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896B1 -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896B1
KR101666896B1 KR1020100006173A KR20100006173A KR101666896B1 KR 101666896 B1 KR101666896 B1 KR 101666896B1 KR 1020100006173 A KR1020100006173 A KR 1020100006173A KR 20100006173 A KR20100006173 A KR 20100006173A KR 101666896 B1 KR101666896 B1 KR 101666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otor
bushing
housing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6439A (ko
Inventor
김한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8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6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38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flux distributors, and armatures and magnets both stationary
    • H02K21/4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flux distributors, and armatures and magnets both stationary with armature windings wound upon the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05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specially adapted for damping motor oscillations, e.g. for reducing h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수분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에 설치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모터를 포함하는 가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M)의 슬롯을 갖는 스테이터; 그리고 로터 코어와 상기 로터 코어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을 갖는 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영구자석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N)의 자극이 소정 각도(θ1)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θ1은 (360도 / 2M) ± 5도의 범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motor and a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수분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에 설치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모터를 포함하는 가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전기를 입력받아 기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다양한 형태의 기계 장치나 가전제품 등에 사용된다. 상기 모터 자체는 전기를 입력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전제품에는 일반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을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가 많이 사용된다. 특히, 냉장고나 에어컨과 같은 가전제품은 냉매의 상변화를 통하여 난방이나 냉방을 수행하는 데, 이 경우 열교환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팬과 이를 구동하는 모터는 필수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전제품, 특히 에어컨에 사용되는 팬 구동용 모터는 수분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에 설치된다. 이는 팬 구동으로 인해 분위기 온도가 급격히 변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 중에 수분이 응결될 수 있는 여지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는 전기를 입력받아 구동되는 장치이다. 전기가 사용되는 부분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은 매우 치명적이다. 따라서, 모터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수분을 완벽히 차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모터는 리드 와이어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는 데, 이 리드 와이어는 모터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모터는 회전축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데, 이러한 회전축은 모터 외부의 팬 등과 같은 구성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터의 구조적인 문제, 즉 리드 와이어와 회전축과 같은 모터 외부의 다른 구성과 연결되기 위한 구성으로 인해, 수분을 차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특히, 모터가 에어컨 등의 팬 구동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수분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이므로 수분 차단이 중요한 만큼 더욱 어렵게 된다.
그러나, 좁게는 모터 자체를 보호하고, 넓게는 모터가 사용되는 가전제품이나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수분 차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수분 차단의 문제와 아울러 모터의 소음 및 진동 방지의 문제도 매우 중요하다.
도 9에는 일반 로터의 경우 회전수에 대한 소음과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모터가 팬을 구동하는 경우 회전수가 높아질수록 소음이 증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팬 자체의 고유 진동수와 모터의 회전수와의 관계에서 특정 회전수에서 급속히 소음이 증가되는 구간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360RPM이나 720RPM에서 팬이 회전할 때 급속히 소음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RPM을 공진 RPM이라 할 수 있다. 물론, 팬의 형상이나 사이즈가 달라지면 이러한 공진 RPM은 다소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모터에 있어서 이러한 공진 RPM은 필연적으로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공진 RPM이 팬의 최적 회전수 또는 이에 근접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컨의 요구되는 냉방 부하 또는 난방 부하를 만족시키는 최적의 RPM이 상기 공진 RPM이거나 이에 근접한 RPM이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터를 제조하는 주체와 모터를 이용하여 가전 제품 예를 들어 에어컨을 제조하는 주체는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에어컨 팬용 모터를 제조하는 자는 다양한 에어컨 제조자에게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모터 자체는 제작 사양 특성 상 권장되는 회전수(RPM) 대역이 있다. 예를 들어, 100RPM 내지 1200RPM 대역에서 무리없이 작동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에어컨 제조자는 특정 RPM 대역에서만 모터를 구동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모든 수요자를 만족하는 모터를 제작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특정 에어컨에 있어서 에어컨 팬의 최적 운전이 360RPM과 720RPM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최적 운전 RPM에서는 공진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최적 운전 RPM으로 팬을 구동할 수 없게 된다. 이런 이유로 최적 운전 RPM 보다 낮은 RPM에서 팬을 구동하게 되면 요구되는 부하를 만족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최적 운전 RPM 보다 높은 RPM으로 팬을 구동하게 되면 요구되는 부하를 초과하게 되어 과도하게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부하가 달라지더라도 소음이 급격히 증가되는 공진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부하는 일례로 에어컨 팬의 구동 RMP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수요자를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는 모터 제조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중요할 것이다.
