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057Y1 -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057Y1
KR200481057Y1 KR2020150003147U KR20150003147U KR200481057Y1 KR 200481057 Y1 KR200481057 Y1 KR 200481057Y1 KR 2020150003147 U KR2020150003147 U KR 2020150003147U KR 20150003147 U KR20150003147 U KR 20150003147U KR 200481057 Y1 KR200481057 Y1 KR 200481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interface
power source
charging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일경
Original Assignee
전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일경 filed Critical 전일경
Priority to KR2020150003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0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0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H02J7/0054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는 AC전원을 공급받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 상기 DC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원을 기반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에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상기 배터리에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원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은 곳에서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도 안전하고 쉽게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및 전압을 배터리의 충전시 권장 전류 및 권장 전압의 범위에 맞도록 관리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Multifunctional device for charging battery}
본 고안은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이 첨단화되고 고도화함에 따라 기존의 휴대전화는 단순한 통화 기능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로 대체되고 있으며, 그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사용시간 역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의 성능은 모바일 단말의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여 반복적인 배터리 충전이 요구되며, 이에 야외 등 전원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은 곳에서는 모바일 단말을 배터리 문제로 인해 사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는 모바일 단말뿐만 아니라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는 모두 반복적인 배터리 충전이 요구되며, 전원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은 곳에서는 배터리 문제로 인해 사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말에 캠핑 등 야외로 외출을 하는 경우에 전원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은 곳에서는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모두 방전되면, 모바일 단말을 사용할 수 없는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야외로 외출하는 경우에 운전자의 부주의 등을 이유로 자동차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자동차의 배터리가 방전되면,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다른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해서 충전시켜 문제를 해결하는데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은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며, 다른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충전시키는 방법은 흔히 배터리 점프라고 표현하는데 초보운전자가 배터리 점프를 하기에는 너무 어렵고, 배터리 점프를 시도하다가 다치거나 다른 전기장치들을 고장 내는 등의 피해를 받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다목적 배터리 충전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22963호 : 모바일용 보조배터리팩 및 전원공급장치(출원인 :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5708호 : 차량의 배터리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출원인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대용량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공급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는 AC전원을 공급받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 상기 DC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원을 기반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에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상기 배터리에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마련되는 제1 충전인터페이스; 및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마련되는 제2 충전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는,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배터리에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가 상기 연결된 배터리에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 중 다른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에 공급되는 상기 정전압 전원의 전압을 조정하는 제1 전압조정기; 및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에 공급되는 상기 정전압 전원의 전압을 조정하는 제2 전압조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는,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에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에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연결되고,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제2충전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는,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와 연결하여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의 (+)극성 및 (-)극성이 반대로 연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극성을 갖는 단자 및 (-)극성을 갖는 단자가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전압조정기는,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에 공급되는 상기 정전압 전원의 전압을 12V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 각각의 제1 충전인터페이스가 연결되는 각각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서로 다른 전압의 정전압 전원을 공급하도록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각각의 제1 충전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제1 충전인터페이스에 공급되는 상기 정전압 전원의 전압을 조정하는 제1 전압조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모바일 단말 및 노트북 중에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1 전압조정기는,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에 공급되는 상기 정전압 전원의 전압을 5V 및 19V 중 어느 하나의 전압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에 각각 연결되도록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원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는,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원을 기반으로 빛을 내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원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은 곳에서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도 안전하고 쉽게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및 전압을 배터리의 충전시 권장 전류 및 권장 전압의 범위에 맞도록 관리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충전인터페이스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100)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100)는 전원변환부(110), 배터리부(120), 전원공급부(130), 제어부(140), 입력부(150) 및 조명부(160)를 포함한다.
전원변환부(110)는 AC전원을 공급받아 DC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전원변환부(110)는 AC-DC 컨버터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부(120)는 DC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배터리부(120)는 10000mAh이상의 대용량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
첨언하면, 배터리부(120)가 전원공급부(130)에 공급하는 전원은 3.75V의 정전압 전원이다.
다만, 배터리부(120)의 충전상태에 따라 정전압 전원의 전압은 변동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30)는 배터리부(120)에 충전된 전원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전압을 갖는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원공급부(130)는 배터리부(120)에 충전된 전원을 기반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전원공급부(130)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여기서 휴대용 전자기기는 모바일 단말, 태블릿(Tablet) PC 및 노트북과 같은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제어부(140)는 배터리부(120), 전원공급부(130) 및 조명부(160)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전원공급부(130)에서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이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으로 유지되도록 전원공급부(1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전원공급부(130)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원공급부(130)에 연결된 배터리에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전원공급부(130)에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연결되고, 입력부(150)에서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전원공급부(130)에서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로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이 공급되어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입력부(150)에서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전달된 입력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130)에서 전원공급부(130)에 연결된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전원공급부(130)에 다른 배터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공급부(130)에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연결되고 입력부(150)에서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전원공급부(130)에서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로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이 공급되어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한다.
