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075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075B1
KR101671075B1 KR1020140182599A KR20140182599A KR101671075B1 KR 101671075 B1 KR101671075 B1 KR 101671075B1 KR 1020140182599 A KR1020140182599 A KR 1020140182599A KR 20140182599 A KR20140182599 A KR 20140182599A KR 101671075 B1 KR101671075 B1 KR 101671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ensor
side cover
sensor substra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809A (ko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0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interchangeability, i.e. component parts being especially adapted to be replaced by another part with the same or a different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다수의 방열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단부에 장착되는 사이드 커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엘이디 모듈;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엘이디 모듈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투과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측 면에 장착되는 센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이드 커버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지지하는 인터페이스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 출시되고 있는 조명 장치는 주로 백열등, 형광등 및 삼파장 전구 등을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LED가 개발됨에 따라 LED 패키지를 광원으로 하는 조명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천장 높이가 25피트 이상인 상업 시설에 사용되는 고천장 조명(high-bay lighting)도 점차적으로 엘이디 모듈을 채용한 조명 장치로 교체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0532호(공고일자: 2013년 01월 10일)에는 “천장용 등기구”가 개시된다.
고천장용 등기구, 즉 하이베이 조명의 경우, 콘트래스트(contrast) 및 글레어(glare)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높은 천장에서 공간 전체를 비출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상세히, 높은 위치에서 공간 전체를 비추기 위해서는 고출력의 엘이디 패키지가 요구되고, 그에 따라 조명 장치의 가격이 상승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출력 및 다수의 엘이디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와 조립 공정을 최소화하여 설치 시간이 단축되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다수의 방열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단부에 장착되는 사이드 커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엘이디 모듈;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엘이디 모듈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투과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측 면에 장착되는 센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이드 커버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지지하는 인터페이스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최하측에 놓이는 커버 플레이트에 별도의 체결 부재가 관통하지 않아도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안정적으로 조립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하우징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프레임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가 사이드 커버에 의하여 차폐되므로, 조명 장치의 외관이 깔끔하게 처리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사이드 커버의 내측면에 제공되는 센서 인터페이스 체결 장치에 의하여, 센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기판에 체결 부재가 직접 관통하지 않고도 상기 기판이 사이드 커버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므로, 기판의 파손 위험이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하우징에 다수의 방열홀이 형성되며, 방열홀은 하우징의 일부분이 절개 및 절곡되어,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부드럽게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방열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렌즈 어셈블리와 엘이디 어셈블리 및 히트 싱크가 단일 체결 부재에 의하여 한 몸으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부품 수가 절감되고 조립 공정이 짧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상기 조명 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상기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V-IV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VI-V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사이드 커버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인터페이스 고정부에 센서 인터페이스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1의 IX-IX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10은 도 1의 X-X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11은 도 2의 XI-X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12는 렌즈 어셈블리와 엘이디 모듈 및 히트 싱크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션 커버와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4도 13의 XIV-XIV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조명 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IV-IV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는, 조명이 필요한 장소의 천장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명 장치(10)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저면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17)와, 상기 하우징(11)의 양 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12)와,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장착되는 컨버터(18) 및 정션 박스(junction box)(19)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17)의 상측에 놓이는 엘이디 모듈(15)과, 상기 엘이디 모듈(15)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15)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렌즈 어셈블리(16)와, 저면에 상기 엘이디 모듈(15)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16)가 일체로 고정되는 프레임(14)과, 상기 프레임(14)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15)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히트 싱크(13)와, 상기 하우징(11)의 상면에 끼워지는 다수의 걸림 고리(20) 및 상기 하우징(11)의 상면에 장착되는 정션 커버(junction cover)(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10)의 내부 공간은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저면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17)에 의하여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 장치(10)의 내부 공간은 하우징(11)의 형상에 의하여 다수 개로 구별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1)에 의하여 상기 조명 장치(10)의 내부 공간은, 전장 부품 챔버(101)로 정의되는 제 1 공간부와, 상기 제 1 공간부의 하측에 정의되는 제 2 공간부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간부는 상기 프레임(14)에 의하여 방열 챔버(102)와 발광 모듈 챔버(103)로 구획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전장 부품 챔버(101)에는 상기 컨버터(18)와 상기 정션 박스(19)가 장착되며, 상기 방열 챔버(102)에는 상기 히트 싱크(13)가 놓인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된 다수의 방열홀들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히트 싱크(13)와 열교환한 다음 상기 하우징(11)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4)의 상면에는 상기 히트 싱크(13)가 안착되고, 저면에는 상기 엘이디 모듈(15)이 안착되어, 상기 제 2 공간부는 방열 챔버(102)와 발광 모듈 챔버(103)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 모듈(15)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상기 발광 모듈 챔버(103)를 통과하여, 상기 조명 장치(10)가 설치된 공간으로 확산된다.
