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262B1 - 호 연결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호 연결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262B1
KR101671262B1 KR1020150029014A KR20150029014A KR101671262B1 KR 101671262 B1 KR101671262 B1 KR 101671262B1 KR 1020150029014 A KR1020150029014 A KR 1020150029014A KR 20150029014 A KR20150029014 A KR 20150029014A KR 101671262 B1 KR101671262 B1 KR 101671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ptic effect
effect content
calling terminal
terminal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304A (ko
Inventor
김학성
Original Assignee
택추얼센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택추얼센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택추얼센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26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사전에 설정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가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공중망 뿐만아니라 Wi-Fi와 같은 무선랜 및 데이터망 등 다양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수신 단말로 전송될 수 있어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고 통신사업자와는 별도로 비즈니스 모델의 구현이 가능한 새로운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와 수신 단말을 연동시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가 수신 단말로부터 웨어러블 기기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사진, 캐틱터, 로고,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 및/또는 진동효과의 패턴에 의해 전화가 온 것 뿐만아니라 누구로부터 전화가 온 것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여 햅틱 효과 컨텐츠와 통화 연결상태 인지를 배가시켜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에 다양한 햅틱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단말 장치 사용자에게 새로운 햅틱 효과 컨텐츠를 경험하게 하여 새롭고 신선한 재미와 느낌을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시각, 청각 외에 촉각이라는 새로운 감각을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에 통합시킨 새로운 패러다임의 컨텐츠의 창출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호 연결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aptic effect contents showing the identity of a calling party to a called party via on-line network when conneting a call}
본 발명은 호 연결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사진, 캐틱터, 로고,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 등에 다양한 햅틱 효과를 부여하여 생성된 다양한 햅틱 효과 컨텐츠 중 발신 단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를 호 연결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공중망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와, 크리에이터(creator)로부터의 다양한 햅틱 효과 컨텐츠 중 발신 단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를 호 연결시 직접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를 결합함으로써, 크리에이터(creator)에 의한 창의적이고 다양한 햅틱 효과 컨텐츠 제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고,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하면서도 개성이 넘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업광고, 캠페인, 쿠폰발송과 같은 비즈니스와도 연계가 가능한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 단말이 서비스 서버에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를 사전에 설정하면, 호 연결시 수신 단말이 서비스 서버에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게 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 단말로의 햅틱 효과 컨텐츠 전송은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공중망 뿐만아니라 Wi-Fi와 같은 무선랜 및 데이터망 등 다양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고 통신사업자와는 별도로 비즈니스 모델의 구현이 가능한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와 수신 단말을 연동시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가 수신 단말로부터 웨어러블 기기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사진, 캐틱터, 로고,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 및/또는 진동효과의 패턴에 의해 전화가 온 것 뿐만아니라 누구로부터 전화가 온 것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여 햅틱 효과 컨텐츠와 통화 연결상태 인지를 배가시켜 결합할 수 있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 서비스 기술의 발달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들을 위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단순한 통화 기능에서 머무르지 않고 통신 서비스 이용자들의 감정이나 의사를 효과적이면서도 개성 있게 표현하고, 서비스 이용자 자신 만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발신자와 수신자가 누구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들의 개성을 드러내는 통신 서비스로서 컬러링 서비스와 레터링 서비스가 있다. 컬러링 서비스는 발신 단말이 수신 단말로 통화 연결을 시도한 후 통화 대기 중에 있을 때, 수신 단말에서 설정한 통화 연결음이나 이미지 등을 발신 단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레터링 서비스는 발신 단말이 수신 단말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호 연결이 되면 발신 단말에서 설정한 통화 연결음이나 사진 등의 이미지가 수신 단말에 제공되어 수신 단말로 하여금 누구로부터 전화가 온 것인지를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이와 같이 컬러링 서비스는 수신 단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으며 레터링 서비스는 발신 단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로서, 최근 스마트폰의 선풍적인 인기와 보급으로 단순히 음악이나 사진과 같은 이미지 외에도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개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이미지 컬러링 서비스 및 이미지 레터링 서비스의 경우, 사진 등의 이미지 이외에도 동영상, 광고물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까지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미지 컬러링 서비스와 이미지 레터링 서비스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통신망 만을 이용하는 한계로 인해 통화 서비스의 단순 부가 서비스로서 머물러 있었고, 다른 온라인 비지니스로의 연계 및 확장성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햅틱 기술이란 조이스틱,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각종 게임기나 컴퓨터의 입력장치를 조작하면서 사용자가 진동, 운동감, 힘 등을 느낄 수 있게 조작되어 사용자에게 컴퓨터 가상체험 등과 같이 보다 실감나는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기존의 컴퓨터 기술에서는 인간과 컴퓨터가 시각, 청각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 받았으나, 사용자가 보다 구체적이고 실감나는 정보를 원하게 됨으로써,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촉각 정보를 전달하는 햅틱 기술이 개발되었다.