본 발명은,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히 에어컨 팬 구동용 모터에 있어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축이 수평하게 장착되는 설치 환경에서 수분 침투 경로에 따라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수분 침투 경로에 최적화된 수분 침투 방지 구조를 제공하여 보다 신뢰성이 증진된 모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리드 와이어를 통해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한편, 리드 와이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리드 와이어를 모터로부터 인출시키는 부싱의 손상이나 빠짐을 방지하여 취급과 사용이 용이하고, 보다 안전한 모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팬 부하 운전 시 특정 회전수에서 공진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요구되는 최적 RPM에 관계없이 최적으로 운전될 수 있는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터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 하우징은 내부에 모터의 구성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이를 통해 일차적으로 모터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은 리드 와이어가 인출되는 인출부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에 구비되어 리드 와이어가 관통되는 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리드 와이어는 모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선이다. 따라서, 상기 리드 와이어는 상기 인출부를 통해서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를 통해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리드 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부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인출부에 구비되는 부싱을 관통하여 리드 와이어가 인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싱은 절연 탄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부싱 자체와 리드 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함이며, 아울러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한편 수분으로 인한 부식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인출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 내면에 형성된 안착부 그리고 상기 부싱 안착부에서 상기 모터 하우징 외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는 관통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부싱은 상기 인출부에 구비되는 구성이므로 그 형상이 상기 인출부의 형상과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부싱은 상기 관통부로부터 더욱 연장되는 돌출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부와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인출부를 통해 움직임이 구속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를 통해 리드 와이어가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부싱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관통부에 위치되는 몸통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통부에서 더욱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부싱의 안착부와 몸통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인출부로 인해 움직임이 구속되나, 상기 돌출부는 움직임이 구속되지 않게 된다.
상기 리드 와이어의 관통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부싱의 단면적은 돌출부, 몸통부 그리고 지지부 순서로 커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인출부의 안착부의 단면적은 관통부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리드 와이어에는 주로 모터 내부에서 외부로 당기는 힘이 가해진다. 이는 모터를 취급함에 있어서 리드 와이어를 들고 이동시키는 경향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터의 하중이 리드 와이어에 걸리게 되는데, 전술한 부싱의 단면적 특징과 안착부의 단면적 특징으로 인해 부싱이 인출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는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 리드 와이어를 당기는 경우에도 원활히 돌출부가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착부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홈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드 와이어를 회전시켜도 부싱이 안착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서로 결합되어 모터 하우징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을 통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철판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재질은 성형성 및 가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복잡한 형상의 하우징을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모터의 장착을 위한 브라켓이나 상기 인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상부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플랜지와 대응되는 하부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들은 결합 시 서로 맞닿게 된다. 이러한 플랜지들을 통해서 수분이 침투되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서로 접하는 면적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상부 플랜지 내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싱의 관통부에는 상기 환형의 홈에 대응되는 관통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의 홈과 상기 관통부 홈에는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결합될 때 상기 오링이 밀착되기 때문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는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가전제품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환형의 홈과 관통부 홈은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설령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결합 부분을 통해 수분이 침투되더라도 상기 환형의 홈을 통해 수분이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즉, 상기 환형의 홈은 유입된 수분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환형의 홈을 통해 이동된 수분은 상기 관통부 홈을 통해 모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부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싱과 하부 하우징 사이의 갭을 통해 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싱의 일부분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만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결합 시, 상기 부싱은, 상기 관통부 홈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 내측 부분은 상기 하부 플랜지와 밀착되고 반경 방향 외측 부분은 상기 하부 플랜지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출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양 측벽과 상기 양 측벽 사이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출부의 좌우와 상면은 상부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인출부의 하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 플랜지를 통해 실질적으로 막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출부의 단면 형상, 특히 관통부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어 상기 부싱의 높이가 상기 부싱의 폭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싱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양 측벽과 상기 상부 플랜지의 연결 부분에는 라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에 대응되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외면은 반경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모터 하우징의 두께를 줄이는 한편, 안착부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리드 와이어가 인출되는 인출부를 갖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출부에는 리드 와이어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절연 탄성 재질의 부싱이 구비된다. 