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671B1 -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671B1
KR101669671B1 KR1020150191887A KR20150191887A KR101669671B1 KR 101669671 B1 KR101669671 B1 KR 101669671B1 KR 1020150191887 A KR1020150191887 A KR 1020150191887A KR 20150191887 A KR20150191887 A KR 20150191887A KR 101669671 B1 KR101669671 B1 KR 101669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ase
heat transfer
partition wall
fl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진복
Original Assignee
(주)마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하 filed Critical (주)마하
Priority to KR1020150191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26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allowing differential expansion betwe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22Fastening; Joining by using magnetic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가 관통되되, 내부에는 와류를 유도하는 나선형의 그루브가 형성되는 "U" 형상의 전열관 다수가 튜브시트에 결합 고정되어 케이스에 내장되며, 그 케이스의 일단에는 냉매가 상기 전열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와 상기 전열관으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전열관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유체배출구가 형성되는 냉동기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전열관의 양끝단에는 그루브 가공이 형성되지 않는 미가공부;를 더 형성하는 것으로서,
전열관을 튜브시트에 결합 고정하기 위해 전열관 끝단의 미가공부를 강제 확관하는 과정에서 종래에 전열관 내부에 형성되는 그루브가 미세한 칩 형태로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미세한 칩의 유입으로 인해 장치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격벽으로 케이스 내부에 유체유입구에서 유체배출구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셋 이상의 구획공간을 형성하고, 격벽에는 대용량 개방부를 형성함으로, 케이스 내부로 적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격벽에 형성되는 미세구멍을 통해 곧바로 구획공간을 통과하면서 전열관과 열교환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고, 케이스 내부로 많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의 압력에 대용량 개방부가 개방되어 유체가 구획공간을 지그재그로 통과하면서 케이스에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유체가 전열관과 장시간 열교환할 수 있어 대용량 유체의 효과적인 열교환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High-efficiency refrigeration Heat Exchangers}
본 발명은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열관의 양끝단에 그루브 가공이 형성되지 않는 미가공부를 형성함으로 전열관을 튜브시트에 결합 고정하기 위해 전열관 끝단의 미가공부를 강제 확관하는 과정에서 종래에 전열관 내부에 형성되는 그루브가 미세한 칩 형태로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미세한 칩의 유입으로 인해 장치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나 냉동기 등의 열교환기에는 내부에 냉매가 유통되어 외부의 유체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다수의 "U" 형상의 전열관이 설치되기 마련이며, 이러한 전열관의 내부에는 나선형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전열관 내부에 유통되는 냉매의 와류를 유도하여 냉매가 전열관 내측면에 골고루 접촉되게 유도하여 냉매와 전열관의 효율적인 열교환을 유도한다.
한편, 상기 전열관은 열교환기 내부에 형성되는 튜브시트 내부에 형성되는 구멍에 상기 전열관의 끝단을 내입한 상태에서 상기 전열관의 끝단을 강제 확관하여 상기 전열관을 상기 튜브시트에 결합 고정하는데, 상기 전열관 끝단을 확관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열관 끝단에 형성되는 그루브가 미세한 칩 형태로 파쇄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이러한 칩은 전열관을 타고 유통되어 장치(공기조화기나 냉동기 등)로 유입되어 장치를 손상 또는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전열관의 끝단에 형성되는 그루브로 인해 상기 전열관 끝단에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부분이 존재함으로, 상기 전열관의 끝단을 강제 확관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열관 끝단이 빈번하게 찢어져 제품의 불량발생률을 높이는 원인이 되었다.
