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67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678B1
KR101669678B1 KR1020100060122A KR20100060122A KR101669678B1 KR 101669678 B1 KR101669678 B1 KR 101669678B1 KR 1020100060122 A KR1020100060122 A KR 1020100060122A KR 20100060122 A KR20100060122 A KR 20100060122A KR 101669678 B1 KR101669678 B1 KR 101669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condensation
pair
dew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977A (ko
Inventor
김동정
이장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678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결로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결로 감지 유닛에서 감지되는 저항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결로 방지 히터의 동작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결로 방지 히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기존 냉장고의 경우 냉장고가 설치된 공간의 습도가 높아져 냉장고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공기와 고내 공기가 접촉하기 쉬운 영역에 결로 방지 히터를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조건이 되면 히터가 구동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도어 가장자리 또는 얼음이 배출되는 아이스 슈트 부근에 이러한 이슬방지 히터가 장착된다. 그리고,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 즉 냉장실이 한 쌍의 회동식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며, 상기 한 쌍의 도어가 맞닿는 부분에 별도의 격벽이 없는 타입의 냉장고에는 상기 한 쌍의 도어가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 결로 방지 히터가 장착되기도 한다.
종래의 냉장고의 경우, 실제로 외부 조건이 이슬이 맺히는 조건인지 아닌지 판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슬이 맺히지 않는 조건에서도 결로 방지 히터를 항상 또는 주기적으로 작동시켜야 했다. 그 결과 불필요한 전기 소비를 초래하여 소비자들이 전기료에 대한 부담을 안아야 했다.
또한, 습도 센서 및 온도 센서를 장착하여 냉장고 외부 습도와 온도를 계산하여 주위 온도가 이슬점 온도보다 낮은 경우 결로 방지 히터를 장착하도록 하는 냉장고의 경우는, 습도 센서와 온도 센서를 모두 장착하여야 하므로 제품의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결로 방지 히터의 작동이 반드시 필요한 순간에만 결로 방지 히터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절감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결로 방지 히터의 구동을 위하여 별도의 온도 센서나 습도 센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어느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냉장고의 표면에 이슬 맺힘을 감지하는 결로 감지 유닛과, 상기 냉장고의 표면에 맺힌 이슬을 제거하는 결로 방지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결로 감지 유닛은, 상기 냉장고의 표면에 맺힌 이슬에 의하여 저항값이 가변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단일 센서로 이슬 발생 지점의 저항을 측정하여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므로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상세히, 결로 방지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온도 센서나 습도 센서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냉장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있다.
둘째, 단일의 센서로 결로 방지 히터의 구동 시점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장 부품의 수가 절감되고, 결로 방지 히터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복잡하게 구성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이슬 발생 지점의 저항을 측정하여 결로 방지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므로, 반드시 필요한 순간에만 히터가 구동하게 된다. 그 결과, 히터 구동을 위한 전력 소모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히터가 장착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감지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감지 유닛이 냉장실 도어에 장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감지 유닛이 디스펜서 부분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감지 유닛이 홈바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히터가 장착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측에 제공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 외에 모든 형태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냉장실 및 냉동실이 구비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한 상의 냉장실 도어(12)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직립하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3)와,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12) 중 어느 하나의 전면에 제공되어, 얼음 또는 물이 취출되도록 하는 디스펜서(14)를 포함한다. 