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992B1 -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992B1
KR101670992B1 KR1020150131348A KR20150131348A KR101670992B1 KR 101670992 B1 KR101670992 B1 KR 101670992B1 KR 1020150131348 A KR1020150131348 A KR 1020150131348A KR 20150131348 A KR20150131348 A KR 20150131348A KR 101670992 B1 KR101670992 B1 KR 101670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outlet
retarder
inlet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용
홍순석
신순철
Original Assignee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8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using fluid or powdered medium
    • B60T1/087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using fluid or powdered medium in hydrodynamic, i.e. non-positive displacement, reta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0Control or regulation for continuous braking making use of fluid or powdered medium, e.g. for use when descending a long slope
    • B60T10/02Control or regulation for continuous braking making use of fluid or powdered medium, e.g. for use when descending a long slope with hydrodynamic br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58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 B60T13/581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both hydraulic and pneu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58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 B60T13/585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comprising friction brakes and reta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58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 B60T13/588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both fluid and mechan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15Systems characterised by having means acting on components of the drive line, e.g. retarder, clutch or differential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감속 토크를 발생시킴으로써 보조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제동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유체 리타더에 설치되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제1유입구, 제1배출구, 제2유입구, 제2배출구 및 제3배출구가 형성되는 밸브 바디; 및 상기 밸브 바디의 중공부 내주면에 외주면이 밀착되어 구비되되 상기 밸브 바디의 중공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제1유로 및 제2유로가 형성되는 스풀; 을 포함하며, 상기 스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유입구는 제1유로를 통해 제2배출구에만 연결되고 상기 제1배출구 및 제2유입구는 폐쇄되거나, 상기 제1유입구는 제1유로를 통해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와 함께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구는 리타더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어 제2유입구가 제3배출구와 연결 또는 연결이 차단되거나, 상기 제1유입구는 제1유로를 통해 제1배출구에만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구는 폐쇄되도록 형성되어, 차량의 리타더에 설치되어 리타더 내부의 작동 챔버로 작동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리타더 내부에 채워지는 작동 유체의 충진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Feeding control apparatus for fluid retarder}
본 발명은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감속 토크를 발생시킴으로써 보조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제동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리타더에 설치되어 리타더 내부의 작동 챔버로 작동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리타더 내부에 채워지는 작동 유체의 충진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차량에는 구동 휠에 장착되어 바퀴를 직접 제동하는 휠 브레이크 이외에 보조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보조 브레이크는 차량의 구동축에 리타더(retarder)가 장착되어 차량의 정차 또는 감속 시 리타더를 작동시켜 구동축을 제동시킴으로써 휠 브레이크의 마모를 감소시키고 제동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타더는 구동축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거나, 변속기의 출력단 또는 입력단 등에 연결되어 차량의 구동축에 감속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리타더의 작동 방식에 있어서 전자식과 유체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때 유체식 리타더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변속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하여 작동 유체의 저항을 이용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식 리타더는 내부의 작동 챔버에 작동 유체가 일정량 이상 채워지면 차량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로터와 고정된 스테이터 사이에서 작동 유체의 저항에 의해 감속 토크가 발생하며, 발생된 감속 토크가 구동축에 전달되어 차량의 제동 시 보조 브레이크 역할을 하게 된다. 