한편, 요즘의 열교환기는 대용량의 유체와 용이하게 열교환 하기 위해 열교환기 내부에 유체가 체류하는 시간을 연장하는 구조를 제시하여 전열관과 유체의 효율적인 열교환을 유도하나, 상기 열교환기에 소량의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열교환기 내부에 장시간 체류하지 않더라도 신속하게 열교환이 수행될 수 있으나 강제적으로 장시간 유체가 체류하는 구조로 인해 열교환된 유체를 신속히 공급받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열교환기 내부에 유체가 체류하는 시간을 짧게 유도하는 열교환기의 구조를 제시하는 경우에 상기 열교환기로 대용량의 유체가 유입되면 대용량의 유체가 체류하는 시간이 너무 짧아 전열관과 유체의 효과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열교환기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열관의 양끝단에 그루브 가공이 형성되지 않는 미가공부를 형성함으로 전열관을 튜브시트에 결합 고정하기 위해 전열관 끝단의 미가공부를 강제 확관하는 과정에서 종래에 전열관 내부에 형성되는 그루브가 미세한 칩 형태로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미세한 칩의 유입으로 인해 장치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격벽으로 케이스 내부에 유체유입구에서 유체배출구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셋 이상의 구획공간을 형성하고, 격벽에는 대용량 개방부를 형성함으로, 케이스 내부로 적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격벽에 형성되는 미세구멍을 통해 곧바로 구획공간을 통과하면서 전열관과 열교환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고, 케이스 내부로 많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의 압력에 대용량 개방부가 개방되어 유체가 구획공간을 지그재그로 통과하면서 케이스에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유체가 전열관과 장시간 열교환할 수 있어 대용량 유체의 효과적인 열교환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는 내부가 관통되되, 내부에는 와류를 유도하는 나선형의 그루브가 형성되는 "U" 형상의 전열관 다수가 튜브시트에 결합 고정되어 케이스에 내장되며, 그 케이스의 일단에는 냉매가 상기 전열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와 상기 전열관으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전열관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유체배출구가 형성되는 냉동기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전열관의 양끝단에는 그루브 가공이 형성되지 않는 미가공부;를 형성하여 상기 전열관의 양끝단을 상기 튜브시트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튜브시트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상기 전열관 끝단의 상기 미가공부를 내입한 후, 상기 전열관 끝단을 강제 확관하면 상기 전열관 내부에 형성되는 그루브가 미세한 칩 형태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유체유입구에서 유체배출구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획공간이 셋 이상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둘 이상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 상에는 다수의 미세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의 구획공간이 서로 연통되게 하여 상기 유체유입구로 유체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미세구멍을 통해 구획공간을 순차적으로 유통하면서 상기 전열관과 열교환하여 상기 유체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격벽의 일단과 다른 상기 격벽의 타단 각각에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양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대용량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대용량 개방부가 개방되면 상기 유체유입구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구획공간을 지그재그로 유통되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시간 체류하면서 상기 전열관과 열교한 후에 상기 유체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용량 개방부는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연통구멍과 상기 격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통구멍을 폐쇄하는 개폐덮개와 상기 개폐덮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덮개를 자력으로 통해 상기 격벽에 밀착되게 하는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통되는 유체의 압력(힘)이 상기 자석의 자력을 통해 상기 개폐덮개가 상기 격벽에 밀착되는 힘을 초과할 정도로 많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의 압력에 밀려 상기 개폐덮개가 회동되어 상기 연통구멍이 개방되므로 유체가 상기 케이스 내부의 구획공간을 지그재그로 순차적으로 유통되어 유체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며,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통되는 유체의 압력이 상기 자석의 자력을 통해 상기 개폐덮개가 상기 격벽에 밀착되는 힘을 초과하지 못할 정도로 적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다수의 상기 미세구멍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의 구획공간을 순차적으로 유통되어 유체가 상기 케이스 내부를 신속하게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되게 2열로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형성하되, 