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717B1 -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Capsicoside G - Google Patents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Capsicoside 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717B1
KR101669717B1 KR1020140029043A KR20140029043A KR101669717B1 KR 101669717 B1 KR101669717 B1 KR 101669717B1 KR 1020140029043 A KR1020140029043 A KR 1020140029043A KR 20140029043 A KR20140029043 A KR 20140029043A KR 101669717 B1 KR101669717 B1 KR 101669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capsicoside
composition
differenti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0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6999A (en
Inventor
이준수
성지혜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9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717B1/en
Publication of KR20150106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9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시코시드 G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를 통해 항비만 효과를 갖는 캡시코시드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억제하고, 지방세포분화에 관여하는 PPAR-γ, C/EBP-α, aP2 및 FAS의 발현 억제 효과를 지니므로, 비만 또는 비만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다양한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식품 또는 의약품, 그리고 지방 생성을 억제하는 바디 라인 관리 화장품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Capsicoside 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Capsicoside G having an anti-obesity effect as an active ingredient through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rapeutic us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obesity, a quasi-drug composition and a cosmetic composition.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precursor cells into adipocytes and inhibits the expression of PPAR-γ, C / EBP-α, aP2 and FAS involved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refore, it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food or medicam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various diseases that may be caused by obesity or obesity, and as a body line management cosmetic which inhibits fat production.

Description

캡시코시드 G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Capsicoside G}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Capsicoside G < RTI ID = 0.0 >

본 발명은 캡시코시드 G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를 통해 항비만 효과를 갖는 캡시코시드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Capsicoside 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Capsicoside G having an anti-obesity effect as an active ingredient through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rapeutic us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obesity, a quasi-drug composition and a cosmetic composition.

비만(obesity) 또는 비만증은 사람의 몸무게가 지나치게 많이 나가는 것을 통틀어 부르는 말로서 병리학적으로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정한 이른바 표준 몸무게 기준치(body mass index; BMI)가 30 이상인 경우를 일컫지만 한국에서는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진단한다. 대부분의 경우 체중이 정상치보다 많이 나가는 것을 뜻하지만 체중이 그다지 많이 나가지 않더라도 몸의 구성성분 중 지방의 비율이 높은 경우 비만이라고 한다. 비만은 그 자체로서는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로 인해 야기되는 사회적 장애 및 과다한 지방으로 유발되는 2차 합병증이 심각하다. 예를 들어 비만은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지방간, 관절이상 등의 발생비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Obesity or obesity refers to the excess weight of a person's body weight, which is pathologically referred to a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WHO) standard body mass index (BMI) of 30 or more. If it is 25 or more, it is diagnosed as obesity. In most cases, weight means more than normal, but even if you do not have a lot of weight, the proportion of fat in your body is high. Obesity may not be a problem in itself, but it has serious social problems and secondary complications caused by excessive fat. For example, obesity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incidence of hyperlipidemia, hypertension, arteriosclerosis, diabetes, fatty liver, joint disorders, and the like.

이와 같이 비만은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 체중이 늘면 혈당처리 능력이 떨어져 당뇨병을 일으키기 쉬우며 고혈압도 발생할 수 있다. 체중이 정상체중보다 20% 증가되면 당뇨병 발병 가능성은 정상인의 10배로 증가한다. 또한 심장 및 폐기능이 약해져서 수명이 단축될 수도 있다.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동맥경화증 등의 복합적인 요인들이 심장기능에 압박을 주어 심부전증에 빠지고 돌발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여성의 경우는 여기에 더해 자궁내막암의 발병률이 높아지며 담석증이 생길 가능성도 높아진다. 남성에게는 대장암과 전립선암의 발병확률이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체중이 증가하면 남들이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고 이에 대한 강박관념이 심해지면 사람들을 기피하고 혼자만 지내려는 증상이 생긴다. 또 신체에서 오는 열등감이 자신의 삶에 대한 자신감을 잃게 하여 자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As such, obesity causes various adult diseases. Increased weight can lead to diabetes and lower blood sugar, which can lead to hypertension. If the body weight is 20% higher than normal weight, the likelihood of developing diabetes increases to 10 times that of normal people. In addition, cardiovascular and pulmonary function may be impaired and life expectancy may be shortened. Complex factor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hypercholesterolemia, and atherosclerosis may put pressure on the heart function and lead to heart failure and sudden death. In addition to women, the incidence of endometrial cancer is high, and cholelithiasis is more likely to occur. Men are more likely to develop colon cancer and prostate cancer. In addition, as the weight increases, people can not help but be conscious of the gaze that they are looking at, and if the obsession about it becomes worse, the symptoms of avoiding people and living alone are generated. The inferiority feeling that comes from the body also affects the self by losing confidence in his life.

이러한 비만을 예방하고 건강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균형잡힌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으로 평생 동안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특히 지방세포는 한번 만들어지면 크기는 줄일 수 있지만 자연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영구적으로 인체에 남아있게 되므로 처음부터 비만이 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일차적으로는 섭취하는 칼로리의 양을 줄이고 활동 및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체중을 줄일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obesity and maintain a healthy weight, balanced diet and regular exercise should be maintained throughout the lifetime. In particular, fat cells can be reduced in size once they are made, but it is impossible to remove them naturally and it is left permanently in the human body, so it is important to prevent obesity from beginning. Thus, primarily, you can reduce your weight by reducing the amount of calories consumed and increasing activity and exercis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일단 형성된 지방세포는 제거가 불가능하므로, 다이어트 식이 섭취와 더불어 지방흡수를 감소시키는 등의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가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at cells once formed can not be removed, there are cases where a drug such as a diet meal intake and a fat absorption reduction is taken.

현재 비만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크게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에 영향을 주는 약제와 위장관에 작용하여 흡수를 저해하는 약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로는 각각의 기전에 따라 세로토닌(5HT) 신경계를 저해하는 펜플루라민, 덱스펜플루라민 등의 약물,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를 통한 에페드린 및 카페인 등의 약물 및 최근에는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에 동시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시부트라민 등의 약물들이 시판되고 있다. 이외에도, 위장관에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약물로는 대표적으로 췌장에서 생성되는 리파아제를 저해하여 지방의 흡수를 줄여주는, 최근 비만 치료제로 허가된 오르리스타트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어온 약물 중 펜플루라민 등은 원발성 폐고혈압이나 심장 판막 병변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켜 최근에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다른 약물들도 혈압감소나 유산혈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심부전, 신질환 등의 환자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Current treatments for treating obesity include drugs that act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ffect appetite, and drugs that act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o inhibit absorption. Drugs such as fenfluramine and dexfenfluramine which inhibit the serotonin (5HT) nervous system, drugs such as ephedrine and caffeine through the noradrenergic nervous system, and recently, drugs acting on the serotonin and noradrenergic nervous system And sibutramine, which inhibits obesity, are commercially available. In addition, drugs that inhibit obesity by acting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typically Orrustat, which has recently been approved as a treatment for obesity, by inhibiting the lipase produced by the pancreas and reducing fat absorption. However, pfuramilamine has been recently banned due to side effects such as primary pulmonary hypertension or heart valve lesion. Other drugs have also been associated with problems such as decreased blood pressure and lactic acidosis, There is a problem that patients can not use.

