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324B1 - Fork type parking system - Google Patents

Fork type park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324B1
KR101670324B1 KR1020160075929A KR20160075929A KR101670324B1 KR 101670324 B1 KR101670324 B1 KR 101670324B1 KR 1020160075929 A KR1020160075929 A KR 1020160075929A KR 20160075929 A KR20160075929 A KR 20160075929A KR 101670324 B1 KR101670324 B1 KR 101670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vehicle
frame
parking space
loa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완희
Original Assignee
류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완희 filed Critical 류완희
Priority to KR102016007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3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3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endless conveyor chains having load-carrying parts moving vertically, e.g. paternoster lifts also similar transport in which cells are continuously mechanically link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6Garages shaped as a wheel or drum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type parking facility having a vibration resistant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fork-type parking facility having a vibration resistant function, which comprises a vibration resistance unit between a horizontal frame and a vertical frame making up a loading device to attenuate vibration produced in all directions by an external force by the vibration resistance unit to maintain a vehicle in a stably hous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k-type parking facility having a vibration resistant function uses a lift transport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a middle passage by a drive device and a fork formed on a loading device arranged in a parking space to house a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and comprises: a structure having the parking space and the middle passage connected to the parking space by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extend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transverse movement frame extended to a left and a right side; the lift which is trans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iddle passage by the drive device and transfers a vehicle arranged on an upper portion of a transport fork to each floor; the loading device which has a loading fork to cross the transport fork, is guided by the transverse movement frame, reciprocates between the middle passage and the parking space, and receives the vehicle from the lift in the middle passage to house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and a vibration resistance unit which is disposed on the loading device and attenuates an external force transferred to the vehicle housed in the loading device.

Description

내진기능이 구비된 포크식 주차설비{FORK TYPE PARKING SYSTEM}[0001] FORK TYPE PARKING SYSTEM [0002]

본 발명은 내진기능이 구비된 포크식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장치를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 사이에 내진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전방향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내진부로 인해 감쇠됨에 따라, 안정되게 차량의 격납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내진기능이 구비된 포크식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type parking facility provided with an earthquake-proof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thquake-proof parking facility provided with an earthquake-proof portion between a horizontal frame and a vertical frame constituting a loading device, The invention relates to a fork-type parking system equipped with an earthquake-proof function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a vehicle's stored state as the vehicle is damped by the vehicle.

자동차가 대중적으로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자동차 이용률 및 보급률이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 보급률의 증가와 함께 자동차 관련 시설에 대한 필요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이용의 증가로 인해 가장 중요하게 거론되는 이슈 중 하나가 주차에 관한 것이다.As automobiles become popular, automobile utilization rate and penetration rate are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With the increase of automobile penetration rate, the need for automobile related facilities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In particular,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to be addressed due to the increased use of cars is about parking.

번화한 도시와 같이, 자동차 이용 인구가 많은 곳에서는 주차 문제로 인해 이용자 간의 다툼이 발생하거나 주차 공간이 부족하여 불법 주차를 하는 등 개인의 문제에서 나아가 사회 전반의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As in the busy city, where there is a large number of people using the car, there is a dispute among the users due to the parking problems, parking spaces are short, and illegal parking is being don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여러 기계식 주차설비가 개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협소한 공간에 효율적으로 많은 수의 자동차를 주차시킬 수 있는 타워형 주차설비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recently, various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capable of efficiently providing a parking space have been disclosed. Among them, a tower parking facility capable of efficiently parking a large number of cars in a narrow space is often used .

타워형 주차설비는 지상 또는 지하에 걸쳐서 높게 구축되는 타워 내부에 주차 설비를 갖춘 형태로, 중앙에 형성된 리프트가 상하방향으로 왕복하면서 각 층의 주차공간에 대기하고 있던 횡이동 장치로 차량을 공급하거나 인출함에 따라 주차 및 출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tower type parking facility is equipped with parking facilities inside a tower which is built high over the ground or underground, and the lift formed at the center is recipr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hicle is supplied or withdrawn by the lateral movement device waiting in the parking space of each floor Parking and departure should be done as soon as possible.

이러한 타워형 주차설비는 크게 파레트 타입과 포크타입으로 양분할 수 있는데, 파레트 타입은 파레트의 상부에 차량이 배차된 상태로 파레트를 주차 공간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주차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포크타입은 리트트와 대차에 형성된 포크를 이용하여 차량을 주차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포크타입은 별도의 파레트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장치의 구조가 심플하고 작동시간이 단축되며 유지관리비가 절약되는 등의 장점으로 많이 설치되고 있다. Such a tower type parking facilit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pallet type and a fork type. In the pallet type, parking is carried out by moving the pallet to the parking space with the vehicl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llet. Since the fork typ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allet, the structure of the fork type is simple, the operation time is shortened, and the maintenance cost is saved. have.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크타입 주차설비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0257113호가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0257113 disclose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a fork-type parking facility.