최근에 햅틱 기술은 컴퓨터 촉각 기술을 일컫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는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정보통신 단말기나 비디오 게임 콘솔, 리모트 컨트롤 등의 전자기기가 발달함에 따라 이들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시각, 청각 정보 외에 촉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햅틱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광범위한 보급과 함께 스마트폰 내에 햅틱 효과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가 제공되어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있을 때 사용자에게 다양한 햅틱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햅틱 기술은 게임 등을 할 때 시각 정보나 청각 정보와 관련된 효과를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벗어나 다양한 컨텐츠와 연계하여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해당 컨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에게 컨텐츠와 연계된 진동 효과를 손으로 전달하는 기능으로의 확장을 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2644호에서는 햅틱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단말기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말기 자체에 저장된 햅틱링 또는 햅틱링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햅틱링 중 하나를 선택하여 공중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햅틱 효과 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공중망을 제외한 Wi-Fi와 같은 무선랜 및 데이터망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햅틱링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 단말기로의 햅틱링의 직접 전송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즉, 상기 선행기술 역시 종래의 이미지 레터링 서비스 및 이미지 컬러링 서비스와 같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업자의 이동통신망 만을 이용하고 있어 Wi-Fi와 같은 무선랜 및 데이터망 등 다양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확장이 불가능하고 이동통신사업자와는 별도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와 수신 단말을 연동시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를 웨어러블 기기에 전달하는 햅틱 효과 레터링 서비스에 대해 어떠한 개시나 암시도 하고 있지 않으며, 특히 웨어러블 기기에 전달된 햅틱 효과 컨텐츠의 재생에 의해 전화가 온 것 뿐만아니라 누구로부터 전화가 온 것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도 어떠한 시도나 제안도 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조로운 햅틱 효과 컬러링 서비스 및 레터링 서비스의 개선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2644호 (2011.06.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사진, 캐틱터, 로고,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 등에 다양한 햅틱 효과를 부여하여 생성된 다양한 햅틱 효과 컨텐츠 중 발신 단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를 호 연결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공중망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와, 크리에이터(creator)로부터의 다양한 햅틱 효과 컨텐츠 중 발신 단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를 호 연결시 직접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를 결합함으로써, 크리에이터(creator)에 의한 창의적이고 다양한 햅틱 효과 컨텐츠 제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고,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하면서도 개성이 넘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업광고, 캠페인, 쿠폰발송과 같은 비즈니스와도 연계가 가능한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 단말이 서비스 서버에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를 사전에 설정하면, 호 연결시 수신 단말이 서비스 서버에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게 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 단말로의 햅틱 효과 컨텐츠 전송은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공중망 뿐만아니라 Wi-Fi와 같은 무선랜 및 데이터망 등 다양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고 통신사업자와는 별도로 비즈니스 모델의 구현이 가능한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와 수신 단말을 연동시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가 수신 단말로부터 웨어러블 기기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사진, 캐틱터, 로고,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 및/또는 진동효과의 패턴에 의해 전화가 온 것 뿐만아니라 누구로부터 전화가 온 것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여 햅틱 효과 컨텐츠와 통화 연결상태 인지를 배가시켜 결합할 수 있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기능에 기초하여 시청각 장애인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개발을 거듭한 결과, 서비스 서버에 사전에 설정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가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공중망 뿐만아니라 Wi-Fi와 같은 무선랜 및 데이터망 등 다양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수신 단말로 전송될 수 있어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고 통신사업자와는 별도로 비즈니스 모델의 구현이 가능한 새로운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 및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이하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단말" 또는 "단말 장치"란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게임기, MP3 플레이어, 스마트 TV에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리모콘,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 및 이들에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마우스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발신 단말"의 경우에는 공중망을 이용하는 유선전화 단말기,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인터넷 전화가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2차 기기"란 단말 중 수신 단말과 근거리 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기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웨어러블 기기이다. 수신 단말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후술하는 햅틱 효과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의 예로서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팔찌, 스마트 반지, 스마트 목걸이, 스마트 이어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햅틱 효과 컨텐츠"란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하면서도 개성이 넘치게 표현하는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사진, 캐틱터, 로고,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 등에 다양한 햅틱 효과를 부여하여 생성된 각각의 햅틱 효과 컨텐츠를 의미한다. 햅틱 효과 컨텐츠를 수신한 단말 장치 및 2차 기기에서는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사진, 캐틱터, 로고,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와 햅틱 효과 데이터를 동기화시켜 재생하여 수신 단말 및 2차 기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햅틱 효과 컨텐츠를 수신할 때 발신 단말 고유의 아이덴티티 컨텐츠 감상과 함께 생동감 있는 진동효과를 느낄 수 있게 한다. 한편, 햅틱 효과의 재생과 관련하여 발신 단말, 수신 단말 및 2차 기기에는 햅틱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진동 소자와 이를 제어하는 햅틱 효과 재생 소프트웨어가 사전에 구비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란 크리에이터에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에 다양한 햅틱 효과를 부여하여 생성한 다양한 햅틱 효과 컨텐츠 중 발신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서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매핑되어 서비스 서버에 등록된 햅틱 효과 컨텐츠, 또는 발신 단말에 의해 제작되어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된 것으로서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매핑되어 서비스 서버에 등록된 햅틱 효과 컨텐츠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햅틱 효과 데이터"란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에 어울리도록 생성되어 단말 장치 사용자 및 2차 기기 사용자에게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로서, 전기 에너지를 진동 형태의 역학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는 진동 소자를 구동시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가 반영된 진동 패턴을 일정한 시간 동안 단말 장치 사용자 및 2차 기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매핑"이란 하나의 값을 다른 값으로 또는 한 데이터 집합을 다른 데이터 집합으로 번역하거나, 2개의 데이터 집합 사이에 1:1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호 연결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은,
