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017A -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 - Google Patents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017A
KR20070109017A KR1020060041446A KR20060041446A KR20070109017A KR 20070109017 A KR20070109017 A KR 20070109017A KR 1020060041446 A KR1020060041446 A KR 1020060041446A KR 20060041446 A KR20060041446 A KR 20060041446A KR 20070109017 A KR20070109017 A KR 20070109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charging
mobile device
auxili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1052B1 (ko
Inventor
장익조
Original Assignee
한국통신인터넷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통신인터넷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통신인터넷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1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052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0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 PDA 등과 같은 휴대 이동 통신 기기 및 휴대 이동 전자 장치의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배터리 휴대 탈장착 포함)를 사용하는 이동형 기기에 있어서, 충전회로가 내장된 또는 제한 전압을 갖는 이동형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이용하여 내부 전지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수단과, 내부 전지의 전압을 승압하여 연결되는 이동형기기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승압수단을 구성하여 충전회로가 내장또는 제한전압을 갖는 이동형 전자기기에 보조 전지전압을 공급하며, 또한 이동형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후 방전된 보조 배터리를 외부 전원전압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를 제공하고자 하며, 동일 선로(커넥터)를 통해 이를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조배터리, 비상용배터리

Description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Emergency battery of mobile device}
도 1은 본 발명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구성(스위치수단을 이용)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구성(직렬로 연결되는 배터리)을 보인 블록도.
본 발명은 휴대전화, PDA 등과 같은 휴대 이동 통신 기기 및 휴대 이동 전자 장치의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충전회로가 내장된 이동형 전자기기의 비상용 외부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휴대 이동통신기기를 비롯하여 다양한 전자기기가 소형화되고 이동가능한 형태로 제작되고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에 내장 적용되는 배터리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전지인 바, 전지(배터리)에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고 폐기하는 알칼리 전지, 수은전지 등과 같 은 1차 전지와,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니카드전지, 니켈수소전지, 리튬이온전지 등의 2차 전지로 나눌 수 있다.
근래에 들어서 배터리의 성능 및 활용 특성에 따라 대부분의 이동기기의 배터리는 리튬 이온 전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하고 이동가능한 전자기기의 특성상 동작에 필수적인 전원공급의 정도에 따라 그 사용 시간은 제한받을 수 밖에 없는 바,
근래에는 이동기기에 장착되는 내부전지외에 커넥터를 통해 연결가능한 보조 배터리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고 있는 바, 내부 2차전지의 충전방식에 따라 보조 배터리의 사용여부가 제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차 전지를 사용하는 이동형 전자기기는 내부전지의 충전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크게 구분할 수 있다.
(a). 기기 내부에 충전회로가 내장되고, 그 충전회로를 이용하여 2차 내부 전지를 충전하는 기기와,
(b). 충전회로가 내장된 외부 충전기를 이용하여 기기 내부의 2차 내부 전지를 충전하는 기기,
국내에서 상용화되고 있는 대부분의 휴대전화는 충전회로가 내장된 외부 충전기를 이용하여 내부 2차 전지를 충전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휴대 전자기기 또한 기기 사이즈 및 디자인의 특성상 내부에 충전회로를 내장시키지 않고, 별도의 충전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충전회로가 내장되는 경우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게 될 경우 내부 전지의 최대 전압보다 높은 전압의 전원을 공급해 주어야 하게 되므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를 통해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이동형 기기 자체의 해당하는 충전전압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커넥터를 통한 그 전압의 입출력을 제한하는 경우에도 그 제한 전압이상의 전압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도 커넥터를 통해 보조 배터리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배터리 휴대 탈장착 포함)를 사용하는 이동형 기기에 있어서, 충전회로가 내장된 또는 제한 전압을 갖는 