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843B1 -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 - Google Patents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843B1
KR102547843B1 KR1020220187235A KR20220187235A KR102547843B1 KR 102547843 B1 KR102547843 B1 KR 102547843B1 KR 1020220187235 A KR1020220187235 A KR 1020220187235A KR 20220187235 A KR20220187235 A KR 20220187235A KR 102547843 B1 KR102547843 B1 KR 102547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warm air
weight
parts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7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주환
김종득
김봉석
이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메디칼
Priority to KR1020220187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84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ventilating means, e.g. mattress or cushion with ventilating holes or vent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2Cancer treatment, e.g. tum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rsing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Neur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환자의 사방에서 환자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병소 부위를 향하여 고주파를 집중 방사하며, 온풍베드가 구비되어 환자가 고주파 조사시 추위를 느끼지 않으면서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이 제공되고, 온풍베드에서 온풍 생성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해 기기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MEDECAL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HAVING WARM AIR BED}
본 발명은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사방에서 환자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병소 부위를 향하여 고주파를 집중 방사하며, 온풍베드가 구비되어 환자가 고주파 조사시 추위를 느끼지 않으면서 쾌적하고 안락함을 추구할 수 있게 구성된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전류가 인체 내에 통전되면, 전류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조직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진동하면서 서로 마찰하게 되며, 그 결과, 해당 신체 조직에서 열이 발생하는데 이를 심부발열 또는 심부열이라 한다.
고주파 전류는, 다른 형태의 전류와 달리, 감각신경이나 운동신경을 자극하지 않고 근육 수축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해당 신체 조직 내의 특정부위를 가열할 수 있다.
생체 열에너지로 변환된 고주파 에너지는, 해당 신체 조직의 온도를 상승시켜 세포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동맥 및 모세혈관 확장을 통해 혈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액 및 림프액의 순환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신진대사를 증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는 열을 가함으로써 종양 등 유해조직을 파괴하거나, 조직을 가열함으로써 조직의 화학적 또는 방사선 요법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거나, 열 또는 물리적인 활성화를 유발하여 약물 전달 효율을 높이는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시행된다. 따라서 고주파 온열 치료는 여러 방식을 활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며 대표적으로 종양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상기 고주파 전류를 이용한 고주파 암치료 장치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4928호에는 "고주파 온열암치료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직립배치되며 중앙이 전, 후방으로 개구되면서 내부에 조사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조사공간 하단에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고주파전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고주파모듈이 내장된 본체부, 수평배치되어 상부에는 매트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베드부, 상기 본체부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피시술자의 피부에 인가된 고주파전류를 통전시키는 접지부, 상기 본체부 상에서 상기 조사공간의 상부 위치에 장착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매트에 누운 피시술자의 피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조사공간 내에서 X축, Y축, Z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고주파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생성된 고주파전류를 피부에 인가하는 치료모듈 및 상기 치료모듈과 신호연결되어 각 축별 이동거리가 조절되도록 구동제어하고, 상기 고주파모듈과 신호연결되어 6[MHz] 내지 10[MHz]의 주파수범위를 갖는 고주파전류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하나의 치료모듈이 위치를 변경하면서 환자의 병소 부위를 치료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고주파를 통한 암치료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매트에 온열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환자가 고주파 치료중 추위를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사방에서 환자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병소 부위를 향하여 고주파를 집중 방사하며, 온풍베드가 구비되어 환자가 고주파 조사시 추위를 느끼지 않으면서 쾌적하고 안락함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한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풍베드에서 온풍 생성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해 기기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레일홈이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단부에 마련되고 중앙이 전,후방으로 개구되면서 내부에 조사공간이 마련되는 갠트리로 구성되는 기기본체와,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매트가 장착되되, 상기 매트는 방수원단 재질로 형성된 제1매트와, 상기 제1매트의 상부에 