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285B1 -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285B1
KR101671285B1 KR1020140168950A KR20140168950A KR101671285B1 KR 101671285 B1 KR101671285 B1 KR 101671285B1 KR 1020140168950 A KR1020140168950 A KR 1020140168950A KR 20140168950 A KR20140168950 A KR 20140168950A KR 101671285 B1 KR101671285 B1 KR 101671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external battery
battery
power
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809A (ko
Inventor
이병주
이재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아스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아스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아스에스이
Priority to KR102014016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2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전압조정회로를 통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충전 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를 충전장치와 연결하지 않았을 경우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장배터리를 충전하여 날씨 또는 장소에 상관없이 충전이 가능하며,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상태와 충전 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의 배터리 상태, 그리고 외장배터리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효율적인 전력분배가 가능한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 {Smart device charging unit using solar battery}
본 발명은,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를 충전하는 장치로서 태양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외장배터리 혹은 스마트기기의 연결상태 또는 충전상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충전효율을 높이고, 태양전지에서의 전력공급이 날씨등의 요인에 의하여 차단될 경우 외장배터리에 충전되어있는 전력을 공급하여 스마트기기를 충전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와 속도가 중요한 현대사회에서 스마트기기는 필수적인 물품이 되었다. 스마트기기는 GPS센서, 가속도센서등의 센서류와 5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아 함께 작동되는 백라이트, APU와 GPU같은 처리장치들을 사용하므로 배터리 소모가 심하나, 기기의 소형화 및 두께의 최소화라는 디자인 특성에 따라 사용되는 배터리의 양에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스마트기기들은 만성적인 배터리 부족으로 사용자들이 일정시간을 사용한 이후 배터리 충전을 위해 충전기를 언제나 소지하고 다니며 콘센트를 찾는 일이 보편화 되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한정한 무공해의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태양이 비치는 어디에서나 전기를 얻을 수 있고, 대기 오염이나 소음, 발열, 진동 등의 공해가 전혀 없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휴대용기기가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126100호로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로서 충전상태에 대한 로그를 저장하고 이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는 태양광 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광 에너지가 있을 경우 이를 통하여 충전하므로 날씨 혹은 장소의 제약으로 인하여 광 에너지를 이용할 수 없을 경우 전력의 생산이 불가능하여 충전이 되지 않아 충전장치의 사용에 제약이 발생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광 에너지를 통해 생산되는 전력의 공급에 있어서 전압이 불안정하여 충전 대상이 되는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에 무리를 줄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 기기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주는 현상이 발생되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12610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전압조정회로를 통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충전 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를 충전장치와 연결하지 않았을 경우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장배터리를 충전하여 날씨 또는 장소에 상관없이 충전이 가능하며,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상태와 충전 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의 배터리 상태, 그리고 외장배터리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효율적인 전력분배가 가능한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을 통해 태양광을 통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111), 상기 태양전지에서 발전된 전력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회로(112)로 구성되는 태양전지부(110),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장배터리(120), 상기 태양전지부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태양전지커넥터(131), 상기 외장배터리(120)와 결합하는 외장배터리커넥터(132), 충전대상 스마트기기와 결합하는 스마트기기커넥터(133), 상기 태양전지커넥터(131)와 상기 외장배터리커넥터(132) 및 스마트기기커넥터(132)와 연결되어 전력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장치(134)로 구성되는 충전부(130)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부(130)는 상기 태양전지커넥터(131)와 연결되어 태양전지의 발전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태정보를 상기 전원제어장치(134)로 전송하는 태양전지상태확인센서(135), 상기 외장배터리커넥터(132)와 연결되어 외장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외장배터리상태정보를 상기 전원제어장치(134)로 전송하는 외장배터리상태확인센서(136), 상기 스마트기기커넥터(133)와 연결되어 충전대상 스마트기기의 