상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상기 분사노즐은 하방으로 유체가 분사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상기 분사노즐은 상방으로 유체가 분사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분사노즐 전체는 상기 대용량 개방부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유체가 유통되는 방향으로 유체가 분사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배치하여 상기 케이스의 구획공간으로 유통되는 유체의 와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에 의하면, 전열관의 양끝단에 그루브 가공이 형성되지 않는 미가공부를 형성함으로 전열관을 튜브시트에 결합 고정하기 위해 전열관 끝단의 미가공부를 강제 확관하는 과정에서 종래에 전열관 내부에 형성되는 그루브가 미세한 칩 형태로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미세한 칩의 유입으로 인해 장치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격벽으로 케이스 내부에 유체유입구에서 유체배출구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셋 이상의 구획공간을 형성하고, 격벽에는 대용량 개방부를 형성함으로, 케이스 내부로 적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격벽에 형성되는 미세구멍을 통해 곧바로 구획공간을 통과하면서 전열관과 열교환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고, 케이스 내부로 많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의 압력에 대용량 개방부가 개방되어 유체가 구획공간을 지그재그로 통과하면서 케이스에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유체가 전열관과 장시간 열교환할 수 있어 대용량 유체의 효과적인 열교환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의 횡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의 횡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100)는 내부가 관통되되, 내부에는 와류를 유도하는 나선형의 그루브(1a)가 형성되는 "U" 형상의 전열관(1) 다수가 튜브시트(2)에 결합 고정되어 케이스(3)에 내장되며, 그 케이스(3)의 일단에는 냉매가 상기 전열관(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4)와 상기 전열관(1)으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전열관(1)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5)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의 일측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6)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3)의 타측에는 상기 케이스(3)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유체배출구(7)가 형성되는 냉동기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전열관(1)의 양끝단에는 그루브(1a) 가공이 형성되지 않는 미가공부(10);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열관(1)을 튜브시트(2)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튜브시트(2)에 형성되는 구멍(2a)으로 상기 전열관(1) 끝단의 상기 미가공부(10)를 내입 위치시킨 후, 상기 전열관(1) 끝단의 상기 미가공부(10)를 강제 확관하면 상기 미가공부(10)가 확관되면서 상기 튜브시트(2)의 구멍(2a)에 견고히 결합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전열관(10) 끝단의 상기 미가공부(10)에는 그루브(1a)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종래에 전열관 끝단을 확관하는 과정에서 그루브가 미세한 칩 형태로 이탈되고, 그 칩이 장치의 내부에 유입되어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의 손상 및 고장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 내부에 상기 유체유입구(6)에서 유체배출구(7)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획공간(21)이 셋 이상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3) 내부에 둘 이상의 격벽(22)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2) 상에는 다수의 미세구멍(23)을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3) 내부의 구획공간(21)이 서로 연통되게 하여 상기 유체유입구(6)로 유체가 상기 케이스(3)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격벽(22)에 형성되는 미세구멍(23)을 통해 구획공간(21)을 순차적으로 유통하면서 상기 전열관(1)과 열교환하여 상기 유체배출구(7)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격벽(22)의 일단과 다른 상기 격벽(22)의 타단 각각에 상기 유체유입구(6)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양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대용량 개방부(30)를 형성하여 상기 대용량 개방부(30)가 개방되면 상기 유체유입구(6)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구획공간(21)을 지그재그로 유통되면서 상기 케이스(3) 내부에 장시간 체류하면서 상기 전열관(1)과 열교한 후에 상기 유체배출구(7)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대용량 개방부(30)는 상기 격벽(22)에 형성되는 연통구멍(31)과 상기 격벽(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통구멍(31)을 폐쇄하는 개폐덮개(32)와 상기 개폐덮개(3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덮개(32)를 자력으로 통해 상기 격벽(22)에 