반대로 차량의 주행 시에는 리타더 내부의 작동 챔버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일정량 이하로 배출되어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에 작동 유체의 저항이 작용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감속 토크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이때, 유체식 리타더는 작동 챔버가 완전히 빈 상태에서부터 가득 찬 상태까지 유체의 충진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리타더의 제동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리타더의 작동 챔버 내의 유체 충진량을 조절하는 것이 유체식 리타더 제어 장치의 핵심이라 할 수 있으며, 가능한 정확한 유체 충진 레벨을 조절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유체 충진량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6개의 포트가 형성된 구조의 유체 충진 제어장치가 사용되었다. 여기에서 도 1과 같이 리타더의 비작동시(non-operating)에는 제1유입구(11)로 유입된 유체가 제3배출구(32) 및 제3유입구(31)를 통과해 제2배출구(22)로 바이패스 되도록 흐름이 형성되어, 리타더 내부의 작동 챔버로 작동 유체가 유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리타더가 작동되되 유량이 조절되어 리타더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때(controlled feeding)에는 제1유입구(11)로 유입된 유체의 일부가 제3배출구(32) 및 제3유입구(31)를 통과해 제2배출구(22)로 바이패스 되도록 흐름이 형성되고, 제1유입구(11)로 유입된 나머지 유체는 바로 리타더의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1배출구(12)로 배출되어, 리타더 내부의 작동 챔버로 작동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즉, 작동 유체의 일부는 바이패스 되고 나머지는 리타더 내부로 유입되어 유량이 조절되어 공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리타더가 작동되되 작동 유체를 바이패스 시키지 않고 최대 유량으로 리타더에 작동 유체를 공급할 때(full feeding)에는 제1유입구(11)로 유입된 유체의 전부가 제1배출구(12)로 배출되어, 리타더 내부로 작동 유체가 모두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리타더 내부로 작동 유체가 유입된 후 작동 유체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하우징(40)의 내부에서 작동되는 밸브 변위체(50)에 작용하는 제어 압력과 리타더의 작동 챔버 내부의 압력의 차압에 따라, 리타더 내부의 작동 유체가 제2유입구(21)를 통해 제2배출구(22)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는 리타더의 비작동시 유체를 바이패스 시키기 위한 별도의 포트인 제3배출구(32), 제3유입구(31) 및 이를 연결하는 별도의 유로(33)가 외부에 형성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는 별도의 조립체로 형성되어 리타더 하우징과 연결되어야 하므로, 유로 연결의 정밀성이 저하되며 연결을 위한 씰링부 등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KR 2013-0132691 A (2013.12.0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감속 토크를 발생시킴으로써 보조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제동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리타더에 설치되어 리타더 내부의 작동 챔버로 작동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리타더 내부에 채워지는 작동 유체의 충진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는, 차량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감속 토크를 발생시킴으로써 보조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제동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유체 리타더에 설치되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제1유입구, 제1배출구, 제2유입구, 제2배출구 및 제3배출구가 형성되는 밸브 바디; 및 상기 밸브 바디의 중공부 내주면에 외주면이 밀착되어 구비되되 상기 밸브 바디의 중공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제1유로 및 제2유로가 형성되는 스풀; 을 포함하며, 상기 스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유입구는 제1유로를 통해 제2배출구에만 연결되고 상기 제1배출구 및 제2유입구는 폐쇄되거나, 상기 제1유입구는 제1유로를 통해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와 함께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구는 리타더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어 제2유입구가 제3배출구와 연결 또는 연결이 차단되거나, 상기 제1유입구는 제1유로를 통해 제1배출구에만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구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바디에는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측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배출구, 제1유입구, 제1배출구, 제3배출구 및 제2유입구가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스풀은 밸브 바디 중공부의 내경보다 작게 로드의 외경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에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측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제1밀폐부, 제2밀폐부 및 제3밀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밀폐부와 제2밀폐부에 의해 중공부가 각각 구획되어 상기 제1밀폐부와 제2밀폐부 사이에 제1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밀폐부와 제3밀폐부 사이에 제2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밀폐부 및 제2밀폐부의 외주면은 중공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밀폐부의 두께(T)는 제1배출구의 높이방향 폭(H)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유입구는 밸브 바디의 중공부 하단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밀폐부는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3밀폐부가 중공부 하단에 밀착되어 제2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2밀폐부와 제3밀폐부 사이에 제1탄성수단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바디는 최종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외측에 제2배출구 및 제3배출구가 최종 배출구에 연결되도록 하는 배출 연결유로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 연결유로들이 만나 최종 배출구에 연결되는 부분에 유동 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유동 가이드에 의해 제2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유체 및 제3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합류되는 지점에서 유체들이 최종 배출구를 향하도록 