배터리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태정보를 상기 전원제어장치(134)로 전송하는 스마트기기상태확인센서(137)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130)는 충전대상 스마트기기에서 전력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13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제어장치(134)는 상기 외장배터리(120)에서 충전대상 스마트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하는 전력량조정회로(13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태양전지(111)는 하나 이상의 패널을 사용할 경우 접힘 또는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시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의 실시예는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전압조정회로를 통하여 전압조정하여 보다 안전한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며, 착탈이 가능한 외장배터리를 사용하므로서 다수개의 외장배터리를 충전하여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외장배터리를 바로 쓸수 있으며 다양한 용량으로 판매되는 외장배터리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충전장치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력 및 외장배터리의 상태, 충전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의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여 확인된 상태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므로써 보다 효율적인 전력의 분배가 가능하여 배터리 운용이 가능하여 사용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장배터리 및 충전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의 배터리가 완충이 되었을 경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각각의 배터리에 무리가 가지 않아 배터리의 내구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충전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의 배터리가 과충전되어 전력이 역류하므로 발생될 수 있는 충전장치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 충전장치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부 실시예
도 3은 발명의 충전장치의 충전 실시예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 충전장치 실시예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부 실시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충전장치의 충전 실시예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을 통해 태양광을 통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111), 상기 태양전지에서 발전된 전력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회로(112)로 구성되는 태양전지부(110),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장배터리(120), 상기 태양전지부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태양전지커넥터(131), 상기 외장배터리(120)와 결합하는 외장배터리커넥터(132), 충전대상 스마트기기와 결합하는 스마트기기커넥터(133), 상기 태양전지커넥터(131)와 상기 외장배터리커넥터(132) 및 스마트기기커넥터(132)와 연결되어 전력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장치(134)로 구성되는 충전부(130)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태양전지(111)에서 생산된 전력이 바로 상기 전압조정회로(112)를 거치면서 충전에 필요한 전압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별도의 전압조정을 위한 구성을 두지 않아도 되어 생산된 전력의 이용이 보다 용이해진다. 더불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전압조정회로(112)에는 정류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생산된 전류의 질을 더 끌어올릴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외장배터리(120)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하나의 외장배터리가 완충되었을 경우 완충된 배터리를 분리하고 다른 외장배터리를 연결하여 충전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충전장치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외장배터리(120)는 USB호환규격을 통하여 사용하여 충전이 가능한 다양한 외장배터리를 지칭하는 것이다. 즉, 특별한 규격의 배터리셀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USB호환규격의 외장배터리를 상기 외장배터리(120)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장배터리커넥터(132)는 USB호환규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부(130)는 상기 태양전지커넥터(131)와 연결되어 태양전지의 발전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태정보를 상기 전원제어장치(134)로 전송하는 태양전지상태확인센서(135), 상기 외장배터리커넥터(132)와 연결되어 외장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외장배터리상태정보를 상기 전원제어장치(134)로 전송하는 외장배터리상태확인센서(136), 상기 스마트기기커넥터(133)와 연결되어 충전대상 스마트기기의 배터리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태정보를 상기 전원제어장치(134)로 전송하는 스마트기기상태확인센서(137)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전원제어장치(134)는 상기 태양전지상태확인센서(135) 및 상기 외장배터리상태확인센서(136), 그리고 스마트기기상태확인센서(137)을 통하여 각각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하여 전력의 분배 및 전력공급 차단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아래에서 상기 전원제어장치(134)의 전원 제어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제어장치(134)는 상기 태양전지상태확인센서(135)를 통하여 상기 태양전지부(110)에서 생산되는 전압을 확인한다. 이때 측정된 전압이 미리 선택되어진 기준전압 이하로 확인될 경우 충전을 위한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연결 및 상태를 확인하여 미리 설정되어진 기준전압 이상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전력을 충전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로 공급하여 충전한다.