(a)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 장치에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를 기반으로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햅틱 효과 데이터를 대응하는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로서 상기 단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로부터,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을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서는 수신된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을 인코딩하여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실행 파일로 변환하고, 이를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서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제공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d) (d1) 발신 단말에서는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등록함으로써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설정하거나, 또는
(d2) 발신 단말에서는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 또는 상기 발신 단말 자체에서 제공되는 햅틱 효과 데이터의 실행 파일을 선택하고 이를 상기 발신 단말에 저장된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하여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서 저장한 후,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하여 등록함으로써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설정하는 단계와,
(e)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를 설정한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로의 호 연결시, 상기 수신 단말에서는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대해 호 연결된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와 매핑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f)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과 호 연결된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이 요청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검색하고, 검색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직접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g)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망, 무선 이동 통신망, 무선랜, Wi-Fi, 데이터망, 또는 위성 방송망 등 다양한 통신망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f) 단계의 온라인 네트워크는 무선랜, Wi-Fi 또는 데이터망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호 연결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직접 Wi-Fi와 같은 무선랜 및 데이터망 등 다양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고 통신사업자와는 별도로 비즈니스 모델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은, (h) 상기 수신 단말은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2차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2차 기기는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부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재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2차 기기는 상기 수신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기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웨어러블 기기이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재생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이면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에 적용되어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스마트 팔찌, 스마트 반지, 스마트 목걸이, 스마트 이어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단말과 상기 2차 기기를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으로는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근거리 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와 수신 단말을 연동시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가 수신 단말로부터 웨어러블 기기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사진, 캐틱터, 로고,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 및/또는 진동효과의 패턴에 의해 전화가 온 것 뿐만아니라 누구로부터 전화가 온 것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기능은 시청각 장애인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 및/또는 상기 2차 기기는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부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동기화시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는 사진, 캐틱터, 로고 및 이모티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은 무선 단말기, 공중망을 이용하는 유선 전화 단말기,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또는 인터넷 전화가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일 수 있고, 상기 전화 번호는 이동통신 전화 번호, 유선 전화 번호 또는 인터넷 전화 번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이 무선 단말기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설정할 때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상기 발신 단말에 저장할 수 있고, 호 연결을 시도할 때에는 저장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동기화시켜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신 단말은 저장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수신 단말 및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c) 단계에서 저장되는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 각각에 대해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부여하고, 상기 (d2) 단계에서 업로드되는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에 대해서도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호 연결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시스템은,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를 기반으로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햅틱 효과 데이터를 대응하는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로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 장치와,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로부터,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어 수신되고, 수신된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을 인코딩하여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실행 파일로 변환하며, 이를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와,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등록함으로써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 또는 발신 단말 자체에서 제공되는 햅틱 효과 데이터의 실행 파일을 선택하고 이를 발신 단말에 저장된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하여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서 저장한 후,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하여 등록함으로써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설정하는 발신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를 설정한 발신 단말로부터의 호 연결시,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대해 호 연결된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와 매핑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전송을 요청하고,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직접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수신한 후, 이로부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재생하는 수신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과 호 연결된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이 요청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검색하고, 검색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직접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망, 무선 이동 통신망, 무선랜, Wi-Fi, 데이터망, 또는 위성 방송망 등 다양한 통신망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검색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직접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온라인 네트워크는 무선랜, Wi-Fi 또는 데이터망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호 연결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직접 Wi-Fi와 같은 무선랜 및 데이터망 등 다양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고 통신사업자와는 별도로 비즈니스 모델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상기 수신 단말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2차 기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수신 단말은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상기 2차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2차 기기는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부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2차 기기는 웨어러블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재생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이면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에 적용되어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스마트 팔찌, 스마트 반지, 