종래의 포크타입 주차설비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용접되는 포크고정판과, 포크고정판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포크를 가지는 포크조립체로 구성됨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쉽게 차량을 주차공간으로 격납하도록 한다. The conventional fork type parking facility is composed of a frame, a fork fixing plate welded to the frame, and a fork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forks fixed to the fork fixing plate, so that the vehicle can be easily stored in the parking space with a simple structure.

그러나, 우리나라는 판과 판의 경계면에 위치함에 따라, 빈번하게 지진이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포트타입 주차설비는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을 감쇠할 수 있는 내진부가 구비되지 않음으로 인해, 강도가 높은 지진의 발생시, 격납된 위치에서 차량이 이탈되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despite the frequent occurrence of earthquakes in Korea due to its location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plate and the plate, the conventional port type parking facility is not equipped with a seismic portion capable of attenuating an external shock such as an earthquake,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a high earthquake occurs, an accident occurs in which the vehicle is detached from the stored position and falls down.

KR 10-0257113 (B1) 2000. 02. 28.KR 10-0257113 (B1) 2000. 02. 28.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재장치를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 사이에 내진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전방향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내진부로 인해 감쇠됨에 따라, 차량이 안정적으로 격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내진기능이 구비된 포크식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i-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k-type parking facility provided with an earthquake-proof function that allows a vehicle to be stably stored as the vibration is attenuated due to seepage.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재장치에 구비된 내진부가 여러 차례에 걸쳐서 진동을 감쇠함에 따라, 격납된 차량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는 내진기능이 구비된 포크식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k-type parking facility equipped with an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that minimizes vibration transmitted to a stored vehicle as the vibration-damping part of the earthquake-proof part provided in the loading device attenuates the vibration several time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진기능이 구비된 포크식 주차설비는 구동장치에 의해 중앙통로의 상하로 이송되는 리프트와 각 주차공간에 배치되는 적재장치의 각각에 형성된 포크를 이용하여 차량을 각 주차공간으로 격납하도록 이루어지는 포크식 주차설비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지지 프레임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횡이동 프레임에 의해, 주차공간 및 상기 주차공간과 연통되는 중앙통로가 형성되는 구조체;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중앙통로의 상하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이송포크의 상부에 배치된 차량을 각 층으로 전달하는 리프트; 상기 이송포크와 엇갈리도록 적재포크가 형성되고, 상기 횡이동 프레임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중앙통로와 주차공간 간을 왕복 운동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통로에서 상기 리프트로부터 차량을 전달받아 각 주차공간으로 격납하도록 이루어지는 적재장치; 및 상기 적재장치에 구비되며, 상기 적재장치에 격납된 차량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감쇠하는 내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rk-type parking facility equipped with an earthquake-proof function, comprising: a drive unit for moving a vehicle by using a fork provided on each of lifts, A fork-type parking facility for storing a parking space and a central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parking space by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movement frame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 A lift for transferring a vehicl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fork to each layer while being transferr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center passage by a drive device; A load fork is formed so as to be staggered with the transporting fork and is guided by the transverse moving frame and is reciprocated between the center passage and the parking space and receives the vehicle from the lift in the center passage, A loading device configured to store therein; And an earthquake-resistant portion provided in the loading unit, for damping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vehicle stored in the loading unit.

한편, 상기 적재장치는,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 간을 연결하되, 상기 리프트로부터 차량을 전달받는 적재 포크가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평 프레임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횡이동 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횡이동 프레임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이송레일을 포함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oading device includes a pair of horizontal frames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vertical fram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onnecting the horizontal frames, wherein a vertical fork is formed to receive a vehicle from the lift; And a conveyance rail coupled to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horizontal frames, respectively, and disposed in the lateral movement frame, the movement of which is guided by the lateral movement frame.

한편, 상기 내진부는, 일측 끝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측 끝단부가 상기 수평 프레임과 결합되는 내진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과 내진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The earthquake-resistant portion may include an earthquake-resistant frame having one end portion disposed below the vertical frame and the other end portion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And an elastic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the earthquake-resistant frame for damping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vertical frame.

이때, 상기 내진 프레임(410)의 일측 끝단부는, 상기 적재포크의 길이방향 최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At this time, one end of the earthquake-resistant frame 410 is formed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mos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fork.

한편, 상기 내진부(E)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상지지부; 상기 상지지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지지부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지지부;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일측이 상기 수직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지지부 및 하지지부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 1연결부;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일측이 상기 수평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지지부 및 하지지부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 2연결부; 및 상기 상지지부 및 하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제 2스프링을 포함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al portion E includes an upper portion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 supporting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and disposed parallel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A first connecting part formed of a pair of plates, one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vertical fram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upper and lower legs; A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med of a pair of plates, one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upper and lower leg portions; And a second spring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and the lower supporting portion.