측정결과가 미리 선택되어진 기준전압 이상으로 확인된 경우 먼저 상기 외장배터리상태확인센서(136)을 이용하여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연결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외장배터리(12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기기상태확인센서(137)를 통하여 충전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의 연결을 확인하여 연결이 확인될 경우 상기 전원제어장치(134)에서 스마트기기로 상기 태양전지부(110)에서 생산된 전력을 전부 공급하여 스마트기기를 충전한다.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연결이 확인된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상태확인센서(137)을 통하여 충전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의 연결을 확인하여 스마트기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전원제어장치(134)에서 상기 외장베터리(120)로 상기 태양전지부(110)에서 생산된 전력을 전부 공급하여 상기 외장베터리(120)를 충전한다.
충전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가 연결되었다고 확인이 될 경우, 상기 외장배터리상태확인센서(137)을 통하여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충전량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충전량이 100%미만일 경우 상기 태양전지부(110)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상기 외장배터리(120)와 충전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에 나누어 공급한다. 이때 상기 외장배터리(120)와 스마트기기에 공급되는 전압은 균등하거나 스마트기기에 더 높은 전압이 공급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마트기기의 충전의 중요도가 더 높기 때문이다.
상기 외장배터리확인센서(137)에서 확인된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충전량이 100%이상일 경우 상기 태양전지부(110)에서 생산된 전력을 충전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로 전부 공급하여 충전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태양전지부(110)에서 생산된 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일 경우 충전시작 및 종료가 반복되던 종래의 기술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충전장치의 파손 또는 배터리 내구성의 하락을 기준전압 이하일 경우 전력공급자체를 차단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황에 맞도록 상기 전원제어부(134)에서 전력공급을 효율적으로 하여 보다 효율적인 전력사용이 가능하여 충전장치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더불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부(130)는 충전대상 스마트기기에서 전력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13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제어장치(134)는 상기 외장배터리(120)에서 충전대상 스마트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하는 전력량조정회로(13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충전장치는 충전대상 스마트기기의 과충전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전력의 역류를 미연에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상태에 맞추어 상기 충전대상 스마트 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어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태양전지(111)는 하나 이상의 패널을 사용할 경우 접힘 또는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111)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전력생산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태양전지부
111: 태양전지 112: 전압조정회로
120: 외장배터리
130: 충전부
131: 태양전지커넥터 132: 외장배터리커넥터
133: 스마트기기커넥터 134: 전원제어장치
135: 태양전지상태확인센서 136: 외장배터리상태확인센서
137: 스마트기기상태확인센서 138: 역류방지회로
139: 전력량조정회로

Claims (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을 통해 태양광을 통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111), 상기 태양전지에서 발전된 전력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회로(112)로 구성되는 태양전지부(110);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장배터리(120); 상기 태양전지부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태양전지커넥터(131), 상기 외장배터리(120)와 결합하는 외장배터리커넥터(132), 충전대상 스마트기기와 결합하는 스마트기기커넥터(133), 상기 태양전지커넥터(131)와 상기 외장배터리커넥터(132) 및 스마트기기커넥터(132)와 연결되어 전력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장치(134)로 구성되는 충전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130)는 상기 태양전지커넥터(131)와 연결되어 태양전지의 발전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태정보를 상기 전원제어장치(134)로 전송하는 태양전지상태확인센서(135), 상기 외장배터리커넥터(132)와 연결되어 외장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외장배터리상태정보를 상기 전원제어장치(134)로 전송하는 외장배터리상태확인센서(136), 상기 스마트기기커넥터(133)와 연결되어 충전대상 스마트기기의 배터리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외장상태배터리 상태정보를 상기 전원제어장치(134)로 전송하는 스마트기기상태확인센서(137)와 충전대상 스마트기기에서 전력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138)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장치(134)는 상기 외장배터리(120)에서 충전대상 스마트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하는 전력량조정회로(139)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111)는 하나 이상의 패널을 사용할 경우 접힘 또는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원제어장치(134)는 상기 태양전지상태확인센서(135)를 통하여 상기 태양전지부(110)에서 생산되는 전압을 확인하고, 이때 측정된 전압이 미리 선택되어진 기준전압 이하로 확인될 경우 충전을 위한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연결 