제품에 따라서 다른 하나의 냉장실 도어(12) 전면에는 홈바가 제공되어, 냉장실 도어(12)를 열지 않고도 냉장실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을 꺼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13)의 배면에는 수납 박스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냉동실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냉동실이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구획된 공간들 중 어느 하나는 절환실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이동하는 드로어 타입의 도어가 복수 개가 제공되어 냉동실과 절환실을 각각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14)는,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전면에 형성된 함몰부에 장착되는 디스펜서 하우징(141)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41)의 바닥에 제공되는 트레이(142) 및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41)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아이스 슈트(143)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배면 또는 상기 냉장실 내부에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실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내부에는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41의 상면에 이르는 얼음 배출 덕트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배출 덕트의 단부에는 상기 아이스 슈트(143)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에 저장된 얼음은 상기 얼음 배출 덕트와 상기 아이스 슈트(143)를 통하여 냉장고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143)의 전면 또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41)의 가장자리에는 얼음 배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41)의 상면에는 물 취출구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물 취출구는 냉장실 도어(12)의 배면에 별도로 장착된 워터 탱크에 연결되거나, 수도관으로부터 연장되는 냉장실 도어(12)까지 연장되는 호스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외부 공기와 고내 냉기와의 온도 및 습도 차이로 인하여 이슬이 맺힐 가능성이 높은 부분은 냉기와 외부 공기와의 접촉이 빈번한 영역이라 하겠다.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가 서로 맞닿는 면, 냉장실 도어(12) 및 냉동실 도어(13)와 캐비닛(11)이 접촉하는 경계면,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아이스 슈트(143) 부근 및 홈바 도어의 경계 영역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12) 및 냉동실 도어(13)의 내측 테두리 부분 또는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12)가 맞닿는 측면부에는 결로 방지 히터(후술함)가 매설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슬이 맺히는 조건을 판단하는 감지 수단이 별도로 장착되어 상기 결로 방지 히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이슬이 맺히는 조건을 판단하는 감지 수단의 구조와 기능 및 장착 위치에 대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감지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감지 유닛(20)은 이슬이 맺히는 영역에서 이슬 맺힘 양에 따른 저항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결로 방지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감지 유닛(20)은, 부도체 재질의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장착되며, 도체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전극(22)과, 상기 한 쌍의 전극(22)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는 전선(23)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전극(22)의 단부는 상기 케이스(21)의 전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전극(22)은 각각 소정의 길이(L)와 폭을 가지며, 서로 소정 간격(G) 이격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22)의 길이와 이격 간격에 따라 감지되는 저항 수치가 달라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결로 감지 유닛(20)은 이슬 맺힘 빈도가 높거나 이슬 맺힘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해당하는 냉장고의 표면에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결로 감지 유닛(20)은 설치 영역에 매설되고, 다만 상기 전극(22)의 단부만이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즉, 이슬이 상기 전극(22) 주위 또는 전극 표면에 맺히도록 하여, 상기 전선(23)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전극(22)에 전류를 흘러 주었을 때 감지되는 저항의 크기를 감지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로 감지 유닛(20)은 이슬이 맺히는 영역의 냉장고 부품 내부에 매설되고, 상기 전극(22)의 단부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22)의 단부는 이슬이 맺히는 영역의 냉장고 부품 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극(22) 사이 또는 전극 표면에 이슬(D)이 맺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선(23)으로 전류를 흘려 주었을 때 두 전극 간의 저항의 거의 무한대 값을 나타낸다. 반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전극(22) 사이 또는 전극 표면에 이슬(D)이 맺히면 두 전극 간의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 값은 맺힌 이슬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떨어진다. 이러한 저항의 변화를 제어부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저항값이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결로 방지 히터가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로 방지 히터가 작동하여 이슬이 제거되면 상기 전극(22) 간의 저항이 다시 증가하게 되고, 저항값이 설정 값 이상이 되면 결로 방지 히터의 동작이 정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어 방법에 의하면, 상기 결로 감지 유닛에서 감지되는 저항값이 설정값 이하로 떨어질 때에만 상기 결로 방지 히터가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결로 방지 히터의 구동을 위해 불필요한 전기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지 상기 결로 감지 유닛의 작동을 위한 전력만 소비되고, 상기 결로 감지 유닛의 작동을 위한 전력량은 결로 방지 히터의 동작을 위한 전력량에 비하면 아주 작은 양이라 하겠다.
한편, 상기 전극(22)의 길이(L)와 전극 간의 간격(G)에 따라 동일한 양의 이슬 맺힘 조건에서도 감지되는 저항의 크기가 다르다. 아래 표 1에서는 전극의 길이와 전극간 간격에 따른 저항값을 보여준다.