이때, 상기 내진부는는, 복수 개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자라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earthquake-proof portions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formed in a zebra shape.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장치에 구비된 제 1내진부 및 제 2내진부에 의해, 적재장치에 격납된 차량으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 등의 외력이 감쇠됨에 따라, 적재장치에 격납된 차량이 기울어지거나 격납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xternal force such as shock and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vehicle stored in the loading device is attenuated by the first dustproof portion and the second dustproof portion provided in the loading device, the vehicle stored in the loading device tilts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a phenomenon of being separated from a stored or stored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내진부가 여러 차례에 걸쳐서 격납된 차량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감쇠함에 따라, 적재장치에 격납된 차량이 더욱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ehicle stored in the loading device can maintain a more stable state as the first earthquake-proof portion attenuates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vehicle stored several tim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의 구조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내진부의 분해 사시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 structure of a fork-typ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forked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ti-corrosio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of an anti-seiz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dustproof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내진기능이 구비된 포크식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장치(300)가 차량을 주차공간(P)으로 격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거나, 자연현상 또는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내진부(E)에 의해 감쇠됨에 따라 격납된 차량이 안정된 주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내진기능이 구비된 포크식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type parking facility provided with an earthquake-proof function, in which a vibration generated by a loading device (300) in a process of storing a vehicle in a parking space (P) or caused by a natural phenomenon or an external force, And an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for maintaining a stable parking state of the stored vehicle when the vehicle is decelerated by the vehicle E,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적재장치(30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모두 외력으로 지칭하며, 내진부(E)의 실시예에 따라 제 1내진부(400) 및 제 2내진부(500)로 지칭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vibration and impact transmitted to the loading device 300 are referred to as external forces. The first and second dust-proof parts 400 and 500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 구조체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의 일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부의 사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fork type parking facili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fork typ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ti-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구동장치(210)에 의해 중앙통로(W)의 상하로 이송되는 리프트(200)와, 각 주차공간(P)에 배치되는 적재장치(300)의 각각에 형성된 포크를 이용하여, 차량을 각 주차공간(P)으로 수납하도록 이루어지는 포크방식을 이용한 주차설비로서, 크게 구조체(100), 리프트(200), 적재장치(300) 및 내진부(E)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 200 to be vertically transported by the drive unit 210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entral passage W, The lift 200, the loading device 300, and the dust-proofing portion E are provided as a parking facility using a fork system in which a vehicle is stored in each parking space P by using a fork .

상기 구조체(100)는 주차설비를 구성하는 몸체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지지 프레임(110)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횡이동 프레임(120)에 의해, 주차공간(P) 및 상기 주차공간(P)과 연통되는 중앙통로(W)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The structure 100 serves as a body for constructing a parking facilit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10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 lateral movement frame 120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central passage (W) communicating with the parking space (P) is formed.

부연하면, 상기 중앙통로(W)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상기 주차공간(P)이 형성되도록 하나의 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 의해 주차공간(P)과 중앙통로(W)가 구획되고, 상기 횡이동 프레임(120)에 의해 복수 개의 층이 구획된다.
One layer i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passage W so as to form the parking space P. The parking space P and the central passage W And the plurality of layers are partitioned by the transverse moving frame 120. [

상기 리프트(200)는 구동장치(210)에 의해 상기 중앙통로(W)의 상하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이송포크(240)의 상부에 배치된 차량을 각 층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The lift 200 is transferred by the driving device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entral passage W so that the vehicle disposed on the transfer fork 240 is transferred to each layer.

이때, 상기 리프트(2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바(220)와 상기 지지바(220)의 양끝단부에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롤러바(230) 및 상기 지지바(220)의 마주보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이송포크(2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lift 200 includes a pair of support bars 220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roller bar 230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220, And a conveying fork 240 protruding in a facing inward direction of the conveying fork 240.

이에 따라, 상기 이송포크(240)에 차량의 바퀴가 적재되면, 상기 구동장치(21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롤러바(230)가 상기 중앙통로(W)를 형성하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 형성된 레일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송된다. Accordingly, when the wheels of the vehicle are loaded on the conveyance fork 240, the roller bar 230 moves along the support frame 110, which forms the central passage W, While being guided by the rails formed in the guide rails.

이때, 상기 구동장치(210)의 동작원리 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since the operation principle and the like of the driving device 210 are alread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적재장치(300)에는 상기 이송포크(240)와 엇갈리도록 적재포크(340)가 형성되고, 상기 횡이동 프레임(12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중앙통로(W)와 주차공간(P) 상호 구성 간을 왕복 운동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통로(W)에서 상기 리프트(200)로부터 차량을 전달받아 각 주차공간(P)으로 수납하도록 이루어진다. A loading fork 340 is formed in the loading device 300 so as to be offset from the transfer fork 240. The loading fork 340 is guided by the lateral moving frame 120 in the left- And the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lift 200 in the central passage W and stored in each parking space P.

이때, 상기 적재장치(300)는 복수 개의 각 주차공간(P)에 각각 배치된 상태이며, 해당 주차공간(P)에 격납이 필요한 경우 상기 중앙통로(W)로 이동되어, 상기 리프트(200)로부터 차량을 전달받아 상기 주차공간(P)으로 격납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loading device 300 is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P, and when the parking space P needs to be stored, the loading device 300 is moved to the central passage W, And stores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P).

