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491B1 - 정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정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491B1
KR101667491B1 KR1020150097762A KR20150097762A KR101667491B1 KR 101667491 B1 KR101667491 B1 KR 101667491B1 KR 1020150097762 A KR1020150097762 A KR 1020150097762A KR 20150097762 A KR20150097762 A KR 20150097762A KR 101667491 B1 KR101667491 B1 KR 101667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aft
aberration
groundwate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균
Original Assignee
조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창균 filed Critical 조창균
Priority to KR102015009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2Devices for taking out of action one or more units of multi- unit filters, e.g. for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지하수, 계곡수, 우수(이하, "지하수"로 통칭함)의 유입구(11) 및 배수구(12)가 구비된 집수조(10); 상기 집수조(10)의 배수구(12)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31)과, 이 회전축(31) 둘레부에서 방사상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지하수의 낙차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32)로 이루어진 수차(30); 상기 수차(30)의 회전축(31)의 대향되는 양 측방에 상기 회전축(31)과 평행하게 배치된 권취축(41) 및 피권취축(42)과, 양단부가 상기 권취축(41) 및 피권취축(42)에 각각 결합되며 초기에 피권취축(42)에 권취되되 상기 수차(30)를 감싸도록 U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수차(30)에서 낙하되는 지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카트리지(43)를 포함하는 여과수단(40); 상기 수차(30)의 회전축(31)과 여과수단(40)의 권취축(41)을 구동접속시켜 상기 회전축(31)의 회전력을 권취축(41)에 전달시키는 구동접속수단(50); 및 상기 여과수단(40)에서 여과된 지하수가 저장되는 저장조(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처리장치이다.

Description

정수처리장치{A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정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 등을 정화시키는 정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가뭄 등에 의해 물부족 현상이 자주 발생되므로, 이러한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적으로 내리는 우수나 지하수 또는 계곡수 등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수는 대기 중 여러 오염물질에 노출되어 이를 포함한 채 내리게 되며, 지표면에서도 각종 오염물질과 함께 하천 등으로 스며들게 되므로, 이러한 우수를 직접 음용수나 생활용수 등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지하수나 계곡수에는 미세한 부유물질이 포함될 우려가 많고 또한 주위에서 오염원들이 흘러들어갈 우려가 많기 때문에 역시 직접 음용수나 생활용수 등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우수, 지하수 또는 계곡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정수처리시설이 요구된다. 이때, 정수처리시설의 구조가 복잡하면 유지관리에 애로점이 생기고 특히 산골짜기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또한 정수처리를 위해서는 동력이 필요한데 계곡수는 산골짜기를 따라 흐르기 때문에 동력을 산골짜기까지 제공하기가 지리적으로 쉽지 않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131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 지하수, 계곡수 등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무동력으로 정화시켜 음용수나 생활용수로 활용하며, 여러 차례에 걸친 정화공정을 통해 정화효율을 높이면서 무동력으로 카트리지가 자동 교환되고 약품이 자동 투입되어 정화공정이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정화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정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지하수, 계곡수, 우수(이하, "지하수"로 통칭함)의 유입구(11) 및 배수구(12)가 구비된 집수조(10); 상기 집수조(10)의 배수구(12)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31)과, 