입력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입력신호는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입력신호 또는 조명부(160)가 빛을 내도록 하는 입력신호이다.
이를 위해 입력부(150)는 각각의 입력신호가 입력되기 위해 복수의 버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첨언하면, 전원공급부(130)에 다른 배터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연결되면 입력부(150)의 입력신호 없이 자동으로 충전될 수 있다.
조명부(160)는 배터리부(120)에 충전된 전원을 기반으로 빛을 내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명부(160)는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내는 발광 소자를 구비한다.
그리고, 입력부(150)에서 조명부(160)가 빛을 내도록 하는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배터리부(120)에서 조명부(16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배터리부(120)에 충전된 전원이 공급되면, 조명부(160)는 발광 소자에서 빛을 낸다.
예를 들면, 해가 지고 조명이 없는 곳에서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100)를 이용하여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때와 같이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 입력부(150)를 통해 조명부(160)가 빛을 내도록 하는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조명부(160)는 빛을 내어 손전등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와 같은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에 전원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곳에서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도 쉽고 안전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해가 지고 조명이 없는 곳에서도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를 쉽고 안전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13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부(120)에 충전된 전원을 기반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부(130)는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 제1 전압조정기(135), 제2 전압조정기(136), 전원감지기(138) 및 전원차단기(139)를 포함한다.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는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 및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 중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되면, 배터리부(120)에 충전된 전원을 기반으로 연결된 배터리에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여 연결된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제어부(140)는,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가 연결된 배터리에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면,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 및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 중 다른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에는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제1 전압조정기(135)는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에 공급되는 정전압 전원의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전압조정기(135)는 배터리부(120)와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 사이에 마련되고, 배터리부(120)에서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에 공급되는 정전압 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조정된 전압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전압조정기(135)는 배터리부(120)에서 3.75V의 정전압 전원이 공급되면, 5V의 정전압 전원으로 전압을 조정하고, 조정된 5V의 전압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1 전압조정기(135) 역시 복수로 마련되며, 이때 각각의 제1 전압조정기(135)는 각각 서로 다른 전압으로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가 복수로 마련된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100)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전압조정기(136)는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에 공급되는 정전압 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조정된 전압으로 유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전압조정기(136)는 배터리부(120)와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 사이에 마련되고, 배터리부(120)에서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에 공급되는 정전압 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조정한 전압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전압조정기(136)는 배터리부(120)에서 3.75V의 정전압 전원이 공급되면, 12V의 정전압 전원으로 전압을 조정하고, 조정된 12V의 전압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전원감지기(138)는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 및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원감지기(138)는 복수로 마련되어 배터리부(120)와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 사이 및 배터리부(120)와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 사이에 각각 위치한다.
그리고, 전원감지기(138)는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 및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 중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되어 배터리부(120)에 충전된 전원을 기반으로 연결된 배터리에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이 공급되어 연결된 배터리가 충전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복수의 전원감지기(138)에 각각의 식별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복수의 전원감지기(138) 중 어느 하나의 전원감지기(138)가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를 통해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이 연결된 배터리로 공급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140)에 전달하면, 제어부(140)는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이 공급되는 충전인터페이스가 복수의 충전인터페이스 중 어느 충전인터페이스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40)는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를 식별하여 다른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에는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원차단기(139)는 제어부(140)가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다른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원차단기(139)는 복수로 마련되어 배터리부(120)와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 사이 및 배터리부(120)와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 사이에 각각 위치한다.
그리고, 충전인터페이스와 배터리가 연결되어 충전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이 연결된 배터리로 공급되는 경우에,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이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을 유지하기 위해 제어부(140)는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배터리부(120)와 다른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 사이에 마련된 전원차단기(139)에게 차단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차단신호를 전달받은 전원차단기(139)는 배터리부(120)에서 다른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전원을 차단한다.
