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868B1 -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868B1
KR101670868B1 KR1020090120902A KR20090120902A KR101670868B1 KR 101670868 B1 KR101670868 B1 KR 101670868B1 KR 1020090120902 A KR1020090120902 A KR 1020090120902A KR 20090120902 A KR20090120902 A KR 20090120902A KR 101670868 B1 KR101670868 B1 KR 101670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ng
lngc
emergency stop
communication system
lng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354A (ko
Inventor
유경남
황치훈
유홍성
이상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86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4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for distribution of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C RV의 LNG 저장소(LNGC 또는 육상의 LNG 터미널)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LNGC RV와의 통신을 위해 LNG 저장소에 설치되는 제 1 통신시스템; 상기 LNGC RV와의 통신을 위해 LNG 가스 수요처에 설치되는 제 2 통신시스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과 통신을 하도록 상기 LNGC RV에 설치되는 제 3 통신시스템; 및 상기 LNGC RV에 설치되어, 상기 제 3 통신시스템과 통신하고, LNGC RV, LNG 저장소 및 LNG 가스 수요처에서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비상정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LNG 저장소로부터의 LNG 공급과 상기 LNGC RV로부터의 LNG의 재가스화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비상정지시스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비상정지상황이 발생시 LNG 저장소로부터의 LNG 공급 및 LNGC RV로부터의 LNG의 재가스화를 선택적으로 중단시킴으로써 장비의 재가동을 위해 소모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LNGC RV, LNG 저장소, LNG 가스 수요처, 통신 시스템, 비상정지시스템, 비상정지신호

Description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LNG storage facilities, LNG terminal and LNGC RV}
본 발명은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정지상황이 발생시 LNG 저장소로부터의 LNG 공급 및 LNGC RV로부터의 LNG의 재가스화 상태에 따라 비상정지상황을 분리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한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Liquified Natural Gas)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162℃의 초저온 상태로 냉각해서 그 부피를 6백분의 1로 줄인 무색 투명한 초저온 액체로 액화천연가스라고도 한다. 이러한 LNG는 에너지로 이용되기 위해서 생산 기지로부터 수요지까지 대량으로 수송할 수 있는 방안이 검토되었으며, 이를 위해 LNG의 해상수송을 위한 LNGC(LNG Carrier)가 개발되었다.
또한, LNG 수송와 함께 육상으로 LNG를 재가스화하여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LNGC RV(LNGC Regasification Vessel)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LNGC RV는 LNG를 수요처에 가까운 육상 터미널에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선박에서 직접 재가스화시켜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선박으로서, 가스 상태로 재가스화시키는 재가스화 플랜트를 선박에 설치하고 있어 LNG의 수송과 인수기지 역할을 겸할 수 있으며, 선박 또는 육지와의 통신을 위한 시스템이 마련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LNGC RV의 선박 및 육지간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LNGC RV의 선박 및 육지간 통신 시스템(1)은 LNGC RV(2)와의 통신을 위하여 LNG 저장소(3)(LNGC 또는 육상의 LNG 터미널)에 설치되는 제 1 통신시스템(5)과, LNGC RV(2)와의 통신을 위하여 육지의 LNG 가스 수요처(4)에 설치되는 제 2 통신시스템(6)과,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5, 6)과의 통신을 위하여 LNGC RV(2)에 설치되는 제 3 통신시스템(7)과, LNGC RV(2)의 비상정지상황을 감지하여 비상정지신호(ESD)를 제 3 통신시스템(7)을 통하여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5, 6)으로 전달하도록 LNGC RV(2)에 설치되는 비상정지시스템(emergency shutdown system; 8)을 포함한다. 상기 LNG 저장소(3)는 LNG를 LNGC RV(2)에 공급하는 곳으로, 육상에 설치되는 LNG 터미널이거나, 해상의 LNGC(LNG Carrier) 일 수 있다.