이 회전축(31) 둘레부에서 방사상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지하수의 낙차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32)로 이루어진 수차(30); 상기 수차(30)의 회전축(31)의 대향되는 양 측방에 상기 회전축(31)과 평행하게 배치된 권취축(41) 및 피권취축(42)과, 양단부가 상기 권취축(41) 및 피권취축(42)에 각각 결합되며 초기에 피권취축(42)에 권취되되 상기 수차(30)를 감싸도록 U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수차(30)에서 낙하되는 지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카트리지(43)를 포함하는 여과수단(40); 상기 수차(30)의 회전축(31)과 여과수단(40)의 권취축(41)을 구동접속시켜 상기 회전축(31)의 회전력을 권취축(41)에 전달시키는 구동접속수단(50); 및 상기 여과수단(40)에서 여과된 지하수가 저장되는 저장조(60);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조(10)에서 배출된 지하수의 낙차에 의해 수차(30)가 회전됨에 따라 구동접속수단(50)에 의해 여과수단(40)의 권취축(41)이 회전되어 지하수가 통과된 카트리지(43)의 오염된 일측이 권취축(41)에 권취되면서 피권취축(42)에 권취된 카트리지(43)의 오염되지 않은 타측이 인출됨으로써 카트리지(43)가 자동으로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차(30)의 회전축(31) 및 여과수단(40)의 권취축(41)이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는 여과수단(40)의 카트리지(43)에서 여과된 지하수가 배출되는 1차여과수배출관(21)이 하향 연장된 설치하우징(2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저장조(60)에는 상기 설치하우징(20)의 1차여과수배출관(21)이 관통되는 여과필터(70)가 바닥면에서 일정높이 이격되게 수평 설치되고, 저장조(60)의 측면에는 상기 여과필터(70)보다 상측에 지하수가 배출되는 2차여과수배출관(62)이 구비되어, 상기 여과수단(40)에서 1차 여과되어 설치하우징(20)의 1차여과수배출관(21)을 통해 저장조(60)의 여과필터(70) 하측으로 배출된 지하수의 수위가 상승하면서 여과필터(70)를 통과하여 2차 여과되며, 2차 여과된 지하수의 수위가 더욱 상승하면 2차여과수배출관(62)을 통해 외부에 구비된 정수탱크(8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장조(60) 또는 정수탱크(80)에 저장된 지하수를 소독 등 처리하기 위한 약품이 저장되는 약품조(91)와, 이 약품조(91)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수평배치된 힌지축(92)과, 일단이 상기 힌지축(92)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축결되고 타단은 수차(30)의 회전축(31)과 보조구동접속수단(99)에 의해 구동접속된 크랭크기구(93)와, 일단이 상기 힌지축(92)의 타측 둘레부에 고정된 막대형상이며 선단에 버킷(98)이 구비된 회동리프터(97)로 구성된 약품공급장치(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차(30)가 회전되면 약품공급장치(90)의 크랭크기구(93)의 작동에 의해 회동리프터(97)가 회동상승 및 회동하강하면서 약품을 퍼서 약품조(91) 외부의 상기 저장조(60) 또는 정수탱크(80)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장조(60)의 여과필터(70)를 하측에 하단이 위치되며 여과필터(70)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단이 집수조(10)의 배출구(12)와 근접 배치되는 수위상승유도관(100)이 더 구비되고, 이 수위상승유도관(100)에는 부력체(101)가 구비되어, 상기 여과필터(70)의 여과기능이 저하되어 하측 지하수의 수위가 상승하면서 상기 수위상승유도관(100)으로 유입됨에 따라 부력체(101)가 상승하여 저장조(60)의 배출구(12)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수, 계곡수, 우수를 무동력으로 간편하게 여과시켜 생활용수나 음용수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물 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이때, 지하수 등의 낙차에 의해 회전되는 수차(30)의 회전축(31)과 카트리지(43)를 권취시키는 권취축(41)이 구동접속수단(50)으로 연결되어, 지하수가 배출됨에 따라 카트리지(43)에서 여과되면서 오염되거나 막힌 카트리지(43)의 일측이 권취되고 사용되지 않은 타측이 인출되어 카트리지(43)가 자동 교체되므로, 여과공정이 중단되지 않아서 여과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카트리지(43)의 교체시기를 놓치지 않기 때문에 처리효율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카트리지(43)에서 1차 여과된 지하수가 저장되는 저장조(60)의 일정 높이에 여과필터(70)를 설치하고 상기 1차 여과된 지하수가 여과필터(70) 하측으로 배출되며 저장조(60) 측면 여과필터(70)의 상측에 2차여과수배출관(62)을 구비함으로써, 1차 여과된 지하수가 계속 유입됨에 따라 수위가 상승하여 여과필터(70)를 통과하여 2차 여과되어 2차여과수배출관(62)으로 자동 배출되므로, 지하수 등이 복수의 여과공정을 통해 좀 더 깨끗하게 여과된다.