이에 따라, 부작용이 적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법으로서 지방세포 분화 억제제가 등장하게 되었다. 지방세포에 저장된 지방은 체내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나, 비만이 진행됨에 따라서 지방세포는 수적 증가가 일어날 뿐만 아니라, 과다한 지방세포의 분화에 의한, 다량의 중성지방(TG, Triglyceride) 합성을 초래하고, 이에 따라 지방세포의 크기 증가를 포함한 형태적 변화와 더불어 여러 유전자 발현의 변화 또한 동반한다. 한편, 지방의 저장에 따라 지방세포의 크기 증가는 그 직경이 약 20배까지 늘어날 수 있으며 그 결과 세포 용적은 수천 배까지 증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지방세포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식사 조절로 가능하지만 새로운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은 식사조절로는 효과가 없기 때문에 비만의 근본적 치료 또는 억제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지방세포의 분화 과정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방세포 분화는 인슐린이나 인슐린 성장인자-I(insulin like growth factor-1), 성장 호르몬 등의 자극에 의하여 촉진되며, 이 과정에 CCAAT enhancer-binding protein(C/EBP) family,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등의 전사인자들의 증가가 관찰된다. 이들, 전사인자들은 지방세포 조절 인자와 더불어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키며, 지방산 결합 단백질인 aP2(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나 지방산 생합성효소(fatty acid synthase; FAS)와 같은 효소들의 발현량을 증가시킨다. 한편, 지방간의 진행에도 과다한 중성지방의 축적이 관여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J. Clin. Invest., 98, 1575-1584 (1996)]. As a result, a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 has emerged as a preventive or therapeutic method for obesity with few side effects. Fat stored in fat cells is used as an important energy source in the body. However, as the obesity progresses, not only the number of fat cells increases but also the synthesis of a large amount of triglyceride (TG, Triglyceride) And concomitant with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various genes, as well as morphological changes including increased size of adipocyte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torage of fat, the increase in the size of adipocytes can increase its diameter to about 20 times, and as a result, the cell volume is increased to several thousand times. However, since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of new lipid precursor cells into adipocytes is not effective as a dietary regulator, in order to control the fundamental treatment or inhibition of obesity,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adipocytes It is important to adjust.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is stimulated by stimuli such as insulin-like growth factor-1 and growth hormone. In this process, the CCAAT enhancer-binding protein (C / EBP) family, PPAR-γ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These transcription factors promote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with adipocyte regulatory factors and increase the expression level of enzymes such as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aP2) and fatty acid synthase (FAS) .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excessive accumulation of triglycerides is involved in the progress of fatty liver [J. Clin. Invest., 98,1575-1584 (1996)].

최근,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면 생성되는 지방세포의 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축적되는 여분의 에너지를 배출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저해하는 물질들을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성분의 약제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기존 약제의 실험적 변형 또는 새로운 물질의 합성과 기능 검색은 매우 많은 시간과 투자가 필요하다. In recent year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earch for substances that inhibit adipocyte differentiation based on the idea that the number of adipocytes produced by inhibiting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can be regulated and the extra energy accumulated thereby can be released It is actively proceeding. In general, among the various methods for developing a new drug, experimental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drug or synthesis and function of a new substance requires much time and investment.

한편, 캡시코시드 G는 고추 속의 식물체로부터 추출된 새로운 푸로스타놀 사포닌(furostanol sapoin)으로, 상기 캡시코시드 G와 관련하여 기본적인 구조와 함께 피부 질환 치료 용도(미국공개특허 2011-0046080호) 및 항균 활성(J. Agric. Food Chem . 2002. Jun; 50(15): 4310-16) 등은 알려져 있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항비만 용도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 없었다. 또한, 상기 캡시코시드 G는 고추씨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데, 고추 또는 고추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이 항비만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이 알려져 있었으나, 지금까지는 이러한 항비만 활성이 단지 캡사이신(capsaicin) 및 캡시에이트(capsiate)와 같은 화합물에 의한 것이라고만 알려져 있을 뿐(Nat . Prod . Rep . 2011. Jul; 28(9): 1493-1533), 캡시코시드 G의 기능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 없었다.
On the other hand, Capsicoside G is a novel furostanol saponin extracted from a plant of the genus Capsicum, and has a basic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Capsicoside G and is used for treatment of skin diseases (U.S. Patent Publication No. 2011-0046080) and Antimicrobial activity ( J. Agric. Food Chem . 2002. Jun; 50 (15): 4310-16) and the like have been known, but the use of the above-mentioned anti-obesity has not been known at all. In addition, it has been known that the capsicoside G can be separated from red pepper seeds. It has been known that a compound isolated from red pepper or red pepper can have an anti-obesity effect. Heretofore, however, the anti-obesity activity has been limited to capsaicin and capsiate Capsicoside G is known to be only due to compounds such as capsiate ( Nat . Prod . Rep . 2011. Jul; 28 (9): 1493-1533).

이러한 배경 하에서 고추씨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캡시코시드 G에 주목하게 되었으며, 상기 캡시코시드 G가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고, 이를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Under such circumstances, attention has been paid to capecicoside G which can be separated from red pepper seeds. It has been found that capecicoside G has an effect of inhibiting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in lipoatocytes and is useful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캡시코시드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which comprises capsicoside G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캡시코시드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comprising caprosicoside G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캡시코시드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which comprises capsicoside G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캡시코시드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comprising caprosicoside G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캡시코시드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which comprises capsicoside G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에서 용어 "캡시코시드 G"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화학적 합성방법에 의하여 합성되거나 고추, 고추씨 또는 고추씨 탈지박으로부터 추출되어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캡시코시드 G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구조 및 피부 질환, 항균 용도 등에 대해서만 알려져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항비만 용도를 밝혀낸 것이다.The term "capricoside G"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which may be synthesized by a chemical synthesis method or separated from red pepper, red pepper seed or red pepper seed root. The capsicoside G has been known for its basic structure, skin diseases, antimicrobial use, etc.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revealed a new anti-obesity use.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4023963596-pat00001