한편, 상기 커버 플레이트(17)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엘이디 모듈(15)(발광 모듈로 정의될 수 있음)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전부 또는 일부가 조명 장치(10) 외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7)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4)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15)과 상기 렌즈 어셈블리(16)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4)의 상면에는 상기 히트 싱크(13)가 안착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15)에서 발생하는 열이 열전도에 의하여 상기 히트 싱크(13)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히트 싱크(13)는 다수 개의 플레이트 형태의 열교환 핀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핀 타입 히트싱크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VI-V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히트 싱크(13)와 열교환한 공기가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방열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트 싱크(13)와 열교환한 공기가 상기 하우징(11)의 표면에 부딪히면서 열교환하고, 상기 하우징(11)으로 전달된 열이 상기 하우징(11)의 외부에 있는 공기와 신속히 열교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1)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판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1)의 폭방향 단면은, n자 종단면 형상을 가지고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 1 하우징 섹션부(111)와,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부(111)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2 하우징 섹션부(1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부(112)는,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부(111)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에서 라운드져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하단에서 상기 하우징(11)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17)가 안착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부(111)도 상면부와 측면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부(111)의 내부에는 상기 컨버터(18)와 상기 정션 박스(19)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정션 박스(19)가 수용되는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부(111)의 상면에는 정션홀(115)이 형성되고, 상기 정션홀(115)은 상기 정션 커버(22)에 의하여 차폐된다. 상기 정션 박스(19)는 조인트 박스(joint box)라고도 하며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 장착되는 박스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옥내에서 연장되는 전선과, 상기 엘이디 모듈(15)과 상기 컨버터(18)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을 연결하는 전선 분배 박스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부(111)의 상면부와 측면부에는 제 1 상면 방열 리브(111a)와 제 1 측면 방열 리브(111b)가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면 방열 리브(111a)와 상기 제 1 측면 방열 리브(111b) 각각은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부(111)의 상면부와 측면부 일부분이 절개 및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상면 방열 리브(111a)를 예로 들면,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부(111)의 어느 지점에 길이가 동일하고 서로 평행한 절개선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팽행한 절개선 간의 간격은 상기 제 1 상면 방열 리브(111a)의 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선의 길이는 상기 제 1 상면 방열 리브(111a)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절개선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의 안쪽 면에서 상기 절개 부분을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가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제 1 상면 방열 리브(111a)는 대략 n자 형태로 절곡되고, 절개된 부분에 방열홀(틈새)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일측의 방열홀(틈새)로 유입되는 공기는 타측의 방열홀(틈새)을 통하여 배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1) 내부의 공기는 상기 한 쌍의 방열홀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1)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 1 측면 리브(111b)도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부(111)의 측면부에 형성되며, 제 1 측면 리브(111b)의 하측에 형성된 방열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열교환을 통하여 가벼워져서 상기 제 1 측면 리브(111b)의 상측에 형성된 방열홀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 1 측면 리브(111b)의 상측에 형성된 방열홀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는 도 6에 표시된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화살표들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부(112)의 상면부와 측면부에도 방열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부(112)에 형성되는 방열 리브들은,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부(112)의 상면부에 절개 및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 2 상면 방열 리브(112a)와,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부(112)의 측면부에 절개 및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 2 측면 방열 리브(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부(112)에 형성되는 방열 리브들은, 두 개의 절개부가 나란하게 형성되는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부(111)의 방열 리브들과 달리, 절개부가 한 개만 형성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즉, 방열홀이 상기 방열 리브들(112a,112b)의 한 쪽에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 내부에서 상기 방열홀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들이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측면 방열 리브들(112b)의 경우 하측에 방열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방출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11)의 하측으로 가이드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상면 방열 리브들(112b)의 경우 상기 하우징(11)의 중심 방향에 방열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방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부(111) 쪽으로 흐르도록 안내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상면 방열 리브(112a)에 형성되는 방열홀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1) 내부의 공기가 방출되고, 상기 방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부(111)의 측면부을 타고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부(111)의 측면부를 타고 상승하는 공기 일부는 상기 제 1 측면 방열 리브(111b)에 형성된 방열홀을 통과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는 삽입단(113)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삽입단(113)은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단(113)의 연장이 시작되는 부위에 체결홀(11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단(113)은 후술할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사이드 커버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인터페이스 고정부에 센서 인터페이스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를 구성하는 상기 사이드 커버(12)는, 상기 하우징(11)의 폭방향 종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단부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사이드 커버(12)는 두 개가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11)의 일단부와, 상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일단부의 반대편이 되는 타단부에 각각 장착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커버(12)는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부(111)의 개구된 단부를 덮는 제 1 커버부(12a)와,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부(112)의 개구된 단부를 덮는 제 2 커버부(12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이드 커버(12)는, 상기 하우징(11)의 개구된 단부를 덮는 막음벽(closing wall)(121)과, 상기 막음벽(121)의 가장자리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수평하게 절곡되는 두름벽(surrounding wall)(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름벽(122)은 상기 하우징(11)의 가장자리 외주면을 덮어서,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1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막음벽(121)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두름벽(122)을 따라 다수의 밀착 리브(123)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밀착 리브(123)는 상기 두름벽(122)과 직교하는 형태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밀착 리브(123)의 단부와 상기 두름벽(122)의 단부 간의 거리(d)는 상기 하우징(11)의 가장자리가 상기 사이드 커버(12)에 삽입되는 양에 대응한다.