한편, 수차(30)의 회전력이 보조구동접속수단(99)에 의해 약품공급장치(90)에 전달되어 지하수 등의 낙차에 의해 수차(30)가 회전되면 약품공급장치(90)의 회동리프터(97)가 약품조(91)의 약품을 퍼서 저장조(60) 또는 2차 여과된 지하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80)로 배출하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약품소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건비가 절감되고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무동력으로 약품이 주기적으로 자동 공급되기 때문에 편리하며 약품소독작업이 누락될 염려가 없어 수질이 향상되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여과필터(70)의 기능이 저하될 경우 1차 여과된 지하수는 수위상승유도관(100)으로 유입되어 부력체(101)가 집수조(10)의 배출구(12)를 폐쇄함으로써, 지하수 등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않아서 1차 여과된 지하수의 수위 상승이 멈추기 때문에 1차 여과된 지하수가 여과필터(70)에서 2차 여과되지 않고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수차(30)가 회전되지 않아서 약품투입장치(90)가 작동이 멈춰서 정수탱크(80)에 약품이 불필요하게 많이 투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1차 및 2차 여과를 보인 도면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카트리지의 교체를 보인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에서 여과필터가 막힌 경우를 보인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약품공급장치를 보인 도면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약품공급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처리장치는 집수조(10), 설치하우징(20), 수차(30), 여과수단(40), 구동접속수단(50), 저장조(60), 여과필터(70), 정수탱크(80) 및 약품공급장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집수조(10)는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지하수, 계곡수, 우수(이하, "지하수"로 통칭함)의 유입구(11) 및 배수구(12)가 구비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집수조(10)의 상면이 개방되어 유입구(11)를 형성하고 배수구(12)는 하측면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지하수나 우수는 집수조(10)에 자연적으로 유입되며, 계곡수는 펌프 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집수조(10)로 유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수구(12)에는 배수관(13)이 설치되며, 이 배수관(13)에는 상기 지하수의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밸브(14)가 설치된다. 한편, 집수조(10) 상측에는 월류관(15)이 구비된다.
상기 설치하우징(20)은 상기 배수관(13)의 단부 하측에 위치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배수관(13)에서 배수되는 지하수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설치하우징(20)의 하단부는 지하수가 일측으로 모이도록 호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하우징(20)의 하단에는 모여진 지하수가 배출되는 1차여과수배출관(21)이 하향 연장된다.
상기 수차(30)는 설치하우징(20)의 상측에 수평배치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31)과, 이 회전축(31)의 둘레부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날개(3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차(30)는 집수조(10)의 배수관(13) 단부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배수관(13)을 통해 배수된 지하수의 낙차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미설명 부호 33은 감속기이다.
상기 여과수단(40)은 설치하우징(20)의 상측에 서로 평행하며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축(41) 및 피권취축(42)과, 양단이 이 권취축(41) 및 피권취축(42)에 결합되며 초기에 피권취축(42)에 권취되되 U자 형상으로 늘어진 카트리지(43)와, 이 카트리지(43)의 내측에 구비된 U자형 스크린(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권취축(41) 및 피권취축(42) 사이에 수차(30)가 위치되며, 수차(30)의 회전축(31)은 권취축(41) 및 피권취축(42)과 평행하다.
그리고 카트리지(43)는 양단이 권취축(41)과 피권취축(42)에 각각 결합되며 사용초기에는 피권취축(42)에 대부분 권취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43)는 도 와 같이 수차(30)를 감싸도록 U자 형상으로 늘어지며, U자형 스크린(44)에 의해 U자형으로 늘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U자형 스크린(44)은 수차(30)에서 낙하되는 지하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도시안된 미세타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카트리지(43)는 지하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한다.
상기 구동접속수단(50)은 수차(30)의 회전축(31)의 구동력을 여과수단(40)의 권취축(41)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축(31)과 권취축(41)을 연결하는 체인과 스프로켓 또는 벨트와 풀리 등과 같은 구성품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차(30)가 지하수의 낙차에 의해 회전되면 구동접속수단(50)에 의해 권취축(41)이 회전되어 카트리지(43)가 권취축(41)에 권취되므로 카트리지(43)가 자동 교체되는 결과가 된다.
상기 저장조(60)는 여과수단(40)에서 1차 여과된 지하수가 저장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며 설치하우징(20)이 내부에 위치되는 사이즈로 이루어진다. 이때, 저장조(60)의 측면에는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에 배출구(61)가 형성되고 이 배출구(61)에는 상기 정수탱크()로 연통 설치되는 2차여과수배출관(62)이 설치된다.