상기 부싱을 리드 와이어 부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부싱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결합 시 사방으로 압축되도록 형상과 사이즈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에는 각각 플랜지가 형성되며, 양자의 결합시 플랜지끼리 서로 맞닿아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하우징의 플랜지의 일부분은 절개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인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는 다른 표현으로는 상기 플랜지의 일부분이 함몰 또는 돌출되어 형성된다고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는 상부 하우징 외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따라서, 인출부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부 하우징의 두께에 상기 플랜지의 연장 길이를 합한 길이만큼 충분히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드 와이어 부싱과 인출부의 접촉 길이와 접촉 면적을 더욱 길게 하여 수분 침투 방지 및 부싱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들 사이에 부싱이 위치되어 압축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수분 침투 방지와 리드 와이어 부싱의 이탈 방지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고자 함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들과 독립적 또는 복합적으로 공진 소음을 방지하여 넓은 회전수 대역에서 특정 회전수에 국한되지 않고 폭넓게 구동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모터의 실시예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M)의 슬롯을 갖는 스테이터; 그리고 로터 코어와 상기 로터 코어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을 갖는 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영구자석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N)의 자극이 소정 각도(θ1)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θ1은 (360도 / 2M) ± 5도의 범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은 균일한 착자를 위하여 일체의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터 코어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에어 벤트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로터 코어 자체가 모터의 부하가 되기 때문에 로터 코어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에어 벤트의 개수는 상기 영구 자석의 극수(N)와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벤트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된 후 다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벤트의 측면은 이웃하는 에어 벤트의 측면과 일부 구간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의 자극 변환부는 상기 에어 벤트 각각의 중심과 상기 로터 코어의 중심이 이루는 반경선에 대해서 소정 각도(θ2)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θ2는 상기 θ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θ2는 상기 로터의 반부하측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복수 개(N)의 에어 벤트를 갖는 로터 코어; 그리고 상기 로터 코어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 벤트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원주 방향을 따라 자극이 소정 각도(θ1) 기울어지게 형성된 영구자석을 갖는 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영구자석의 자극 변환부는 상기 에어 벤트 각각의 중심과 상기 로터 코어의 중심이 이루는 반경선에 대해서 소정 각도(θ2)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상기 에어 벤트의 반경 방향 최외각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는 복수 개(M)의 극을 갖는 스테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에는 상기 극수(M)와 동일한 개수의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θ2는 (360도 / 2M) ± 5도의 범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θ2는 상기 θ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에어컨 팬 구동용 모터에 있어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의 회전축이 수평하게 장착되는 설치 환경에서 수분 침투 경로에 따라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드 와이어를 통해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한편, 리드 와이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드 와이어를 모터로부터 인출시키는 부싱의 손상이나 빠짐을 방지하여 취급과 사용이 용이하고,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이 있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팬 부하 운전 시 특정 회전수에서 공진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요구되는 최적 RPM에 관계없이 최적으로 운전될 수 있는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모터와 팬이 장착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터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리드 와이어 부싱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부싱이 설치된 모터 하우징의 일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모터 하우징의 일부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로터 정면도;
도 8은 도 1의 로터 사시도;
도 9는 회전수와 소음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그리고
도 10은 로터의 회전각에 따른 코깅 토크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모터 하우징(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 하우징(10)은 모터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모터를 이루는 다른 구성들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모터 하우징(10) 내부에는 스테이터(300)와 로터(200)가 구비된다.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하게 된다. 도 1에는 스테이터(300) 내부에서 로터(200)가 회전하는 이너(inner) 로터 타입의 모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로터(200)에는 회전축(21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로터(2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210)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로터를 기준으로 좌우 각각에는 베어링(220, 23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어링은 상기 로터와 회전축을 상기 스테이터(300)와 상기 모터 하우징(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모터 하우징(10)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스테이터(300)과 로터(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와 하부는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가 어떻게 장착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명칭은 달리 해석될 수 있다. 이는 모터 하우징(10)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의 위치도 상대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즉, 구성의 명칭에 의해서 단순히 그 구성의 위치가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모터의 하부 또는 후방은 도 1에서의 상부를 의미할 것이며, 모터의 상부 또는 전방은 도 1에서의 하부를 의미할 것이다.
상기 모터 하우징(10)은 가전제품의 적정 위치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모터 하우징(10)에는 브라켓(2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테이터(300)는 상기 모터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모터 하우징(10)에는 상기 스테이터(30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일례가 도 3에 도시된 단턱 형태의 위치부(29)이다.