유체의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바디는 리타더의 스테이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터 하우징 또는 로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로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풀의 위치를 조절하는 변위 조절 장치 및 제2탄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위 조절 장치는 공압, 유압, 전자기력 및 기구적인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스풀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 리타더의 비작동시, 상기 제1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제1유로 및 제2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밸브 바디의 외부로 모두 배출되고, 상기 제1배출구 및 제2유입구는 폐쇄되어 리타더의 내부로의 유체의 유입 및 리타더 외부로의 유체의 배출이 모두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 리타더가 작동되되 충진량이 조절되어 작동 유체가 유체 리타더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제1유입구로 유입된 유체의 일부는 제1유로 및 제1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리타더 내부로 유입되고 나머지 유체는 제1유로 및 제2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밸브 바디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2유입구는 리타더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리타더 내부의 유체가 제2유입구, 제2유로 및 제3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밸브 바디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리타더의 외부로 유체가 배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 리타더가 작동되되 제1유입구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가 모두 유체 리타더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제1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제1유로 및 제1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리타더 내부로 모두 유입되고, 상기 제2유입구는 폐쇄되어 리타더 외부로의 유체의 배출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는, 리타더 내부의 작동 챔버로 작동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리타더 내부에 채워지는 작동 유체의 충진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충진 제어 장치가 리타더 하우징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리타더의 소형화 및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유로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줄어들고 유체의 기밀유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및 작동 상태에 따른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가 리타더에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바디 및 스풀을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배면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의 스풀의 위치 및 작동 상태에 따른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우측 단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가 리타더에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바디 및 스풀을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의 스풀의 위치 및 작동 상태에 따른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우측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1000)는, 차량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감속 토크를 발생시킴으로써 보조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제동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유체 리타더에 설치되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된 중공부(101)가 형성되며,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제1유입구(110), 제1배출구(120), 제2유입구(130), 제2배출구(140) 및 제3배출구(150)가 형성되는 밸브 바디(100); 및 상기 밸브 바디(100)의 중공부 내주면에 외주면이 밀착되어 구비되되 상기 밸브 바디(100)의 중공부(101)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제1유로(230) 및 제2유로(240)가 형성되는 스풀(200); 을 포함하며, 상기 스풀(2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유입구(110)는 제1유로(230)를 통해 제2배출구(140)에만 연결되고 상기 제1배출구(120) 및 제2유입구(130)는 폐쇄되거나, 상기 제1유입구(110)는 제1유로(230)를 통해 제1배출구(120) 및 제2배출구(140)와 함께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구(130)는 리타더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어 제2유입구(130)가 제3배출구(150)와 연결 또는 연결이 차단되거나, 상기 제1유입구(110)는 제1유로(230)를 통해 제1배출구(120)에만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구(130)는 폐쇄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는 유체 리타더(500)에 연결되어 유체 리타더(500)의 리타더 유입구(540)를 통해 작동 챔버(530)로 작동 유체를 공급하거나 유체 리타더(500)의 리타더 배출구(550)를 통해 작동 챔버(530)에서 작동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여, 회전되는 로터(510)와 고정된 스테이터(5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작동 유체의 저항에 따라 제동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밸브 역할을 하며, 또한 외부에서 유체 리타더(500)로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 및 유체 리타더(50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밸브 바디(100)는 내부가 중공된 중공부(101)가 형성되고, 중공부(101)는 직경보다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가 긴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 바디(100)는 중공된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5개의 포트인 제1유입구(110), 제1배출구(120), 제2유입구(130), 제2배출구(140) 및 제3배출구(15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로부터 제1유입구(110)로 작동 유체가 공급되고, 제1배출구(120)는 리타더 유입구(540)와 연결되며, 제2유입구(130)는 리타더 배출구(550)와 연결되며, 제2배출구(140) 및 제3배출구(150)는 작동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포트들이다. 