중첩시킨 후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밀폐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공이 구비된 방수원단 재질의 제2매트와, 상기 제2매트의 상부에 결합 형성되며, 다수개의 공기 통로가 구비된 제3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베드와, 상기 베드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매트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매트의 내부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온풍공급부와, 병소 부위의 의료정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대역의 고주파를 생성하는 고주파 생성부와, 상기 갠트리의 내측면에 상부 및 양측에 3개 설치되고, 상기 베드에 1개 설치되며, 환자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병소 부위를 향하여 상기 고주파를 방사하게 구성되되, 내부에서 상기 고주파를 가이드하는 도파관 및 상기 도파관으로부터 가이드된 상기 고주파를 방사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와, 상기 고주파 생성부 및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갠트리의 상부에는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가 설치되고, 상기 갠트리의 양측에는 비상시 모든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기기의 동작을 멈출 수 있는 비상정지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갠트리 및 베드에는 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매트 및 제3매트 사이에는 탈부착수단이 형성되어 제1매트와 제3매트를 서로 탈부착시키게 구성되며, 상기 제1매트와 상기 제2매트의 일측에는 상기 온풍공급부로부터 온풍을 공급받기 위한 연결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온풍공급부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매트 사이를 연결하여 온풍을 상기 매트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입구쪽에 형성되어 발열하는 히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케이스본체는 스틸로 제조되고, 상기 랙케이스본체의 내,외 표면에는 절연차폐제가 스프레이 코팅되며; 상기 절연차폐제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그라파이트 파우더(graphite powder) 10중량부, 리그노술폰산나트륨 5중량부, 자성입자가 도핑된 탄소나노튜브 10중량부, 0.1mm 길이를 갖는 전도성 섬유 5중량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5중량부, 폴리이미드 3.5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매트는 부직포로 된 전면포, 부직포로 된 후면포, 상기 전면포와 후면포 사이에 개재되어 테두리가 모두 열접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중간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면포와 후면포는 폴리에틸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0-20㎛ 입도의 백금나노 15중량부, 10-20㎛ 입도의 참숯분말 10중량부, 아염소산나트륨 10중량부, 메틸실리코네이트 15중량부, 2,2,4-트리메틸-1,3-펜타니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15중량부가 혼합조성된 침지액에 침지시킨 후 건조하여 살균성, 항균성, 탈취성을 증대시킨 것을 사용하고, 상기 중간포의 둘레를 따라 합지력향상제가 스프레이 코팅되되, 상기 합지력향상제는 열접합이 잘되고 강한 접착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성분으로서,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EMA) 100중량부에 대해, 파리핀오일 5중량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25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10중량부를 혼합사용하며, 상기 중간포는 고흡수성수지(SAP:Super Absorbent Polymer) 100중량부에 대해, 레조시놀 15중량부, 편백유 10중량부, 글루타싸이온 1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에 침지 후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는 환자의 사방에서 환자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병소 부위를 향하여 고주파를 집중 방사하며, 온풍베드가 구비되어 환자가 고주파 조사시 추위를 느끼지 않으면서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이 되도록 하고, 온풍베드에서 온풍 생성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해 기기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에서 매트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에서 매트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에서 온풍공급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에서 제3매트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온풍베드가 구비되어 환자가 고주파 조사시 추위를 느끼지 않으면서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기기본체(100), 베드(200), 온풍공급부(300), 고주파 생성부(400), 어플리케이터(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기본체(100)는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레일홈(111)이 형성되는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의 후단부에 마련되고 중앙이 전,후방으로 개구되면서 내부에 조사공간(S)이 마련되는 갠트리(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갠트리(120)의 상부에는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12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갠트리(120)의 양측에는 비상시 모든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기기의 동작을 멈출 수 있는 비상정지버튼(12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갠트리(120) 및 후술하는 베드(200)에는 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123)이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드(200)는 환자가 누운 상태로 시술받을 수 있도록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상부에 매트(210)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111)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베드(200)는 환자가 매트(210)에 누운 상태에서 상기 갠트리(120)의 조사공간(S)으로 이동되면서 고주파를 통한 조사를 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는 제1매트(211), 제2매트(212), 제3매트(2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매트(211)는 방수원단 재질로 형성되고 상부에 제2매트(212)가 중첩 형성된다.