밀착되게 하는 자석(33)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자석(33)을 상기 개폐덮개(32)에만 형성하였으나 자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개폐덮개(21)에 형성되는 자석(33)과 마주보는 상기 격벽(22)의 위치에 상기 자석(33)을 함께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유입구(6)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케이스(3) 내부로 유통되는 유체의 압력(힘)이 상기 자석(33)의 자력을 통해 상기 개폐덮개(32)가 상기 격벽(22)에 밀착되는 힘을 초과할 정도로 많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의 압력에 밀려 상기 개폐덮개(32)가 회동되어 상기 연통구멍(31)이 개방되므로 유체가 상기 케이스(3) 내부의 구획공간(21)을 지그재그로 순차적으로 유통되어 유체가 상기 케이스(3)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져 많은 양의 유체가 상기 전열관(1)과 장시간 열교환되도록 유도하여 매우 효과적인 유체의 열교환을 유도하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유입구(6)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케이스(3) 내부로 유통되는 유체의 압력이 상기 자석(33)의 자력을 통해 상기 개폐덮개(32)가 상기 격벽(22)에 밀착되는 힘을 초과하지 못할 정도로 적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격벽(22)에 형성되는 다수의 상기 미세구멍(23)을 통해 상기 케이스(3) 내부의 구획공간(21)을 순차적으로 유통되어 유체가 상기 케이스(3) 내부를 신속하게 통과하여 외부로 제공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많은 양의 유체가 상기 케이스(3)로 유입되면 상기 케이스(3) 내부로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많은 양의 유체와 상기 전열관(1)이 용이하게 열교환하도록 유도하고, 적은 양의 유체가 상기 케이스(3)로 유입되면 상기 케이스(3)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상기 전열관(1)과 신속하게 열교환하여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유체의 양에 따른 효과적인 열교환을 유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3)에 적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전열관(1)과 빠른 시간에 열교환이 완료되므로 상기 케이스(3)에 유체가 장시간 체류할 필요가 없어 상기와 같이 신속하게 배출된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22)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되게 2열로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노즐(40)을 형성하되, 상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상기 분사노즐(40)은 하방으로 유체가 분사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상기 분사노즐(40)은 상방으로 유체가 분사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분사노즐(40) 전체는 상기 대용량 개방부(30)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스(3) 내부에 유체가 유통되는 방향으로 유체가 분사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배치하여 상기 케이스(3)의 구획공간(21)으로 유통되는 유체의 와류를 유도하여 상기 케이스(3)의 구획공간(21)을 따라 지그재그로 유통되는 대용량의 유체가 골고루 상기 전열관(1)에 접촉되면서 상기 전열관(1)과 효과적으로 열교환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대용량 개방부(30)가 개방될 정도로 많은 양의 유체가 유통되는 경우에 유체로 인해 상기 케이스(3) 내부에 압력이 높아지므로 상기 분사노즐(40)을 통해 유체가 분사되며, 상기 대용량 개방부(30)가 개방되지 않는 정도의 적은 양의 유체가 유통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3) 내부에 높은 압력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분사노즐(40)을 통해 유체가 분사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3)에 대용량의 유체가 유통되는 경우에만 상기 분사노즐(40)을 통해 유체가 강력하게 분사되어 상기 케이스(3) 내부에 지그재그로 유통되는 유체의 와류를 유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100)는 전열관(1)의 양끝단에 그루브(1a) 가공이 형성되지 않는 상기 미가공부(10)를 형성함으로, 전열관(1)을 튜브시트(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해전열관 끝단의 미가공부(10)를 강제 확관하는 과정에서 종래에 전열관 내부에 형성되는 그루브가 미세한 칩 형태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미세한 칩의 유입으로 인해 장치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격벽(22)으로 케이스(3) 내부에 유체유입구(6)에서 유체배출구(7)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셋 이상의 구획공간(21)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22)에는 대용량 개방부(30)를 형성함으로, 상기 케이스(3) 내부로 적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격벽(22)에 형성되는 미세구멍(23)을 통해 곧바로 상기 구획공간(21)을 통과하면서 상기 전열관(1)과 열교환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케이스(3) 내부로 많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의 압력에 상기 대용량 개방부(30)가 개방되어 유체가 상기 구획공간(21)을 지그재그로 통과하면서 상기 케이스(3)에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유체가 상기 전열관(1)과 장시간 열교환할 수 있어 대용량 