이때, 제2배출구(140) 및 제3배출구(150) 각각을 통해 유체가 밸브 바디(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출구(140)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배출 연결유로(141)와 제3배출구(150)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배출 연결유로(151)가 서로 연결되고 배출 연결유로(141,151)들이 만나 밸브 바디(100)에 형성된 최종 배출구(16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최종 배출구(160)를 통해 밸브 바디(100)의 외부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밸브 바디(100)의 내부인 중공부(101)에는 스풀(200)이 구비될 수 있다. 스풀(200)은 중공부(10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밸브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스풀(200)의 외주면이 밸브 바디(100)의 중공부(101)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풀(200)에는 제1유로(230) 및 제2유로(240)가 형성되며, 스풀(200)의 상측에 제1유로(230)가 형성되고 하측에 제2유로(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유로(230) 및 제2유로(240)는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각각 별개의 유로로 형성되며, 제1유로(230) 및 제2유로(240)는 스풀(200)의 외주면에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거나 스풀(200)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밸브 바디(100)에 형성된 포트들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스풀(200)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스풀(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360도 전체가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한 링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스풀(200)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유체 흐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밸브 바디(100)에 형성된 포트들의 위치 및 스풀(200)에 형성된 유로들의 위치에 의해 유체의 흐름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풀(200)의 위치에 따라 도 7과 같이 상기 제1유입구(110)는 제1유로(230)를 통해 제2배출구(140)에만 연결되고 제1배출구(120) 및 제2유입구(130)는 폐쇄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제1유입구(110)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 유체가 제1유로(230)를 따라 유동되어 제2배출구(140)를 통해 전부 밸브 바디(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작동 유체가 리타더(5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로 전부 바이패스 될 수 있다. 이때, 리타더(500)의 리타더 배출구(550)에 연결되는 제2유입구(130)는 폐쇄되어 제2유로(240)를 통해 리타더(500) 내부의 작동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리타더 배출구(550)를 통해 거꾸로 작동 유체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스풀(200)의 위치에 따라 도 8과 같이 상기 제1유입구(110)는 제1유로(230)를 통해 제1배출구(120) 및 제2배출구(140)와 함께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구(130)는 리타더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어 제2유입구(130)가 제3배출구(150)와 연결 또는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제1유입구(110)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 유체가 제1유로(230)를 따라 유동되어 작동 유체의 일부는 제1배출구(120)를 통해 리타더(500) 내부로 유입되고 나머지 작동 유체는 제1유로(230)를 따라 유동되어 제2배출구(140)를 통해 밸브 바디(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2유입구(130)는 리타더(500) 내부의 압력이 특정한 압력 이상이 되면 개방되어 제2유입구(130)가 제3배출구(150)와 연결되어, 리타더(500) 내부의 유체가 제2유로(240)를 따라 유동되어 제3배출구(150)를 통해 밸브 바디(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제2유입구(130)는 리타더(500) 내부의 압력이 특정한 압력보다 낮아지면 폐쇄되어 제2유입구(130)와 제3배출구(150)의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그리하여 외부에서 공급되어 리타더(500) 내부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유입량이 조절될 수 있으며, 리타더(500) 내부의 유체의 압력에 따라 리타더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거나 배출이 차단될 수 있어 리타더(50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량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스풀(200)의 위치에 따라 도 9와 같이 상기 제1유입구(110)는 제1유로(230)를 통해 제1배출구(120)에만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구(130)는 폐쇄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제1유입구(110)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 유체가 제1유로(230)를 따라 유동되어 제1배출구(120)를 통해 전부 리타더(5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제2유입구(130)는 폐쇄되어 리타더(500)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는, 리타더 내부의 작동 챔버로 작동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리타더 내부에 채워지는 작동 유체의 충진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밸브 바디(100)에는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측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배출구(140), 제1유입구(110), 제1배출구(120), 제3배출구(150) 및 제2유입구(130)가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스풀(200)은 