Figure 112014023963596-pat00001

본 발명에서 용어 "비만(obestiy)"이란 체지방이 과도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임상적으로 체질량지수가 한국의 경우 25,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30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이때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신장의 제곱에 대한 체중(kg/m2)으로 계산된다. 일반적으로 체중이 정상치보다 높은 경우를 의미하지만 체중이 많이 나가지 않더라도 몸의 구성성분 중 체지방의 비율이 높은 경우 비만이라고 진단하며, 성인과 어린이 모두에서 발병하는 질환이다. 비만은 생명을 단축시키며,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및 일부 암과 같은 질환에 걸릴 위험에 처하게 할 수 있다. 비만인 경우 건강에 문제가 생길 확률이 높으며 비만의 정도가 증가할수록 위험성 또한 높아진다. 비만이 생기는 이유는 매우 다양하며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가장 빈번한 원인은 유전적 영향, 생리적 영향, 음식섭취 및 섭식장애, 생활방식, 체중력, 임신 또는 약물 등이다. 비만의 첫 번째 징후는 평균을 웃도는 체중이상이며 증상은 하기와 같다: 수면문제, 수면 무호흡, 호흡 짧아짐, 정맥류, 피부문제, 담석 또는 체중부하로 인한 골관절염 등. 비만은 또한 고혈압을 비롯한 고혈당(당뇨),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등의 질환과 관련이 있다. 한번 과체중이 되면 그 상태를 벗어나기가 쉽지 않으므로 비만은 대부분 평생 겪게 된다. 하지만 비만에 의해 생긴 질병이나 문제는 체중이 감소되면 호전될 수 있다.The term "obesity "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 excessive state of body fat, which means that the body mass index is clinically 25 in the case of Korea and 30 or more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he body mass index (BMI) is calculated as body weight (kg / m 2 ) relative to the height of the kidney. Generally, it means that the body weight is higher than the normal value. However, when the body fat percentage of the body composition is high, even if the body weight does not go out, it is diagnosed as obesity. Obesity can shorten life and put you at risk for diseases like hypertension, diabetes, heart disease and some cancers. Obesity is likely to cause health problems, and as the degree of obesity increases, the risk also increases. Obesity is caused by a wide variety of reasons and many causes are often combined. The most frequent causes are genetic influences, physiological effects, food intake and eating disorders, lifestyle, weight, pregnancy or drugs. The first signs of obesity are above average weight and symptoms are as follows: sleep problems, sleep apnea, shortness of breath, varicose veins, skin problems, osteoarthritis due to gallstones or weight loss, Obesity is also associated with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hyperglycemia (diabetes), hypercholesterolemia, and hypertriglyceridemia. Once you are overweight, it is not easy to get out of it, so obesity is a lifelong experience. However, diseases or problems caused by obesity can improve if weight is reduced.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비만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비만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The term "pre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ll actions that inhibit or delay the onset of obesity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reatment" Means any action that alters or alleviates symptoms of an individual.

본 발명에서 상기 비만 예방 또는 치료는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활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인자인 PPAR-γ, C/EBP-α, aP2 및 FAS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세포 내 중성지방(TG, Triglyceride)의 생성을 억제함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can be achieved by the activity of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precursor cells into adipocytes. More specifically, PPAR-gamma, C / EBP-alpha, aP2, May be accomplished by reducing the expression of FAS and ultimately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intracellular triglycerides (TG, Triglycerides).

본 발명에서 용어 "지방전구세포"란 지방세포의 분화 단계 중 줄기세포로부터 가장 먼저 생성되는 지방세포로의 분화능을 갖는 세포를 의미하며, 지방전구세포는 성장이 진행되어 100% confluency가 되면 성장이 정지되고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서서히 진행된다.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은 배양액에 첨가한 혈청 중의 분화유도인자들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이다. 그러므로 배양액 중에 분화촉진인자들(인슐린,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3-isobutyl-1-methylxanthine)을 첨가함으로써 세포분화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분화억제인자들(액티노마이신 D(actinomycin D),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a), 브로모데옥시우리딘(bromo-deoxyuridine) 등)을 첨가함으로써 분화를 억제할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분화된 지방전구 세포는 세포 내 지방이 축적되는 등의 성숙 지방세포로서의 형태를 나타내게 되며, 지방세포 특유의 유전자 발현 및 지방축적을 유도하는 효소의 활성화가 일어나게 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대표적인 지방세포 분화촉진인자들로는 인슐린과 인슐린-유사 성장인자-I(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등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lipid precursor cell" refers to a cell having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a lipoprotein, which is first produced from stem cells, during the differentiation stage of adipocytes. When lipid precursors grow to 100% confluency, And the differentiation into the local taxa proceeds slowly. The process by which lipid precursor cells are differentiated into adipocytes is a phenomenon caused by differentiation inducers in the serum added to the culture medium. Therefore, the addition of differentiation-promoting factors (insulin, dexamethasone, 3-isobutyl-1-methylxanthine) to the culture medium can further promote differentiation of cells. On the other hand, differentiation inhibitory factors (actinomycin D, Differentiation may be inhibited by the addi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 bromo-deoxyuridine, or the like. Finally, the differentiated lipid precursor cells become mature adipocytes such as accumulation of intracellular fat, and the activation of enzymes inducing adipocyte-specific gene expression and fat accumulation occurs. The most common adipocyte differentiation promoting factors known so far include insulin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본 발명에서 용어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γ)"란, PPARs(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인 핵수용체(nuclear hormone receptor) 수퍼패밀리(superfamily)에 속하는 것으로, PPAR-α, PPAR-γ 및 PPAR-δ 등이 상기 수퍼패밀리에 포함되며 지방세포 분화 조절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C/EBP(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란, 염기성-루신지퍼 모티프(basic-leucine zipper motif)를 가진 전사인자 가운데 하나로, 이들은 지방세포에 한정되어 발현되지는 않으며, 과립구(granulocyte)나 간세포에서도 발현하여 상기 세포들의 최종분화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용어 "aP2(adipocyte protein 2)"란, 지방세포 특이적인 지방산 결합 단백질(fatty acid binding protein)로서 지방세포에서 PPAR-γ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고, PPAR-γ와 마찬가지로 지방세포 분화 유도 과정에서 기능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FAS(fatty acid synthase)"란, 지방산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주요한 효소로, 다기능성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로 이루어져 있고, 아세틸-코엔자임 A(acetyl-CoA)와 말로닐-코엔자임 A(malonyl-CoA)로부터 긴 사슬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에너지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비만을 조절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The term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γ (PPAR-γ)" as used herein refers to a nuclear hormone receptor superfamily which is PPAR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 And PPAR-δ are included in the superfamily and are known to function as regulators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C / EBP (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 is one of transcription factors having a basic-leucine zipper motif. These are not expressed in adipocytes, (granulocyte) or hepatocyte, and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inal differentiation of the cells. As used herein, the term "aP2 (adipocyte protein 2) " refers to an adipocyte-specific fatty acid binding protein which is induced by PPAR-γ in adipocytes, It is known as a gene that functions in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FAS (fatty acid synthase)" refers to a major enzyme involved in the fatty acid biosynthesis pathway. It is composed of a multifunctional polypeptide and includes acetyl-CoA and malonyl- It is known to be an important regulator of obesity, involved in energy metabolism, while producing long chain fatty acids from coenzyme A (malonyl-CoA).

