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590B1 -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 Google Patents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590B1
KR101669590B1 KR1020160037324A KR20160037324A KR101669590B1 KR 101669590 B1 KR101669590 B1 KR 101669590B1 KR 1020160037324 A KR1020160037324 A KR 1020160037324A KR 20160037324 A KR20160037324 A KR 20160037324A KR 101669590 B1 KR101669590 B1 KR 101669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air
cold
unit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시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시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시즌
Priority to KR1020160037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5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liquid-imperme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7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permeable to liquid or air in a special w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8Quilting; Elemen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 내부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여 사계절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에 관한 것으로, 다수겹으로 중첩 형성된 매트부; 및 상기 매트부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의 내부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냉온풍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Mattress with Cold and Warm Wind}
본 발명은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트 내부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여 사계절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에 관한 것이다.
매트는 사용자의 휴식 또는 수면 시 인간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지만, 온돌문화에 익숙한 우리나라 정서상 추가적인 난방 설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결하고자, 최근에는 각종 전기매트나 각종 옥매트 등을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4231호(2011.06.15 등록)는 전기 매트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소정크기로 재단되고 독립기포 구조로 된 다공성의 폴리에틸렌폼 상면에 발열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테이프로 부착되어 있는 보온재와, 상기 보온재의 상부에 구성되는 상판부재 내측에 위사와 경사로 직조되어 통공을 형성하는 망형으로 된 직물지를 접착제로 접착하여 보온재와 일체로 부착시키고 박판상의 목재판으로 된 상부시트와, 상기 보온재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되고 합성수지 필름으로 된 하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반사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필름층과, 상기 상부시트와 보온재 및 하부시트의 가장자리 주연부를 재봉시킨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3854호(2014.07.29 등록)는 난방튜브 직접 발열 침대용 온수매트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판상의 매트를 구성하는 매트부와 상기 매트부에 배설되며 온수에 의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는 난방튜브로 구성되는 침대용 온수매트에 있어서, 상기 난방튜브에 복선 히터선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복선 히터선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컨트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매트부는 최 하측에 구비되어 하부와의 단열이 이루어지게 하는 단열매트부와 상기 단열매트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난방튜브가 매설되는 튜브매설홈이 형성되는 튜브고정패드와 상기 튜브고정패드에 접착되어 결합된 난방튜브가 유동되지 않게 잡아주는 튜브고정시트 및 상기 튜브고정시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난방매트부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매트부의 하부에 침대와의 마찰을 유지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난방튜브는 내부에 물과 같은 난방유체가 채워지며 상기 난방유체가 유출되지 않게 양단에 밀봉된 밀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선 히터선은 상호 접합된 두 개 합성수지 히터튜브와 상기 각 합성수지 히터튜브의 내부에 탄소섬유가 수납 구비되고, 상기 합성수지 히터튜브와 탄소섬유 사이에는 합성수지 히터튜브의 신축에 따른 탄소섬유의 손상이 방지되게 유동공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매트는 매트 내부에 발열선을 구비하여 직화열을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전자파의 폐해와 열선 단락이나 과열로 인한 화재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물이나 습기로 인한 감전의 위험이 있었다. 그리고 무더운 여름에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선풍기 또는 에어컨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온수매트는 튜브관 내부의 물이 결빙되어 작동 불능 상태가 되거나, 물이 새는 등 이불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할 때마다 물을 보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보관 시 물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은 경우 습기로 인해 부품이 부식되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매트, 온수매트 등은 매트 내부에 발열선 또는 튜브관이 형성되기 때문에 접어 보관하기 불편함이 있으며,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4231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385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 내부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한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다수겹으로 중첩 형성된 매트부; 및 상기 매트부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의 내부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냉온풍 공급부를 포함하는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매트부는, 방수원단 재질로 형성된 제1 매트; 상기 제1 매트의 상부에 밀폐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공이 구비된 방수원단 재질의 제2 매트; 및 상기 제2 매트의 상부에 결합 형성되며, 다수개의 공기 통로가 구비된 제3 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매트부는, 상기 제1 매트와 상기 제2 매트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냉온풍 공급부로부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기 