상기 여과필터(70)는 저장조(60) 내부에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수평 설치되는데, 저장조(60)의 배출구(61)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설치하우징(20)의 1차여과수배출관(21)이 여과필터(7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여 하단이 여과필터(70) 하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여과수단(40)에서 1차 여과된 지하수가 1차여과수배출관(21)을 통해 여과필터(70) 하측으로 배출되며, 지하수가 계속 배출되어 점점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여과필터(70)를 통과하면서 2차 여과된다. 그리고 2차 여과된 지하수가 수위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2차여과수배출관(62)을 통해 정수탱크(80)로 배출된다.
한편, 여과필터(70)에 혼탁물질이나 오염물질이 계속 쌓이게 되면 정수처리가 늦어지며 이로 인해 여과필터(70) 하측에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여과필터(70)가 배출구(61)보다 상측으로 이동되면 2차 여과되지 않은 지하수가 정수탱크(80)로 그대로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되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과필터(70)를 상하로 관통하는 수위상승유도관(100)을 설치하고 이 수위상승유도관(100)에 여과필터(70) 상측에 부력체(101)를 구비한다. 이때, 수위상승유도관(100)의 상단은 집수조(10)의 배출구(12)와 근접되게 연장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저장조(60)에 비해 폭이 좁은 수위상승유도관(100)의 수위가 먼저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해 부력체(101)가 상승하여 집수조(10)의 배출구(12)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집수조(10)에서 지하수가 배출되지 않으므로 저장조(60)의 수위상승이 멈춰서 여과필터(70)가 배출구(61)보다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수차(30)가 회전되지 않아서 약품투입장치(90)가 작동이 멈춰서 정수탱크(80)에 약품이 불필요하게 많이 투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집수조(10)에서 지하수가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수위가 상승하여 월류관(15)을 통해 그대로 배출된다.
상기 정수탱크(80)는 저장조(60)에서 2차 여과된 지하수가 저장되며 각 가정에 공급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약품공급장치(90)는 정수탱크(80)에 저장된 지하수를 소독 등 처리하기 위한 약품이 저장되는 약품조(91)와, 이 약품조(91)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수평배치된 힌지축(92)과, 일단이 상기 힌지축(92)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축결되고 타단은 수차(30)의 회전축(31)과 보조구동접속수단(99)에 의해 구동접속된 크랭크기구(93)와, 일단이 상기 힌지축(92)의 타측 둘레부에 고정된 막대형상이며 선단에 버킷(98)이 구비된 회동리프터(97)로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기구(93)는 수차(30)의 회전축(31)과 보조구동접속수단(99)에 의해 중심축(94a)이 구동접속된 회전원판(94)과, 이 회전원판(94)에 편심연결되는 연결로드(95) 및 이 연결로드(95)에 링크연결되는 작동로드(96)로 구성되며, 이 작동로드(96)가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축(92)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회전원판(94)에는 그 중심축(94a)에서 서로 다른 반경거리에 설치되는 도시안된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이에 편심 연결되는 연결로드(95)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구동접속수단(99)은 상기 구동접속수단(50)과 같은 구성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하수의 낙차에 의해 수차(30)가 회전되면 보조구동접속수단(99)에 의해 약품투입장치(90)의 크랭크기구(93)가 작동되면서 회동리프터(97)가 왕복 회전되므로, 회동리프터(97)의 버킷(98)이 약품조(91)의 약품을 퍼서 외부 정수탱크(80)로 배출시킨다. 한편, 저장조(60)에 여과필터(7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약품공급장치(90)의 회동리프터(97)가 약품을 저장조(60)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처리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절밸브(14)를 개방시켜 집수조(10)에 유입된 지하수를 배출시키면, 배출관(13)을 통해 배출된 지하수의 낙차에 의해 수차(30)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수차(30)에서 낙하되는 지하수는 스크린(44)과 카트리지(43)에서 이물질과 오염물질 등이 걸러지고 설치하우징(20)의 1차여과수배출관(21)을 통해 저장조(60)로 배출된다. 이때, 집수조(10)에서 지하수가 계속 배출되어 카트리지(43)에 오염물질이 많이 쌓이게 되어 필터링 효과가 떨어질 수 있는데, 지하수의 낙차에 의해 수차(30)가 회전됨에 따라 구동접속수단(50)에 의해 여과수단(40)의 권취축(41)이 회전되어 오염물질이 많이 쌓인 카트리지(43)의 일측이 권취축(41)에 권취되며 피권취축(42)에 권취되어 사용되지 않은 타측이 인출되므로 카트리지(43)가 자동으로 교체되기 때문에 필터링 효과가 저하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1차 여과되어 저장조(60)에 저장된 지하수는 점점 수위가 상승하면서 상측의 여과필터(70)를 통과하면서 2차 여과되고 수위가 더 상승하여 2차여과수배출관(62)을 통해 정수탱크(80)로 배출된다. 