한편, 상기 적재장치(300)는 수평 프레임(310), 수직 프레임(320) 및 이송레일(3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Meanwhile, the loading apparatus 300 includes a horizontal frame 310, a vertical frame 320, and a transfer rail 330.

상기 수평 프레임(31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이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수평 프레임(310)은 중량을 더욱 가볍게 하기 위해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The horizontal frame 310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pair of the horizontal frames 310 are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is time, the horizontal frame 310 is formed to have a hollow pipe shape for lighter weight.

상기 수직 프레임(32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한 쌍이 상기 수평 프레임(310) 간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리프트(200)로부터 차량을 전달받는 적재포크(3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 프레임(320)은 높은 강도를 갖되, 이후 후술할 제 1내진부(400) 및 상기 제 2내진부(500)와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H형 강재로 이루어지며, 양끝단부가 폐쇄된 형태로 형성된다. The vertical frame 320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pair of the horizontal frames 3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loading fork 340 is formed to receive the vehicle from the lift 200. At this time, the vertical frame 320 has a high strength and is made of an H-shaped steel material so as to firmly fix the first dustproof portion 400 and the second dustproof portion 500, And is formed in a closed form.

상기 이송레일(330)은 상기 한 쌍의 수평 프레임(310)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횡이동 프레임(120)에 배치되며, 상기 횡이동 프레임(120)에 의해 이동이 안내된다. 이때, 상기 이송레일(330)을 구동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이는 좌우방향으로 물체를 이송하는 동작원리에 의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conveying rail 330 is coupled to the outer sides of the pair of horizontal frames 310 and is disposed on the transverse moving frame 120 and is guided by the transverse moving frame 120. At this time, the apparatus for driving the conveying rail 330 is not shown, but it is based on an operation principle of conveying the objec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내진부(E)는 차량이 상기 적재장치(300)에 의해 이송되거나 주차된 상태에서 외부환경 변화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진동을 감쇠하여 상기 적재장치(300)에 배치된 차량이 일정한 기울기를 유지함에 따라, 차량이 안정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The vibration damping part E damps vibrations when the vehicle is being transported or parked by the loading device 300 and vibrations are generated due to a change in the external environment, As the tilt is maintained, the vehicle is maintained in a stable position.

이를 위해, 상기 내진부(E)는 상기 적재장치(300)로 전달되는 외력을 감쇠하기 위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 1내진부(400) 또는 제 2내진부(500)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1내진부(400)와 제 2내진부(500)를 포함하여 형성되도록 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For this purpose, the dustproof portion E may be variously applied to damp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loading device 300, and specifically, the first dustproof portion 400 or the second dustproof portion 500 Or may be formed to include the first rim portion 400 and the second rim portion 500,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주차설비 내에 격납된 차량이 외부환경 변화시에, 상기 적재장치(300)에서 이탈되어 추락하는 등의 사고 없이 안정적으로 격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vehicle stored in the parking facility to stably store the vehicle without an accident such as falling out of the loading device 300 and falling when the outside environment changes.

부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판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지진의 발생 횟수가 예전보다 더욱 빈번하며, 높은 강도를 갖는 지진이 예전보다 더욱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진도가 강한 지진의 경우, 건물이 휘청거릴 정도의 충격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외부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격납된 차량이 상기 적재장치(30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내진부(E)에 의해 여러방향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함으로써, 차량이 일정한 격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Korea i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plate, earthquakes occur frequently. In recent year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arthquakes is more frequent than in the past, and earthquakes with high strength are generated more frequently than before. In the case of a strong earthquake, an impact is generated so that a building may wobble. If such an external shock is generated, a stored vehicle may be detached from the loading device 300. Therefore, By damping vibrations generated in various directions by the sealsection E, the vehicle is kept in a constant containment state.

아울러, 차량을 주차공간(P)으로 격납하기 위해 상기 적재장치(300)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내진부(E)가 감쇠함에 따라, 안정된 상태로 차량의 격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addition, as the vibration proof portion E attenuates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loading device 300 to store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P, the vehicle is stored in a stable stat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내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nti-corrosiv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anti-corrosiv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효과를 발현하기 위해, 상기 내진부(E)는 제 1내진부(400) 또는 제 2내진부(500)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1내진부(400) 및 상기 제 2내진부(500)가 포함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The seal portion E may be formed of the first dustproof portion 400 or the second dustproof portion 500 or may be formed of the first dustproof portion 400 and the second inner seal portion 500.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So that the genuine part 500 is included and formed.

상기 제 1내진부(400)는 상기 수평 프레임(310)과 수직 프레임(320) 사이에 구비되며, 내진 프레임(410) 및 탄성부(4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The first dustproof part 400 is provide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310 and the vertical frame 320 and includes an anti-vibration frame 410 and an elastic part 420.