위한 연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매트부는, 상기 제1 매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4 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매트부는, 상기 제1 매트와 상기 제4 매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매트와 상기 제4 매트 사이를 서로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 매트는, 격자무늬로 박음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온풍 공급부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와 상기 매트부 사이를 연결하여 냉풍 또는 온풍을 상기 매트부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의 입구쪽에 형성되어 발열하는 히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온풍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재의 외부에 형성되어, 바람의 세기 또는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명령신호를 생성시키는 입력부재; 및 상기 명령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송풍부재, 상기 히터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온풍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재; 및 안전을 위해 전기회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한계 온도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온도감지부재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한계 온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송풍부재와 상기 히터부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트 내부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여 사계절 모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파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으며 별도의 냉방 또는 난방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트 내부에 발열선 또는 튜브관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매트를 접어 보관하기 편리하여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세탁이 용이하며, 단선, 누전, 감전, 화재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매트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매트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매트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매트부를 제4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냉온풍 공급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냉온풍 공급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냉온풍 공급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10)는, 매트부(100), 냉온풍 공급부(200)를 포함한다.
매트부(100)는, 다수겹으로 중첩 형성되고 일측이 냉온풍 공급부(200)와 연결 형성되어, 냉온풍 공급부(200)로부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는다.
일 실시 예에서, 매트부(100)는, 내부에 향균 및 방취제를 삽입하여 냄새를 제거하고 세균, 곰팡이 및 유해곤충의 서식을 방지할 수 있다.
냉온풍 공급부(200)는, 매트부(10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며, 매트부(100)의 내부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냉온풍 공급부(200)는, 바이메탈식 온도 감지기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직접 온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10)는, 매트부(100)의 내부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여 사계절 모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파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으며 별도의 냉방 또는 난방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매트부(100) 내부에 발열선 또는 튜브관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매트를 접어 보관하기 편리하여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세탁이 용이하며, 단선, 누전, 감전, 화재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다. 또한, 매트부(100)를 침대 또는 바닥에 깔고 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트부(100)를 이불처럼 덮어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매트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매트부(100)는, 제1 매트(110), 제2 매트(120), 제3 매트(130)를 포함한다.
제1 매트(110)는, 방수원단 재질로 형성되며, 상부에 제2 매트(120)가 중첩 형성된다.
제2 매트(120)는, 제1 매트(110)의 상부에 밀폐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공이 구비되어 냉온풍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상부로 배출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매트(120)는, 바람이 새지 않도록 방수원단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매트(120)는, 제1 매트(110)의 상부에 중첩시킨 후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밀폐시킬 수 있으며, 제1 매트(110)와 제2 매트(120) 사이로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아 풍선처럼 부풀게 되어 통기공을 통해 냉풍 또는 온풍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통기공을 통해 배출되지 않은 공기는 압력을 발생시켜 지속적인 에어 샤워 작용을 하면서 주변을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킨다.
제3 매트(130)는, 제2 매트(120)의 상부에 결합 형성되고, 다수개의 공기 통로가 구비되어, 제2 매트(120)로부터 배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기 통로를 따라 이동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매트(130)는, 통기성이 좋은 재질(예를 들어, 메쉬, 삼베, 망사 등)로 형성하여 냉풍 또는 온풍을 표면쪽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하며, 제3 매트(130)를 통과한 냉풍 또는 온풍을 방안으로 비산하게 되면서 냉방 또는 난방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매트(130)는, 격자무늬로 박음질 처리할 수 있다. 즉, 사각으로 박음질된 공기 통로를 따라 냉풍 또는 온풍을 골고루 전달할 수 있으며, 일정 부분의 통로가 막히더라도 막히지 않은 부분으로 공기를 이동시켜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격자무늬는 제2 매트(120)에 형성되는 통기공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매트부(100)는, 제1 매트(110), 제2 매트(120), 제3 매트(130)로 각각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세탁이 용이하고 보관이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매트부(100)는, 제4 매트(140), 연결홀(150)을 더 포함한다.