지방세포분화는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가 증식 및 분화되는 과정을 거쳐 성숙한 지방세포(adipocyte)로 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 과정에서 지질 축적, 호르몬에 관여하는 지방합성(lipogenesis)에 관여하는 aP2 및 FAS 발현이 변화된다. 이러한 유전자 발현은 상기 전사인자들, PPAR 및 C/EBP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전사인자는 지방세포의 분화 과정 중 각기 다른 시점에서 발현이 유도되며, 서로 상호작용을 통하여 여러 지방세포 특이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점진적으로 유도해 나간다. 이와 같이 상기 전사인자들은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가 증식 및 분화되는 과정을 거쳐 성숙한 지방세포(adipocyte)로 되는 과정인 지방세포분화(Adipogenesis)에 관여하는 일련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특히, C/EBP 패밀리와 PPAR-γ는 호르몬에 의해 지방세포분화가 유도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전사인자로, 지방세포분화를 총괄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지방세포로 분화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인자이다. 또한, C/EBP-β는 PPAR-γ발현을 촉진시켜 지방전구세포의 초기 분화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한편, PPAR-γ와의 강한 상승작용을 통해 지방전구세포의 말기 분화과정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Adipocyte differentiation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a preadipocyte is transformed into a mature adipocyte through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this process, lipid accumulation, aP2 involved in lipogenesis involved in hormone production, And FAS expression. Such gene expression is known to be regulated by the transcription factors, PPAR and C / EBP. These transcription factors induce expression at different time points in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adipocytes, and gradually induce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various adipocyte-specific genes through mutual interaction. Thus, the transcription factors regulate the expression of a series of genes involved in adipogenesis, which is the process of becoming a mature adipocyte through the process of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In particular, the C / EBP family and PPAR-γ are transcription factor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induc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the hormone, and play a role in regula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as a whole, . In addition, C / EBP-β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arly differentiation process of lipid precursor cells by promoting PPAR-γ expression, and promotes the late differentiation process of lipid precursor cells through strong synergism with PPAR-γ do.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는 체중감소, 체지방 감소, 혈중 중성지방 함량 감소 및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의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IBMX(3-isobutyl-1-methylxanthine), 덱사메타손 및 인슐린(MDI solution)을 포함하는 지방세포 분화 배지를 이용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유도한 경우, 상기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를 첨가하여 지방세포 생성을 억제함으로 조성물의 처리 농도에 따라 중성지방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또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유도 후, 경과 시간에 따라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를 첨가한 경우, 지방세포로의 분화 초기에 중성지방 생성 억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ffects of weight loss, reduction of body fat, reduction of blood triglyceride content and reduction of blood cholesterol conten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se precursor cells is induced using an adipocyte differentiation medium containing IBMX (3-isobutyl-1-methylxanthine), dexamethasone and insulin (MDI solu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triglyceride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the composition by inhibiting adipocyte production by adding the capsicose 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ddition of capec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3T3-L1 adipose precursor cells induced differentiation, and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generation of triglycerides was greatest at the early stage of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6).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에 의한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활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인자인 PPAR-γ, C/EBP-α, aP2 및 FAS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상기 유전자 모두의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이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도 7). 이에 따라, 본 발명 조성물의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활성은 주요 전사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에 의해 지방세포 형성 단백질(adipogenic protein)의 발현을 억제시키므로, 최종적으로 세포 내 중성지방 생성을 줄일 수 있고, 이로써 비만의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바이다.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lipid precursor cells, the expression of PPAR-γ, C / EBP-α, aP2 and FAS, which are the differentiation factors of lipid precursor cell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all of the genes was decrea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an activity of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lipid precursor cells (Fig. 7). Accordingly,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the differentiation of lipid precursor cells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proteins by reducing the expression of major transcription factors, thereby ultimately reducing intracellular triglyceride production , Thereby indicating that it is effective in improving or treating obesity.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담체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부형제, 윤활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 또는 젤의 형태의 피부 외용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통초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 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 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he term "pharmaceutically accep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it exhibits properties that are not toxic to the cells or humans exposed to the composition. Such carriers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y are known in the art such as buffers, preservatives, wetting agents, solubilizers, isotonic agents, stabilizers, bases, excipients and lubricants. In addi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nd aerosols, oral formulation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 Furthermore, it can be used in the form of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in the form of ointments, lotions, spray agents, patches, creams, powders, suspensions, gels or gels. Examples of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In the case of formulation,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or a surfactant is usually used. Sol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which may contain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use include water, liquid paraffin, which is a simple diluent commonly used in suspension, liquid, emulsion, syrup,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cellulose,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perfumes, preservatives, and the like.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Examples of the suspending agent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suppository base include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Meanwhil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The term "administe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introducing a predetermined substance into an individual by an appropriate method, and the administration route of the composition can be administered through any conventional route so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But are not limited to, intraperitoneal, intravenous, intramuscular, subcutaneous, intradermal, oral, topical, intranasal, intrathecal, rectal. The composition may also be administered by any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the active agent to the target cell.

상기 용어 "개체"란 비만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The term "individual " refers to all animals, including mice, mice, livestock, etc., including humans who have developed or are capable of developing obesity. Preferably, it may be a mammal, including a human.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성별, 연령, 체중, 건강상태, 질병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2 내지 200 ㎎/체중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not causing side effects,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determined by the patient's sex,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medicaments and other medical fields that are used in combination, or in combination with, or in combination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condition, type of condition, severity, activity of the drug, sensitivity to the drug, Can be read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known factors. However, for the desired effec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dministered at 0.2 to 200 mg / kg of body weight per day. The administration may be carried out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times. The dos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따라서,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obesity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bove.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란 상기한 바와 같이 비만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비만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기존의 비만 치료제와 병행하여 투여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individual" means all animals, including humans, who have developed or are suffering from obesity as described above, and the obesity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or treated by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bject.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in parallel with the existing therapeutic agent for obesity.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캡시코시드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캡시코시드 G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상기 캡시코시드 G 및 이의 항비만 용도는 상기 전술한 바와 같으며, 그에 따라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which comprises capsicoside G as an active ingredient. The Capsicoside G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wherein the Capsicoside G and its anti-obesity use are as described above, and thus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an anti-obesity food composition.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를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캡시코시드 G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0.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 1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When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food additive, Capsicoside G can be added as it is, or it can be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and can be suitably used according to ordinary methods.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to be mixed can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Generally, in the production of food or beverag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n an amount of 0.01 to 10% by weight, preferably 0.05 to 1% by weight based on the raw material. However, in the case of long-term ingestion intended for health and hygiene purposes or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health, the amount can also be used in the above-mentioned range.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kind of the food. Examples of the food to which the above substances can be added include dairy products including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ice cream, various soups, drinks, tea,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ll of which include healthy foods in a conventional sense.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The health beverag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n additional ingredient such as ordinary beverages. Such natural carbohydrates ar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Examples of sweeteners include natural sweeteners such as tau martin and stevia extract,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and the like.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0.01 to 0.04 g, preferably about 0.02 to 0.03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s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A carbonating agent used in a carbonated beverag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flesh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fruit juice drinks and vegetable drink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critical,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캡시코시드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obesity, which comprises capsicoside G as an active ingredient.

즉,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를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항비만 활성이 잘 알려진 캡사이신과 마찬가지로 중성지방의 분해를 촉진하며 셀룰라이트 감소 효과를 지니는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를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캡시코시드 G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That is, the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to a quasi-drug composition having the anti-obesity activity and promoting the degradation of triglycerides as well as the cellulite reducing effect like capsaicin, which is well known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When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quasi-drug additive, Capsicoside G may be added as it is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quasi-external compon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to be mixed can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 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또는 필터 충진제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quasi-drug composition may be disinfectant cleaner, shower foam, gagrin, wet tissue, detergent soap, hand wash, humidifier filler, mask, ointment or filter filler.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캡시코시드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obesity comprising caprosicoside G as an active ingredient.