이동형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이용하여 내부 전지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수단과, 내부 전지의 전압을 승압하여 연결되는 이동형기기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승압수단을 구성하여 충전회로가 내장또는 제한전압을 갖는 이동형 전자기기에 보조 전지전압을 공급하며, 또한 이동형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후 방전된 보조 배터리를 외부 전원전압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형 전자기기에 보조 배터리 전압 공급 또는 외부 전원 전압으로부터 보조 배터리의 내부 전지를 충전시킴에 위해 동일 선로(커넥터)를 통해 이를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이동형 기기 또는 외부전원공급수단과의 인터페이스 수단(커넥터)의 입출력 전류를 감지하여 충전수단 및 승압수단을 제어하여 적응적인 동작제어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형기기에 보조 전원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와, 이동형기기와의 접속 및 외부 전원공급수단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수단과, 접속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해 입력된 외부 전원전압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수단과,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접속 인터페이스수단에 접속된 이동형기기에 보조 전원전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수단과, 접속 인터페이수단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감시하여 상기 충전수단 및 승압수단을 제어하여 이동형기기에 보조 전압공급 및 내부의 배터리에 충전하기 위한 동작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휴대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은,
이동형기기(20)에 보조 전원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11)와, 이동형기기(20)와의 접속 및 외부 전원공급수단(30)과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12)와, 커넥터(12)를 통해 입력된 외부 전원전압을 상기 배터리(11)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13)와, 배터리(11)로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커넥터(12)에 접속된 이동형기기(20)에 보조 전원전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회 로(14)와, 커넥터(12)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감시하여 상기 충전회로(13) 및 승압회로(14)를 제어하여 이동형기기(20)에 보조 전압공급 및 내부의 배터리(11)에 충전하기 위한 동작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감지회로(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전화와 같은 이동형 기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이동형기기의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구성된 커넥터에 접속시켜 비상용 보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동형기기(20) 및 외부전원공급수단(30)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2)가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12)는 이동형기기(20)에 구성된 커넥터(21)에 접속하며, 또한 보조 배터리의 내부 배터리(11)가 방전되었을 때 외부 전원공급수단(30)에 구성된 커넥터(31)와 접속하는 것으로, 동일 선로(커넥터)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12)는 규격화된 형식을 따라 제작되어 기기간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 해당 이동형기기(20)의 규격에 맞춰 구성될 수 있다.
충전회로(13)는 커넥터(12)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공급수단(30)의 전압을 입력으로 배터리(11)에 소정의 정해진 전압으로 충전하기 위한 수단이다.
승압회로(14)는 배터리(11)에 충전된 전압을 입력으로 이동형기기(20)의 내부 배터리전압 보다 높게 전압을 변환(승압)하여 보조 배터리전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전류감지회로(15)는 커넥터(12)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감시하여 충전회로(13) 및 승압회로(14)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은 전류감지회로(15)는 커넥터(12)단과 이전단 즉, 승압회로(14) 및 충전회로(13)단과의 전압차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값에 따라 충전회로(13) 및 승압회로(14)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배터리에 구성되는 배터리(11)는 일반적인 리튬-이온 전지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류감지회로(15)의 제어에 따라 다음의 3가지 동작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a). 배터리(11)의 전압이 승압회로(14)를 통해 커넥터(12)에 연결된 이동형기기(20)로 공급되는 동작모드,
(b). 외부전원공급수단(30)으로부터 충전회로(13)를 통해 배터리(11)에 충전되는 동작모드,
(c). 커넥터(12)에 어떠한 수단도 연결되지 않아 어떠한 전류의 흐름도 없는 동작모드,
전류감지회로(15)에서는 커넥터(12)에 흐르는 전류의 입출력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충전회로(13) 및 승압회로(14)를 제어하여 상기한 동작제어모드로 보조 배터리를 동작시킨다.
먼저, 커넥터(12)에 이동형기기(20)의 커넥터(12)가 연결되면, 전류감지회 로(15)에서는 승압회로(14)를 제어하여 배터리(11)의 전압을 승압시켜 커넥터(12)를 통해 이동형기기(20)에 공급한다.