상기 내진 프레임(410)은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수직 프레임(32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수평 프레임(310)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내진 프레임(410)은 높은 강도를 갖도록 H형 또는 ㄷ형 강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본 발명에서는 H형 강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The vibration proof frame 410 is formed of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vibration proof frame 41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310 with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ing disposed below the vertical frame 320. At this time, the earthquake-resistant frame 410 is made of H-shaped or U-shaped steel so as to have high strength, and is made of H-shaped steel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탄성부(420)는 상기 수직 프레임(320)과 내진 프레임(4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적재장치(300)의 동작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하도록 한다. The elastic part 420 is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320 and the earthquake-resistant frame 410 to damp vibration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loading device 300 or the external environment.

상기 탄성부(420)는 상기 수직 프레임(320)과 내진 프레임(410) 사이에서 진동을 감쇠하기 위해서, 베이스(421), 하우징(422), 내진블럭(424), 제 1스프링(S), 고정캡(426) 및 내진 샤프트(427)를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elastic part 420 includes a base 421, a housing 422, an earthquake-proof block 424, a first spring S, and a second spring 424 for attenuating vibrations between the vertical frame 320 and the earthquake- A fixed cap 426 and an earthquake-resistant shaft 427. [

상기 베이스(421)는 상기 수직 프레임(320)의 상면에 앵커 볼트 등의 결합부재(C)에 의해 고정된다. The base 421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20 by a coupling member C such as an anchor bolt.

이때, 상기 베이스(421)는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갖는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320)과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복수 개의 결합부재(C)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421)가 사각형인 경우, 베이스(421)의 각 코너에 결합부재(C)를 배치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421)가 원통형인 경우, 상기 결합부재(C)가 상기 베이스(421)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base 421 is formed of plates having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and can be coupled by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C to firmly fix the frame to the vertical frame 320. For example, when the base 421 is rectangular, a coupling member C is disposed and fixed to each corner of the base 421. When the base 421 is cylindrical, Are radially disposed and fix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421. [

상기 하우징(422)은 상면 중심부에 관통홈(423)이 형성되되, 하방이 개방되는 원통형의 함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421)의 상부에 구비되며, 후술할 상기 제 1스프링(S) 및 내진 샤프트(427)가 한정된 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동작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The housing 422 is formed as a cylindrical housing with a through hole 423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opened downward. The housing 422 is provided on the base 421, And functions to limit the operation range so that the earthquake-proof shaft 427 can move only within a limited range.

상기 내진블럭(424)은 탄성력이 있는 재질, 구체적으로는 고무, 압축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중심부에 결합홈(425)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422) 내부의 상기 베이스(421) 상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내진블럭(424)은 상기 베이스(421)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421)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1차로 감쇠하도록 한다. The earthquake-proof block 424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pecifically, rubber, compressed rubber, elastomer or the like, and has a coupling groove 425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base 421 . At this time, the earthquake-proof block 424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421 so that the impact transmitted through the base 421 is firstly attenuated.

상기 제 1스프링(S)은 상기 하우징(422) 내부에 구비되되, 하단부가 상기 내진블럭(424)의 결합홈(425)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내진블럭(424)에 의해 감쇠되지 못한 충격 및 진동을 2차로 감쇠하도록 한다. The first spring S is installed in the housing 422 and its lower end is seated and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425 of the vibration-isolating block 424, and the shock that is not attenuated by the vibration- The vibration is secondarily attenuated.

상기 고정캡(426)은 원형캡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422)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 1스프링(S)의 상단부가 상기 고정캡(426)과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캡(426)의 직경은 상기 관통홈(423)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426)이 상기 하우징(422)의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The upper end of the first spring S is fixed to the fixed cap 426. The fixed cap 426 is formed in a circular cap shape.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fixed cap 426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423, so that the fixed cap 426 is not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422.

상기 내진 샤프트(427)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관통홈(423)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캡(426)과 고정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결합부재(C)에 의해 상기 수직 프레임(320)의 하측 플랜지에 고정 결합된다.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earthquake-proof shaft 427 is formed by a coupling member C in a state where a bottom end portion of the earthquake-proof shaft 427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423 and is fixed to the fixed cap 426,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flange of the vertical frame 320.

이때, 상기 내진 샤프트(427)의 상단부는 볼트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C)가 상기 수직 프레임(320)의 하측 플랜지 상하방향에서 볼팅됨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320)과 고정 결합되도록 하되, 탄성력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428)가 상기 수직 프레임(320)의 하측 플랜지와 상기 결합부재(C)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C)가 볼팅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vibration-proof shaft 427 is fixedly coupled with the vertical frame 320 as the bolt-shaped coupling member C is bolted in the lower flange of the vertical frame 320, The coupling member C is bolted while the coupling member 428 made of a material is inserted between the lower flange of the vertical frame 320 and the coupling member C.

상기 연결부재(428)는 고무, 압축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높은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되, 중심부를 관통하는 홈이 형성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320)과 결합부재(C) 사이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320)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3차로 감쇠하게 된다.The connection member 428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elasticity such as rubber, compression rubber or elastomer and is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a groove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rtion.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vertical frame 320 is thirdly attenuated.