상기 제2매트(212)는, 제1매트(211)의 상부에 밀폐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공(212a)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온풍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을 상부로 배출시키게 구성된다.
여기서, 제2매트(212)는 제1매트(211)의 상부에 중첩시킨 후 가장자리를 재봉(밀봉)하여 밀폐시킬 수 있으며, 제1매트(211)와 제2매트(212) 사이로 온풍을 공급받아 풍선처럼 부풀게 되어 통기공을 통해 온풍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통기공을 통해 배출되지 않은 공기는 압력을 발생시켜 지속적인 에어샤워 작용을 하면서 주변을 난방시킨다.
제3매트(213)는 제2매트(212)의 상부에 결합 형성되고, 다수개의 공기 통로가 구비되어, 제2매트(212)로부터 배출되는 온풍을 공기 통로를 따라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3 매트(213)는, 통기성이 좋은 재질인 부직포, 메쉬, 삼베, 망사 등으로 형성하여 온풍이 표면쪽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하며, 제3매트(213)를 통과한 온풍은 매트위에 누운 환자에게 전달되어 난방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제3매트(213)는 격자무늬로 박음질 처리할 수 있다. 즉, 사각으로 박음질된 공기 통로를 따라 온풍을 골고루 전달할 수 있으며, 일정 부분의 통로가 막히더라도 막히지 않은 부분으로 공기를 이동시켜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격자무늬는 제2매트(212)에 형성되는 통기공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매트(212) 및 제3매트(213) 사이에는 탈부착수단(214)이 형성되어 제1매트와 제3매트를 서로 탈부착시키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탈부착수단(214)은 지퍼, 벨크로 등 다양한 수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매트(211)와 상기 제2매트(212)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온풍공급부(300)로부터 온풍을 공급받기 위한 연결구(215)가 더 형성된다.
상기 온풍공급부(300)는 상기 베드(2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매트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매트(210)의 내부에 온풍을 공급하게 구성된다.
좀 구체적으로 상기 온풍공급부(300)는 케이스본체(310), 연결부재(320), 송풍기(330), 히터부재(3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본체(310)는 내부에 연결부재(320), 송풍기(330), 히터부재(340)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320)는 케이스본체(310)와 매트(210)의 연결구(215) 사이를 연결하여 송풍기(330) 또는 히터부재(340)로부터 발생되는 온풍을 매트(210)의 내부로 공급한다. 여기서, 연결부재(320)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주름관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송풍기(330)는 케이스본체(3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바람을 발생시켜 공급한다. 여기서, 송풍기(330)는, 무소음 블로워로 마련되어 속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부재(340)는 케이스본체(310)의 입구쪽에 형성되어 발열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히터부재(340)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세라믹 히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히터부재(340)는 송풍기(33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더불어 온풍공급부(300)는 전원공급부재(35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본체(310)는 스틸로 제조되지만, 전자파(고주파 포함) 차폐 및 절연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표면, 즉 내면과 외면 모두에 절연차폐제가 일정두께로 스프레이 코팅된다.
여기에서, 상기 절연차폐제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그라파이트 파우더(graphite powder) 10중량부, 리그노술폰산나트륨 5중량부, 자성입자가 도핑된 탄소나노튜브 10중량부, 0.1mm 길이를 갖는 전도성 섬유 5중량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5중량부, 폴리이미드 3.5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이때, 폴리카보네이트수지는 내오염성, 내식성, 내변형성, 내크랙성 및 내화성과 내열성, 내구성이 뛰어난 베이스 수지이다.