즉, 상기 모터 하우징(10)에는 스테이터(200)가 안착될 구조와 모터를 가전제품에 장착시키는 브라켓(25) 등과 같은 구성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들은 상기 모터 하우징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보다 용이하게 상기 모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모터 하우징(10) 중 적어도 상부 하우징(2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작 방법은 다이 캐스팅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하부 하우징도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제조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서 어느 하나의 하우징만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부 하우징(30)은 철판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철판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하부 하우징(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는 상부 하우징(20)을 통해 구현하고, 하부 하우징의 구조는 매우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부 하우징(20)은 다이 캐스팅으로 형성하면 전술한 스테이터(200) 안착 구조, 브라켓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복잡한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알루미늄 재질이 우수한 성형성과 가공성을 갖기 때문이다.
상기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30)에는 각각 플랜지(21, 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형성된 플랜지(21)를 상부 플랜지(21)라 할 수 있고, 상기 하부 하우징(30)에 형성된 플랜지(31)를 하부 플랜지(31)라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21)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하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플랜지(31)는 상기 하부 하우징(30)의 상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플랜지(21)과 하부 플랜지(31)는 서로 대응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30)이 서로 결합될 때, 상기 플랜지(21, 31)는 서로 밀착되거나 적어도 마주 보게 된다. 이러한 플랜지 구조는 수분 침투 방지에 매우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반경 방향을 통해 모터 하우징(10)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수분이 침투되는 경로를 더욱 길게 할 수 있어서 수분 침투가 매우 어렵게 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21, 22)를 통해 오링 장착 구조 또는 수분 배출 구조(23)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하우징의 결합 부분, 즉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30)이 서로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21)에는 용이하게 단턱부(2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낙하되는 수분이 상기 모터 하우징(10)의 결합 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수분 침투 방지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상기 상부 플랜지(21)에는 위치 고정 홈(26)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하부 플랜지(31)의 위치 고정 돌기(36)에 대응되는 구성이다. 상기 상부 하우징(20)과 상기 하부 하우징(30)이 결합될 때, 상기 위치 고정 홈(26)과 위치 고정 돌기(36)를 통해 상기 하부 하우징이 적정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고정 홈(26)과 위치 고정 돌기(36)에 형성된 홀과 볼트(미도시)를 통해 상기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30)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 하우징(10)은 리드 와이어(미도시)가 인출되는 인출부(40)를 갖는다. 즉, 상기 모터 하우징(10)에는 인출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40)는 모터 하우징(10)의 내부와 외부를 잇는 통로를 형성한다. 즉, 이러한 통로를 통하여 리드 와이어가 모터 하우징(10)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된다.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리드 와이어를 잡고서 모터를 운반하거나 가전제품에 장착한다. 따라서, 상기 리드 와이어에 인장력이 가해져 리드 와이어가 손상되는 문제가 많이 발생된다. 아울러, 상기 인출부(40)를 통해서 수분이 모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될 여지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리드 와이어를 인출하는 부분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 부분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구성 및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구성, 특히 수분 유입 방지를 위한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10)은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30)을 통해 내부에 스테이터(300)과 로터(200)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스테이터(300)는 스테이터 코어(310)와 코일(3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일은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에 감기는데, 티스 각각에 코일이 감겨 하나의 극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티스가 9개 구비되는 경우 스테이터(300)의 극은 12극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310)는 도전체이므로 티스에 직접 코일이 감기지 않는다. 즉, 스테이터(300)에는 인슐레이터(320)가 구비되고, 상기 인슐레이터(320)를 통해 코일(315)이 감기게 된다. 이러한 코일의 권선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로터(200)는 로터 코어(2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로터(200)는 영구자석(2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로터 코어(201)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극을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극과 S극이 교대로 착자되어 전체적으로 8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터 코어(201)는 스테이터 코어(310)와 마찬가지로 철판 등을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 코어(201)는 매우 무겁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로터(200)의 부하가 된다. 이러한 부하를 줄이기 위해 로터 코어(201) 내부에는 로터 코어(201)의 길이 방향, 즉 회전축(210) 방향으로 관통하는 에어 벤트(211)가 형성될 수 있다. 로터(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300)는 모터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된다. 즉, 먼저 스테이터(300)가 상부 하우징(20) 내면에 형성된 위치부(29)에 안착되어 모터 하우징의 상부 내지는 일측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모터 하우징의 하부 내지는 타측에서는 하부 하우징(30)을 통해 고정된다.