즉,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를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중성지방의 분해를 촉진하며 셀룰라이트 감소 효과를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를 화장료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캡시코시드 G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화장료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That is, the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to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cellulite reducing effect which promotes the decomposition of triglyceride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When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cosmetic additive, Capsicoside G can be added as it is or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cosmetic ingredients, and can be suitab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to be mixed can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염모제, 샴푸, 린스 또는 바디 세정제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ftening agents, convergent lotion, nutritional lotion, nutritional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eye essence,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powder, Cream, body oil, body essence, makeup base, foundation, hair dye, shampoo, rinse or body cleanser.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억제하고, 지방세포분화에 관여하는 PPAR-γ, C/EBP-α, aP2 및 FAS의 발현 억제 효과를 지니므로, 비만 또는 비만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다양한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식품 또는 의약품, 그리고 지방 생성을 억제하는 바디 라인 관리 화장품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precursor cells into adipocytes and inhibits the expression of PPAR-γ, C / EBP-α, aP2 and FAS involved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refore, it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food or medicam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various diseases that may be caused by obesity or obesity, and as a body line management cosmetic which inhibits fat prod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캡시코시드 G의 1H-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및 13C-NMR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캡시코시드 G의 gHMBC(Gradient hetero-nuclear multiple bonding connectivity)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캡시코시드 G의 ESI-MS(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전자분무이온화-질량분석기)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농도(0, 1, 5, 10, 20 ㎍/mL) 의존적 지방생성억제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의 농도에 따른,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억제 효과를 오일 레드 오 염색 및 분석을 통한 정량한 결과 및 현미경 관찰 사진을 도시하였다.
도 6은 시간 의존적 지방생성억제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를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유도 후, 각각 표기한 시간(0~2, 0~4, 0~6, 2~4, 2~6, 4~6 day)에 처리한 조건에 따른, 전구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억제 효과를 오일 레드 오 염색 및 분석을 통한 정량한 결과 및 현미경 관찰 사진을 도시하였다.
도 7은 지방형성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의 농도에 따른 지방형성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 (A) PPAR-γ, (B) C/EBP-α, (C) aP2 및 (D) FAS의 발현 정도를 웨스턴블롯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정량화(quantification) 하였다.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1 H-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and 13 C-NMR spectroscopy of Capsicoside G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ghost MBR (gHMBC) spectrum of Capsicoside G,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showing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ESI-MS) spectral results of Capsicoside G,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hart showing the cytotoxicity of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Fig.
Figure 5 is a graph depicting concentration-dependent (0, 1, 5, 10, 20 [mu] g / ml) fat production inhibition.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 precursor cells into adipocyt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quantified by oil red dyeing and analysis and microscopic observation photographs were shown.
6 is a diagram showing time-dependent lipogenesis inhibition. The conditions of treatment with the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of adipose precursor cells to the respective times (0 to 2, 0 to 4, 0 to 6, 2 to 4, 2 to 6 and 4 to 6 days)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and the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from preadipocytes by oil red staining and analysis are shown.
Figure 7 shows the effect on lipogenesis gene and protein expression. The degree of expression of lipogenesis-related genes and proteins, (A) PPAR-γ, (B) C / EBP-α, (C) aP2 and (D) FA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Western blot And quantification was carried out.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constitu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Example 1: 고추씨  1: red pepper 탈지박으로부터From the degreasing pail 항비만Anti-obesity 생리활성 물질의 추출, 분리 및 정제 Extraction,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탈지한 고추씨 에틸알코올(ethyl alcohol) 분획물로, 용매 계통 분획을 실시하여 얻은 500 mg의 노르말-부탄올(n-BuOH) 층을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를 이용하여 총 8개의 분획으로 분리를 진행하였다. MPLC는 TELEDYNE ISCO사의 Combiflash Rf 기기를 사용하였고, 카트리지 컬럼은 YMC사의 YMC-DispoPack AT(ODS-25, 120 g)을 사용하였다. 또한, 물에 0.1 %로 희석한 포름산(Formic acid)을 용매 A로,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에 0.1 %로 희석한 포름산을 용매 B로 사용하였다. B 용매의 %를 각각 5, 10, 20, 25, 40, 100 %의 비율로 용매 기울기를 적용하였고, 검출기는 254 nm로 검출하였다. 유속은 10 mL/min을 유지하였고, 분취된 분획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로 확인하여 농축하였으며, 총 8개의 분획을 얻을 수 있었다. A 500-mg portion of n-BuOH (n-BuOH) obtained by fractionation of the ethyl alcohol fraction of skimmed red pepper was subjected to solvent system fractionation using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 Separation was carried out by fractionation. The MPLC was a Combiflash Rf instrument from TELEDYNE ISCO, and the cartridge column was YMC-DispoPack AT (ODS-25, 120 g) from YMC. In addition, formic acid diluted with 0.1% of formaldehyde in water to a concentration of 0.1% in acetonitrile was used as solvent B. Solvent slope was applied at the ratio of 5%, 10%, 20%, 25%, 40% and 100% of the solvent B, respectively, and the detector was detected at 254 nm. The flow rate was maintained at 10 mL / min and the aliquot fraction was identifi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and concentrated. A total of 8 fractions were obtained.

그 중, 가장 항비만 생리활성 효과가 뛰어난 분획물의 추가 정제를 위해 세파덱스(sephadex) LH-20을 충진하여 오픈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얻은 화합물, 캡시코시드 G(380 mg)를 단일 물질로 분리하였다.
Among them, open-column chromatography was carried out by filling sephadex LH-20 for the further purification of the fraction having the most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finally obtained compound, Capsicoside G (380 mg) Separated into a single material.

실시예Example 2: 고추씨  2: Red pepper 탈지박으로부터From the degreasing pail 분리된  Isolated 분획물의Fraction 화학구조 분석 Chemical structure analysis

상기에서 추출, 분리 및 정제한 분획물의 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1H-NMR(도 1의 A), 13C-NMR(도 1의 B), 2D-NMR(도 2) 및 ESI-MS(도 3) 분석을 통하여 상기 분획물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추 속으로부터 분리된 푸로스타놀 사포닌(furostanol saponin)인 캡시코시드 G임이 확인되었다.
1 (A), 13 C-NMR (FIG. 1), 2D-NMR (FIG. 2) and ESI-MS 3) analysis of the fractions. As a result, caprosicoside G, which is furostanol saponin isolated from red pepper was confirmed.