한편, 지하수의 낙차에 의해 수차(30)가 회전됨에 따라 약품공급장치(90)의 회동리프터(97)가 왕복 회전되면서 약품조(91)의 약품을 정수탱크(80)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지하수의 낙차를 이용하여 수차(30)를 회전시키고, 수차(30)와 카트리지(43)의 권취축(41) 및 약품공급장치(90)의 크랭크기구(93)를 구동접속시킴으로써, 무동력으로 카트리지(43)를 자동 교체하고 약품을 자동으로 투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43) 교체를 위해 정수처리공정을 중단할 필요가 없어서 정수처리시간이 지연되지 않고 처리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약품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투입하거나 별도의 모터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집수조 20 : 설치하우징
30 : 수차 40 : 여과수단
50 : 구동접속수단 60 : 저장조
70 : 여과필터 80 : 정수탱크
90 : 약품공급장치 100 : 수위상승유도관

Claims (4)

  1.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지하수, 계곡수, 우수(이하, "지하수"로 통칭함)의 유입구(11) 및 배수구(12)가 구비된 집수조(10);
    상기 집수조(10)의 배수구(12)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31)과, 이 회전축(31) 둘레부에서 방사상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지하수의 낙차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32)로 이루어진 수차(30);
    상기 수차(30)의 회전축(31)의 대향되는 양 측방에 상기 회전축(31)과 평행하게 배치된 권취축(41) 및 피권취축(42)과, 양단부가 상기 권취축(41) 및 피권취축(42)에 각각 결합되며 초기에 피권취축(42)에 권취되되 상기 수차(30)를 감싸도록 U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수차(30)에서 낙하되는 지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카트리지(43)를 포함하는 여과수단(40);
    상기 수차(30)의 회전축(31) 및 여과수단(40)의 권취축(41)이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는 여과수단(40)의 카트리지(43)에서 여과된 지하수가 배출되는 1차여과수배출관(21)이 하향 연장된 설치하우징(20);
    상기 수차(30)의 회전축(31)과 여과수단(40)의 권취축(41)을 구동접속시켜 상기 회전축(31)의 회전력을 권취축(41)에 전달시키는 구동접속수단(50); 및
    상기 여과수단(40)에서 여과된 지하수가 저장되며, 내부에는 상기 설치하우징(20)의 1차여과수배출관(21)이 관통되는 여과필터(70)가 바닥면에서 일정높이 이격되게 수평 설치되고, 측면에는 상기 여과필터(70)보다 상측에 지하수가 배출되는 2차여과수배출관(62)이 구비된 저장조(60);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조(10)에서 배출된 지하수의 낙차에 의해 수차(30)가 회전됨에 따라 구동접속수단(50)에 의해 여과수단(40)의 권취축(41)이 회전되어 지하수가 통과된 카트리지(43)의 오염된 일측이 권취축(41)에 권취되면서 피권취축(42)에 권취된 카트리지(43)의 오염되지 않은 타측이 인출됨으로써 카트리지(43)가 자동으로 교체되며,
    상기 여과수단(40)에서 1차 여과되어 설치하우징(20)의 1차여과수배출관(21)을 통해 저장조(60)의 여과필터(70) 하측으로 배출된 지하수의 수위가 상승하면서 여과필터(70)를 통과하여 2차 여과되고, 2차 여과된 지하수의 수위가 더욱 상승하면 2차여과수배출관(62)을 통해 외부에 구비된 정수탱크(8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60) 또는 정수탱크(80)에 저장된 지하수를 소독 등 처리하기 위한 약품이 저장되는 약품조(91)와, 이 약품조(91)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수평배치된 힌지축(92)과, 일단이 상기 힌지축(92)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축결되고 타단은 수차(30)의 회전축(31)과 보조구동접속수단(99)에 의해 구동접속된 크랭크기구(93)와, 일단이 상기 힌지축(92)의 타측 둘레부에 고정된 막대형상이며 선단에 버킷(98)이 구비된 회동리프터(97)로 구성된 약품공급장치(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차(30)가 회전되면 약품공급장치(90)의 크랭크기구(93)의 작동에 의해 회동리프터(97)가 회동상승 및 회동하강하면서 약품을 퍼서 약품조(91) 외부의 상기 저장조(60) 또는 정수탱크(80)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처리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60)의 여과필터(70)를 하측에 하단이 위치되며 여과필터(70)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단이 집수조(10)의 배출구(12)와 근접 배치되는 수위상승유도관(100)이 더 구비되고, 이 수위상승유도관(100)에는 부력체(101)가 구비되어, 상기 여과필터(70)의 여과기능이 저하되어 하측 지하수의 수위가 상승하면서 상기 수위상승유도관(100)으로 유입됨에 따라 부력체(101)가 상승하여 저장조(60)의 배출구(12)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처리장치.