밸브 바디(100) 중공부(101)의 내경보다 작게 로드(210)의 외경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210)에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측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제1밀폐부(221), 제2밀폐부(222) 및 제3밀폐부(223)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밀폐부(221)와 제2밀폐부(222)에 의해 중공부(101)가 각각 구획되어 상기 제1밀폐부(221)와 제2밀폐부(222) 사이에 제1유로(2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밀폐부(222)와 제3밀폐부(223) 사이에 제2유로(24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바디(100)에 형성되는 포트들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2배출구(140)의 하측에 제1유입구(110)가 형성되고 제1유입구(110)의 하측에 제1배출구(120)가 형성되며 제1배출구(120)의 하측에 제3배출구(150)가 형성되고 제3배출구(150)의 하측에 제2유입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5개의 포트들 중 4개인 제2배출구(140), 제1유입구(110), 제1배출구(120) 및 제3배출구(150)는 중공부(101)의 원주면인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1개의 포트인 제2유입구(130)는 중공부(101)의 하단인 구획부(17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풀(200)은 밸브 바디(100)의 중공부(101) 내경보다 굵기가 작은 환봉 형태로 로드(210)가 형성되고 로드(210)에 수직한 원판 형태로 제1밀폐부(221), 제2밀폐부(222) 및 제3밀폐부(2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밀폐부(221)의 하측에 제2밀폐부(222)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밀폐부(222)의 하측에 제3밀폐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밀폐부(221)와 제2밀폐부(222)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밀폐부(223)는 제1밀폐부(221) 및 제2밀폐부(222)와는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밀폐부(221)와 제2밀폐부(222)에 의해 중공부(101)가 각각 구획되어, 상기 제1밀폐부(221)와 제2밀폐부(222) 사이에 제1유로(2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밀폐부(222)와 제3밀폐부(223) 사이에 제2유로(2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풀(200)은 중공부(10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환봉을 이용해 제1유로(230) 및 제2유로(240) 부분을 절삭 가공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로드(210)에 밀폐부(220)들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포트들인 제1유입구(110), 제1배출구(120), 제2유입구(130), 제2배출구(140) 및 제3배출구(150)의 상하방향 위치와 스풀(200)의 밀폐부(221,222,223)들의 상하방향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 유체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포트들의 거리 및 밀폐부들 간의 거리가 조절되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밀폐부(221) 및 제2밀폐부(222)의 외주면은 중공부(10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밀폐부(222)의 두께(T)는 제1배출구(120)의 높이방향 폭(H)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풀(200)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제2밀폐부(222)가 제1배출구(120)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어, 스풀(200)의 위치에 따라 리타더(500) 내부로 작동 유체가 공급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밀폐부(221)의 두께 역시 스풀(200)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제2배출구(140)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유입구(130)는 밸브 바디(100)의 중공부(101) 하단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밀폐부(223)는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로드(210)의 하단부(211)에 결합되며, 상기 제3밀폐부(223)가 중공부(101) 하단에 밀착되어 제2유입구(130)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2밀폐부(222)와 제3밀폐부(223) 사이에 제1탄성수단(410)이 개재될 수 있다.
즉, 중공부(101)에는 제3배출구(150)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 이격되어 리타더(500)에서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유로인 제2유입 연결유로(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배출구(150)와 제2유입 연결유로(131) 사이에 중공부(101)를 구획하는 구획부(170)가 형성되어, 상기 구획부(170)가 중공부(101)의 하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부(170)에 상하를 관통하도록 제2유입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밀폐부(223)는 구획부(170)의 상면에 밀착되어 제2유입구(130)를 폐쇄할 수 있으며 리타더(500) 내부의 압력에 따라 제2유입구(130)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제3밀폐부(223)가 로드(210)의 하단부(211)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2밀폐부(222)와 제3밀폐부(223) 사이에 제1탄성수단(410)이 개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밀폐부(223)는 구획부(170)의 상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판형의 밸브 시트(223a)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상측이 개방된 삽입홀(223b)이 형성되어 삽입홀(223b)에 로드(210)의 하단부(211)가 삽입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스풀(200)의 위치에 따라 제1탄성수단(410)의 탄성력이 변하므로 제3밀폐부(223)를 구획부(170)에 밀착시키는 힘이 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리타더(500) 내부로 작동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3밀폐부(223)를 개방시킬 수 있는 압력이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리타더(500)의 내부에 작동 유체가 채워지는 양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는, 스풀에 작용하는 힘에 의한 단일 제어 