스마트 목걸이, 스마트 이어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단말과 상기 2차 기기를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으로는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근거리 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와 수신 단말을 연동시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가 수신 단말로부터 웨어러블 기기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사진, 캐틱터, 로고,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 및/또는 진동효과의 패턴에 의해 전화가 온 것 뿐만아니라 누구로부터 전화가 온 것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기능은 시청각 장애인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 및/또는 상기 2차 기기는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부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동기화시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는 사진, 캐틱터, 로고 및 이모티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은 무선 단말기, 공중망을 이용하는 유선 전화 단말기,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또는 인터넷 전화가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일 수 있고, 상기 전화 번호는 이동통신 전화 번호, 유선 전화 번호 또는 인터넷 전화 번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이 무선 단말기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설정할 때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상기 발신 단말에 저장할 수 있고, 호 연결을 시도할 때에는 저장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동기화시켜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신 단말은 저장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수신 단말 및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 각각에 대해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부여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에 대해서도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서비스 이용자들의 전화번호 별로 월 이용료를 부과하거나, 발신 단말의 사용자가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서비스 서버로부터 유료로 구매하도록 하여 수익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B2C 비즈니즈 모델의 경우, 기업의 광고와 캠페인, 쿠폰발송 등을 본 발명의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와 연계하여 제공하고, 월 광고비, 컨텐츠 구매비, 광고 제작비의 명목으로 과금하여 수익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G2B 비즈니스 모델의 경우에는 정부에서 시청각 장애인을 위해 본 발명의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시청각 장애인의 서비스 이용 비용(월 정액제)은 정부로부터 지원받는 형태로 수익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사진, 캐틱터, 로고,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 등에 다양한 햅틱 효과를 부여하여 생성된 다양한 햅틱 효과 컨텐츠 중 발신 단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를 호 연결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공중망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와, 크리에이터(creator)로부터의 다양한 햅틱 효과 컨텐츠 중 발신 단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를 호 연결시 직접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를 결합함으로써, 크리에이터(creator)에 의한 창의적이고 다양한 햅틱 효과 컨텐츠 제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고,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하면서도 개성이 넘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업광고, 캠페인, 쿠폰발송과 같은 비즈니스와도 연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 단말이 서비스 서버에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를 사전에 설정하면, 호 연결시 수신 단말이 서비스 서버에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게 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 단말로의 햅틱 효과 컨텐츠 전송은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공중망 뿐만아니라 Wi-Fi와 같은 무선랜 및 데이터망 등 다양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고 통신사업자와는 별도로 비즈니스 모델의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와 수신 단말을 연동시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가 수신 단말로부터 웨어러블 기기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사진, 캐틱터, 로고,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 및/또는 진동효과의 패턴에 의해 전화가 온 것 뿐만아니라 누구로부터 전화가 온 것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여 햅틱 효과 컨텐츠와 통화 연결상태 인지를 배가시켜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기능은 시청각 장애인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에 다양한 햅틱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단말 장치 사용자에게 새로운 햅틱 효과 컨텐츠를 경험하게 하여 새롭고 신선한 재미와 느낌을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시각, 청각 외에 촉각이라는 새로운 감각을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에 통합시킨 새로운 패러다임의 컨텐츠의 창출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호 연결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호 연결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의 (a)는 크리에이터에서 생성되어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된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 (b)는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설정, 호 연결 이벤트 발생 그리고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호 연결에 따라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직접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 및 이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2차 기기에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앱 스토어 서버(400)가 추가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호 연결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인용된 참고문헌은 본 발명에 참고로서 통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호 연결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호 연결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은,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100)와, 발신 단말(510) 및 수신 단말(520)과, 이러한 수신 단말(520)과 근거리 통신에 의해 연결된 2차 기기(522)와, 온라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다양한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 및 이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가 전송되어 저장되고 발신 단말(510)에 의해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이 설정되며 호 연결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수신 단말(520)로 직접 전송하는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에서 수행될 수 있다(도 1 참조).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 장치(100)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100a) 또는 스마트폰(100b)일 수 있는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를 기반으로 다양한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햅틱 효과 데이터를 대응하는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예를 들어 .tsc 파일로 칭함)로서 메모리에 등록·저장한다. 이때,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 장치(100)에서는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에 어울리는 다양한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크리에이터(creator)에 의한 창의적이고 다양한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제공할 수 있고,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하면서도 개성이 넘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크리에이터는 햅틱 효과 생성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사진, 캐틱터, 로고,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 등에 어울리면서 일정 시간 동안 재생되는 다양한 햅틱 효과를 생성할 수 있고, 특히 각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하면서도 개성이 넘치게 표현하는 생동감 있고 독특한 햅틱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햅틱 효과 생성 소프트웨어는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인이 개발한 것, 햅틱 효과 생성 소프트웨어 제조 회사로부터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00a)에서 생성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은 스마트폰(100b)으로 전송된 후 스마트폰(100b)에서 이를 실행하여 햅틱 효과를 테스트할 수 있고, 스마트폰(100b)에서 생성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은 바로 스마트폰(100b)에서 실행하여 햅틱 효과를 테스트할 수 있다.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을 전송받고,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을 인코딩하여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바이너리 형식의 햅틱 효과 데이터의 실행 파일, 예를 들어 .tsb로 변환한다.