Capsicoside G (CBU-6). Yield, 380 mg, 1H NMR (400 MHz, pyridine-d 5) (aglycon moiety) δ 3.58 (1H, m, H-26b), 1.18 (3H, d, J = 6.8 Hz, H-21), 0.97 (3H, d, J = 6.4 Hz, H-27), 0.78 (3H, s, H-18), 0.61 (3H, s, H-19), 0.45 (1H, m, H-9), (anomeric protons) δ5.55 (1H, J = 7.6 Hz, anomeric proton, Glc Ⅳ), 5.32 (1H, J = 6.4 Hz, anomeric proton, Glc Ⅱ) , 5.23 (1H, J = 7.2 Hz, anomeric proton, Glc Ⅲ), 5.18 (1H, J = 8.0 Hz, anomeric proton, Glc Ⅰ), 4.92 (1H, J = 7.6 Hz, anomeric proton, Gal), 4.87 (1H, J = 7.6 Hz, anomeric proton, C-26-Glc). ESI-MS (positive ion), m/z 1429 [M + Na] +, m/z 1267 [1429 - 162] +, m/z 1105 [1297 - 162] +, and m/z 943 [1135 - 162] +.
Capsicoside G (CBU-6). Yield, 380 mg, 1 H NMR (400 MHz, pyridine- d 5 ) (aglycon moiety) δ 3.58 (1H, m, H-26b), 1.18 (3H, d, J = 6.8 Hz, (3H, d, J = 6.4 Hz, H-27), 0.78 (3H, s, H-18), 0.61 (3H, s, H-19), 0.45 (1H, m, H-9), (anomeric protons) δ5.55 (1H, J = 7.6 Hz, anomeric proton, Glc ⅳ), 5.32 (1H, J = 6.4 Hz, anomeric proton, Glc ⅱ), 5.23 (1H, J = 7.2 Hz, anomeric proton, Glc ⅲ ), 5.18 (1H, J = 8.0 Hz, anomeric proton, Glc ⅰ), 4.92 (1H, J = 7.6 Hz, anomeric proton, Gal), 4.87 (1H, J = 7.6 Hz, anomeric proton, C-26-Glc ). ESI-MS (positive ion), m / z 1429 [M + Na] +, m / z 1267 [1429 - 162] +, m / z 1105 [1297 - 162] +, and m / z 943 [1135 - 162 ] + .

실시예Example 3: 지방전구세포의 준비 3: Preparation of fat precursor cells

3T3-L1 지방전구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USA; ATCC No. CL-173)로부터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3T3-L1은 지방세포의 대사과정을 연구하는 실험에 널리 이용되는 것으로, 상기 세포의 분화가 활발할수록 지방세포 내의 지방 축적이 활발하여 비만을 유도하게 된다. 항비만 효과를 가질 것으로 생각되는 물질을 상기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분화가 적을수록 항비만 효과가 큰 물질인 것으로 볼 수 있다.
3T3-L1 adipose precursor cells were purchased from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USA; ATCC No. CL-173). 3T3-L1 is widely used in experiments for studying the metabolic process of adipocytes. As the cell differentiation becomes active, the accumulation of adipocytes in the adipocytes leads to obesity. When a substance considered to have an anti-obesity effect is treated on the cell, the smaller the differentiation of the cell, the greater the anti-obesity effect.

실시예Example 4:  4: 캡시코시드Capricosid G의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Preganglionic Cells of G cellcell cytotoxicity) 및 세포 생존율(  cytotoxicity) and cell viability cellcell viabilityviability ) 측정) Measure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캡시코시드 G가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LDH(Lactate dehydrogenase) assay와 MTT(3-[4,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수행하였다.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Capsicoside G obtained in Example 1 on the cell viability, the LDH (Lactate dehydrogenase) assay and MTT (3- [4,5-dimethylthiazol-2-yl] -2,5- tetrazolium bromide) assay.

실시예Example 4-1:  4-1: LDHLDH 유리능Glass performance 측정을 통한  Through measurement 캡시코시드Capricosid G의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Preganglionic Cells of G cellcell cytotoxicitycytotoxicity ) 측정) Measure

캡시코시드 G의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키트(LDH assay kit, Roche Applied Science, IN, USA)를 사용하여 LDH 유리능을 측정하였다. 지방전구세포에 캡시코시드 G 시료를 각각 0, 1, 5, 10, 20 ㎍/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 및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막 손상에 따라 배지로 유출된 LDH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층액을 얻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o measure the cytotoxicity of Capsicoside G, the LDH glass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kit (LDH assay kit, Roche Applied Science, IN, USA). Capsicoside G samples were treated at 0, 1, 5, 10, and 20 ㎍ / mL for 24 and 48 hours, respectively. After the incubation, the supernatant was obtained to measure the amount of LDH released into the medium due to cell membrane damage,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using a microplate reader.

그 결과,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한 모든 농도에서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은 유발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4 (A), it was observed that the concentration-dependent cytotoxicity was not induced at all the concentrations tested.

실시예Example 4-2:  4-2: MTTMTT assayassay 를 통한 Through 캡시코시드Capricosid G의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세포 생존율( Cell survival rate of adipose precursor cells of G cellcell viabilityviability ) 측정) Measure

캡시코시드 G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사 진행과정의 초기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는 방법인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MTT assay는 세포소기관 중 미토콘드리아 내의 탈수소효소(dehydrogenase)가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인 MTT 테트라졸륨(tetrazolium)을 청자색의 비수용성 MTT 포르마잔(formazan)으로 환원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생존하는 세포가 형성하는 포르마잔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세포독성을 측정할 수 있다. 캡시코시드 G에 의한 세포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지방전구세포에 각각 0, 1, 5, 10, 20 ㎍/mL의 농도로 캡시코시드 G를 처리하여 24 및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생존하는 세포가 형성하는 포르마잔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층액을 얻고, 96웰 플레이트로 옮겨서 5 mg/mL 농도로 조제한 MTT 용액과 4시간 동안 세포 배양기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형성된 포르마잔을 용해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pecicoside G on cell viability, MTT assa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survival rate of early cells in the cell death process. The MTT assay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dehydrogenase in the mitochondria of the cell organelles reduces MTT tetrazolium, which is a yellow water-soluble substance, into blue-violet, non-aqueous MTT formazan, By measuring the content of formazan, the cytotoxicity can be measured indirectly. Capsicoside G was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at concentrations of 0, 1, 5, 10 and 20 ㎍ / mL, respectively, for 24 and 48 hours, respectively. After incubation, supernatants were collect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formazan formed by surviving cells, transferred to 96-well plates, and reacted with MTT solution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5 mg / mL in a cell incubator for 4 hours. After the reaction, the formed formazan was dissolved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using a microplate reader.

그 결과,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한 모든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4 (B), it was observed that the cell viability was not affected at all the concentrations tested.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가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afe substance without cytotoxicity.

실시예Example 5:  5: 캡시코시드Capricosid G의  G of 항비만Anti-obesity 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effect

실시예Example 5-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유도 및 시료 처리 방법 5-1: Differentiation induction and sample treatment of lipid precursor cells

지방전구세포의 세포 분화가 활발할수록 지방세포 내의 지방 축적이 활발하여 비만을 유도하게 된다. 이에, 통상적으로, 항비만 효과가 큰 물질을 도출하기 위한, in vitro 실험에서는 주로 마우스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을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여 사용한다. As the cell differentiation of lipid precursor cells becomes more active, the fat accumulation in the adipocyte becomes active and induces obesity. Therefore, in order to derive a substance having a large anti-obesity effect, in vitro In the experiment, 3T3-L1, which is a mouse adipose precursor cell, is induced to differentiate into adipocytes.