방식을 통해 리타더 내부에 채위지는 작동 유체 양인 충진량의 조절이 가능하며, 보다 정밀한 유량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밸브 바디(100)에는 최종 배출구(160)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01)의 외측에 제2배출구(140) 및 제3배출구(150)가 최종 배출구(160)에 연결되도록 하는 배출 연결 유로(141,15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출구(140)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배출 연결유로(141)와 제3배출구(150)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배출 연결유로(151)가 서로 연결되고 배출 연결유로(141,151)들이 만나 밸브 바디(100)에 형성된 최종 배출구(16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최종 배출구(160)를 통해 밸브 바디(100)의 외부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연결유로(141,151)들이 만나 최종 배출구(160)에 연결되는 부분에 유동 가이드(180)가 형성되어, 상기 유동 가이드(180)에 의해 제2배출구(140)에서 배출되는 유체 및 제3배출구(150)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합류되는 지점에서 유체들이 최종 배출구(160)를 향하도록 유체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바디(100)에는 배출 연결유로(141,151)들이 서로 만나도록 합류되는 지점에서 최종 배출구(160)를 향하도록 유동 가이드(180)가 돌출 형성되어, 배출 연결유로(141,151)를 따라 배출되는 유체들이 최종 배출구(160)를 향해 만나면서 합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배출구(140)에서 배출되는 유체와 제3배출구(15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충돌을 줄일 수 있고, 제2배출구(140)에서 배출된 유체가 제3배출구(150)를 향해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제1탄성수단(410)에 의해 제3밀폐부(223)를 누르는 힘 이외에 제2배출구(140)에서 배출된 유체의 동압에 의한 힘이 제3밀폐부(223)에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리타더(50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바디(100)는 리타더(500)의 스테이터(520)가 내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터 하우징(570) 또는 로터(510)가 내부에 구비되는 로터 하우징(56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리타더(500)는 로터 하우징(560)과 스테이터 하우징(570)이 결합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로터(510) 및 스테이터(520)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밸브 바다(100)가 스테이터 하우징(57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으나 로터 하우징(560)과 일체형으로 밸브 바디(1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밸브 바디(100)를 별도로 형성하여 스테이터 하우징(570) 또는 로터 하우징(56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에 비해, 소형화 및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유로들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줄어들고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의 개소가 줄어들어 구성이 용이하며 작동 유체의 기밀 유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풀(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변위 조절 장치(300) 및 제2탄성수단(4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풀(20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스풀(200)의 일측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공압, 유압, 전자기력 및 기구적인 장치 등을 이용한 변위 조절 장치(3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풀(200)이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과 같은 제2탄성수단(4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탄성수단(4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밀폐부(222)와 구획부(17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제1밀폐부(221)와 중공부(101)의 상단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 조절 장치(300)는 공압, 유압, 전자기력 및 기구적인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스풀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공압 및 유압을 이용하는 경우 밸브 바디(100)의 중공부(101)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 스풀(200)의 상단을 공압 실린더나 유압 실린더 등을 연결하여 스풀(20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력을 이용하는 경우 스풀(200)의 상단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연결하여 스풀(20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구적인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스풀(200)에 결합되어 스풀(200)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액추에이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링크, 캠 및 스크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스풀(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변위 조절 장치(3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리타더의 비작동시(non-operating), 상기 제1유입구(110)로 유입된 유체는 제1유로(230) 및 제2배출구(1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밸브 바디(100)의 외부로 모두 배출되고, 상기 제1배출구(120) 및 제2유입구(130)는 폐쇄되어 리타더(500) 내부로의 유체의 유입 및 리타더(500) 외부로의 유체의 배출이 모두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리타더(500)의 비작동시에는 리타더(500) 내부로 작동 유체가 유입되지 않고 바이패스되어 유입된 유체의 전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리타더가 작동되되 충진량이 조절되어 작동 유체가 유체 리타더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우(controlled feeding), 상기 제1유입구(110)로 유입된 유체의 일부는 제1유로(230) 및 제1배출구(1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리타더(500) 