한편, 상기 내진 샤프트(427)의 하단부 또한 볼트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C)가 상기 고정캡(426)의 상하방향에서 볼팅됨에 따라, 상기 내진 샤프트(427)와 고정캡(426)이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As the engaging member C consisting of the lower end of the earthquake-proof shaft 427 and the bolt is bol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ed cap 426, the earthquake-proof shaft 427 and the fixed cap 426 are fixedly coupled do.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제 1내진부(400)는 외부에서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내진블럭(424)이 1차로 진동을 감쇠하게 되고, 감쇠되지 않은 진동이 상기 제 1스프링(S)으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제 1스프링(S)이 인장 또는 압축됨과 동시에 내진 샤프트(427)가 전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2차로 진동을 감쇠하게 되며, 이후 감쇠되지 않은 나머지 진동을 상기 연결부재(428)에서 3차로 감쇠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vibration is externally applied to the first dust-proof part 400, the vibration-proof block 424 is firstly damped, and the undamped vibration is absorbed by the first spring S, The first shaft S is tensioned or compressed, and at the same time, the vibration-proof shaft 427 is til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o thereby attenuate the vibration of the second vibration. Thereafter, To be attenuated by a third order.

즉, 상기 제 1내진부(400)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여러 단계에 걸쳐서 감쇠함으로써, 적재장치(300)에 격납된 차량이 계속해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That is, the first dustproof part 400 attenuates shocks and vibration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rough several steps, thereby keeping the vehicle stored in the loading device 300 in a stable state.

한편, 상기 제 2내진부(500)는 상지지부(510), 하지지부(520), 제 1연결부(530), 제 2연결부(540) 및 제 2스프링(S)을 포함하는 6각 링크형태로 형성된다.The second dustproof part 500 includes a hexagonal link shape including an upper support part 510, a retainer part 520, a first connection part 530, a second connection part 540 and a second spring S .

상기 상지지부(510)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지지부(520)는 상기 상지지부(51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플레이트의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upper support part 5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la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the retainer part 520 is form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pport part 510, And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상기 제 1연결부(530)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는 한 쌍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수직 프레임(320)과 힌지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상지지부(510) 및 하지지부(520)와 각각 힌지 결합된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530 is formed of a pair of plat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hinged to the vertical frame 320, and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hinge- Respectively.

상기 제 2연결부(540)는 상기 제 1연결부(53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수평 프레임(310)과 힌지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상지지부(510) 및 하지지부(520)와 각각 힌지 결합된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540 is form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30 and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hinged to the horizontal frame 310 and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hinged to the upper side support portion 510, And the rest portion 520, respectively.

상기 제 2스프링(S)은 상기 상지지부(510) 및 하지지부(5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지지부(510)와 하지지부(520)를 연결하도록 한다.The second spring S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lders 510 and 520 to connect the upper and lower holders 510 and 520 with each other.

즉, 상기 제 2내진부(500)는 각 구성이 모두 힌지 결합된 6각 링크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가해지는 충격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연결부(530) 및 제 2연결부(540)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충격 또는 진동을 감쇠하도록 한다. That is, the second dustproof portion 5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exagonal link in which all the components are hinged together,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3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540 are opened To be damped by impact or vibration.

부연하면, 상기 적재장치(300)가 이동되거나 외부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수직 프레임(320) 및 상기 수평 프레임(310)은 관성에 의해 외력방향으로 이동하려 하게 되는데, 이때, 전달되는 외력방향에 따라 상기 제 2스프링(S)이 인장 또는 수축됨과 동시에 상기 제 1연결부(530) 및 제 2연결부(540)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짐으로써, 상기 적재장치(300)에 격납된 차량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쇠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적재장치(300)에 격납된 차량은 최초 격납된 위치에서 이동되지 않고, 안정되게 격납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loading device 300 is moved or an external shock is generated, the vertical frame 320 and the horizontal frame 310 are moved in an external force direction by inertia. At this time, The second spring S is stretched or contracted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53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540 are opened or closed so that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vehicle stored in the loading device 300 . Accordingly, the vehicle stored in the loading device 300 is not moved at the position where the vehicle is initially stored, and the vehicle stably stored is maintained.

이때, 상기 제 2내진부는 복수 개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자라바 형태(미도시)로 형성되어, 외력의 감쇠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second earthquake-proof portions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zigzag (not show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damping efficiency of the external force can be further increased.

즉, 본 발명은 상기 제 1내진부(400) 및 제 2내진부(500)에 의해, 상기 적재장치(300)에 격납된 차량으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 등의 외력이 감쇠됨에 따라, 상기 적재장치(300)에 격납된 차량이 기울어지거나 격납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That is, as the external force such as shock and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vehicle stored in the loading device 300 is attenuated by the first dustproof portion 400 and the second dustproof portion 500,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phenomenon that the vehicle stored in the device 300 is deviated from the inclined or stored position.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지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내진부(500)는 상기 수평 프레임(310) 및 수직 프레임(320) 사이에 구비되고 있는 바, 상기 적재포크(340)에 적재된 차량이 배치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arthquake is actively occurring in Korea, the second dirt part 500 is provide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310 and the vertical frame 320, and the loading fork 340 May be separat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vehicle loaded on the vehicle is placed.