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실행 파일(.tsb)을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서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한다.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각각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에 대해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부여하고, 각각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해당 햅틱 효과 컨텐츠 ID와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한다.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 서버(320)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340)에 소스 파일(.tsc), 실행 파일(.tsb),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 햅틱 효과 컨텐츠 ID, 매핑 관계 테이블 등 각종 데이터를 저장, 등록 및 관리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의 (a)에는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100)에서 생성되어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로 업로드된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구성이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크리에이터의 회원가입 절차(크리에이터 사용자 ID 발급 등)를 진행하고, 사용자 ID, 패스워드 등의 크리에이터의 회원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크리에이터 사용자 ID는 햅틱 효과 컨텐츠 ID와 연계하여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할 수 있고, 이때, 각각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에 대해 크리에이터의 사용자 ID 및 햅틱 효과 컨텐츠 ID가 연계된 테이블이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발신 단말(510)의 사용자 및 수신 단말(520)의 사용자의 회원가입 절차는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에서 수행한다.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발신 단말(510)의 사용자 및 수신 단말(520)의 사용자의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한 후, 사용자 ID, 패스워드, 전화번호 등의 단말기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 밖에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판매 횟수, 본 발명의 서비스 월 이용료, 월 광고비, 컨텐츠 구매비, 광고 제작비 등과 같이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유통, 사용, 결제 및 수익 분배와 관련한 사용자 정보, 결제 정보 및 정산 정보 등을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510)은 무선 단말기가 바람직하지만, 공중망을 이용하는 유선 전화 단말기,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또는 인터넷 전화가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발신 단말(510)의 전화 번호는 이동통신 전화 번호, 유선 전화 번호 또는 인터넷 전화 번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510)이 무선 단말기이면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햅틱 효과 컨텐츠 ID)와 매핑되는 전화번호는 이동통신 전화번호, 예를 들어 010-XXXX-OOOO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발신 단말(510)은 본 발명의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환경 및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앱(이하, "Vibrak 앱"이라고 함)이 설치되어 있다. 발신 단말(510)은 Vibrak 앱을 앱 스토어 서버(40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도 5 참조).
우선, 발신 단말(510)은 이러한 Vibrak 앱 환경 하에서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가 제공하는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발신 단말(510)의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XXXX-OOOO)와 매핑하여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에 등록함으로써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설정할 수 있다. Vibrak 앱 환경 하에서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들로 구성된 메뉴에서 원하는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손쉽게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양한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발신 단말(510)에서 체험하게 하여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선택 및 구매, 그리고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Vibrak 앱 환경 하에서, 발신 단말(510)은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 또는 발신 단말(510) 자체에서 제공되는 햅틱 효과 데이터의 실행 파일(.tsb)을 선택하고 이를 발신 단말(510)에 저장된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하여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저장된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발신 단말(510)의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XXXX-OOOO)와 매핑하여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에 업로드하여 등록함으로써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발신 단말(510)로부터 업로드되는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에 대해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부여할 수 있고, 이러한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XXXX-OOOO)와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발신 단말(510)이 무선 단말기인 경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에 설정할 때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발신 단말(510)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호 연결을 시도할 때에 발신 단말(510)에 저장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발신 단말(510)에서 재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동기화시켜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발신 단말(510)은 저장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수신 단말(520) 및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없다.
수신 단말(520)은 발신 단말(510)의 모바일 앱과 동일한 모바일 앱인 Vibrak 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2차 기기(522) 역시 발신 단말(510)의 모바일 앱과 동일한 모바일 앱인 Vibrak 앱이 설치되어 있다. 수신 단말(520) 및 2차 기기(522)는 Vibrak 앱을 앱 스토어 서버(40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도 5 참조).
수신 단말(520)은 발신 단말(510)로부터의 호 연결시 Vibrak 앱을 활성화(wake-up)하여 실행시키고, Vibrak 앱의 실행에 의해 수신 단말(520)은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고,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에 대해 호 연결된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와 매핑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전송을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에 응하여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발신 단말(510)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전송이 요청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검색하고, 검색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직접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520)로 전송한다.
온라인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망, 무선 이동 통신망, 무선랜, Wi-Fi, 데이터망, 또는 위성 방송망 등 다양한 통신망일 수 있으며, 특히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검색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직접 수신 단말(520)로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온라인 네트워크는 무선랜, Wi-Fi 또는 데이터망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호 연결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직접 Wi-Fi와 같은 무선랜 및 데이터망 등 다양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520)로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고 통신사업자와는 별도로 비즈니스 모델의 구현이 가능하다.
Vibrak 앱의 실행에 의해, 수신 단말(520)은 호 연결된 발신 단말(51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부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하면서도 개성이 넘치게 표현하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동기화시켜 재생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호 연결시 수신 단말(520)은 수신 단말(520)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2차 기기(522)의 Vibrak 앱도 활성화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 단말(520)에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이 수신되면, Vibrak 앱의 실행에 의해 수신 단말(520)에서는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2차 기기(522)로 전송한다. 2차 기기(522)에서도 Vibrak 앱을 실행시키고,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부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하면서도 개성이 넘치게 표현하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동기화시켜 재생한다.