제4 매트(140)는, 제1 매트(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1 매트(110)가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매트(140)는, 하부면에 미끄럼방지수단(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미끄럼방지수단은 고무패드, 돌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매트(140)는, 제1 매트(110)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연결홀(150)은, 제1 매트(110)와 제2 매트(120)의 일측에 형성되며, 냉온풍 공급부(200)와 연결되어 냉온풍 공급부(200)로부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10)는, 매트부(100)를 분리하여 보관이 편리하며 세탁이 용이하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매트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매트부(100)는, 탈부착수단(160)을 더 포함한다.
탈부착수단(160)은, 제1 매트(110)와 제4 매트(140) 사이에 형성되며, 제1 매트(110)와 제4 매트(140) 사이를 서로 탈부착 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수단(160)은, 제 2매트(120)와 제3 매트(130) 사이에 형성되어, 제2 매트(120)와 제3 매트(130) 사이를 탈부착 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수단(160)은, 지퍼, 벨크로 등 다양한 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매트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매트부(100)는, 연결수단(170)을 더 포함한다.
연결수단(170)은, 연결홀(150)에 설치되며, 내부에 고무링이 구비된다. 즉, 냉온풍 공급부(200)를 고무링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냉온풍 공급부(200)의 크기에 관계없이 밀폐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매트부를 제4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매트부(100)는, 분리수단(180)을 더 포함한다.
분리수단(180)은, 매트부(10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매트부(100)를 분리할 수 있다. 즉, 한 사람이 사용할 때는 매트부(100)를 양쪽으로 분리하여 한쪽으로만 냉온풍 공급부(200)로부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아 사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리수단(180)은, 도면에서 세로 방향으로 형성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가로 방향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냉온풍 공급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냉온풍 공급부(200)는, 본체부재(210), 연결부재(220), 송풍부재(230), 히터부재(240)를 포함한다.
본체부재(210)는, 내부에 연결부재(220), 송풍부재(230), 히터부재(240)를 구비한다.
연결부재(220)는, 본체부재(210)와 매트부(100)(즉, 연결홀(150)) 사이를 연결하여 송풍부재(230) 또는 히터부재(230)로부터 발생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매트부(100)의 내부로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220)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주름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송풍부재(230)는, 본체부재(2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바람을 발생시켜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송풍부재(230)는, 무소음 브로와 장치로 형성되어, 속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히터부재(240)는, 본체부재(210)의 입구쪽에 형성되어 발열한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부재(240)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세라믹 히터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부재(240)는, 송풍부재(23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냉온풍 공급부(200)는, 전원공급부재(201)를 더 포함한다.
전원공급부재(201)는, 외부로부터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해당 공급받은 상용 전원을 냉온풍 공급부(200)의 각 구성 요소(예를 들어, 송풍부재(230), 히터부재(230) 등)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한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냉온풍 공급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냉온풍 공급부(200)는, 입력부재(250), 제어부재(260)를 더 포함한다.
입력부재(250)는, 본체부재(210)의 외부에 형성되어, 바람의 세기(송풍부재(230)의 회전속도) 또는 히터부재(240)의 가열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명령신호를 생성시킨다.
제어부재(260)는, 입력부재(250)로부터 명령신호를 전달받아 송풍부재(230), 히터부재(24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8은 도 1에 있는 냉온풍 공급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온도감지부재(270), 메모리부재(280)를 더 포함한다.
온도감지부재(270)는, 본체부재(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부재(210)의 온도를 감지한다.