한편, 로터(200)는 베어링(220, 230)과 e-링(221, 231)을 통해 모터 하우징(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로터는 일정 부분 회전축(210)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나 이는 매우 제한적이다. 왜냐하면 e-링(221, 231)과 모터 하우징에 형성된 베어링 안착부로 인해 그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상기 회전축(210)은 모터 하우징(10) 외부로 연장된다. 즉, 회전축(210)의 일단은 모터 하우징(10)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모터 하우징(10)을 관통하여 모터 하우징 외부에 위치된다. 상기 회전축(210)의 타단은 팬(1)과 연결되어 상기 팬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도 3에는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통공(63)을 통해 회전축(210)이 모터 하우징(10) 외부로 인출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모터 하우징(10)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특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10) 내부로 수분이 침투될 수 있는 주요 위치는 3개소라 할 수 있다. 제1개소는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30)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2개소는 회전축(210)이 모터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제3개소는 리드 와이어가 인출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모터 하우징(10) 외부에서 모터 하우징으로 물이 유입되는 주요 경로는 3개라 할 수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가 회전축이 수평하게 장착된 경우에서이다.
상기 모터(100)가 수분이 많이 응결되는 장소에 장착되면, 팬(1)이나 모터 하우징(10)의 외면에 수분이 응결될 수 있다. 물론, 모터(100)가 장착되는 공간 상부에서 응결된 물이 모터 하우징(10)으로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하우징(10)의 상부에서 낙하되는 경로를 제1경로(A)라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터 하우징(10)의 외면을 따라 모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또는 팬(1)으로부터 낙하되어 모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제2경로(B)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회전축을 따라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제3경로(C)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개소는 상기 제2경로와 제3경로에 매우 취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개소는 제1경로에 매우 취약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경로와 제2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3개소로 수분이 침투할 여지도 있다.
이러한 모터의 구조, 모터의 장착 위치와 수분 유입 경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매우 효과적이고 용이한 수분 침투 방지를 위한 특성을 제공한다.
먼저, 상기 회전축(210) 또는 통공(63)을 통해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특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수분은 모터 하우징(10)의 외면을 타고 모터의 전방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분은 모터 하우징(10), 특히 상부 하우징(20)을 따라 통공(63)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전방에는 원통 형상의 함몰부(61, 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61, 62)는 원통형의 외벽(61)과 외벽(61) 후방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부(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반경부(62)의 내경은 상기 통공(63)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외벽(61)의 전면 개구부는 상기 통공(63) 보다 앞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 하우징(10)의 외벽을 타고 내려오는 수분은 상기 외벽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외벽의 내면을 타고 통공(63)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몰부(61, 62)의 하부에는 수분이 고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벽 중 최하 부분에는 절개부(64)가 형성된다. 이러한 절개부(64)를 통해 수분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통공(63)을 통해 수분이 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전술한 함몰부와 아울러, 수분침투방지 부싱(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분침투방지 부싱은 회전축(52)에 압입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싱(50)은 상기 함몰부의 반경부(62)로 삽입된다.
상기 부싱(50)은 회전축과 결합되는 몸통부(52)와 상기 몸통부(52)의 전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부(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통부(52)는 원통 형상으로 회전축에 결합되며, 그 외경은 상기 통공(63)의 외경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장부(51)의 외경은 상기 함몰부의 외벽(61)의 내경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부싱(50)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부싱(50)의 형상으로 인해 회전축(210)의 전방에서 통공(63)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게 된다. 즉, 함몰부(61, 62)를 통해 유입되는 수분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부싱의 확장부(51)는 직접적으로 회전축(210)을 타고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부싱(50)과 함몰부의 외벽(61) 사이에는 갭(구체적으로는 함몰부 외벽(61)의 내면과 부싱(50)의 확장부(51)의 외경 사이에 형성된다)이 형성되며, 상기 갭을 통해 수분이 유입될 여지가 있다. 그러나, 상기 부싱(50)은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부싱의 회전을 통해 방사 방향 또는 모터의 전방으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갭을 통해서 수분이 유입될 여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함몰부(61, 62), 부싱(50), 통공(63) 그리고 회전축(210)의 위치 관계, 결합관계 및 형상적 특성으로 인해 통공(63)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30)의 결합부분을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특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30)에는 각각 플랜지(21, 31)가 형성된다. 양자의 결합 시 상기 플랜지(21, 31)는 서로 맞닿거나 적어도 마주보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결합면적을 더욱 넓힐 수 있게 된다. 이는 모터 하우징(1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경로를 더욱 길게 하는 것으로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게 한다.