그리고, 그라파이트 파우더는 저주파 대역은 물론 고주파 대역 전체에 걸친 차폐효과가 뛰어나 히터(340)나 송풍기(330)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케이스본체(310)에 갇혀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억제하여 기기의 오동작이나 주변 기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최소화된다.
아울러, 리그노술폰산나트륨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유기물과 무기물의 균일분산성을 촉진하여 고주파 차폐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나노 입도로 분쇄된 물질로서, 전기적 전도 특성을 활용하여 전차파 차폐, 즉 쉴드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투자율이 높은 물질로 도핑하도록 한다.
그러면, 전자파가 발생될 때 투자율이 높은 도핑물질을 타고 흘러 다른 부분으로 빠지지 않도록 차폐하게 된다.
이때, 탄소나노튜브에 도핑되는 자성입자는 페라이트 또는 철계 산화물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나노크기 철계 산화물로는 Fe2O3, Fe3O4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도성 섬유는 탄소섬유 조직 사이로 전도성 필러를 침투시킨 것으로, 섬유에 존재하는 공극을 메워 전자파가 통과할 수 있는 영역에서 전자파를 흡수하여 차폐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도성 필러는 금속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도성 나노입자로서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된 나노입자이다.
또한,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는 대전방지 특성이 매우 뛰어난 물질로서, 전자파는 물론 전자파 차폐 성능까지 갖추고 있다.
아울러, 폴리이미드(Poly imide)는 낮은 유전율과 높은 절연성을 제공하면서 유무기물의 바인딩성을 강화시킨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아릴린(polyaniline) 8.5중량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10중량부, 메틸실리코네이트 5.5중량부, 사이클로메티콘 5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폴리아릴린을 더 첨가하는 이유는 코팅층의 응력과 변형의 비를 낮춰 절연성을 강화시키며, 분산력을 증대시켜 전도성 고분자의 특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전자파 차폐력을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수소치환된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코폴리머(SEPS)를 사용하며, 이는 전기 절연성을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메틸실리코네이트는 강한 발수력을 제공하면서 오염되지 않도록 표면을 평활하게 유지하는 방오 기능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사이클로메티콘은 산화를 억제하여 표면을 보호하고, 내구성을 강화시킨다.
상기 고주파 생성부(400)는 병소 부위의 의료정보에 근거하여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대역의 고주파를 생성하게 구성된다.
좀 구체적으로, 상기 고주파 생성부(400)는 신호 발진 모듈(410), 신호 증폭 모듈(420), 컨트롤 모듈(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 발진 모듈(410)은 의료용 고주파를 생성하는 온도보상 수정 발진기(Temperature Compensate Crystal Oscillator) 및 오븐 제어 수정 발진기(Oven controlled Crystal Oscillator) 등의 발진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발진 모듈(410)은 ISM 대역(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의 의료용 고주파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ISM 대역은 산업, 과학 및 의료용 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다. 신호 발진 모듈(410)은 입력 전압을 제어하여 특정 대역의 고정된 주파수만을 생성하는 PLL 합성기(Phase Lock Loop- Synthesizer)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발진 모듈(410)은 고주파 온열 조사에 사용되는 70∼140MHz 대역의 의료용 고주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증폭 모듈(420)은 신호 발진 모듈(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고주파를 병소 부위에 도달할 수 있는 신호의 세기로 증폭시킬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모듈(430)은 신호 증폭 모듈(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고주파의 출력 및 주파수 대역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 모듈(430)은 고주파가 특정 방향으로만 전달될 수 있도록 신호의 방향을 고정시키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모듈(430)은 방사된 고주파가 후술하는 어플리케이터(500)를 통해 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임피던스 교란으로 인한 신호 증폭 