이동형기기(20)의 커넥터(21)를 통해 이동형기기(20)의 배터리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동작모드는 이동형기기(20)의 내부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를 커넥터(21)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이다.
다음으로 커넥터(12)에 외부전원공급수단(30)의 커넥터(31)가 접속되면, 전류감지회로(15)에서는 커넥터(12)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판단한다.
따라서 충전회로(13)를 제어하여 배터리(11)에 외부전원공급수단(30)에서 공급한 전원 전압을 충전한다.
이와 같은 동작모드는 보조 배터리의 사용 완료 또는 보조 배터리의 배터리(11)가 완전히 방전된 경우 동작하는 모드이다.
마지막으로 커넥터(12)에 어떠한 수단도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어떠한 전류의 흐름도 없는 상태이므로, 충전회로(13) 및 승압회로(14)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이전단으로부터 전류감지회로(15)를 통해 커넥터(12)단으로 전류가 흐르더라도 어떠한 수단도 커넥터(12)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압차가 존재하지 않으나, 이동형기기(20)와 같이 외부기기가 연결되었을 경우에는 전류감지회로(15)의 양단간에는 전압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압차를 이용하여 전류감지회로(15)에서는 충전회로(13) 및 승압회로(14)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모드로 동작제어하 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처리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따르면 전류감지회로(15)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스위칭수단인 스위치(16)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전류 감시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대기상태에서의 승압회로(14)의 전류소모로 인한 배터리(11)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동형기기(20)에 승압된 전압이 필요없는 경우,
즉 종래기술에 언급한 바와 같이 충전회로가 내장된 외부 충전기로 이동형기기(20)의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와 같은 상태에 필요한 동작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배터리와 외부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항시 전류를 공급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는데, 외부기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라면 전류감지회로(15)에서 소모되는 전류는 극히 미세하다.
그러나 승압회로(14)에 의한 전류소모는 커서(시간당 약 3mA) 외부기기가 연결되지 않은 대기상태에서도 승압회로(14)에 의해 배터리(11)가 방전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어, 보조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은 대기상태에서도 주기적으로 충전을 시켜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항상 전류를 감시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 즉 외부기기가 연결된 경우에만 감시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위치(16)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승압된 전압 필요없이 배터리(11)의 전압을 그대로 이동형기기(20)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스위치(16)를 온(on)스위칭시키면, 승압회로(14)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는 승압회로 자체의 전류소비가 큰 만큼 승압 개시동작을 제어하여 그 동작효율을 고려하여 설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배터리(11)를 직렬로 연결하여 승압된 전압을 이동형기기(20)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다.
이에 따르면 별도의 승압회로를 구성하지 않고, 직렬 연결된 배터리(11)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이동형기기(20)에 전압을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휴대형 이동기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비상 보조 배터리를 제공하되, 그 크기가 제한적임을 감안하여 동일한 커넥터를 이용하여 이동형기기와의 접속 및 외부전원공급수단과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불필요한 커넥터의 수를 최소화시켜 휴대형 장치의 특성에 맞게 그 디자인이 미려하고 소형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충전회로 및 승압회로를 내장하여 필요에 따라 방전된 보조 배터리를 외부 전원공급수단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충전회로가 내장된 이동형기기와 같이 제한적인 전압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형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미국 및 유럽에서와 같이 국내와 달 리 이동형기기에 충전회로가 내장되고 외부충전기가 DC 어댑터(외부전원공급수단)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3)

  1. 이동형기기(20)에 보조 전원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11)와, 이동형기기(20) 및 외부 전원공급수단(30) 등의 외부기기의 접속을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수단(12)과, 접속 인터페이스수단(12)을 통해 입력된 외부전원공급수단(30)의 전원전압을 상기 배터리(11)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수단(13)과, 배터리(11)로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접속 인터페이스수단(12)에 접속된 이동형기기(20)에 보조 전원전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수단(14)과, 접속 인터페이수단(12)과의 전압차를 검출하여 외부기기의 연결여부를 판별하고, 이에 따라 충전수단(14) 및 승압수단(13)을 제어하여 이동형기기(20)에 보조 전압공급 및 배터리(11)에 충전하기 위한 동작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감지수단(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감지수단(15)의 동작여부를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수단(1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
