 원형의 수직 단면을 가진 고정 드럼의 상부 공간의 설계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 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비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을 가진 고정 드럼과,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상시 미끄럼 접촉하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 드럼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텀블링시키는 텀블링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텀블링 수단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 구동모터와,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시 소정의 회전 반경을 가지도록 회전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비원형 수직 단면을 가진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에 수평방향으로 접촉되도록 전후방으로 연장 배치된 텀블링 리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시 상기 텀블링 리프터가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에 상시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게 신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회전링크와, 일단부에 상기 회전링크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텀블링 리프터와 연결된 이동링크와, 상기 삽입홈에 게재되고, 상기 회전링크를 탄성지지하면서 외력에 의하여 신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게재된 용수철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텀블링 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시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패널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텀블링 리프터는, 상기 이동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채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시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리프터 본체와, 상기 리프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시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플렉서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된 브러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드럼의 전단부에는 상기 리프터 본체의 회전시 그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 본체의 전단부에는 상기 안내 홈부에 삽입되는 삽입단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젖은 세탁물이 수용되는 고정 드럼을 비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수용되는 세탁물의 양을 늘려 세탁물 수용율을 상승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비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의 상기 고정 드럼 내주면을 따라 세탁물을 텀블링시킬 수 있는 텀블링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텀블링 효과를 상승시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본체 내부의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설계가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텀블링 수단의 연결부재의 작동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구성 중 텀블링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5)이 형성된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부 공간(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를 작동시키는 각종 구성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내부 공간(5)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비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을 가진 고정 드럼(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 드럼(20)의 수직 단면 형상이 비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첫째, 일반적으로 상기 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인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 드럼(20)의 수직 단면 형상을 비원형으로 대체함으로써 세탁물이 수용될 수 있는 보다 많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본체(10)의 각 모서리 부분으로 세탁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더 확대함으로써 세탁물의 수용률을 상승시키는 이점이 있다.
둘째, 기존에 상기 본체(10)의 모서리 부분은 단지 전기 배선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었을 뿐 내부 구성품에 대한 적절한 배치 설계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상기 고정 드럼(20)을 비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으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상기 고정 드럼(20)을 집중 배치할 수 있어 내부 구성품에 대한 배치 설계의 효율성이 증진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고정 드럼(20)의 구체적인 형상은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개구된 전방은 세탁물이 출입되는 출입부가 되며, 개구된 후방으로는 후술하는 세탁물을 텀블링하는 텀블링 수단(51~53)이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드럼(20)은 대략 하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후술하는 텀블링 수단(51~53)의 작동이 용이하도록 각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드럼(20)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는 세탁물의 출입부 기능을 하는 상기 고정 드럼(20)의 전방 개구부를 여닫는 전면 도어(30)가 배치된다.
상기 전면 도어(30)의 전체적인 형상 또한 상기 고정 드럼(20)의 수직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비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도어(30)는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그 타단부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고정 드럼(20)의 전방 개구부를 개폐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1)는 상기 고정 드럼(20) 내부에 투입된 젖은 세탁물을 강제로 회전(텀블링)시키면서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에 의하여 세탁물이 빠른 속도로 열교환되면서 신속하게 건조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세탁물을 텀블링시키는 수단, 즉 텀블링 수단(51~53)의 원활한 텀블링 작동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드럼(20) 내부에 투입된 젖은 세탁물을 텀블링시키도록 상기 내부 공간(5)에 배치된 텀블링 수단(51~53)을 더 포함한다.
상기 텀블링 수단(51~53)은,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을 따라 상시 미끄럼 접촉되는 동작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텀블링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텀블링 수단(51~53)은, 상기 내부 공간(5)에 배치된 구동 모터(51)와, 일단이 상기 구동 모터(51)의 회전축(5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 모터(51)의 작동시 소정의 회전 반경을 가지도록 회전되는 연결부재(53)와, 상기 연결부재(53)에 연결되고, 비원형 수직 단면을 가진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에 수평방향으로 접촉되도록 전방으로 연장 배치된 텀블링 리프터(6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모터(51)는 상기 고정 드럼(20)의 후방부에 해당하는 상기 내부 공간(5)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53)는 상기 회전축(5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되게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53)는, 상기 구동 모터(51)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회전축(52)과 연동하여 회전될 때, 상기 텀블링 리프터(60)가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에 상시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 모터(51)의 회전축(52)과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게 신축된다.