모듈(4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터(500)는 상기 갠트리(120)의 내측면에 상부 및 양측에 3개 설치되고, 상기 베드(200)의 중앙에 1개 설치되며, 환자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병소 부위를 향하여 상기 고주파를 방사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터(500)는 환자의 사방에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의 체격이나 시술 부위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환자의 사방에서 병소 부위를 향하여 고주파를 집중 방사한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터(500)는 안테나 모듈(510) 및 도파관(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모듈(510)은 병소 부위와 대향하는 어플리케이터(50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고주파 생성부(400)와 도파관(52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안테나 모듈(510)은 고주파 생성부(400)에서 생성되어 도파관(520)을 통해 전달된 고주파를 병소 부위를 향해 방사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어플리케이터(500)에는 병소 부위와 대향하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렌즈(5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고주파 생성부(400) 및 어플리케이터(500)의 작동을 제어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환자가 접촉하는 매트의 제3매트(213)가 친환경적이면서 항균성, 탈취력, 살균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매트(213)는 부직포로 된 전면포(213a), 부직포로 된 후면포(213b), 상기 전면포(213a)와 후면포(213b)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테두리가 모두 열접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중간포(213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포(213a)와 후면포(213b)는 폴리에틸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0-20㎛ 입도의 백금나노 15중량부, 10-20㎛ 입도의 참숯분말 10중량부, 아염소산나트륨 10중량부, 메틸실리코네이트 15중량부, 2,2,4-트리메틸-1,3-펜타니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15중량부가 혼합조성된 침지액에 침지시킨 후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백금나노는 백금을 나노밀로 분쇄하여 만든 분말로서, 원적외선 방사효과 및 항균력이 뛰어나 세균, 병원성 미생물, 바이러스를 차단, 제균하며, 특히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피부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참숯은 물질을 따뜻하게 하는 힘을 방사하여 인체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돕는 원적외선 방출특성, 복원력이 뛰어나고 무한정 전자공급을 통해 산화방지 및 환원하는 특성, 습도를 조절하여 피부 짖무름을 방지하는 특성, 음이온을 발생시켜 환부나 세포를 복원하는 특성, 부패균의 발생을 억제하여 악취를 흡착하고 냄새를 제거하는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아염소산나트륨은 결정성 분말로서 산화력이 높아 살균, 탈취에 뛰어난 특성이 있고, 소취 기능도 있어 특히, 냄새 제거에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메틸실리코네이트는 강한 발수력을 제공하면서 오염되지 않도록 표면을 평활하게 유지하는 방오 기능도 확보하게 된다.
나아가, 2,2,4-트리메틸-1,3-펜타니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2,2,4-Trimethyl-1,3-pentanediol monoisobutyrate)는 CAS 넘버 25265-77-4에 해당하는 물질로서, 낮은 독성과 생분성 및 VOC 발생이 없으면서 내한성을 높이고, 열에 대한 유연성 확보, 증점기능이 있어 침지액의 원활한 부직포내 부착력을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포(213c)는 전면포(213a)와 후면포(213b) 만을 열접합할 경우 접합력이 약해 쉽게 층분리될 수 있는 단점을 해소하면서 두께감도 주고, 흡수력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중간포(213c)의 열접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중간포(213c)를 구성할 때 특수성분을 더 포함시킴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전면포(213a)와 후면포(213b) 및 중간포(213c)는 인조섬유로 만들어진 부직포로서, 특히 폴리에틸렌섬유로 만들어진 부직포를 사용한다.
따라서, 중간포(213c) 둘레를 따라 합지력향상제를 스프레이 코팅한다.
이때, 합지력향상제는 열접합이 잘되고 강한 접착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성분으로서,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EMA) 100중량부에 대해, 파리핀오일 5중량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25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10중량부를 혼합사용한다.