LNGC RV(2)는 LNG 저장소(3)로부터 LNG를 공급받음과 아울러 LNG를 재가스화 설비를 이용하여 재가스화시켜서 육지의 LNG 가스 수요처(4)로 하역한다. 이 때, 비상정지시스템(8)은 LNGC RV(2), LNG 저장소(3), 또는 LNG 가스 수요처(4)에서 비상정지상황이 발생시 출력되는 비상정지신호를 제 3 통신시스템(7)을 통하여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5, 6)과 상호 통신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LNGC(3)로부터의 LNG 공급 및 LNGC RV(2)로부터의 LNG 재가스화를 동시에 중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LNGC RV의 선박 및 육지간 통신 시스템(1)은 LNGC RV(2), LNGC(3) 또는 LNG 가스 수요처(4)에서 비상 정지를 요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비상정지시스템(8)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상정지신호가 제 3 통신시스템(7) 그리고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5, 6)을 통하여 LNGC RV(2)는 물론 LNGC(3) 및 LNG 가스 수요처(4)에 전송되도록 하며, LNG 매니폴드 및 재재가스화 매니폴드의 밸브 폐쇄 등 LNG 공급 및 재가스화 장치가 비상 정지(Emergency shutdown)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LNGC RV의 선박 및 육지간 통신 시스템(1)은 LNGC RV(2)가 LNG 저장소(3)로부터 LNG를 공급받음과 동시에 LNGC RV(2)가 LNG를 재가스화시켜서 LNG 가스 수요처(4)에 공급할 경우, 비상정지상황이 발생하면 LNG 저장소(3)로부터의 LNG 공급 및 LNGC RV(2)로부터의 LNG의 재가스화 모두 중단되고, 이로 인해 LNG 공급 및 LNG 재가스화를 위한 장비의 재가동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LNGC RV가 육상의 LNG 터미널 또는 LNGC로부터 LNG를 공급받음과 동시에 LNG를 재가스화하여 LNG 가스 수요처로 공급하는 경우 비상정지상황이 발생하더라도 LNG 공급 및 LNG 재가스화를 선택적으로 비상 정지할 수 있도록 한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 의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LNGC RV와, 상기 LNGC RV로 LNG를 공급하는 LNG 저장소와, LNGC RV로부터 재가스화된 LNG를 공급받는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을 위한 시스템은, 상기 LNGC RV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LNG 저장소에 설치되는 제 1 통신시스템; 상기 LNGC RV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LNG 가스 수요처에 설치되는 제 2 통신시스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과 통신을 하도록 상기 LNGC RV에 설치되는 제 3 통신시스템; 및 상기 LNGC RV에 설치되어, 상기 제 3 통신시스템과 통신하고, 상기 LNGC RV, 상기 LNG 저장소 또는 상기 LNG 가스 수요처에서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비상정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LNG 저장소로부터의 LNG 공급과 상기 LNGC RV로부터의 LNG의 재가스화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비상정지시스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정지시스템은 상기 LNGC RV에서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비상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 3 통신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통신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또는 제 2 통신시스템은 상기 LNG 저장소 또는 상기 LNG 가스 수요처에서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비상정지신호를 상기 제3 통신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3 통신시스템은 이를 상기 비상정지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NG 저장소는 육상의 LNG 터미널 또는 LNGC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상기 LNGC RV와 상기 LNG 저장소 간의 접안 상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정지시스템은 상기 모드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접안 상태 모드를 전달받고,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선택된 접안 상태 모드에 따라 상기 LNG 저장소로부터의 LNG 공급과 상기 LNGC RV로부터의 LNG의 재가스화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안 상태 모드는 LNGC RV가 연안에 접안하여 육상의 LNG 터미널로부터 LNG를 공급받는 육상 모드 또는 LNGC가 LNGC RV에 와서 LNG를 공급하는 해상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정지시스템은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선택된 접안 상태 모드에 따른 적절한 비상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 3 통신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통신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드선택부는, 상기 LNGC RV의 프로세스 라인을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카고의 로딩 및 언로딩 상태를 선택하는 통합 자동화 시스템에 마련되거나, 상기 LNGC RV의 제어 장비를 배치함과 아울러 카고의 로딩 및 언로딩 상태를 선택하는 카고 제어 콘솔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LNGC RV와, 상기 LNGC RV로 LNG를 공급하는 LNG 저장소와, LNGC RV로부터 재가스화된 LNG를 공급받는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을 