여기서 전원차단기(139)는 DC용 전류차단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100)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13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130)에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가 복수로 마련된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언하면, 도 2를 참고하여 전술한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1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도 2를 참고하여 전술한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100)와 구별되는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 제1 전압조정기(135), 제2 전압조정기(136), 전원감지기(138) 및 전원차단기(13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전원공급부(130)는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가 복수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는 충전시 권장 전압의 범위가 다른 복수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서로 다른 전압의 정전압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로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는 충전시 권장 전압이 5V인 모바일 단말 배터리와 충전시 권장 전압이 19V인 노트북의 배터리에 정전압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가 복수로 마련되면, 제1 전압조정기(135)는 복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에 공급되는 정전압 전원의 전압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 충전시 권장 전압이 5V인 모바일 단말 배터리와 충전시 권장 전압이 19V인 노트북의 배터리에 정전압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로 마련되면, 배터리부(120)와 충전시 권장 전압이 5V인 모바일 단말 배터리에 연결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전압조정기(135)는 3.75V 의 정전압 전원을 5V의 정전압 전원으로 전압을 조정하여 조정된 전압을 유지한다.
또한, 배터리부(120)와 충전시 권장 전압이 19V인 노트북의 배터리에 연결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전압조정기(135)는 3.75V의 정전압 전원을 19V의 정전압 전원으로 전압을 조정하여 조정된 전압을 유지한다.
그리고,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도, 배터리부(120)와 각각의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 사이에는 전원감지기(138) 및 전원차단기(139)가 마련되어 제어부(140)가 복수의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 및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 중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40)는 복수의 제1 충전인터페이스(131) 및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 중 다른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에는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100)는 충전시 권장 전압이 서로 다른 종류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각각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충전시 권장 전압이 서로 다른 종류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첨언하면,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 및 제2 전압조정기(136)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고하여 전술한 부분과 동일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는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와 연결하여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는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B)와 연결하여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을 공급할 때,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의 (+)극성 및 (-)극성이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B)의 극성과 반대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극성을 갖는 단자 및 (-)극성을 갖는 단자가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는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B)와 충전 케이블(C)을 통해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에서 공급되는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의 극성과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B)의 극성이 반대로 연결되면, 방전된 자동차의 퓨즈 및 기타 구성장치에 파손이 오거나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B)가 폭발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에서 공급되는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의 극성과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B)의 극성은 일치되도록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2 충전인터페이스(132)의 (+)극성을 갖는 단자 및 (-)극성을 갖는 단자에 각각 (+)형상 및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마련하여 (+)극성을 갖는 단자 및 (-)극성을 갖는 단자는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한가지 첨언하면 충전 케이블(C)은 자동차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에 다른 자동차의 배터리와 연결하여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B)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점프 케이블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110 : 전원변환부
120 : 배터리부 130 : 전원공급부
131 : 제1 충전인터페이스 132 : 제2 충전인터페이스
135 : 제1 전압조정기 136 : 제2 전압조정기
138 : 전원감지기 139 : 전원차단기
140 : 제어부 150 : 입력부
160 : 조명부 B :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
C : 충전케이블(점프케이블)

Claims (12)

  1. AC전원을 공급받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
    상기 DC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원을 기반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정전압 전원 및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에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상기 배터리에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마련되는 제1 충전인터페이스; 및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마련되는 제2 충전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는,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배터리에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가 상기 연결된 배터리에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와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 중 다른 하나의 충전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에 각각 연결되도록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및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원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에 공급되는 상기 정전압 전원의 전압을 조정하는 제1 전압조정기; 및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에 공급되는 상기 정전압 전원의 전압을 조정하는 제2 전압조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에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에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연결되고,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제2충전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는,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와 연결하여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정전류 전원의 (+)극성 및 (-)극성이 상기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의 극성과 반대로 연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극성을 갖는 단자 및 (-)극성을 갖는 단자가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조정기는,