여기에서, EMA는 열접합 특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베이스이고, 파라핀오일은 점도를 조절하고 기포을 억제하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핫멜팅성을 증가시켜 접합력을 강화시키고, 이소시아네이트는 EMA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의 상용성을 확보하고 경화를 촉진하여 접착력을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상기 중간포(213c)의 경우에는 흡수력을 높일 수 있도록 고흡수성수지(SAP:Super Absorbent Polymer) 100중량부에 대해, 레조시놀 15중량부, 편백유 10중량부, 글루타싸이온 1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에 침지 후 건조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고흡수성수지는 아크릴산과 가성소다를 혼합해 제조한 백색 분말 형태 합성수지로서, 자체 무게의 500배까지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어 기저귀, 여성용품, 전선방수제 등의 원료로 사용된다.
또한, 레조시놀(Resorcinol)은 습윤 및 건조강도를 높이고, 탈취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편백유는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오일로 천연 항균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글루타싸이온은 글루탐산, 시스테인, 글라이신 세개의 펩티드로 구성되어 산화와 환원의 순환이 반복되면서 독성 과산화물을 제거하는 특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전면포(213a)와 후면포(213b)에는 폴리에틸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퓨시드산화나트륨 하이드로겔 20중량부, 곽향 10중량부, 테레빈유 15중량부, 생강즙 2.5중량부, 인산지르코늄 5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코팅액이 스프레이 코팅방식으로 더 코팅될 수 있다.
이때, 퓨시드산화나트륨 하이드로겔은 흡습성이 강한 퓨시드산화나트륨 백색분말을 친수성 고분자가 물을 함유하면서 팽창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3차원 망목구조와 미결정 구조를 갖추도록 함으로써 흡습성을 강화시켜 부직포의 흡수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곽향(Agastache rugosa)은 곽향은 벌레, 해충을 쫓는데 아주 좋은 세스쿠이테르펜 향을 발산한다.
그리고, 테레빈유(Turpentine)는 모노테르펜으로서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장과 심폐기능이 강화되며 살균작용도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스트레스완화, 진정작용, 쾌적효과, 알레르기예방, 항균작용, 탈취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생강즙에는 알파피넨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사용시 접촉되는 손, 팔 등의 피부를 통해 발한작용 및 혈액순환 촉진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사용자의 손 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인산지르코늄은 무기계 항균제로서,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인 정균작용을 통해 번식을 막아 항균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에 대해 다음과 같이 특성을 시험하였다.
정균을 떨어뜨려 정균력감소율을 통해 항균성을 확인하였으며, 확인결과 초기 균수 대비 정균감소율이 99.7%를 보였다. 이때, 사용균주는 Escherichia coli(ATCC 25922)와, Staphylococcus aureus(ATCC 6538P)였고, 항균성 시험 방식은 KS K 0693-2001에 의거하여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99.9%의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탈취력을 확인하기 위해 2L의 용기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세신패드를 배치한 상태에서 암모니아 가스를 주입시켜 초기 농도가 100ppm이 되게 한 상태에서 가스검지관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시간은 30분 단위로 2시간 동안 측정하였으며, 2시간 동안 평균 탈취율이 77.1%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탈취효율이 50%를 초과하여 매우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기기본체 200: 베드
300: 온풍공급부 400: 고주파 생성부
500: 어플리케이터 600: 제어부

Claims (3)

  1.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레일홈이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단부에 마련되고 중앙이 전,후방으로 개구되면서 내부에 조사공간이 마련되는 갠트리로 구성되는 기기본체와,
    상기 슬라이딩 레일홈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매트가 장착되되, 상기 매트는 방수원단 재질로 형성된 제1매트와, 상기 제1매트의 상부에 중첩시킨 후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밀폐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공이 구비된 방수원단 재질의 제2매트와, 상기 제2매트의 상부에 결합 형성되며, 다수개의 공기 통로가 구비된 제3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베드와,
    상기 베드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매트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매트의 내부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온풍공급부와,