내부로 유입되고 나머지 유체는 제1유로(230) 및 제2배출구(1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밸브 바디(100)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2유입구(130)는 리타더(500)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리타더(500) 내부의 유체가 제2유입구(130), 제2유로(240) 및 제3배출구(1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밸브 바디(100)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리타더(500)의 외부로 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리타더(500)의 내부로 작동 유체의 유량이 조절되어 유입되도록 하는 경우, 작동 유체의 일부는 리타더(500) 내부로 유입되고 나머지 유체는 바이패스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2유입구(130)는 리타더(500)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리타더(500) 내부에 채워진 유체의 양이도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체 리타더가 작동되되 제1유입구(110)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가 모두 유체 리타더(50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우(full feeding), 상기 제1유입구(110)로 유입된 유체는 제1유로(230) 및 제1배출구(1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리타더(500) 내부로 모두 유입되고, 상기 제2유입구(130)는 폐쇄되어 리타더(500) 외부로의 유체의 배출이 차단될 수 있다. 즉, 공급되는 모든 유체가 리타더(5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바이패스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유량이 없도록 제1유입구(110)와 제2배출구(120) 사이가 차단되며, 리타더(5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작동 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제2유입구(130)가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100 : 밸브 바디 101 : 중공부
110 : 제1유입구 120 : 제1배출구
130 : 제2유입구 131 : 제2유입 연결유로
140 : 제2배출구 150 : 제3배출구
141, 151 : 배출 연결유로 160 : 최종 배출구
170 : 구획부 180 : 유동 가이드
200 : 스풀
210 : 로드 211 : 하단부
220 : 밀폐부
221 : 제1밀폐부 222 : 제2밀폐부
223 : 제3밀폐부 223a : 밸브 시트
223b : 삽입홀
230 : 제1유로 240 : 제2유로
300 : 변위 조절 장치
410 : 제1탄성수단 420 : 제2탄성수단
500 : 리타더
510 : 로터 520 : 스테이터
530 : 작동 챔버 540 : 리타더 유입구
550 : 리타더 배출구 560 : 로터 하우징
570 : 스테이터 하우징

Claims (12)

  1. 차량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감속 토크를 발생시킴으로써 보조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제동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유체 리타더에 설치되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제1유입구, 제1배출구, 제2유입구, 제2배출구 및 제3배출구가 형성되는 밸브 바디; 및
    상기 밸브 바디의 중공부 내주면에 외주면이 밀착되어 구비되되 상기 밸브 바디의 중공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제1유로 및 제2유로가 형성되는 스풀; 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바디에는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측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배출구, 제1유입구, 제1배출구, 제3배출구 및 제2유입구가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스풀은 밸브 바디 중공부의 내경보다 작게 로드의 외경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에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측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제1밀폐부, 제2밀폐부 및 제3밀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밀폐부와 제2밀폐부에 의해 중공부가 각각 구획되어 상기 제1밀폐부와 제2밀폐부 사이에 제1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밀폐부와 제3밀폐부 사이에 제2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스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유입구는 제1유로를 통해 제2배출구에만 연결되고 상기 제1배출구 및 제2유입구는 폐쇄되거나,
    상기 제1유입구는 제1유로를 통해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와 함께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구는 리타더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어 제2유입구가 제3배출구와 연결 또는 연결이 차단되거나,
    상기 제1유입구는 제1유로를 통해 제1배출구에만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구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폐부 및 제2밀폐부의 외주면은 중공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밀폐부의 두께(T)는 제1배출구의 높이방향 폭(H)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구는 밸브 바디의 중공부 하단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밀폐부는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로드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3밀폐부가 중공부 하단에 밀착되어 제2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2밀폐부와 제3밀폐부 사이에 제1탄성수단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는 최종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외측에 제2배출구 및 제3배출구가 최종 배출구에 연결되도록 하는 배출 연결유로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연결유로들이 만나 최종 배출구에 연결되는 부분에 유동 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유동 가이드에 의해 제2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유체 및 제3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합류되는 지점에서 유체들이 최종 배출구를 향하도록 유체의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는 리타더의 스테이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터 하우징 또는 로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로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위치를 조절하는 변위 조절 장치 및 제2탄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조절 장치는 공압, 유압, 전자기력 및 기구적인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스풀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리타더의 비작동시,