따라서, 상기 제 1내진부(400)는 이탈된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 내진 프레임(410)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부가 상기 적재포크(340)의 길이방향 최외측에 인접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support the wheel of the separated vehicle, the first damping portion 400 is formed such that one longitudinal end of the earthquake-resistant frame 410 is adjacent to the outermos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fork 340 .

이에 따라, 상기 적재포크(340)에 적재된 차량이 큰 충격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차량의 바퀴가 이탈되는 경우, 차량의 바퀴가 상기 내진 프레임(420)에 안착됨에 따라, 차량이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한다. Accordingly, when the vehicle loaded on the loading fork 340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due to a large impact and the wheels of the vehicle are detached, as the wheels of the vehicle are seated on the seismic frame 420, Prevent accidents.

즉, 상기 내진 프레임(410)은 일측 끝단부가 상기 적재포크(340)의 하부를 가리지 않으면서 상기 적재포크(34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바, 차량의 추락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리프트(200)로부터 차량을 용이하게 인가받도록 한다.
That is, the end portion of the earthquake-resistant frame 4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ading fork 340 without cover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fork 340, So that the vehicle can be easily received from the vehicl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구조체 110 : 지지 프레임
120 : 횡이동 프레임
200 : 리프트 210 : 구동장치
220 : 지지바 230 : 롤러바
240 : 이송포크
300 : 적재장치 310 : 수평 프레임
320 : 수직 프레임 330 : 이송레일
340 : 적재포크
400 : 제 1내진부
410 : 내진 프레임 420 : 탄성부
421 : 베이스 422 : 하우징
423 : 관통홈 424 : 내진블럭
425 : 결합홈 426 : 고정캡
427 : 내진 샤프트 428 : 연결부재
500 : 제 2내진부 510 : 상지지부
520 : 하지지부 530 : 제 1연결부
540 : 제 2연결부
C : 결합부재 E : 내진부
S : 제 1스프링, 제 2스프링
P : 주차공간 W : 중앙통로
100: Structure 110: Support frame
120: lateral movement frame
200: lift 210: driving device
220: support bar 230: roller bar
240: Feeding fork
300: Loading device 310: Horizontal frame
320: Vertical frame 330: Feed rail
340: Loading fork
400: First abrasion
410: Seismic frame 420: Elastic part
421: base 422: housing
423: through groove 424: earthquake-proof block
425: coupling groove 426: fixed cap
427: earthquake-proof shaft 428: connecting member
500: second proof part 510: upper part
520: notched portion 530: first connection portion
540: second connection portion
C: joint member E: abrasion resistance
S: first spring, second spring
P: Parking space W: Central railway

Claims (6)