하나의 예로서, 2차 기기(522)는 수신 단말(520)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웨어러블 기기가 바람직하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재생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이면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에 적용되어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스마트 팔찌, 스마트 반지, 스마트 목걸이, 스마트 이어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신 단말(520)과 2차 기기(522)를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으로는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근거리 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와 수신 단말을 연동시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가 수신 단말로부터 웨어러블 기기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사진, 캐틱터, 로고,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 및/또는 진동효과의 패턴에 의해 전화가 온 것 뿐만아니라 누구로부터 전화가 온 것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단말(520)을 진동 모드로 한 경우, 호 연결에 따른 링톤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수신 단말(520)과 떨어져서 작업을 하거나, 잠을 자고 있는 경우 또는 다른 일에 몰두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화가 온 것을 바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라 수신 단말(520)을 웨어러블 기기와 같은 2차 기기(522)와 연동시키면 손목, 손가락, 목, 귀 등의 피부에 진동이 바로 전달되어 전화가 온 사실을 쉽게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유 진동패턴에 의해 누구로부터 전화가 온 것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중요한 인물로부터의 중요한 전화에 대해 즉시 응대가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기능은 시청각 장애인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의 (b)에는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설정, 호 연결 이벤트 발생 그리고 발신 단말(510)과 수신 단말(520)의 호 연결에 따라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직접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520) 및 이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2차 기기(522)에 제공하는 과정이 도식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본 발명의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에 가입한 이용자들의 전화번호 별로 월 이용료를 부과하거나, 발신 단말의 사용자가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서비스 서버로부터 유료로 구매하도록 하여 수익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B2C 비즈니즈 모델의 경우, 기업의 광고와 캠페인, 쿠폰발송 등을 본 발명의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와 연계하여 제공하고, 월 광고비, 컨텐츠 구매비, 광고 제작비의 명목으로 과금하여 수익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G2B 비즈니스 모델의 경우에는 정부에서 시청각 장애인을 위해 본 발명의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시청각 장애인의 서비스 이용 비용(월 정액제)은 정부로부터 지원받는 형태로 수익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으로서 호 연결시 발신 단말(510)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직접 온라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 단말(520)에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을 하나의 예시로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100),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100a) 또는 스마트폰(100b)에서는 발신 단말(510)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사진, 캐틱터, 로고,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를 로딩 및 리딩한 후(S200), 이러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를 기반으로 다양한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한다(S210).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100)에서는 생성된 각각의 햅틱 효과 데이터를 대응하는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하고,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 형식으로 메모리(미도시)에 등록·저장한다(S220).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100)가 스마트폰(100b)인 경우(S230 단계에서 "YES"인 경우), 햅틱 효과 테스트를 스마트폰(100b)에서 바로 실행하고(S232), 상기 단말 장치(100)가 퍼스널 컴퓨터(100a)인 경우(S230 단계에서 "NO"인 경우)에는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을 스마트폰(100b)으로 전송하여 햅틱 효과를 테스트한다(S234).
S232 단계 및 S234 단계에서 테스트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면 다시 S210 단계로 복귀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 생성 과정을 반복하고, 테스트 결과가 만족스러우면 S240 단계로 진행한다.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100)에서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로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을 전송하고 업로드한다(S240).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 등을 전송하는 단말 장치(100)의 크리에이터가 회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50).
만약, 회원인 경우(S250 단계에서 "YES"인 경우)에는 회원 인증 절차를 거쳐 바로 S270 단계로 진행하고, 회원이 아닌 경우(S250 단계에서 "NO"인 경우)에는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한 후 크리에이터 사용자 ID, 패스워드, 전화번호, 이메일 등의 크리에이터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한 다음(S260), S270 단계로 진행한다.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에서는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을 인코딩하여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바이너리 형식의 햅틱 효과 데이터의 실행 파일(.tsb)로 변환하고,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바이너리 형식의 햅틱 효과 데이터의 실행 파일(.tsb)을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서 데이터 베이스(340)에 등록·저장한다(S270). 또한,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 별로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발급하고, 각각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에 대해 크리에이터 사용자 ID 및 햅틱 효과 컨텐츠 ID가 연계된 테이블을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한다(S280).
다음으로, S280 단계가 완료되면 도 3의 S300 단계 이후의 절차로 이행하게 된다.
발신 단말(510)의 클라이언트가 본 발명의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관련 회원인지를 확인한다(S300). 만약, 회원인 경우(S300 단계에서 "YES"인 경우)에는 회원 인증 절차를 거쳐 S312 단계로 진행하고, 회원이 아닌 경우(S300 단계에서 "NO"인 경우)에는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한 후 발신 단말 사용자 ID, 패스워드, 전화번호, 이메일 등의 발신 단말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한 다음(S310), S312 단계로 진행한다.
발신 단말(510)은 본 발명의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환경 및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앱(이하, "Vibrak 앱"이라고 함)을 앱 스토어 서버(40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S312). 이미 발신 단말(510)에 Vibrak 앱이 설치된 경우에는 S312 단계를 생략한다. Vibrak 앱 설치 완료 후 S320 단계로 진행한다.
S320 단계에서, 발신 단말(510)은 Vibrak 앱을 통해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가 제공하는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선택하여 구매하거나, Vibrak 앱을 이용하여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자체 제작하고,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에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설정한다. 이때, 발신 단말(510)의 전화번호와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햅틱 효과 컨텐츠 ID는 매핑되어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에 등록·저장된다.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설정 과정은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다.