    병소 부위의 의료정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대역의 고주파를 생성하는 고주파 생성부와,
    상기 갠트리의 내측면에 상부 및 양측에 3개 설치되고, 상기 베드에 1개 설치되며, 환자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병소 부위를 향하여 상기 고주파를 방사하게 구성되되, 내부에서 상기 고주파를 가이드하는 도파관 및 상기 도파관으로부터 가이드된 상기 고주파를 방사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와,
    상기 고주파 생성부 및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갠트리의 상부에는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가 설치되고,
    상기 갠트리의 양측에는 비상시 모든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기기의 동작을 멈출 수 있는 비상정지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갠트리 및 베드에는 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매트 및 제3매트 사이에는 탈부착수단이 형성되어 제2매트와 제3매트를 서로 탈부착시키게 구성되며,
    상기 제1매트와 상기 제2매트의 일측에는 상기 온풍공급부로부터 온풍을 공급받기 위한 연결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온풍공급부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매트 사이를 연결하여 온풍을 상기 매트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입구쪽에 형성되어 발열하는 히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케이스본체는 스틸로 제조되고,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외 표면에는 절연차폐제가 스프레이 코팅되며; 상기 절연차폐제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그라파이트 파우더(graphite powder) 10중량부, 리그노술폰산나트륨 5중량부, 자성입자가 도핑된 탄소나노튜브 10중량부, 0.1mm 길이를 갖는 전도성 섬유 5중량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5중량부, 폴리이미드 3.5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
  2. 삭제
  3. 삭제
KR1020220187235A 2022-12-28 2022-12-28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 KR102547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7235A KR102547843B1 (ko) 2022-12-28 2022-12-28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7235A KR102547843B1 (ko) 2022-12-28 2022-12-28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843B1 true KR102547843B1 (ko) 2023-06-27

Family

ID=8694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7235A KR102547843B1 (ko) 2022-12-28 2022-12-28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8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479B1 (ko) * 2015-01-13 2016-09-01 알에프에이치아이씨 주식회사 화합물 반도체 증폭기를 이용한 의료 장치
KR101669590B1 (ko) * 2016-03-29 2016-10-27 주식회사 포시즌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479B1 (ko) * 2015-01-13 2016-09-01 알에프에이치아이씨 주식회사 화합물 반도체 증폭기를 이용한 의료 장치
KR101669590B1 (ko) * 2016-03-29 2016-10-27 주식회사 포시즌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19042B (zh) 具有挠性治疗电极的便携式射频热疗装置
WO2007048635A1 (en) Method of activating a photosensitizer
KR102122050B1 (ko) 온수매트 및 그 온수매트의 황토블록 제조방법
KR102547843B1 (ko) 온풍베드를 구비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
KR102547842B1 (ko) 모션센서를 이용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
KR102547841B1 (ko) 다기능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
KR200456157Y1 (ko) 휴대용 찜질기
KR20190005531A (ko) 마사지를 위한 게르마늄 층을 활용한 시트, 이의 제조 방법
CN205569526U (zh) 一种蓄热储能式tdp理疗带
KR101023806B1 (ko) 사우나 장치
JP7072018B2 (ja) 縫合糸を含む遠赤外線放射製品の製造装置
KR100290449B1 (ko) 전기옥매트
CN208371006U (zh) 一种多功能护腿
JP4878827B2 (ja) 四肢改善具
KR100592519B1 (ko) 원적외선 발산체가 함유된 원열치료기
KR100478336B1 (ko) 음이온 발생 건강매트
KR102367117B1 (ko) 전자파 흡수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
JP3219962B2 (ja) ベッドパッド
KR100460715B1 (ko) 항균효과를 갖는 천연피혁 및 그 제조방법
KR200361363Y1 (ko) 전기매트
KR200372699Y1 (ko) 기능성 건강매트
KR20180075846A (ko) 그래핀시트를 구비한 기능성 베개
KR102397284B1 (ko) 다기능 그래핀 복합시트
KR100929983B1 (ko) 유해파 차단(중화), 뇌파안정 및 생체리듬 활성화 증강 장신구 내장재 제품
KR20090051320A (ko) 원적외선 조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