구동장치(210)에 의해 중앙통로(W)의 상하로 이송되는 리프트(200)와 각 주차공간(P)에 배치되는 적재장치(300)의 각각에 형성된 포크를 이용하여 차량을 각 주차공간(P)으로 격납하도록 이루어지는 포크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지지 프레임(110)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횡이동 프레임(120)에 의해, 주차공간(P) 및 상기 주차공간(P)과 연통되는 중앙통로(W)가 형성되는 구조체(100);
구동장치(210)에 의해 상기 중앙통로(W)의 상하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이송포크(240)의 상부에 배치된 차량을 각 층으로 전달하는 리프트(200);
상기 이송포크(240)와 엇갈리도록 적재포크(340)가 형성되고, 상기 횡이동 프레임(120)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중앙통로(W)와 주차공간(P) 간을 왕복 운동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통로(W)에서 상기 리프트(200)로부터 차량을 전달받아 각 주차공간(P)으로 격납하도록 이루어지는 적재장치(300); 및
상기 적재장치(300)에 구비되며, 상기 적재장치(300)에 격납된 차량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감쇠하는 내진부(E);
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장치(30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310);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310) 간을 연결하되, 상기 리프트(200)로부터 차량을 전달받는 적재 포크가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320); 및
상기 한 쌍의 수평 프레임(310)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횡이동 프레임(120)에 배치되며, 상기 횡이동 프레임(120)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이송레일(330);
를 포함하고,
상기 내진부(E)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상지지부(510);
상기 상지지부(5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지지부(510)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지지부(520);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일측이 상기 수직 프레임(320)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지지부(510) 및 하지지부(520)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 1연결부(530);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일측이 상기 수평 프레임(310)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지지부(510) 및 하지지부(520)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 2연결부(540); 및
상기 상지지부(510) 및 하지지부(52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제 2스프링(S);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이 구비된 포크식 주차설비.
The driving device 210 drives the vehicle by using the fork provided on each of the lift 200 to be vertically transported by the central passage W and the loading device 300 disposed on each parking space P, P),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k-
A central passage W communicating with the parking space P and the parking space P is form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1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movement frame 120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100);
A lift (200) for transferring a vehicl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fork (240) to each layer while being transfer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entral passage (W) by the drive unit (210);
A loading fork 340 is formed so as to be staggered with the transfer fork 240 and is guided by the lateral movement frame 120 to reciprocate between the central passage W and the parking space P, A loading device 300 for receiving a vehicle from the lift 200 in the central passage W and storing the vehicle in each parking space P; And
An eccentric portion (E) provided in the loading device (300) and attenuating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vehicle stored in the loading device (300);
/ RTI >
The loading device (300)
A pair of horizontal frames 310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vertical frame 32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onnecting the horizontal frames 310 to each other, the vertical frame 320 having a loading fork for receiving the vehicle from the lift 200; And
A conveyance rail 330 coupled to the outer sides of the pair of horizontal frames 310 and disposed in the transverse movement frame 120 and guided by the transverse movement frame 120;
Lt; / RTI >
The seawall (E)
An upper support portion 510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 supporting portion 520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510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510;
A first connection part 530 formed of a pair of plates, one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vertical frame 32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upper and lower legs 510 and 520;
A second connection part 540 formed of a pair of plates, one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horizontal frame 31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upper support part 510 and the lower support part 520; And
A second spring 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support portion 510 and the lower portion 520;
Wherein the fork-type parking facility is provided with an earthquake-proof func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진부(E)는,
일측 끝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320)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측 끝단부가 상기 수평 프레임(310)과 결합되는 내진 프레임(410); 및
상기 수직 프레임(320)과 내진 프레임(4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32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탄성부(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이 구비된 포크식 주차설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wall (E)
An earthquake-resistant frame 410 having one end portion disposed below the vertical frame 320 and the other end portion coupled with the horizontal frame 310; And
An elastic part 420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320 and the earthquake-resistant frame 410 to damp vibrations transmitted to the vertical frame 320;
Wherein the fork-type parking facility is provided with an earthquake-proof func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진 프레임(410)의 일측 끝단부는,
상기 적재포크(340)의 길이방향 최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이 구비된 포크식 주차설비.
The method of claim 3,
One end of the earthquake-resistant frame 410,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mos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fork (340).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진부(E)는,
복수 개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자라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이 구비된 포크식 주차설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wall (E)
Wherein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are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KR1020160075929A 2016-06-17 2016-06-17 Fork type parking system KR1016703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929A KR101670324B1 (en) 2016-06-17 2016-06-17 Fork type park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929A KR101670324B1 (en) 2016-06-17 2016-06-17 Fork type park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324B1 true KR101670324B1 (en) 2016-10-28

Family

ID=5724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929A KR101670324B1 (en) 2016-06-17 2016-06-17 Fork type park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32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113B1 (en) 1997-11-06 2000-05-15 이종수 Fork type vehcle supporter of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and fork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03239557A (en) * 2002-02-18 2003-08-27 Taiei Shoko Kk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structure
KR20060008653A (en) * 2004-07-23 2006-01-27 황성필 Fork-type parking facility system using a moving pall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113B1 (en) 1997-11-06 2000-05-15 이종수 Fork type vehcle supporter of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and fork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03239557A (en) * 2002-02-18 2003-08-27 Taiei Shoko Kk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structure
KR20060008653A (en) * 2004-07-23 2006-01-27 황성필 Fork-type parking facility system using a moving pal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325B1 (en) Apparatus for prevention falling pallet from parking equipment
US3560019A (en) Shock cushioning mounting means for canopies on heavy equipment
US9828053B2 (en) Vehicle assembly line
JP2015224482A (en) Seismically isolated structure
KR101670324B1 (en) Fork type parking system
KR101375336B1 (en) The anti-vibration mount for an earthquake-proof
TWI490158B (en) Seismic isolation supporting device in traveling crane
JP3827115B2 (en) Seismic isolation structure
CN108757801B (en) Shock-absorbing device
KR102212907B1 (en) Seismic isolation apparatus for distributing board
JP5469019B2 (en) Vertical seismic isolation support device
KR102278632B1 (en) Container cargo anti-vibration device
TWI488797B (en) Seismic isolation supporting apparatus of traveling crane
JP3210739U (en) Vehicle overturn prevention device
KR100448486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bridge structures
KR20170074112A (en) Up-lifting force control device
KR102460113B1 (en) Anti vibration device and container including same
JP2002155993A (en) Vibration control device with base isolating function
KR102591006B1 (en) Seismic isolator equipped with non-overturning device with ambient vibration reduction performance
KR102499835B1 (en) Structure for buffering rubber spring of plate spring
KR101770405B1 (en) Steel protection wall for road
KR102649790B1 (en) Platrorm stabilizer in suspension type monorail
CN210150170U (en) Belt type coal mine conveyor shock absorption fixing frame
CN218287557U (en) Dangerous goods transportation and storage tank
CN219057201U (en) Impact-resistant multidimensional vibration isolation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