위한 시스템은, 상기 LNGC RV에 설치되어, 상기 LNGC RV, 상기 LNG 저장소 또는 상기 LNG 가스 수요처에서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비상정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LNG 저장소로부터의 LNG 공급과 상기 LNGC RV로부터의 LNG의 재가스화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비상정지시스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NGC RV와 상기 LNG 저장소 간의 접안 상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정지시스템은 상기 모드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접안 상태 모드를 전달받고,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선택된 접안 상태 모드에 따라 상기 LNG 저장소로부터의 LNG 공급과 상기 LNGC RV로부터의 LNG의 재가스화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비상정지상황이 발생시 LNG 저장소로부터의 LNG 공급 및 LNGC RV로부터의 LNG의 재가스화를 선택적으로 중단시킴으로써 장비의 재가동을 위해 소모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LNGC RV와 LNG 저장소 간의 접안 상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비상정지시스템은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선택된 접안 상태 모드에 따라 적절히 상기 LNG 저장소로부터의 LNG 공급과 상기 LNGC RV로부터의 LNG의 재가스화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상황에 맞는 최적의 방법을 선택하여 장비의 재가동을 위해 소모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NGC RV의 LNG 저장소 및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LNGC RV의 LNG 저장소 및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100)은 LNGC RV(LNGC Regasification Vessel; 10)와 LNG 저장소(20) 및 LNG 가스 수요처(30) 간의 통신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 1 내지 제 3 통신시스템(110, 120, 130)과, 비상정지시스템(emergency shutdown system; 14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은 LNGC RV(10)와의 통신을 위해 LNG 저장소(20)에 설치된다. 상기 LNG 저장소(20)는 LNG를 LNGC RV(10)에 공급하는 곳으로, 육상에 설치되는 LNG 터미널이거나, 해상의 LNGC(LNG Carrier) 일 수 있다. 제 1 통신시스템(110)은 LNG 저장소(20)와 LNGC RV(10)가 비상정지신호를 상호 통신하도록 한다. 제 1 통신시스템(110)은 LNG 저장소(20)에서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비상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이를 3 통신시스템(130)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 2 통신시스템(120)은 LNGC RV(10)와의 통신을 위해 LNG 가스 수요처(30)에 설치된다. 상기 LNG 가스 수요처(30)는 LNGC RV(10)로부터 재가스화된 LNG를 공급받는 곳을 말한다. 제 2 통신시스템(120)은 LNG 가스 수요처(30)와 LNGC RV(10)가 비상정지신호를 상호 통신하도록 한다. 제 2 통신시스템(120)은 LNG 가스 수요처(30)에서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비상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이를 3 통신시스템(130)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 3 통신시스템(130)은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110, 120)과 통신을 하도록 LNGC RV(10)에 설치된다. 제 3 통신시스템(130)은 LNG RV(10)가 LNG 저장소(20) 또는 LNG 가스 수요처(30)와 비상정지신호를 상호 통신하도록 한다. 제3 통신시스템(130)은 제 1 또는 제 2 통신시스템(110, 120)으로부터 비상정지신호를 받으면, 이를 비상정지시스템(140)으로 전달한다.
상기 비상정지시스템(140)은 LNGC RV(10)에 설치되어 비상정지신호를 전달받는다. LNGC RV(10)에서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상기 비상정지시스템(140)은 비상정지신호(ESD1, ESD2)를 출력하여 제 3 통신시스템(130)을 통하여 LNG 저장소(20)의 제 1 통신시스템(110) 또는 LNG 가스 수요처(30)의 제 2 통신시스템(120)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관련 장비를 정지(shutdown)시킨다. 상기 비상정지시스템(140)은, LNG 공급 매니폴드를 폐쇄하여 LNG 저장소(20)로부터의 LNG 공급을 정지시키고, LNGC RV(10)의 재가스화 관련 장비를 정지시켜 LNG의 재가스화를 정지시킨다.
예를 들어, ESD1은 LNGC RV(10)가 LNG 저장소(20)로부터 LNG를 공급받으면서, LNG를 재가스화시켜 LNG 가스 수요처(30)로 공급하고 있을 때 출력되는 신호로서, LNG 저장소(20)로부터의 LNG 공급과 LNGC RV(10)로부터의 재가스화를 모두 정지시키게 된다.
ESD2는 LNGC RV(10)가 LNG 저장소(20)로부터 LNG를 공급받고 있는 경우 또는 LNG를 재가스화시켜 LNG 가스 수요처(30)로 공급하고 있는 경우 중의 어느 하나만 해당될 때에 출력되는 신호로서, LNG 저장소(20)로부터의 LNG 공급과 LNGC RV(10)로부터의 재가스화 중 어느 하나를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비상정지시스템(140)은, LNGC RV(10)가 LNG 저장소(20)로부터 LNG를 공급받음과 동시에 이를 재가스화시켜서 LNG 가스 수요처(30)로 하역하는 경우, LNGC RV(10)가 LNG 저장소(20)로부터 LNG를 공급만 받는 경우, LNGC RV(10)가 LNG를 재가스화시켜서 LNG 가스 수요처(30)로 하역만 하는 경우에 따라서 적절하게 관련 장비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는 관련 장비의 재가동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한다.