이처럼, 상기 연결부재(53)가 상기 구동 모터(51)의 회전축(52)과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 사이의 길이에 대응하여 신축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텀블링 수단(51~53)은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첫 번째 실시예로써, 상기 텀블링 수단(51~53)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모터(51)의 회전축(52)과 연결된 회전 링크(54)와, 일단부에 상기 회전 링크(54)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삽입홈(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상기 텀블링 리프터(60)와 연결된 이동 링크(55)와, 상기 삽입홈에 게재되고, 상기 회전 링크(54)를 탄성지지하면서 외력에 의하여 신축되는 탄성부재(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연결부재(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링크(54)는 상기 구동 모터(51)의 회전축(52)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51)가 작동될 때 상기 회전축(52)과 연동하여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링크(55)는 상기 삽입홈에 게재된 상기 탄성부재(57)에 의하여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 측으로 탄성지지되므로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이 타원형의 수직 단면을 가진 경우라도 상시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회전 링크(54)가 회전될 때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57)는, 상기 삽입홈에 게재된 용수철 스프링일 수 잇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53)의 선단, 즉 상기 이동 링크(55)의 끝단에는 상기 텀블링 리프터(60)가 연결된다. 상기 텀블링 리프터(60)는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고정 드럼(20)의 후방부에서 전방으로 수평되게 연장되어 상기 고정 드럼(20)에 투입된 젖은 세탁물과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어 상기 이동 링크(55)가 상기 구동 모터(51)의 작동으로 인하여 회전될 때 세탁물을 텀블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텀블링 리프터(60)는, 상기 고정 드럼(20)에 투입된 세탁물을 텀블링시키는 외에 세탁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이하, Lint(린트)라 칭함)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링크(55)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채로 상기 구동 모터(51)의 작동시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리프터 본체(61)와, 상기 리프터 본체(6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구동 모터(51)의 작동시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62)는 상기 리프터 본체(61)의 회전 간섭을 방해하지 않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이물질 제거부(62)는 상기 리프터 본체(61)에서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된 브러쉬일 수 있다.
상기 고정 드럼(20)의 전단부에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터 본체(61)의 회전시 그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 홈부(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 본체(61)의 전단부에는 상기 안내 홈부(22)에 삽입되는 삽입단부(6)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안내 홈부(22)는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내 홈부(22)에 상기 리프터 본체(61)의 전단부에 형성된 상기 삽입단부(6)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리프터 본체(61)가 회전될 때 그 회전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텀블링 수단(51~53)은 상술한 첫 번째 실시예의 구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5a 및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텀블링 수단(51~53)은, 상기 구동 모터(51)의 회전축(52)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51)의 작동시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 패널(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53)는 상기 회전 패널(7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53) 중 상기 회전 링크(54)는 상기 회전 패널(7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패널(70)은 원형의 판넬로써, 도 5a에 참조된 바와 같이, 대략 상기 고정 드럼(20)의 후방부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 드럼(20)을 기준으로 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을 가진 하부 수직 단면에 상기 회전 패널(70)의 하부와 대략 서로 매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 때에는 상기 연결부재(53) 중 상기 이동 링크(55)가 상기 회전 링크(54)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있다가 상기 회전 패널(70)의 회전시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에 상기 텀블링 리프터(60)가 밀착되도록 이동하는 바, 적어도 상기 이동 링크(55)의 이동 거리는 상기 회전 링크(54)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져야 한다.
한편, 상기 회전 패널(70)은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대략 상기 고정 드럼(20)의 후방부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 드럼(20)을 기준으로 중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 패널(70)을 도 5a와 달리 상기 고정 드럼(20)의 수직 단면의 중간 부분에 위치시키면, 상기 이동 링크(55)의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도 5a에 참조된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텀블링 수단(51~53)의 작동이 원활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세탁물 출입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 드럼(20) 내부로 젖은 세탁물을 투입한 후 미도시된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작동 버튼을 이용하여 작동시킨다.