유체의 효과적인 열교환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100)는 다음과 같이 전열관을 튜브시트에 결합되며, 유입되는 유체의 양에 따라 아래와 같이 작동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관(1)을 튜브시트(2)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튜브시트(2)에 형성되는 구멍(2a)으로 상기 전열관(1) 끝단의 미가공부(10)를 내입 위치시킨 후, 상기 전열관(1) 끝단의 상기 미가공부(10)를 강제 확관하여 상기 튜브시트(2)에 견고히 결합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전열관(10) 끝단의 상기 미가공부(10)에는 그루브(1a)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종래에 전열관 끝단을 확관하는 과정에서 그루브가 미세한 칩 형태로 이탈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튜브시트에 전열관이 설치 완료된 본 발명의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100)의 유체유입구(6)로,
적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 내부로 유통되는 유체의 압력이 대용량 개방부(30)의 개폐덮개(32)가 자석(33)의 자력을 통해 격벽(22)에 밀착되는 힘을 초과하지 못함으로 유체가 상기 격벽(22)에 형성되는 다수의 미세구멍(23)을 통해 상기 케이스(3) 내부의 구획공간(21)을 순차적으로 곧바르게 유통되어 신속하게 유체배출구(7)를 통해 배출되고,
많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 내부로 유통되는 유체의 압력이 대용량 개방부(30)의 개폐덮개(32)가 자석(33)의 자력을 통해 격벽(22)에 밀착되는 힘을 초과하여 유체의 압력에 밀려 상기 개폐덮개(32)가 회동되어 연통구멍(31)이 개방되므로, 유체가 상기 케이스(3) 내부의 구획공간(21)을 지그재그로 순차적으로 유통되어 유체가 상기 케이스(3)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이로 인해 많은 양의 유체는 상기 전열관과 장시간 충분히 열교환되어 상기 유체배출구(7)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격벽(22)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되게 2열로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노즐(40)을 통해 대용량의 유체가 유통되는 방향으로 유체를 상·하부로 분사시켜 상기 케이스(3)의 구획공간(21)으로 유통되는 대용량 유체의 와류를 유도하여 대용량의 유체가 상기 전열관(1)에 골고루 접촉되면서 상기 전열관(1)과의 효과적으로 열교환을 유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전열관 1a. 그루브
2. 튜브시트 2a. 구멍
3. 케이스 4. 유입구
5. 배출구 6. 유체유입구
7. 유체배출구
10. 미가공부 21. 구획공간
22. 격벽 23. 미세구멍
30. 대용량 개방부 31. 연통구멍
32. 개폐덮개 33. 자석
40. 분사노즐
100.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

Claims (4)

  1. 내부가 관통되되, 내부에는 와류를 유도하는 나선형의 그루브(1a)가 형성되는 "U" 형상의 전열관(1) 다수가 튜브시트(2)에 결합 고정되어 케이스(3)에 내장되며, 그 케이스(3)의 일단에는 냉매가 상기 전열관(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4)와 상기 전열관(1)으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전열관(1)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5)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의 일측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6)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3)의 타측에는 상기 케이스(3)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유체배출구(7)가 형성되는 냉동기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전열관(1)의 양끝단에는 그루브(1a) 가공이 형성되지 않는 미가공부(10);를 형성하여 상기 전열관(1)의 양끝단을 상기 튜브시트(2)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튜브시트(2)에 형성되는 구멍(2a)으로 상기 전열관(1) 끝단의 상기 미가공부(10)를 내입하면, 상기 전열관(1) 끝단을 강제 확관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열관(1) 내부에 형성되는 그루브(1a)가 미세한 칩 형태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며,
    상기 케이스(3) 내부에 상기 유체유입구(6)에서 유체배출구(7)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획공간(21)이 셋 이상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3) 내부에 둘 이상의 격벽(22)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2) 상에는 다수의 미세구멍(23)을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3) 내부의 구획공간(21)이 서로 연통되게 하여 상기 유체유입구(6)로 유체가 상기 케이스(3)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격벽(22)에 형성되는 미세구멍(23)을 통해 구획공간(21)을 순차적으로 유통하면서 상기 전열관(1)과 열교환하여 상기 유체배출구(7)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격벽(22)의 일단과 다른 상기 격벽(22)의 타단 각각에 상기 유체유입구(6)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양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대용량 개방부(30)를 형성하여 상기 대용량 개방부(30)가 개방되면 상기 유체유입구(6)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구획공간(21)을 지그재그로 유통되면서 상기 케이스(3) 내부에 장시간 체류하면서 상기 전열관(1)과 열교한 후에 상기 