한편, LNGC RV(10)는 LNGC RV(10)와 LNG 저장소(20) 간의 접안 상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안 상태 모드는 예를 들어, LNGC RV(10)가 연안에 접안하여 육상의 LNG 터미널로부터 LNG를 공급받는육상 모드와, LNGC가 LNGC RV(10)에 와서 LNG를 공급하는 해상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선택부(150)는 LNGC RV(10)의 프로세스 라인(process line)을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카고의 로딩 및 언로딩 상태를 선택하는 통합 자동화 시스템(Integrated Automation System, IAS)에 마련되거나, LNGC RV(10)의 카고 제어 장비를 배치함과 아울러 카고의 로딩 및 언로딩 상태를 선택하는 카고 제어 콘솔(cargo control console)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모드선택부(150)는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모드를 비상정지시스 템(140)에 전달하고, 비상정지시스템(140)은 이를 다시 제 3 통신시스템(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모드선택부(150)는 선택된 모드를 비상정지시스템(140) 및 제 3 통신시스템(13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비상정지시스템(140)은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모드선택부(150)에 의해 선택된 접안 상태 모드, 즉 육상 모드 또는 해상 모드에 맞게 적절히 LNG 저장소(20)(육상 LNG 터미널 또는 LNGC)로부터의 LNG 공급과 LNGC RV(10)로부터의 재가스화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비상정지시스템(140)은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선택된 접안 상태 모드에 따른 적절한 비상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제 3 통신시스템(130)을 통하여 제 1 또는 제 2 통신시스템(110, 120)으로 전달한다.
상기에서 접안 상태 모드로서 육상 모드 및 해상 모드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접안 상태 모드는 LNGC RV(10)가 LNG 저장소(20)로부터 LNG를 공급받고, LNG 가스 수요처(30)로 공급하는 상황에 따라서 여러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접안 상태 모드는 모드선택부(150)에 의해 선택되고, 비상정지시스템(140)은 선택된 모드에 맞게 적절하게 LNG 저장소(20)로부터의 LNG 공급과 LNGC RV(10)로부터의 재가스화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어서, 상황에 맞는 최적의 방법을 선택하여 장비의 재가동을 위해 소모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NGC RV의 선박 및 육지간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 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LNGC RV의 LNG 저장소 및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NGC RV의 LNG 저장소 및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LNGC RV
20 : LNG 저장소
30 : LNG 가스 수요처
110 : 제 1 통신시스템
120 : 제 2 통신시스템
130 : 제 3 통신시스템
140 : 비상정지시스템
150 : 모드선택부

Claims (10)

  1. LNGC RV와, 상기 LNGC RV로 LNG를 공급하는 LNG 저장소와, LNGC RV로부터 재가스화된 LNG를 공급받는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LNGC RV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LNG 저장소에 설치되는 제 1 통신시스템;
    상기 LNGC RV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LNG 가스 수요처에 설치되는 제 2 통신시스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과 통신을 하도록 상기 LNGC RV에 설치되는 제 3 통신시스템; 및
    상기 LNGC RV에 설치되어, 상기 제 3 통신시스템과 통신하고, 상기 LNGC RV, 상기 LNG 저장소 또는 상기 LNG 가스 수요처에서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비상정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LNG 저장소로부터의 LNG 공급과 상기 LNGC RV로부터의 LNG의 재가스화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비상정지시스템;
    을 포함하되,
    상기 LNGC RV와 상기 LNG 저장소 간의 접안 상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정지시스템은 상기 모드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접안 상태 모드를 전달받고,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선택된 접안 상태 모드에 따라 상기 LNG 저장소로부터의 LNG 공급과 상기 LNGC RV로부터의 LNG의 재가스화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정지시스템은 상기 LNGC RV에서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비상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 3 통신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통신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통신시스템은 상기 LNG 저장소 또는 상기 LNG 가스 수요처에서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비상정지신호를 상기 제3 통신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3 통신시스템은 이를 상기 비상정지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NG 저장소는 육상의 LNG 터미널 또는 LNG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안 상태 모드는 LNGC RV가 연안에 접안하여 육상의 LNG 터미널로부터 LNG를 공급받는 육상 모드 또는 LNGC가 LNGC RV에 와서 LNG를 공급하는 해상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정지시스템은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선택된 접안 상태 모드에 따른 비상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 3 통신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통신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부는,