S320 단계에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설정 과정이 완료된 후, 발신 단말(510)이 수신 단말(520)로 통화를 시도하면 호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다(S330). 호 연결 이벤트 발생 후, 수신 단말(520) 및 이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2차 기기(522)(예: 스마트 워치)에 Vibrak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340). Vibrak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수신 단말(520) 및 2차 기기(522)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발신 단말(510)에서의 설치 과정과 같이 Vibrak 앱을 앱 스토어 서버(40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Vibrak 앱이 설치된 수신 단말(520)은 발신 단말(510)로부터의 호 연결에 의한 호 연결 이벤트 발생 후, Vibrak 앱을 활성화(wake-up)하여 실행시키고, 수신 단말(520)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2차 기기(예: 스마트 워치)의 Vibrak 앱도 활성화시킨다(S350). 그리고 나서, 수신 단말(520)은 Vibrak 앱의 실행에 의해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고, 호 연결된 발신 단말(510)의 전화 번호와 매핑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전송을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에 대해 요청한다(S360).
S360 단계 이후,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수신 단말(520)의 요청에 따라, 호 연결된 발신 단말(510)의 전화 번호와 매핑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발신 단말(510)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검색하고, 검색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직접 온라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 단말(520)로 전송한다(S370).
그런 다음, 수신 단말(520)은 Vibrak 앱을 실행시켜,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부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동기화시켜 재생하고,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2차 기기(예: 스마트 워치)(522)로 전송한다(S380). 2차 기기(522) 역시 Vibrak 앱을 실행시켜,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부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동기화시켜 재생한다(S390).
이때, 수신 단말(520) 및 2차 기기(522)에서는 각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하면서도 개성이 넘치게 표현하는 생동감 있고 독특한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느낄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2차 기기(522)와 수신 단말(520)을 연동시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가 수신 단말(520)로부터 2차 기기(522)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사진, 캐틱터, 로고,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또는 이들의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 및/또는 진동효과의 패턴에 의해 전화가 온 것 뿐만아니라 누구로부터 전화가 온 것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단말(520)을 진동 모드로 한 경우, 호 연결에 따른 링톤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수신 단말(520)과 떨어져서 작업을 하거나, 잠을 자고 있는 경우 또는 다른 일에 몰두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화가 온 것을 바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수신 단말(520)을 웨어러블 기기와 같은 2차 기기(522)와 연동시키면 손목, 손가락, 목, 귀 등의 피부에 진동이 바로 전달되어 전화가 온 사실을 쉽게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유 진동패턴에 의해 누구로부터 전화가 온 것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중요한 인물로부터의 중요한 전화에 대해 즉시 응대가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기능은 시청각 장애인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발신 단말(510), 수신 단말(520) 및 2차 기기(522)에는 햅틱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진동 소자와 이를 제어하는 햅틱 효과 재생 소프트웨어가 구비된다. 진동 소자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고, 햅틱 효과 재생 소프트웨어는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인이 개발한 것, 스마트폰 제조회사가 제공하는 것, 햅틱 효과 재생 소프트웨어 제조 회사로부터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에는 앱 스토어 서버(400)가 추가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시스템(1000')이 도시되어 있는데, 앱 스토어 서버(400)가 추가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0)과 동일하다.
도 5에 도시된 앱 스토어 서버(400)는 모바일 메신저 앱인 Vibrak 앱의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앱 스토어 서버(400)가 제공하는 Vibrak 앱을 발신 단말(510), 수신 단말(520) 및 2차 기기(522)에 설치하면 사용자는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300)로의 POC(Point Of Contact)를 제공받을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한 인터페이스 제공으로 발신 단말(510)에서는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손쉽게 선택 및 구매할 수 있으며, Vibrak 앱을 이용하면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자체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앱 스토어 서버(400)는 다국어 지원을 가능하게 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1000')을 글로벌 플랫폼(Global Platform)으로서 구축할 수 있게 하고, B2C 등의 IAP(In-App Purchase)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앱 기반 서비스의 사용자 관리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 사용자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들로부터의 다양한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체험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및 상기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수정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변경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 200: 온라인 네트워크
300: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 320: 데이터 베이스 관리 서버
340: 데이터 베이스 400: 앱 스토어 서버
510: 발신 단말 520: 수신 단말
522: 2차 기기

Claims (12)

  1. 호 연결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 장치에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를 기반으로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햅틱 효과 데이터를 대응하는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로서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로부터,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을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을 인코딩하여,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실행 파일로 변환하고, 이를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서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제공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d) (d1) 모바일 앱 환경 하에서, 발신 단말에서는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등록함으로써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설정하거나, 또는
    (d2) 모바일 앱 환경 하에서, 발신 단말에서는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햅틱 효과 데이터의 실행 파일을 선택하고 이를 상기 발신 단말에 저장된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하여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서 저장한 후,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하여 등록함으로써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설정하는 단계와,