유체배출구(7)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대용량 개방부(30)는 상기 격벽(22)에 형성되는 연통구멍(31)과 상기 격벽(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통구멍(31)을 폐쇄하는 개폐덮개(32)와 상기 개폐덮개(3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덮개(32)를 자력으로 통해 상기 격벽(22)에 밀착되게 하는 자석(3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유체유입구(6)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케이스(3) 내부로 유통되는 유체의 압력(힘)이 상기 자석(33)의 자력을 통해 상기 개폐덮개(32)가 상기 격벽(22)에 밀착되는 힘을 초과할 정도로 많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의 압력에 밀려 상기 개폐덮개(32)가 회동되어 상기 연통구멍(31)이 개방되므로 유체가 상기 케이스(3) 내부의 구획공간(21)을 지그재그로 순차적으로 유통되어 유체가 상기 케이스(3)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며,
    상기 유체유입구(6)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케이스(3) 내부로 유통되는 유체의 압력이 상기 자석(33)의 자력을 통해 상기 개폐덮개(32)가 상기 격벽(22)에 밀착되는 힘을 초과하지 못할 정도로 적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격벽(22)에 형성되는 다수의 상기 미세구멍(23)을 통해 상기 케이스(3) 내부의 구획공간(21)을 순차적으로 유통되어 유체가 상기 케이스(3) 내부를 신속하게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91887A 2015-12-31 2015-12-31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 KR101669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887A KR101669671B1 (ko) 2015-12-31 2015-12-31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887A KR101669671B1 (ko) 2015-12-31 2015-12-31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671B1 true KR101669671B1 (ko) 2016-10-27

Family

ID=5724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887A KR101669671B1 (ko) 2015-12-31 2015-12-31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6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991B1 (ko) * 2017-08-10 2018-01-18 장석채 냉난방용 축열장치
KR102208857B1 (ko) 2020-02-19 2021-01-27 김기형 냉동기용 열교환기 및 이의 세정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9094A (ja) * 1984-10-17 1986-05-17 ル・エール・リクイツド・ソシエテ・アノニム・プール・ル・エチユド・エ・ル・エクスプルワテシヨン・デ・プロセデ・ジエオルジエ・クロード 流体加熱装置
JPH07318292A (ja) * 1994-05-25 1995-12-08 Hitachi Ltd 緩衝板
JPH08219679A (ja) * 1994-12-16 1996-08-30 Nisshin Kogyo Kk 熱交換器
JP2000283663A (ja) * 1999-03-30 2000-10-13 Toyota Motor Corp 排気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9094A (ja) * 1984-10-17 1986-05-17 ル・エール・リクイツド・ソシエテ・アノニム・プール・ル・エチユド・エ・ル・エクスプルワテシヨン・デ・プロセデ・ジエオルジエ・クロード 流体加熱装置
JPH07318292A (ja) * 1994-05-25 1995-12-08 Hitachi Ltd 緩衝板
JPH08219679A (ja) * 1994-12-16 1996-08-30 Nisshin Kogyo Kk 熱交換器
JP2000283663A (ja) * 1999-03-30 2000-10-13 Toyota Motor Corp 排気冷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991B1 (ko) * 2017-08-10 2018-01-18 장석채 냉난방용 축열장치
KR102208857B1 (ko) 2020-02-19 2021-01-27 김기형 냉동기용 열교환기 및 이의 세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4681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897813B1 (ko)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에어 공급기
JP2011525051A (ja) 電子素子用の冷却装置
KR101669671B1 (ko)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
WO2016082622A1 (zh) 冰箱
KR20000008994U (ko)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
WO2017166575A1 (zh) 冷藏冷冻装置
RU2644961C1 (ru) Холодильник
KR20110116437A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구조
CN207251489U (zh) 一种3.3kW水冷AC/DC转换器内部水冷结构
KR101625223B1 (ko) 가변 와류를 형성하는 고효율 냉동기용 열교환기
KR200395007Y1 (ko) 유체안내구를 갖는 냉·온수식 열교환기
CN207197050U (zh) 冰箱
WO2019129065A1 (zh) 冰箱
KR2017008282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02382B1 (ko) 냉동컴프레셔용 공냉식 가스냉각기
KR20190118322A (ko) 냉동기용 열교환기
CN109974363B (zh) 风冷式冰箱
TWM522328U (zh) 製冷裝置
CN207990773U (zh) 管路排空结构及包括其的空气调节系统
CN211041492U (zh) 一种气液分离闪发器及其空调器系统
CN219318718U (zh) 冷柜
CN104564609A (zh) 活塞式压缩机及其吸气消音器
TWI596309B (zh) Evaporator coil structure
KR100925112B1 (ko) 수냉식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