    상기 제1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제1유로 및 제2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밸브 바디의 외부로 모두 배출되고,
    상기 제1배출구 및 제2유입구는 폐쇄되어 리타더의 내부로의 유체의 유입 및 리타더 외부로의 유체의 배출이 모두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리타더가 작동되되 충진량이 조절되어 작동 유체가 유체 리타더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제1유입구로 유입된 유체의 일부는 제1유로 및 제1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리타더 내부로 유입되고 나머지 유체는 제1유로 및 제2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밸브 바디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2유입구는 리타더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리타더 내부의 유체가 제2유입구, 제2유로 및 제3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밸브 바디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리타더의 외부로 유체가 배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리타더가 작동되되 제1유입구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가 모두 유체 리타더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제1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제1유로 및 제1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리타더 내부로 모두 유입되고,
    상기 제2유입구는 폐쇄되어 리타더 외부로의 유체의 배출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KR1020150131348A 2015-09-17 2015-09-17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KR101670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348A KR101670992B1 (ko) 2015-09-17 2015-09-17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348A KR101670992B1 (ko) 2015-09-17 2015-09-17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992B1 true KR101670992B1 (ko) 2016-11-01

Family

ID=5748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348A KR101670992B1 (ko) 2015-09-17 2015-09-17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9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4178B2 (ja) * 1994-05-27 2001-07-30 宣行 杉村 スプール型噴出防止弁
JP2001349448A (ja) * 2000-06-05 2001-12-21 Honda Motor Co Ltd スプール弁構造
JP3951325B2 (ja) * 1996-09-20 2007-08-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圧制御弁
KR20120106922A (ko) * 2010-02-05 2012-09-27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유체역학적 기계용 충전 제어 장치
KR20130132691A (ko) 2010-11-19 2013-12-05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유체역학적 리타더를 갖는 구동 트레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4178B2 (ja) * 1994-05-27 2001-07-30 宣行 杉村 スプール型噴出防止弁
JP3951325B2 (ja) * 1996-09-20 2007-08-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圧制御弁
JP2001349448A (ja) * 2000-06-05 2001-12-21 Honda Motor Co Ltd スプール弁構造
KR20120106922A (ko) * 2010-02-05 2012-09-27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유체역학적 기계용 충전 제어 장치
KR20130132691A (ko) 2010-11-19 2013-12-05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유체역학적 리타더를 갖는 구동 트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48854A2 (en) Servo-driving pilot-type solenoid valve
US8567443B2 (en) Spool-type selector valve
CA2005587C (en) Balanced servo-operated multiway valve
US20080054208A1 (en) Elbow plug external sleeve valve
WO2017073439A1 (ja) 流体制御弁
CN113236112B (zh) 一种液压凿岩机冲击缸的信号油输出结构
KR101188227B1 (ko) 3-방향 다목적 전환 밸브
US20140265546A1 (en) Vehicle brake device
KR101948335B1 (ko) 유압식 유닛
KR101197421B1 (ko) 우회 유로 및 보조 유로를 이용한 유로 제어 밸브
JP5730405B2 (ja) タンデムマスタシリンダのセカンダリピストンと、このようなセカンダリピストンを備えたマスタシリンダ
US10767787B2 (en) Electrically-driven flow rate control valve
KR101670992B1 (ko)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CN101959728A (zh) 具有aav稳定性的制动控制阀
EP3835600B1 (en) Hydraulic cylinder
US8549853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and pressure switch
WO2020109919A1 (ja) 車両用のブレーキシステムの液圧制御ユニット
KR101642308B1 (ko)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GB2494902A (en) Pressure compensating valve
CN103354788A (zh) 液压减速器
KR101642315B1 (ko) 유체 리타더의 충진 제어 장치
US10851902B2 (en) Cross-flow dual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using of the cross-flow dual valve
KR101662795B1 (ko) 유체 리타더
EP1839979A2 (en) Vehicular brake hydraulic control device
US20060158289A1 (en) Electromag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