한편, 상기 두름벽(122)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1)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상기 삽입단(113)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단 고정 리브(124)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단 고정 리브(124)은 상기 삽입단(113)의 개수에 대응하는 수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단 고정 리브(124)는 상기 삽입단(113)과 같이 다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커버(12)를 상기 하우징(11)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삽입단(113)이 위치하는 지점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단 고정 리브 한 세트는, L 형태로 절곡되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대칭되는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단 고정 리브의 다른 형태로서 n자 형태로 절곡되는 단일의 리브 형태로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두름벽(122)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단 고정 리브(12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삽입단(113)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양 단부가 상기 다수의 밀착 리브(123)에 닿을 때까지 상기 사이드 커버(12)를 상기 하우징(11)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두름벽(122)에 형성되는 체결홀(125)과 상기 하우징(11)의 체결홀(114)이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 부재가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체결홀(125)과 상기 하우징(11)의 체결홀(114)에 삽입되도록 하면, 상기 사이드 커버(12)가 상기 하우징(11)에 고정 결합된다.
한편, 상기 막음벽(121)의 내측면 대략 중앙부에는 인터페이스 고정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막음벽(121)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각종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내측에는 센서 인터페이스(22)가 장착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22)는, 센서 기판(221)과, 상기 센서 기판(221)에 실장되는 센서 소켓(2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의 단자부는 상기 센서 소켓(222)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기판(221)은 메인 기판부(221a)와, 상기 메인 기판부(221a)의 양 측단에서 돌출 연장되는 삽입 숄더(221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기판부(221a)의 전단에는 돌기 수용홈(221c)이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막음벽(121)에 밀착되는 상기 메인 기판부(221a)의 단부를 전단부로 정의하고, 그 반대 단부를 후단부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고정부(126)는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22)를 고정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22)가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막음벽(12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고정부(126)는, 상기 센서의 단자부의 삽입구를 정의하는 단자 안내 리브(127)와, 상기 센서 기판(221)의 양 측단을 지지하는 체결 보스(128)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 안내 리브(127)는 사각 기둥 형태로 상기 막음벽(121)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 안내 리브(127)의 저면에는 제한 돌기(127a)가 돌출되고, 상기 센서 기판(221)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한 돌기(127a)가 삽입되는 돌기 수용홈(221c)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기판(221)이 장착되면, 상기 제한 돌기(127a)가 상기 돌기 수용홈(221c)에 삽입되어, 상기 센서 기판(221)이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체결 보스(128)는 상기 센서 기판(221)의 양 측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막음벽(121)의 내주면으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보스(128)의 중앙에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홈(128a)이 함몰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센서 기판(221)의 삽입 숄더(221b)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가이드 홈(128b)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 기판(221)의 삽입 숄더(221b)가 상기 고정홈(128a)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를 상기 고정홈(128a)에 삽입하면, 상기 고정 부재의 머리 부분(스크류 헤드)이 상기 삽입 숄더(221b)를 누르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센서 기판(221)의 삽입 숄더(221b)가 상기 가이드 홈(128b)으로부터 분리되어 빠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정리하면, 상기 제한 돌기(127a)가 돌기 수용홈(221c)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센서 기판(221)의 좌우 방향 요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 숄더(221b)가 상기 가이드홈(128b)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센서 기판(221)의 상하 방향 요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 숄더(221b)가 상기 가이드홈(128b)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와 같은 고정 부재가 상기 고정홈(128a)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부재의 머리가 상기 삽입숄더(221b)를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센서 기판(221)의 전후 방향 요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결합 방식에 의하면,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가 상기 센서 기판(221)을 관통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크류를 죄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센서 기판의 파손 가능성이 낮아지는 부가적인 장점도 있다.