    상기 제2 충전인터페이스에 공급되는 상기 정전압 전원의 전압을 12V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 각각의 제1 충전인터페이스가 연결되는 각각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서로 다른 전압의 정전압 전원을 공급하도록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각각의 제1 충전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제1 충전인터페이스에 공급되는 상기 정전압 전원의 전압을 조정하는 제1 전압조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모바일 단말 및 노트북 중에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1 전압조정기는,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에 공급되는 상기 정전압 전원의 전압을 5V 및 19V 중 어느 하나의 전압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원을 기반으로 빛을 내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KR2020150003147U 2015-05-15 2015-05-15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KR200481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147U KR200481057Y1 (ko) 2015-05-15 2015-05-15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147U KR200481057Y1 (ko) 2015-05-15 2015-05-15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057Y1 true KR200481057Y1 (ko) 2016-08-08

Family

ID=5671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147U KR200481057Y1 (ko) 2015-05-15 2015-05-15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057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268B1 (ko) 2019-07-03 2020-01-30 주식회사 블루콤 무선 이어버드와 충전 크래들간 통신을 위한 구조
KR102086848B1 (ko) * 2019-10-08 2020-03-09 기호 방전된 차량에서의 역전류 감지 시 전원을 자동 차단하는 비상시동장치
KR102166637B1 (ko) 2019-10-30 2020-10-16 주식회사 블루콤 블루투스 헤드셋용 크래들
KR102197905B1 (ko) 2020-01-23 2021-01-04 주식회사 블루콤 오디오 동글 기능을 포함한 무선 이어버드의 충전 크래들
KR20230040453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블루콤 방열 건조 및 살균 기능이 포함된 무선 이어버드 충전 크래들
KR20230052521A (ko)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블루콤 진동 기능이 포함된 무선 이어버드 충전 크레들
KR102571607B1 (ko) 2022-03-17 2023-08-28 주식회사 블루콤 생체 정보 측정 기능이 포함된 무선 이어버드 충전 케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9888U (ko) * 1996-04-15 1997-11-10 제어전원부를 내장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기
KR20070109017A (ko) * 2006-05-09 2007-11-15 한국통신인터넷기술 주식회사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
KR20080086735A (ko) * 2007-03-23 2008-09-26 금비전자(주) 휴대용 충전기를 이용한 직류전원 공급장치
KR100969529B1 (ko) * 2009-02-02 2010-07-12 (주) 엔네비솔루션 자동차용 휴대용 보조 전원 장치
KR20130045708A (ko) 2011-10-26 2013-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KR101322963B1 (ko) 2012-01-09 2013-10-29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용 보조배터리팩 및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9888U (ko) * 1996-04-15 1997-11-10 제어전원부를 내장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기
KR20070109017A (ko) * 2006-05-09 2007-11-15 한국통신인터넷기술 주식회사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
KR20080086735A (ko) * 2007-03-23 2008-09-26 금비전자(주) 휴대용 충전기를 이용한 직류전원 공급장치
KR100969529B1 (ko) * 2009-02-02 2010-07-12 (주) 엔네비솔루션 자동차용 휴대용 보조 전원 장치
KR20130045708A (ko) 2011-10-26 2013-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KR101322963B1 (ko) 2012-01-09 2013-10-29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용 보조배터리팩 및 전원공급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268B1 (ko) 2019-07-03 2020-01-30 주식회사 블루콤 무선 이어버드와 충전 크래들간 통신을 위한 구조
KR102086848B1 (ko) * 2019-10-08 2020-03-09 기호 방전된 차량에서의 역전류 감지 시 전원을 자동 차단하는 비상시동장치
KR102166637B1 (ko) 2019-10-30 2020-10-16 주식회사 블루콤 블루투스 헤드셋용 크래들
KR102197905B1 (ko) 2020-01-23 2021-01-04 주식회사 블루콤 오디오 동글 기능을 포함한 무선 이어버드의 충전 크래들
KR20230040453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블루콤 방열 건조 및 살균 기능이 포함된 무선 이어버드 충전 크래들
KR20230052521A (ko)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블루콤 진동 기능이 포함된 무선 이어버드 충전 크레들
KR102571607B1 (ko) 2022-03-17 2023-08-28 주식회사 블루콤 생체 정보 측정 기능이 포함된 무선 이어버드 충전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057Y1 (ko)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US8107243B2 (en) Portable multi-device power supply, battery charger, and docking system
US7017055B1 (en) Hub that can supply power actively
US9024570B2 (en) Charging device
US9490652B2 (en) Wireless charger equipped with auxiliary power supply and auxiliary power device
US7567062B2 (en) Charging circuit
US98432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internal charger system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074077A1 (en) System of supplying power between portable devices and portable device used therein
US20130049675A1 (en) Output connector equipped battery pack, battery-pack-and-battery-driven-device system, and charging method by using battery pack
US20080061739A1 (en) Portable charging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oltage
US20160043585A1 (en) Rapid Charging Mobile Electronic Device Battery Case
CN104600796A (zh) 快速充电的移动终端及方法、系统
KR20150054464A (ko) 배터리 충전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시스템
US20110187309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nd charging multiple batteries
US20150130396A1 (en) Mobile device solar powered charg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8536791B2 (en) Solar power supply device
US20110241602A1 (en) Power supply device
KR200470159Y1 (ko) 보조 배터리가 내장된 충전 겸용 데이터 케이블
KR101567048B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US20130286701A1 (en) Zero-Standby Current Switch for Control of a Power Converter
US8552680B2 (en)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473080Y1 (ko) 무선 충전 패드를 이용한 디자인등
US20140370743A1 (en) External Power Supply
US8960945B1 (en) Personally portable solar-powered electrical energy source
US8493023B2 (en) Charge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