마우스 지방전구세포인 3T3-L1를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지방전구세포를 10 % 송아지혈청(bovine calf serum; BCS)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넣고 37 ℃, 5 %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지방전구세포가 confluent 단계(stage)에 도달하면, MDI(0.5 mM 3-이소부틸-1-메틸크산틴(3-isobuty1-IBMX; IBMX), 1 u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 5 ㎍/mL 인슐린(insulin))를 첨가한 10 %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DMEM 배지를 가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2일 동안 유도하였다. 이때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캡시코시드 G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력을 확인하기 위해, 캡시코시드 G 시료를 농도별로 배지에 첨가하였다. 단, 분화 유도 2일 후부터는 인슐린만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여, 4일 동안 지방세포로 성숙시켰다.
In order to induce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mouse adipocytes into adipocytes, the adipocytes were placed in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dium containing 10% bovine calf serum (BCS) % CO 2 . When the adipose precursor cells reach the confluent stage, they are stimulated with MDI (0.5 mM 3-isobuty1-IBMX; IBMX), 1 uM dexamethasone (DEX), 5 μg / mL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induced for 2 days by adding DMEM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FBS) supplemented with insulin. At this time, in order to confirm the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of capsicoside G obtained in Example 1 into adipocytes, Capsicoside G sample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by concentration. However, from 2 days after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the cells were matured into adipocytes for 4 days using a medium supplemented with insulin alone.

실시예Example 5-2:  5-2: 캡시코시드Capricosid G의 중성지방세포( G neutral fat cells ( TGTG , , TriglycerideTriglyceride ) 생성에 대한 저해 효과 검증) Production inhibition

캡시코시드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5-1과 같이 지방분화를 유도한 3T3-L1 세포에 캡시코시드 G를 농도별(0, 1, 5, 10, 20 ㎍/mL)로 6일간 처리한 후,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정도를 오일 레드 오 염색(Oil red O staining)을 하여 측정하였다.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composition containing Capsicoside G as an active ingredient exhibits an anti-obesity effect, Capsicoside G was added to 3T3-L1 cells inducing lipid differentiation as in Example 5-1 (0, 1, 5, 10, 20 ㎍ / mL) for 6 days, and the degree of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measured by oil red o staining.

오일 레드 오 염색 방법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성숙 6일 후에 배지를 제거한 뒤 10% 포르말린(formalin) 용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고정하고, 세포내 생성된 지방 방울(lipid droplet)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오일 레드 오 용액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The oil red oocyte stain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medium is removed after the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of the lipid precursor cells, and the cells are fixed using 10% formalin solution, and the cells are specifically reacted with the lipid droplets generated in the cells Lt; / RTI > solution.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시코시드 G를 각각 농도별로 처리하여 배양한 3T3-L1의 오일 레드 오 염색 이미지는 현미경 관찰을 통해 얻었고, 현미경 관찰 후 염색된 세포는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이용하여 용해한 뒤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한 지방축적능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100%로 기준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를 처리하는 경우, 중성지방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농도의존적인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 5, an oil-red stain image of 3T3-L1 cultured by treatment with each concentration of capricoside G was obtained by microscopic observation, and the stained cells after microscopic observation were dissolved in isopropanol The back absorbance was measured. As shown in FIG. 5, when the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reated, the lipid accumulation capacity calculated by measuring the absorbance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not treated with the sample,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inhibi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dose dependent.

다음으로, 캡시코시드 G의 투여 시간에 따른 지방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20 ㎍/mL의 동일한 양의 캡시코시드 G를 투여 시간을 달리하여 처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최초 지방 분화 유도 시점을 기준으로, 0~2일, 0~4일, 0~6일, 2~4일, 2~6일, 4~6일에 캡시코시드 G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방 분화 유도와 동시에 캡시코시드 G를 처리한 군(0~2일, 0~4일, 0~6일)에서 지방 생성 억제 효과가 가장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투여 기간도 중요하지만, 투여시점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를 지방세포로의 분화 초기에 투여할 경우, 중성지방 생성 억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ext, the same amount of Capsicoside G of 20 / / mL was treated at different dosing times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inhibiting lipogenesis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time of Capsicoside G. Specifically, capsicoside G was treated at 0 to 2 days, 0 to 4 days, 0 to 6 days, 2 to 4 days, 2 to 6 days, and 4 to 6 days based on the time point of induction of the first lipid differentiation. As a result, as shown in FIG. 6,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suppressing fat production was greatest in the group treated with capecicose G (0 to 2 days, 0 to 4 days, 0 to 6 days) there was. That is, although the administration period was important, it was confirmed that the time point of administration was important, and when the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dministered at the early stage of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the effect of inhibiting triglyceride production was the greatest.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가 효과적으로 지방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비만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aken together, it can be seen that the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inhibits lipogenesis and is effective in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실시예Example 5-3:  5-3: 캡시코시드Capricosid G의 지방세포 분화 단백질의 발현 억제 효과 검증 Inhibitory effect of G on the express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protein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의 항비만 활성에 대한 구체적인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핵심인자인 PPAR-γ, C/EBP-α, aP2 및 FAS의 단백질 발현을 웨스턴블롯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즉, 상기 실시예 5-2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상기 조성물의 지방형성 억제를 확인한 것과 더불어 상기 조성물이 지방세포 분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In order to confirm the specific mechanism of anti-obesity activity of the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in expression of PPAR-γ, C / EBP-α, aP2 and FAS, which are key factors involved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Respectively. That is, in addition to confirming the lipid formation inhibition of the composition observed visually in Example 5-2, the effect of the composition on the expression of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related protein was confirmed.