    상기 LNGC RV의 프로세스 라인을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카고의 로딩 및 언로딩 상태를 선택하는 통합 자동화 시스템에 마련되거나, 상기 LNGC RV의 제어 장비를 배치함과 아울러 카고의 로딩 및 언로딩 상태를 선택하는 카고 제어 콘솔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9. LNGC RV와, 상기 LNGC RV로 LNG를 공급하는 LNG 저장소와, LNGC RV로부터 재가스화된 LNG를 공급받는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LNGC RV에 설치되어, 상기 LNGC RV, 상기 LNG 저장소 또는 상기 LNG 가스 수요처에서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비상정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LNG 저장소로부터의 LNG 공급과 상기 LNGC RV로부터의 LNG의 재가스화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비상정지시스템;
    을 포함하되,
    상기 LNGC RV와 상기 LNG 저장소 간의 접안 상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정지시스템은 상기 모드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접안 상태 모드를 전달받고, 비상정지상황 발생시 선택된 접안 상태 모드에 따라 상기 LNG 저장소로부터의 LNG 공급과 상기 LNGC RV로부터의 LNG의 재가스화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10. 삭제
KR1020090120902A 2009-12-08 2009-12-08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KR101670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902A KR101670868B1 (ko) 2009-12-08 2009-12-08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902A KR101670868B1 (ko) 2009-12-08 2009-12-08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354A KR20110064354A (ko) 2011-06-15
KR101670868B1 true KR101670868B1 (ko) 2016-10-31

Family

ID=4439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902A KR101670868B1 (ko) 2009-12-08 2009-12-08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905A (ko) * 2019-08-21 2021-03-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재기화설비의 안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519B1 (ko) * 2013-08-21 2020-05-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2578400B1 (ko) * 2018-04-26 2023-09-14 한화오션 주식회사 Lng 핸들링 장비 및 재기화 장비의 통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995A (ja) * 2001-08-02 2003-02-21 Nippon Sanso Corp ガス供給方法
US20060076076A1 (en) 2004-10-01 2006-04-13 Darling Charles M Iv Method of unloading and vaporizing natural gas
KR100781868B1 (ko) * 2006-08-07 2007-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 및 그것의 운전 정지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995A (ja) * 2001-08-02 2003-02-21 Nippon Sanso Corp ガス供給方法
US20060076076A1 (en) 2004-10-01 2006-04-13 Darling Charles M Iv Method of unloading and vaporizing natural gas
KR100781868B1 (ko) * 2006-08-07 2007-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 및 그것의 운전 정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905A (ko) * 2019-08-21 2021-03-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재기화설비의 안전시스템
KR102233194B1 (ko) * 2019-08-21 2021-03-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재기화설비의 안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354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5068B2 (ja) 液化天然ガス(lng)の積込み及び積下しシステムを備えたlng運搬船
US10359229B2 (en)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commissioning system and method
CA2663060C (en) Transporting and managing liquefied natural gas
US8448673B2 (en) Transporting and transferring fluid
KR100676615B1 (ko)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670868B1 (ko) Lngc rv의 lng 저장소와 lng 가스 수요처 간의 통신 시스템
KR20130009460A (ko) 가스 및 전기 생산설비가 구비된 부유식 엘엔지 급유시설
NO20050856D0 (no) System og fremgangsmate for offshore lossing og regassifisering av LNG
KR200476889Y1 (ko) 카고 탱크의 가스 배출 장치
SG1850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lng cargo tanks
KR101246076B1 (ko)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KR102535973B1 (ko) Fsu 양방향 무어링 및 비상차단시스템 운용방법
KR20220000431A (ko) 하이브리드 화물창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138408B1 (ko) 선박
KR100701398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터릿에 설치되는 선체 변형 방지용 스프레이 장치 및 상기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한 선체 변형 방지 방법
KR102033535B1 (ko) Lng 운반선의 밸브 제어 시스템
KR101483463B1 (ko) 선박의 연안 액화공정 시험 방법
Lee et al. LNG regasification vessel-the first offshore LNG facility
CN114001272B (zh) 一种lng过驳作业bog管理系统
KR20190041228A (ko) 액화가스 재기화 선박 및 액화가스 재기화 선박과 액화가스 운반선 간의 비상제어방법
KR102215060B1 (ko) Lng 증발가스의 응축장치 및 제어방법
KR20090084355A (ko) 일점 계류된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각 제어방법 및 장치
KR20220004866A (ko) 엘엔지 탱크의 압력조절장치 및 압력조절방법
KR20240029679A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0447A (ko) Lng 재기화 시스템의 고압펌프 가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