전극의 길이(L) 전극간 간격(G) 조건 1(㏁) 조건 2(㏁) 조건 3(㏁)
3mm 0.5mm 24 0.55
6mm 0.5mm 20-30 10 0.38
9mm 0.5mm 10 3 0.22
조건 1 : 이슬 맺힘이 없거나 미세한 경우
조건 2 : 표면에 이슬이 방울 형태(적하)로 발생한 경우
조건 3 : 이슬이 맺혀서 표면이 완전히 젖은 경우
상기 표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극 간 간격은 동일하게 하고, 전극의 길이와 이슬 맺힘 량에 따라 상기 결로 감지 유닛(20)에서 감지되는 저항값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슬 맺힘 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지되는 저항값은 급격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결로 방지 유닛(20)이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결로 방지 유닛(20)의 크기가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므로, 전극의 길이도 다르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극간 간격이 동일한 조건에서 전극의 길이에 따라 감지되는 저항값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결로 감지 유닛(20)의 규격에 따라 결로 방지 히터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저항값도 다르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극의 길이가 3mm이고 전극간 간격이 0.5mm인 결로 감지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슬 방울이 맺혔을 때 저항값이 약 24㏁이고, 냉장고 표면이 완전히 젖었을 경우 약 0.55㏁이므로, 결로 방지 히터의 작동을 위한 설정 저항값을 24㏁ 이하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전극의 길이가 9mm이고 전극간 간격이 0.5mm인 결로 감지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감지를 위하여 설정 저항값을 10㏁ 이하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감지 유닛의 설치 위치에 대한 실시예를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감지 유닛이 냉장실 도어에 장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의 냉장실 도어(12) 배면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실(30)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30) 내부 공간은 제빙실 도어(3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배면 및/또는 상기 제빙실 도어(31)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121)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경우, 냉장실은 한 쌍의 회동식 도어에 의하여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회동식 도어 각각의 양 측단은 캐비닛(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의 반대 측에 대응하는 회동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의 회동단은 냉장실이 폐쇄되었을 때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내부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의 회동단이 접촉하기 위한 별도의 격벽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 회동단이 맞닿는 부분에서 냉기 유출의 가능성이 가장 높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에는 냉기 유출을 막기 위한 필러(pillar)(40)가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필러(40)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12)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상기 필러(40)는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회동단측 배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냉장실의 천장면과 바닥면에는 상기 필러(4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미도시)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필러(40)가 장착된 냉장실 도어(12)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필러(40)의 일측이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12)가 맞닿는 부분을 폐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필러(40)가 장착된 냉장실 도어(12)가 열린 상태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러(40)가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회동단 측 측면부와 평행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2)를 닫으면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상기 필러(40)가 90도 회전하여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회동단측 측면부와 직교하는 형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반대측 냉장실 도어를 닫으면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12)의 회동단측 배면 가장자리가 상기 필러(40)에 밀착되어 냉기 유출이 차단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의 회동단측 측면들 중에서도 하단부가 상단부에 비하여 이슬 맺힘 가능성이 더 높다. 왜냐하면, 냉장실 고내의 냉기는 외부 공기보다 온도와 습도가 낮고, 찬 냉기의 밀도 특성에 의하여 온도가 낮을수록 냉기가 바닥쪽으로 내려 앉기 때문이다. 따라서, 냉장고 외부 공기와 온도 및 습도차가 가장 큰 영역인 도어의 하단부 쪽에서 이슬 맺힘 가능성이 가장 높고 이슬 맺힘 량도 가장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감지 유닛(20)은 상기 필러(40)의 하단부에 근접하는 영역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러(40)의 내부에는 결로 방지 히터(50)가 장착되고, 상기 결로 감지 유닛(20)에 의하여 감지되는 저항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필러(40)의 전면부 표면에 생성된 이슬을 증발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감지 유닛이 디스펜서 부분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얼음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14)는 디스펜서 하우징(14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41)은,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용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41)이 장착되는 냉장고 도어(본 실시예에서는 냉장실 도어)의 배면 상측에는 제빙실(3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30)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41)의 상면으로 얼음 배출 덕트(146)가 연장된다.