및 상태를 확인하여 미리 설정 되어진 기준전압 이상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전력을 충전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로 공급하여 충전하며, 상기 측정결과가 미리 선택되어진 기준전압 이상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외장배터리상태확인센서(136)을 이용하여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연결을 확인하고, 이때 상기 외장배터리(12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기기상태확인센서(137)를 통하여 충전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의 연결을 확인하여 연결이 확인될 경우 상기 전원제어장치(134)에서 스마트기기로 상기 태양전지부(110)에서 생산된 전력을 전부 공급하여 스마트기기를 충전하고,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연결이 확인된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상태확인센서(137)을 통하여 충전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의 연결을 확인하여 스마트기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전원제어장치(134)에서 상기 외장배터리(120)로 상기 태양전지부(110)에서 생산된 전력을 전부 공급하여 상기 외장배터리(120)를 충전하고, 충전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가 연결되었다고 확인이 될 경우, 상기 외장배터리상태확인센서(137)을 통하여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충전량을 확인하여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충전량이 미리 정한양 미만일 경우 상기 태양전지부(110)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상기 외장배터리(120)와 충전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에 나누어 공급하며, 이때 상기 외장배터리(120)와 스마트기기에 공급되는 전압은 균등하거나 스마트기기에 더 높은 전압이 공급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외장배터리확인센서(137)에서 확인된 상기 외장배터리(120)의 충전량이 미리정한양 이상일 경우 상기 태양전지부(110)에서 생산된 전력을 충전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로 전부 공급하여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68950A 2014-11-28 2014-11-28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 KR101671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950A KR101671285B1 (ko) 2014-11-28 2014-11-28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950A KR101671285B1 (ko) 2014-11-28 2014-11-28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809A KR20160064809A (ko) 2016-06-08
KR101671285B1 true KR101671285B1 (ko) 2016-11-16

Family

ID=5619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950A KR101671285B1 (ko) 2014-11-28 2014-11-28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2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535B1 (ko) * 2021-04-01 2023-08-10 주식회사 그리다에너지 가로등 태양광 발전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6420A (ja) * 2000-08-28 2002-03-15 Integrated Business:Kk 携帯電源装置
JP2010074894A (ja) * 2008-09-16 2010-04-02 Sanyo Electric Co Ltd ソーラー充電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409A (ko) * 2008-04-18 2009-10-22 정종선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
KR101552270B1 (ko) * 2009-02-13 2015-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양 전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전원 제어 방법
KR20100126100A (ko) 2009-05-22 201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6420A (ja) * 2000-08-28 2002-03-15 Integrated Business:Kk 携帯電源装置
JP2010074894A (ja) * 2008-09-16 2010-04-02 Sanyo Electric Co Ltd ソーラー充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809A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3855B2 (en) Portable battery charger
KR20180059795A (ko) 이종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들 사이의 에너지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481057Y1 (ko)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JP6821415B2 (ja) 給電システム
US10693311B2 (en) Charging device
CN103576823B (zh) 一种电压调节装置
KR101671285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충전장치
KR102549749B1 (ko) 태양에너지 스마트 설비
CN104518526A (zh)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移动电源
JP5480343B2 (ja) 直流電源システム
KR200470159Y1 (ko) 보조 배터리가 내장된 충전 겸용 데이터 케이블
WO2015111144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CN103872735A (zh) 一种太阳能移动电源的监控系统及方法
US9425648B2 (en) Mobile device solar powered charg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CN206834767U (zh) 随机快充装置
KR101661260B1 (ko) 하이브리드 전원공급장치
WO2012176942A1 (ko)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CN105634106A (zh) 太阳能折叠充电装置
CN102901404A (zh) 用单片机调节发射角度的电磁炮
CN101324801A (zh) 一种笔记本电脑
CN104838555A (zh) 通过混合电网的电力质量问题缓解
CN203827032U (zh) 一体式充电机及大巴充电机
KR20170135008A (ko) 조류발전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
CN101870083B (zh) 便携可充电式现场研磨装置、研磨方法及电源箱
CN201511297U (zh) 便携可充电式现场研磨装置及电源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