그러면, 도 2 및 도 4, 그리고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텀블링 수단(51~53)이 작동되면서 젖은 세탁물을 텀블링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작동 버튼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구동 모터(51)가 작동되면서 상기 회전축(52)에 직접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53)가 회전되거나, 상기 회전 패널(70)을 매개로 상기 회전축(52)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연결부재(53)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이동 링크(55)는 탄성부재(57)에 의하여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 측으로 탄성지지되는 바, 비원형의 수직 단면을 가지는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 측으로 상기 텀블링 리프터(60)가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주면을 따라 상시 미끄럼 접촉되도록 상기 이동 링크(55)가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드럼(20)의 내부에 투입된 젖은 세탁물이 상기 텀블링 리프터(60)에 의하여 강제 텀블링 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 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텀블링 수단의 연결부재의 작동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구성 중 텀블링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의류 건조기 5: 내부 공간
6: 삽입단부 10: 본체
20: 고정 드럼 22: 안내 홈부
30: 전면 도어 51~53: 텀블링 수단
51: 구동 모터 52: 회전축
53: 연결 부재 54: 회전 링크
55: 이동 링크 60: 텀블링 리프터
61: 리프터 본체 62: 이물질 제거부
70: 회전 패널

Claims (10)

  1.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비원형의 수직 단면 형상을 가진 고정 드럼과;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상시 미끄럼 접촉하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 드럼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텀블링시키는 텀블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드럼의 수직 단면 형상은 하부가 반원 형상이고 상부의 상측은 수평이고 좌우측은 수직이되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텀블링 수단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 구동모터와,
    비원형 수직 단면을 가진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에 수평방향으로 접촉되도록 전후방으로 연장 배치된 복수개의 텀블링 리프터와,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개의 텀블림 리프터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되게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시 상기 텀블링 리프터가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에 상시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게 신축되는 의류 건조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회전링크와;
    일단부에 상기 회전링크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텀블링 리프터와 연결된 이동링크와;
    상기 삽입홈에 게재되고, 상기 회전링크를 탄성지지하면서 외력에 의하여 신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게재된 용수철 스프링인 의류 건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텀블링 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시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패널의 전면에 구비되는 의류 건조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텀블링 리프터는,
    상기 이동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채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시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리프터 본체와;
    상기 리프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시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리프트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플렉서블 재질로 이루어진 의류 건조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고정 드럼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된 브러쉬인 의류 건조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 드럼의 전단부에는 상기 리프터 본체의 회전시 그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 본체의 전단부에는 상기 안내 홈부에 삽입되는 삽입단부가 일체로 형성된 의류 건조기.
KR1020090105587A 2009-11-03 2009-11-03 의류 건조기 KR101609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587A KR101609141B1 (ko) 2009-11-03 2009-11-03 의류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587A KR101609141B1 (ko) 2009-11-03 2009-11-03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848A KR20110048848A (ko) 2011-05-12
KR101609141B1 true KR101609141B1 (ko) 2016-04-05

Family

ID=4436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587A KR101609141B1 (ko) 2009-11-03 2009-11-03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5188B1 (en) 2011-05-02 2018-10-24 LG Electronics Inc. Dryer
CN104428460B (zh) 2012-02-16 2017-06-20 Lg 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CN113638203A (zh) * 2020-04-27 2021-11-1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干衣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848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7580B2 (en) Dryer
US9816219B2 (en) Detergent dispenser for a washing machine
US7178264B2 (en) Washing machine with a drying device
US9863085B2 (en) Laundry machine
EP2705188B1 (en) Dryer
RU266424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1609141B1 (ko) 의류 건조기
US20190017209A1 (en) Clothes-handling apparatus
KR20200005317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35028A (ko) 의류 건조기
KR20070063997A (ko) 드럼세탁기의 건조장치
KR101609143B1 (ko) 의류 건조기
CN113389001B (zh) 一种桶体组件及衣物处理装置
US11008690B2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N111542658B (zh) 洗干一体机
EP2975173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20022362A (ko) 건조장치
KR101246375B1 (ko) 신발 수납형 랙을 구비하는 건조기
KR101139256B1 (ko) 롤러 및 이를 갖춘 의류건조기
US20150020556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685344B1 (ko) 의류 건조기
KR20140132801A (ko) 드럼 세탁기
KR10207077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50119260A (ko) 의류건조기
KR100577246B1 (ko) 건조장치의 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