도 9는 도 1의 IX-IX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X-X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단부에서 연장되는 상기 삽입단(113)이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삽입단 고정 리브(124)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삽입단(113)은 상기 하우징(11)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삽입단 고정 리브(124)도 상기 사이드 커버(12)를 정의하는 상기 두름벽(122)의 상면부와 측면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단 고정 리브(124)에 의하여 형성되는 삽입 공간 내부로 상기 삽입단(113)이 삽입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두름벽(122)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밀착 리브(123)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밀착 리브(123)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밀착 리브(123)는 소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막음벽(121)과 두름벽(122)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상기 두름벽(122)의 폭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커버(12)가 상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단부에 결합되면, 상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단부는 상기 다수의 밀착 리브(123)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된다. 즉, 상기 두름벽(122)의 단부로부터 상기 다수의 밀착 리브(123)까지의 거리(d)만큼 상기 하우징(11)의 단부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17)의 단부가 상기 사이드 커버(12) 내부로 삽입된다.
도 11은 도 2의 XI-X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11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플레이트(17)는 별도의 체결 부재에 의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프레임(14)에 의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14)의 장변부와 단변부 가장자리에서 측면부가 절곡 형성되고, 그 중 장변부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는 장측면부(143)의 하단에는 커버 플레이트 가압부(141)와 플랜지(142)가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커버 플레이트 가압부(141)는 상기 장측면부(143)의 하단에서 "ㄱ"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17)의 상면 가장자리와 측면을 덮는다.
또한, 상기 플랜지(142)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가압부(141)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42)에는 체결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의 하단부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S)는 상기 플랜지(142)에 형성된 체결홀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커버 플레이트(17)의 상면 가장자리와 측면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가압부(141)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7)의 저면 가장자리는 상기 하우징(11)의 하단부에 의하여 고정된다.
즉, 상기 커버 플레이트(17)의 상면 가장자리와,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가 각각 상기 커버 플레이트 가압부(141) 및 상기 하우징(11)의 하단부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 부재(S)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17)를 관통하지 않아도,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수평 방향으로 요동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플랜지(142)와 커버 플레이트 가압부(14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7)의 장변부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17)가 폭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커버(12)에 의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17)가 길이 방향으로 요동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7)의 장변부 길이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7)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고, 단변부 길이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7)의 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프레임(14)을 고정하는 상기 체결 부재(S)의 머리 부분은, 상기 조명 장치(10)가 천장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조명 장치(10)의 저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조명 장치(10)를 올려다보면 상기 체결 부재(S)의 머리 부분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므로, 미관상 깔끔하지 못한 느낌을 줄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두름벽(122)이 상기 체결 부재(S)의 머리 부분을 덮도록 하고, 상기 체결 부재(S)의 머리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두름벽(122)에는 체결 부재 커버링 홈(129)이 함몰 형성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사이드 커버(12)가 상기 하우징(11)의 단부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 부재(S)의 머리 부분이 상기 체결 부재 커버링 홈(129)에 수용되고, 그 결과 상기 체결 부재(S)의 외부 노출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렌즈 어셈블리와 엘이디 모듈 및 히트 싱크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 어셈블리(16)와 상기 엘이디 모듈(15) 및 상기 히트 싱크(13)는 단일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4)에 일체로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렌즈 어셈블리(16)는, 상기 엘이디 모듈(15)의 기판(151)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6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1)로부터 돔 형상 또는 다른 형태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렌즈(162)와, 상기 다수의 렌즈(16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1)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홈(163)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체결홈(163)에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151)과 상기 히트 싱크(13) 및 상기 프레임(14)에도 체결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1)와 기판(151)과, 프레임(14) 및 히트 싱크(13)를 차례로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이 네개의 부재가 하나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션 커버와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도 13의 XIV-XIV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를 구성하는 하우징(11)의 일측에는 정션홀(115)이 형성되고, 상기 정션홀(115)은 상기 정션 커버(21)에 의하여 차폐된다.