웨스턴블롯을 통한 단백질 발현 분석을 위해서는,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완료된 세포에 세포 용해 버퍼(cell lysis buffer)를 가하여 4℃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세포 용액을 원심분리하여 세포 단백질 용액을 얻었다. 캡시코시드 G 처리 농도별 세포 용해질(cell lysate)은 BCA 단백질 분석(BCA(Bicinchoninic Acid) protein assay)으로 단백질 농도를 정량하였고, 동량의 단백질을 10% 도데실 황산나트륨 폴리아크릴아미드 겔(SDS(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의 각 웰에 주입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겔 상에 전개된 단백질을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에 옮긴 후, 5 % 탈지분유(skim milk)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블로킹(blocking)하였다. 블로킹 후, 멤브레인은 1:1000 비율의 PPAR-γ, C/EBP-α, aP2 및 FAS의 1차 항체와 2시간 동안 상온에서 혼성화시켰으며, 혼성화가 끝난 막은 세척한 후, 2차 항체와 1시간 동안 더 추가 반응시켰다. 뒤이어, 항체 반응이 끝난 막에 화학발광 검출 시약(ECL(enhanced chemiluminescent) detection reagent)을 처리하고 엑스레이 필름(X-ray fim)에 감광시켜 현상하였다. 상기 분석 대상 네 가지 단백질의 발현 정도는, 엑스레이 필름에 현상된 단백질 밴드(band)를 소프트웨어 image J를 이용하여 정량화함에 의해 도출하였다. For protein expression analysis by Western blotting, cell lysis buffer was added to the cells that had been differentiated into adipocytes, left at 4 ° C for 30 minutes, and the cell solution was centrifuged to obtain a cell protein solution. Protein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BCA protein assay (BCA protein assay) and the same amount of protein was dissolved in 10% sodium dodecylsulfate polyacrylamide gel (SDS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and electrophoresis was performed. The protein developed on the gel was transferred to a nitrocellulose membrane and then blocked with 5% skim milk for 1 hour. After blocking, the membrane was hybridized with the primary antibody of PPAR-γ, C / EBP-α, aP2 and FAS at a ratio of 1: 1000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After washing the hybridized membrane, Lt; / RTI > for a further hour. Subsequently, the membrane after the antibody reaction was treated with an enhanced chemiluminescent (ECL) detection reagent and exposed to X-ray fim for development. The degree of expression of the four proteins to be analyzed was determined by quantifying the protein band developed on the X-ray film using software image J. [

구체적으로, 지방분화를 유도한 3T3-L1 세포에 캡시코시드 G를 농도별(0, 1, 5, 10, 20 ㎍/mL)로 6일간 처리한 후,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핵심인자인 PPAR-γ, C/EBP-α, aP2 및 FAS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즉,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의 농도 의존적 지방형성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해 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MDI 처리에 의해 지방분화가 일어나는 대조군에서는 네 가지 지방형성 관여 유전자(PPAR-γ, C/EBP-α, aP2 및 FAS)의 유의적 증가가 발견된 반면,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 처리에 의해서는 상기 증가된 유전자들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Specifically, 3T3-L1 cells that induced lipid differentiation were treated with capecicoside G at concentrations of 0, 1, 5, 10, and 20 ㎍ / mL for 6 days, PPAR-γ, C / EBP-α, aP2 and FAS. That is, as shown in FIG. 7, in the control group in which lipidation was induced by MDI treatment, four fat-forming genes (PPAR- γ, C / EBP-α, aP2 and FAS), whereas the expression of the increased genes was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the treatment with the capsicoside G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캡시코시드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지방형성에 관여하는 핵심 인자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궁극적으로 항비만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Theref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capsicose 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the expression of a key factor involved in fat formation, thereby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lipid precursor cells into adipocytes, and ultimately, Respectively.

Claims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캡시코시드 G(Capsicoside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023963596-pat00002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Capsicoside G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4023963596-pat0000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 예방 또는 치료는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에 의해 달성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is achieved by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precursor cells into adipocytes.
제 1항에 있어서, PPAR-γ(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EBP-α(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β), aP2(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지방산 생합성 효소(fatty acid syntahse, FAS)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pression of PPAR-gamma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EBP-alpha (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beta), aP2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fatty acid synthetas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캡시코시드 G(Capsicoside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023963596-pat00003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Capsicoside G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4023963596-pat00003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캡시코시드 G(Capsicoside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023963596-pat00004

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which comprises Capsicoside G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4023963596-pat0000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캡시코시드 G(Capsicoside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023963596-pat00005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Capsicoside G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4023963596-pat00005
KR1020140029043A 2014-03-12 2014-03-12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Capsicoside G KR101669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43A KR101669717B1 (en) 2014-03-12 2014-03-12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Capsicoside 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43A KR101669717B1 (en) 2014-03-12 2014-03-12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Capsicoside 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999A KR20150106999A (en) 2015-09-23
KR101669717B1 true KR101669717B1 (en) 2016-10-27

Family

ID=5424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043A KR101669717B1 (en) 2014-03-12 2014-03-12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Capsicoside 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7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983A (en) * 2017-03-24 2018-10-05 영양고추유통공사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lyophilized Capsicum annuum seed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3215A (en) * 2021-12-31 2022-02-18 浙江理工大学绍兴生物医药研究院有限公司 Externally-used water-soluble ointment for relieving non-alcoholic fatty liv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istry of Natural Compounds. 2012. Vol.48, No.4, pp.613-615.*
Food Science & Biotechnology. 2010. Vol.19, No.4, pp.1123-1127.*
Journal of Agricultural & Food Chemistry. 2002. Vol.50, pp.4310-4316.*
The FASEB Journal. 2014. Vol.28, No.1, Supplement 1045.1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983A (en) * 2017-03-24 2018-10-05 영양고추유통공사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lyophilized Capsicum annuum seed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KR101943977B1 (en) * 2017-03-24 2019-01-30 영양고추유통공사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lyophilized Capsicum annuum seed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999A (en)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1355A (e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treatment with tanshinone derivatives which increase metabolic activity
JP6564134B2 (en)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uscular diseases or improving muscle function, comprising morsin, kwanonji or mulberry white skin
WO2015072674A1 (en) Composition containing a borage officinalis extract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KR20160139072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tentilla Chinensis extract or isolated polyphenolic compounds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
KR101908221B1 (en) Compositions for anti-obesity comprising extract of Cyperus microiria Steud.
KR101354116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the extract of Idesia polycarpa fruit of the compounds derived therefrom for inhibiting adipogenesis
KR101669717B1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Capsicoside G
JP6524222B2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muscle function or exercise capacity comprising kilenol or extract of Sieges vecchia herb
KR101168050B1 (en) Food composition for obesity prevention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obesity treatment containing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WO2009014315A1 (en) A composition that is comprising extracts, fractions or isolated single compounds of robinia pseudo-acacia var. umbraculifera
WO2013112040A1 (en) Use of certain trioxygenated benzene derivatives in body fat management
KR20150012926A (en) A composition comprising Chrysanthemum zawadskii extracts having anti-obesity activity
KR101436213B1 (en)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obesity comprising extracts of Boehmeria sieboldiana
KR101503583B1 (en) Compositions for anti-obesity comprising extract of Vitis amurensis ruprecht
KR20160094313A (en) 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Chaenomelis Fructus extract or its fraction as effective component
KR101654977B1 (en) Anti-obesitic composition comprising kirenol or extract of Sigesbeckia orientalis L.
KR102602269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s comprising syringaresinol and resveratrol
US20230190779A1 (en) Agent for Improving Symptoms of Menopause
KR102088569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f obesity or metabolic disease comprising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Cnidii Rhizoma
KR101207527B1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1β-hydroxy-2-oxopomolic acid
KR101471048B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Siegesbeckia pubescens extracts having anti-obesity activity
KR101213065B1 (en) Food composition against obesity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against obesity containing 4-methylsulfinyl-3-butenyl isothiocyantate, precursor and derivatives of 4-methylsulfinyl-3-butenyl isothiocyantate
KR101074954B1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1S,2S,3S,4S)-5-aminocyclopentane-1,2,3,4-tetraol
KR20150142953A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Rosae laevigatae fructus alcohol extract
JP2015101586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obesity prevention and treatment comprising mays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