  3. 이동형기기(20)에 보조 전원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11)와, 이동형기기(20)와의 접속 및 외부 전원공급수단(30) 등의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수단(12)과, 접속 인터페이스수단(12)을 통해 입력된 외부전원공급수단(30)의 전원전압을 상기 배터리(11)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수단(13)과, 접속 인터페이수단(12)과의 전압차를 검출하여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판별하고, 이동형기기(20)에 보조 전압공급 및 배터리(11)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수단(13)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감지수단(1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11)는 두개이상의 배터리가 직렬로 연결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
KR1020060041446A 2006-05-09 2006-05-09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 Active KR10080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46A KR100801052B1 (ko) 2006-05-09 2006-05-09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46A KR100801052B1 (ko) 2006-05-09 2006-05-09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017A true KR20070109017A (ko) 2007-11-15
KR100801052B1 KR100801052B1 (ko) 2008-02-04

Family

ID=3906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446A Active KR100801052B1 (ko) 2006-05-09 2006-05-09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0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277B1 (ko) * 2012-10-19 2013-02-26 주식회사 이젠 배터리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KR101453929B1 (ko) * 2013-10-04 2014-10-23 (주)인터케스트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
KR101456582B1 (ko) * 2014-02-17 2014-11-12 (주)인터케스트 휴대용 충전 장치
US9252460B2 (en) 2009-12-15 2016-02-0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200481057Y1 (ko) * 2015-05-15 2016-08-08 전일경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746B1 (ko) 2009-04-30 2010-02-10 원종민 휴대용 기기 충전용 승압 젠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421B1 (ko) * 2004-03-29 2010-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KR20060034553A (ko) * 2004-10-19 2006-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미니충전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2460B2 (en) 2009-12-15 2016-02-0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235277B1 (ko) * 2012-10-19 2013-02-26 주식회사 이젠 배터리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KR101453929B1 (ko) * 2013-10-04 2014-10-23 (주)인터케스트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
WO2015050305A1 (ko) * 2013-10-04 2015-04-09 (주)인터케스트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
KR101456582B1 (ko) * 2014-02-17 2014-11-12 (주)인터케스트 휴대용 충전 장치
WO2015122572A1 (ko) * 2014-02-17 2015-08-20 (주)인터케스트 휴대용 충전 장치
KR200481057Y1 (ko) * 2015-05-15 2016-08-08 전일경 다기능 배터리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052B1 (ko) 2008-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3748B1 (en) Electric charger and power supply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6127801A (en) Battery pack assembly
US6172478B1 (en) Power distribution in a portable device
US8643325B2 (en) Integrated battery charger
CN100525004C (zh) 管理电子设备的工作功率的系统和方法
CN100544098C (zh) 充电电路、控制充电电路操作的方法、以及电源单元
JP2008131707A (ja) 携帯電話機用充電装置
US8410749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battery and a fuel cell
US20060068239A1 (en) Electric power source apparatus using fuel cel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80284370A1 (en) Portable Battery Operated Power Supply
JP4855743B2 (ja) 燃料電池を用いた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08075358A2 (en) Battery powered charger
KR100801052B1 (ko)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
KR102167429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의 과방전 방지 및 재기동 장치 및 방법
CN101667739A (zh) 电源装置及其放电方法
US20100097032A1 (en) Charg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KR20050020406A (ko) 복합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JP2014036531A (ja) 電池電源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2173063A (ja) 複合デバイスシステム
JP5288435B2 (ja) 二次電池パック
JP4079108B2 (ja) 無停電電源装置
WO2002087055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charging function
US7135838B2 (en) Power-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ably powering a circuit system with an adaptor or with a battery
KR101188358B1 (ko) 전자 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4208344A (ja) 複数電池を有する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