본 도면은 상기 디스펜서(14)의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로서, 상기 얼음 배출 덕트(146)의 출구단에 댐퍼(145)가 장착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세히, 상기 댐퍼(145)는 상기 얼음 배출 덕트(146)의 출구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얼음 취출 버튼(144)을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얼음 배출 덕트(146)의 출구단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로 감지 유닛(20)은 상기 얼음 배출 덕트(146)의 출구단 가장자리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댐퍼(145)에 의하여 덮이지 않는 상기 얼음 배출 덕트(146)의 출구단 가장자리에 상기 결로 감지 유닛(20)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결로 방지 히터(미도시)는 상기 댐퍼(145)에 의하여 덮이지 않는 상기 얼음 배출 덕트(146)의 출구단 가장자리에 매설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감지 유닛이 홈바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 및/또는 냉동실 도어의 전면에는 홈바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바 유닛(50)은, 도어 배면에 장착되어 음식물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홈바 케이스(52)와, 상기 홈바 케이스(52)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홈바 도어(53)를 포함한다. 상기 홈바 유닛(50)이 장착되는 냉장고 도어에는 상기 홈바 케이스(52)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내측 테두리에는 프레임(51)이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51)의 전면에 상기 홈바 도어(53)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51)의 내측 네두리에는 가스켓(54)이 둘러져서, 상기 홈바 도어(53)가 닫힌 상태에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홈바 구조는 냉장실 홈바 또는 냉동실 홈바를 포함하며, 상기 냉장실 홈바에는 음료수와 같이 냉장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 음식물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홈바에는 얼음 저장을 위한 아이스 빈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감지 유닛(20)은 상기 프레임(51)의 전면 하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결로 감지 유닛(20)이 하단부에 장착되는 이유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Claims (10)

  1.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어느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냉장고의 표면에 이슬 맺힘을 감지하는 결로 감지 유닛과,
    상기 냉장고의 표면에 맺힌 이슬을 제거하는 결로 방지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 각각은,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의 반대 측에 대응하는 회동단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하나의 회동단 배면에 필러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결로 방지 히터는 상기 필러 내부에 매설되고, 상기 결로 감지 유닛은 상기 필러의 전면부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결로 감지 유닛은,
    부도체 재질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 장착된 한 쌍의 전극; 및
    상기 한 쌍의 전극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연결된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극 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결로 감지 유닛은 상기 한쌍의 전극의 노출된 표면이 냉장고의 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필러에 장착되며,
    이슬이 상기 냉장고의 표면에 맺히면 상기 한 쌍의 전극의 저항값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감지 유닛에서 발생하는 저항값의 변화를 수신하여 상기 결로 방지 히터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방지 히터는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된 저항값이 설정 저항값 이하로 떨어질 때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저항값은 상기 전극간 거리 및 상기 전극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060122A 2010-06-24 2010-06-24 냉장고 KR101669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122A KR101669678B1 (ko) 2010-06-24 2010-06-24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122A KR101669678B1 (ko) 2010-06-24 2010-06-24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977A KR20110139977A (ko) 2011-12-30
KR101669678B1 true KR101669678B1 (ko) 2016-10-26

Family

ID=4550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122A KR101669678B1 (ko) 2010-06-24 2010-06-24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8985B2 (en) * 2015-03-05 2020-10-20 Lg Innotek Co., Ltd. Sensing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434B1 (ko) * 2016-02-02 2018-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이슬 맺힘 감지 및 제거 장치와 그의 제어 방법
JP6830760B2 (ja) * 2016-04-06 2021-02-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9425179B (zh) * 2018-04-18 2020-12-22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冰箱活动梁及冰箱
JP7133605B2 (ja) * 2020-11-10 2022-09-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US11892225B2 (en) * 2022-04-28 2024-02-0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refrigerator applian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4651A (ja) * 1982-03-09 1983-09-14 Murata Mfg Co Ltd 結露センサ−
KR940009229B1 (ko) * 1992-02-26 1994-10-01 주식회사 금성사 냉장고의 도어히터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00031337A (ko) * 2008-09-12 2010-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바히터가 구비된 냉장고 및 홈바히터 제어방법
KR101492274B1 (ko) * 2008-10-06 2015-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8985B2 (en) * 2015-03-05 2020-10-20 Lg Innotek Co., Ltd. Sensing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977A (ko) 201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678B1 (ko) 냉장고
US9476631B2 (en)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730865B1 (en) Refrigerator
US20110146331A1 (en) Refrigerator
US8438872B2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US9175896B2 (en) Refrigerator with a plurality of sealing parts
US8656731B2 (en) Refrigerator
US7665320B2 (en) Damper assembly and methods for a refrigeration device
KR101343092B1 (ko) 냉장고도어 제빙실
US20120000899A1 (en) Heat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1019081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37984B1 (ko) 냉장고의 수평조절장치
WO2009113310A1 (ja) 冷蔵庫
US9091473B2 (en) Float-type ice making assembly and related refrigeration appliance
EP2096385B1 (en)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44560A (ko) 이슬맺힘방지히터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4004722B2 (ja) 冷蔵庫
US9377235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220282898A1 (en) Appliance with dual ice makers
KR100716286B1 (ko) 냉장고
CN216716697U (zh) 冰箱及加湿器
JP5202207B2 (ja) 冷蔵庫
US2007011920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unting an ice maker
KR101132481B1 (ko)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스장치
CN219063900U (zh) 一种供水装置和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