상세히, 상기 정션홀(115)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상기 정션 박스(19)가 장착된다. 따라서, 옥내 전선들은 상기 정션 커버(21)를 관통하여 상기 정션 박스(19)로 연결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정션 커버(21)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의 커버 바디(211)와, 상기 커버 바디(211)의 일측 단부에서 L 형태로 절곡되는 걸림단(2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바디(211)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 1 관통홀(214)과, 상기 제 1 관통홀(214)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2 관통홀(215) 및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홀(214)은 홀차폐 부재(214a)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홀차폐 부재(214a)는 연결단(214b)에 의하여 상기 커버 바디(211)와 한 몸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관통홀(215)은 홀차폐 부재(215a)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홀차폐 부재(215a)는 연결단(215b)에 의하여 상기 커버 바디(211)와 한 몸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관통홀(214)은 다수의 전선들을 감싸서 보호하는 전선 보호관(cable counduit)이 삽입되는 홀이고, 상기 제 2 관통홀(215)은 상기 전선 보호관보다 직경이 작은 일반 교류 전선(AC wire)가 삽입되는 홀이다. 따라서, 설치자는 옥내에서 연장되는 전선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 1 관통홀(214)을 차폐하는 홀차폐 부재(214a)를 분리하거나 상기 제 2 관통홀(215)을 차폐하는 홀차폐 부재(215a)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홀차폐 부재들(214a,215a)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미는 힘에 의하여 상기 연결단(214b,215b)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한편, 상기 걸림단(212)은 상기 정션홀(115)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1)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단(212)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커버 바디(211)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11)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가 상기 체결홀(213)과 상기 하우징(11) 및 상기 정션 박스(19)의 상면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된 플랜지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정션 커버(21)와 상기 정션 박스(19)가 상기 하우징(11)에 결합되도록 한다.

Claims (7)

  1. 다수의 방열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단부에 장착되는 사이드 커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엘이디 모듈;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엘이디 모듈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투과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측 면에 장착되는 센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이드 커버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지지하는 인터페이스 고정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밀착되는 막음벽과,
    상기 막음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되는 두름벽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고정부는 상기 막음벽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고정부는, 상기 막음벽의 내주면으로부터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센서 단자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단자 안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안내 리브의 하면에는 제한 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는,
    상기 센서 단자부가 삽입되는 센서 소켓이 상면에 실장되는 센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기판의 좌우 방향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 기판의 전단에는 상기 제한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기판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상기 막음벽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체결 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기판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는 삽입 숄더가 돌출되고,
    상기 센서 기판의 상하 방향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체결 보스 각각의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 숄더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기판의 전후 방향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체결 보스 각각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의 머리 부분은 상기 삽입 숄더의 후단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저면에 상기 엘이디 모듈이 장착되고 바닥부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밀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놓이는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20140182599A 2014-12-17 2014-12-17 조명 장치 KR101671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599A KR101671075B1 (ko) 2014-12-17 2014-12-17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599A KR101671075B1 (ko) 2014-12-17 2014-12-17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809A KR20160073809A (ko) 2016-06-27
KR101671075B1 true KR101671075B1 (ko) 2016-10-31

Family

ID=5634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599A KR101671075B1 (ko) 2014-12-17 2014-12-17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0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50Y1 (ko) 2009-07-03 2010-02-11 변종근 엘이디 가로등
KR101454180B1 (ko) 2013-10-16 2014-10-28 박철형 개선된 구조의 레이스 웨이용 주차장 조명등
KR101469075B1 (ko) 2014-04-11 2014-12-05 주식회사 파워인 엘이디조명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센서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50Y1 (ko) 2009-07-03 2010-02-11 변종근 엘이디 가로등
KR101454180B1 (ko) 2013-10-16 2014-10-28 박철형 개선된 구조의 레이스 웨이용 주차장 조명등
KR101469075B1 (ko) 2014-04-11 2014-12-05 주식회사 파워인 엘이디조명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센서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809A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7231B2 (ja) 非常用の照明器具
JP2017112059A (ja) 光源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7027871A (ja) 照明器具の本体及び照明器具
JP2017033731A (ja) 照明装置
US10288274B2 (en)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flame barriers
JP6355043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101671076B1 (ko) 조명 장치
JP2016212993A (ja) 照明器具、取付金具および取付金具セット
KR101671075B1 (ko) 조명 장치
JP6468940B2 (ja) 照明器具
KR20160073849A (ko) 조명 장치
JP2017033726A (ja) 直管形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2016219139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20160073802A (ko) 조명 장치
JP2011228099A (ja) 照明器具
JP5705350B2 (ja) Led照明装置
JP5879523B2 (ja) 発光装置及び照明器具
JP2017174671A (ja) 照明器具
JP6489928B2 (ja) 基板ユニット装置及び照明器具
JP7383097B2 (ja) 灯具
JP2013178991A (ja) 発光装置及び照明器具
JP7422494B2 (ja) 照明装置およびその組付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灯具および灯具取付器具
JP7303491B2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照明装置
JP5903623B2 (ja) 発光装置及び照明器具
JP6604776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