    (e)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를 설정한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로의 호 연결시, 상기 수신 단말에서는 모바일 앱을 활성화(wake-up)시키고 모바일 앱의 실행에 의해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대해 호 연결된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와 매핑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f)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과 호 연결된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이 요청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검색하고, 검색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직접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g) 모바일 앱의 실행에 의해,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모바일 앱의 실행에 의해, 상기 수신 단말은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2차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2차 기기는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부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재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기는 웨어러블 기기이며, 스마트 워치, 스마트 팔찌, 스마트 반지, 스마트 목걸이 및 스마트 이어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은 무선 단말기이고, 상기 전화 번호는 이동통신 전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설정할 때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상기 발신 단말에 저장할 수 있고, 호 연결을 시도할 때에는 저장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으나 이를 수신 단말 및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c) 단계에서 저장되는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 각각에 대해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부여하고, 상기 (d2) 단계에서 업로드되는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에 대해서도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부여하며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호 연결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를 기반으로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햅틱 효과 데이터를 대응하는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로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 장치와,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로부터,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어 수신되고,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을 인코딩하여,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실행 파일로 변환하며, 이를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와,
    모바일 앱 환경 하에서,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등록함으로써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설정하거나, 또는 모바일 앱 환경 하에서,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햅틱 효과 데이터의 실행 파일을 선택하고 이를 발신 단말에 저장된 발신 단말 아이덴티티 컨텐츠와 매핑하여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서 저장한 후,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하여 등록함으로써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설정하는 발신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를 설정한 발신 단말로부터의 호 연결시, 모바일 앱을 활성화(wake-up)시키고 모바일 앱의 실행에 의해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대해 호 연결된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와 매핑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의 전송을 요청하고, 모바일 앱의 실행에 의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직접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수신한 후, 이로부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재생하는 수신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과 호 연결된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이 요청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검색하고, 검색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직접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2차 기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모바일 앱의 실행에 의해, 상기 수신 단말은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상기 2차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2차 기기는 수신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로부터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컨텐츠 및 햅틱 효과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기는 웨어러블 기기이며, 스마트 워치, 스마트 팔찌, 스마트 반지, 스마트 목걸이 및 스마트 이어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은 무선 단말기이고, 상기 전화 번호는 이동통신 전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설정할 때 상기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상기 발신 단말에 저장할 수 있고, 호 연결을 시도할 때에는 저장된 발신 단말 고유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으나 이를 수신 단말 및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 각각에 대해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부여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햅틱 효과 컨텐츠 파일에 대해서도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부여하며 상기 햅틱 효과 컨텐츠 ID를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50029014A 2015-03-02 2015-03-02 호 연결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71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014A KR101671262B1 (ko) 2015-03-02 2015-03-02 호 연결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014A KR101671262B1 (ko) 2015-03-02 2015-03-02 호 연결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304A KR20160106304A (ko) 2016-09-12
KR101671262B1 true KR101671262B1 (ko) 2016-11-01

Family

ID=5695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014A KR101671262B1 (ko) 2015-03-02 2015-03-02 호 연결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0140B (zh) * 2021-03-08 2023-07-25 天津大学 一种基于触觉感知的人员身份识别网络构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653B1 (ko) * 2001-12-07 2008-07-1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KR20050121305A (ko) * 2004-06-22 2005-12-27 홍정표 핸드폰 상태모니터링 기능을 가진 손목시계
KR20110062644A (ko) 2009-12-03 2011-06-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햅틱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304A (ko) 201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6672A (zh) 消息扩展应用程序商店
US105406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styling platform
JP2015531100A (ja) ピア支援型ショッピング
TWM425348U (en) System providing interactive management service
KR20130005776A (ko) 씨아이디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수신 단말기, 씨아이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JP2023522266A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配信の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媒体
JP5425926B2 (ja) Mmsの便箋に埋め込まれた広告
KR20130069317A (ko) 송수신 단말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4216982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5471265A (zh) 一种广告投放方法、装置、云端服务器及可读存储介质
KR101644405B1 (ko) Sns 앱 기반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에서 햅틱 효과를 갖는 이모티콘을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671262B1 (ko) 호 연결시 발신 단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햅틱 효과 컨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에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6344134A (ja) 通信端末用画像作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サービス
Clark Cellular Phones as a primary communications device: What are the implications for a global community?
KR101575676B1 (ko)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화자 간 메시지에 햅틱 효과를 부여하는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901112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유니코드의 전송을 통해 햅틱 효과를 갖는 이모지를 단말장치에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403226B1 (ko)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선택에 의한 캐릭터, 음성 기반의 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전송방법
KR101633676B1 (ko)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59350B1 (ko) 유명인 캐릭터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575677B1 (ko)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TWI574199B (zh) The way to dynamically change its texture style based on the user's virtual pet
Humphreys Mobile social networks and services
KR101488720B1 (ko) 서비스앱 사용자간 광고방법
KR20130025006A (ko)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Mpofu The use and reliance of cellular phones as a primary communication device in Zimbabw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