메모리부재(280)는, 안전을 위해 전기회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한계 온도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재(260)는, 온도감지부재(270)에서 감지된 온도가 메모리부재(280)에 저장된 한계 온도값 이상인 경우에 송풍부재(230)와 히터부재(240)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 정지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발생시킨 구동 정지 제어 신호를 송풍부재(230)와 히터부재(24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재(280)는, 온도감지부재(270)에 감지된 온도값에 따라 경보하기 위한 기준 온도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냉온풍 공급부(200)는, 알림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는, 온도감지부재(270)에서 감지한 온도값이 메모리부재(280)에 저장된 기준 온도값보다 이상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린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는, 제어부재(260)에서 발생시킨 경보 신호에 따라 해당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는, 제어부재(260)에서 발생시킨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는, 제어부재(260)에서 발생시킨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100 : 매트부
110 : 제1 매트
120 : 제2 매트
130 : 제3 매트
140 : 제4 매트
150 : 연결홀
160 : 탈부착수단
170 : 연결수단
180 : 분리수단
200 : 냉온풍 공급부
201 : 전원공급부재
210 : 본체부재
220 : 연결부재
230 : 송풍부재
240 : 히터부재
250 : 입력부재
260 : 제어부재
270 : 온도감지부재
280 : 메모리부재

Claims (10)

  1. 다수겹으로 중첩 형성된 매트부; 및
    상기 매트부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의 내부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냉온풍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부는,
    방수원단 재질로 형성된 제1 매트;
    상기 제1 매트의 상부에 중첩시킨 후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밀폐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공이 구비된 방수원단 재질의 제2 매트; 및
    상기 제2 매트의 상부에 결합 형성되며, 다수개의 공기 통로가 구비된 제3 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매트는,
    상기 제2 매트에 형성된 통기공에 대향하는 위치에 격자무늬로 박음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는,
    상기 제1 매트와 상기 제2 매트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냉온풍 공급부로부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기 위한 연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는,
    상기 제1 매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4 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는,
    상기 제1 매트와 상기 제4 매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매트와 상기 제4 매트 사이를 서로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수단; 및
    상기 제1 매트, 상기 제2 매트, 상기 제3 매트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매트, 상기 제2 매트, 상기 제3 매트를 양쪽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 공급부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와 상기 매트부 사이를 연결하여 냉풍 또는 온풍을 상기 매트부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의 입구쪽에 형성되어 발열하는 히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재의 외부에 형성되어, 바람의 세기 또는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명령신호를 생성시키는 입력부재; 및
    상기 명령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송풍부재, 상기 히터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재; 및
    안전을 위해 전기회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한계 온도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온도감지부재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한계 온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송풍부재와 상기 히터부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KR1020160037324A 2016-03-29 2016-03-29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KR101669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324A KR101669590B1 (ko) 2016-03-29 2016-03-29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324A KR101669590B1 (ko) 2016-03-29 2016-03-29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590B1 true KR101669590B1 (ko) 2016-10-27

Family

ID=5724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324A KR101669590B1 (ko) 2016-03-29 2016-03-29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5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516B1 (ko) * 2016-11-08 2018-11-02 차찬열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KR20190079167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매경 욕창 방지용 냉온풍 매트