KR1020150097762A 2015-07-09 2015-07-09 정수처리장치 KR101667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762A KR101667491B1 (ko) 2015-07-09 2015-07-09 정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762A KR101667491B1 (ko) 2015-07-09 2015-07-09 정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491B1 true KR101667491B1 (ko) 2016-10-18

Family

ID=5724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762A KR101667491B1 (ko) 2015-07-09 2015-07-09 정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4962A (zh) * 2022-07-22 2022-09-16 中山市唯一精密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具备节能结构的水处理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319Y1 (ko) 2003-07-25 2003-10-23 (주식회사)문창 빗물저장탱크의 정수처리장치
KR20120077086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조은환경 중력식 여과 방법 및 그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 시스템
KR101168374B1 (ko) * 2012-02-15 2012-07-24 주식회사 현진기업 여과와 역세척이 가능한 물 여과장치
KR101479462B1 (ko) * 2014-07-04 2015-01-08 (주)공간파크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319Y1 (ko) 2003-07-25 2003-10-23 (주식회사)문창 빗물저장탱크의 정수처리장치
KR20120077086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조은환경 중력식 여과 방법 및 그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 시스템
KR101168374B1 (ko) * 2012-02-15 2012-07-24 주식회사 현진기업 여과와 역세척이 가능한 물 여과장치
KR101479462B1 (ko) * 2014-07-04 2015-01-08 (주)공간파크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4962A (zh) * 2022-07-22 2022-09-16 中山市唯一精密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具备节能结构的水处理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53656B (zh) 一种环保清淤装置
KR102116109B1 (ko) 원심 교반형 흡착 여과기
JP2008528008A (ja) とりわけ魚水槽のためのフィルタ装置
JPWO2018179569A1 (ja) スクリュー型分離装置及び排水処理システム
KR101286960B1 (ko) 침전 및 여과 일체형 우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류 시스템
US201702534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ration of Lime-Treated Water
CN112321081B (zh) 一种工业污水处理工艺
JP2013139015A (ja) 固液分離装置及び汚泥処理システム及び固液分離方法
CN111153552A (zh) 养殖污水处理装置
KR20120066280A (ko) 스크류형 침출수 정화장치
KR100746507B1 (ko)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마을 상수도 여과장치
JP2009045562A (ja) 濾過フイルター式スラッジ脱水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667491B1 (ko) 정수처리장치
KR101263755B1 (ko)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
CN108905320B (zh) 一种活性砂过滤器
CN103480187A (zh) 无动力快速反洗过滤器
CN206985871U (zh) 一种水质过滤器
KR20030092206A (ko) 드럼필터 및 와류형여과기를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처리장치
CN113599908B (zh) 一种污水过滤机
CN215049263U (zh) 一种新型养猪场污水处理装置
CN214693574U (zh) 一种具有防堵塞功能的城市污水处理用过滤装置
JP7216922B2 (ja) 泥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泥水処理方法
CN110075593A (zh) 污水处理系统
CN211069261U (zh) 水幕除尘设备的甩筒式清洁系统
KR20090028134A (ko) 회전드럼식 고액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