CN110710823A (zh) * 2019-10-14 2020-01-21 广东永爱养老产业有限公司 一款吸气不吸水的护理型床垫
KR102105251B1 (ko) * 2018-11-08 2020-05-29 박희대 통풍 매트리스
KR102337719B1 (ko) * 2021-01-31 2021-12-09 주식회사 프랑코모다 유아용 폴더 매트 시스템
KR102547843B1 (ko) * 2022-12-28 2023-06-27 주식회사 유니온메디칼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238Y1 (ko) * 2005-01-21 2005-04-18 차찬열 자연풍, 냉풍, 또는 온풍을 송풍하는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
KR200422541Y1 (ko) * 2006-04-25 2006-07-31 차찬열 온풍, 냉풍, 자연풍 송풍 기능 및 온열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KR200454231Y1 (ko) 2008-09-05 2011-06-23 박영복 전기매트
KR200473854Y1 (ko) 2014-03-31 2014-08-06 김은영 난방튜브 직접 발열 침대용 온수매트
KR101455617B1 (ko) * 2014-03-06 2014-10-28 주식회사 태인 매트리스용 송풍장치
KR20150134615A (ko) * 2014-05-22 2015-12-02 김경철 에어가 충진된 온열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238Y1 (ko) * 2005-01-21 2005-04-18 차찬열 자연풍, 냉풍, 또는 온풍을 송풍하는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
KR200422541Y1 (ko) * 2006-04-25 2006-07-31 차찬열 온풍, 냉풍, 자연풍 송풍 기능 및 온열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KR200454231Y1 (ko) 2008-09-05 2011-06-23 박영복 전기매트
KR101455617B1 (ko) * 2014-03-06 2014-10-28 주식회사 태인 매트리스용 송풍장치
KR200473854Y1 (ko) 2014-03-31 2014-08-06 김은영 난방튜브 직접 발열 침대용 온수매트
KR20150134615A (ko) * 2014-05-22 2015-12-02 김경철 에어가 충진된 온열 매트리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516B1 (ko) * 2016-11-08 2018-11-02 차찬열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KR20190079167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매경 욕창 방지용 냉온풍 매트
KR102051429B1 (ko) 2017-12-27 2019-12-03 주식회사 매경 욕창 방지용 냉온풍 매트
KR102105251B1 (ko) * 2018-11-08 2020-05-29 박희대 통풍 매트리스
CN110710823A (zh) * 2019-10-14 2020-01-21 广东永爱养老产业有限公司 一款吸气不吸水的护理型床垫
KR102337719B1 (ko) * 2021-01-31 2021-12-09 주식회사 프랑코모다 유아용 폴더 매트 시스템
KR102547843B1 (ko) * 2022-12-28 2023-06-27 주식회사 유니온메디칼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590B1 (ko)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US10857062B2 (en) Spring bed device with heating function
KR100726095B1 (ko) 온풍, 냉풍 또는 자연풍을 선택적으로 송풍하는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
US10582776B2 (en) Bedding clima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o operate thereof to tent up bedding in a quiet manner because of noise dampening and component oversizing
US10660451B2 (en) Bedding clima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o operate thereof that compensates for backpressure and ambient temperature
US10524581B2 (en) Bedding clima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o operate thereof
KR101260241B1 (ko) 일회용 통풍매트 및 이에 의한 송풍식 침구키트
KR100994143B1 (ko) 히터
CN103767391B (zh) 一种冬暖夏凉可调温的恒温垫
KR20200000376A (ko) 미세발열체 및 온수관을 이용한 모듈형 냉, 온열 매트리스
ES2320794T3 (es) Aparato colorifero amoldable.
US20060198617A1 (en) Portable bed warmer
KR101656149B1 (ko) 공기순환형 냉온식 에어매트
US11944204B2 (en) Bedding clima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o operate thereof that creates a heat transfer effect
KR101899516B1 (ko)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KR101261876B1 (ko) 온수매트용 컨트롤러
US10588419B2 (en) Bedding clima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o operate thereof that incudes a retention unit to retain in position both a flexible air conduit and bedding
KR102217906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WO2016030774A1 (en) Device for a climate controlled ambience and method thereof
WO2015084827A1 (en) Convective device with flow control device and multiple inflatable sections
KR101441342B1 (ko) 탈부착식 냉온수 매트가 구비된 침대 매트리스
JP2021062204A (ja) 温風循環マット用送風装置及び温風循環マット
KR102615954B1 (ko) 차량용 매트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34524B1 (ko) 블로워를 구비한 침구
JP2011245046A (ja) 空気流通式寝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