한편, 상기 플랜지(21, 31)는 회전축(210)에 대해서 수직하게 형성된다. 즉, 수평선에 대해서 수직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A 경로를 통해 직접 플랜지로 유입되는 수분은 매우 적게 된다. 왜냐하면 상부 플랜지(21)과 하부 플랜지(31)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기 때문에 A 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 대부분 모터 하우징(10)의 외벽을 타고 흐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간격을 통해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을 감싸는 단턱(2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턱(22)은 일례로 상부 하우징(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턱(22)은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수분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단턱을 통해 수분이 유입될 수는 있으나, 상기 단턱은 하부 플랜지(31) 보다 더욱 후방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으로 수분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단턱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경로는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기대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21)와 하부 플랜지(31)에 오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오링 구성은 실링 기능에 있어서 매우 탁월하다. 오링의 장착을 위해서는 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23)은 상부 플랜지(21)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랜지(21, 31) 구조와 오링 등을 통해서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30)의 결합 부분을 통해 침투하는 수분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A 경로, B 경로 그리고 C 경로로 침투하는 수분은 모터 하우징(10) 외벽을 타고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21, 31)는 모터 하우징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랜지 구성으로 인해 설령 모터 하우징의 외벽을 타고 흐르는 물이 플랜지(21, 31)에 막혀 양자의 결합 부분으로 침투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 하우징(10) 내부는 외부와 완전히 밀폐된 공간이 아니다. 따라서, 모터 하우징(10) 내부와 외부는 전술한 통공(63)이나 리드 와이어 인출부(40)를 통해 외부와 공기가 통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모터 하우징(10) 내부에도 온도의 변화에 따라 수분의 응결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이유로 모터 하우징(10) 내부에 수분이 침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모터 하우징(10) 내부의 수분을 모터 하우징(10) 외부로 원활히 배출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구조의 일례로 전술한 홈(23)을 들 수 있다. 즉, 상기 홈(23)에 오링을 장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홈(23)은 응결된 수분이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게 된다.
상기 홈(23)은 모터 하우징(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홈(23)을 통해 모터 하우징 내부의 물이 모터 하우징 하부로 모이게 된다. 따라서, 모터 하우징 내부의 물을 원활히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리드 와이어 인출부(40)를 통한 수분 유입 방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인출부(40)에는 리드 와이어를 감싸는 부싱(400)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리드 와이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특성도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40)는 모터(100)가 장착된 위치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브라켓(25) 구성을 제외하고는 모터 하우징(10)의 최하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중력으로 인해 수분이 인출부(40)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자 하는 한편, 이를 통해 수분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전술한 플랜지(21)에서 반경 방향으로 더욱 연장되어 형성되는 브라켓(25)은 상기 인출부(40)를 피해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부싱(400)과 인출부(40)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인출부(40)는 모터 하우징 내면에 형성된 안착부(41) 그리고 상기 안착부(41)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42)는 상기 모터 하우징(1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길이까지 연장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인출부(40)은 상부 하우징(2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잡한 형상의 구성을 상부 하우징(20)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20)은 플랜지(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플랜지(21)는 상부 하우징(2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부(40)는 상기 상부 플랜지(21)의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40)를 통해 모터 하우징(10) 내부의 리드 와이어가 외부로 인출된다. 그러나, 인출부(40)의 재질 상 리드 와이어를 잡아 당기거나 흔드는 경우 리드 와이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인출부(40)의 내경을 리드 와이어의 외경에 비해 큰 경우 이 부분을 통해 수분이 유입될 여지도 있다. 따라서, 상기 리드 와이어는 부싱(400)을 통해 인출부(40)에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이 매우 바람직하다.
상기 부싱(400)은 절연 탄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리드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인출부(40)의 내경을 막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싱(400)은 상기 인출부(4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인출부(40)를 통해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한편, 리드 와이어를 당겨도 부싱(400)이 모터 하우징(10) 외부로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싱(400)은 상기 관통부로부터 더욱 연장되는 돌출부(43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430)는 모터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으로서 모터 하우징(10)의 어떠한 부분으로부터도 움직임이 구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드 와이어를 길이 방향에 대한 측방향으로 당기는 경우 상기 돌출부(430)는 용이하게 구부러진다. 이를 통해 리드 와이어의 손상이 방지된다.
한편, 리드 와이어는 랜덤한 측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4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싱(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재질, 예를 들어 고무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에는 통공(405)이 형성되어 상기 리드 와이어가 관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싱(400)의 재질 특성상 관통되는 리드 와이어는 상기 통공(405)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통공(405)을 통해 모터 하우징(1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430)는 상기 모터 하우징(10)의 외면에서 플랜지(21, 31) 보다 더욱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통공(405)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부싱(400)은 인출부(40)의 안착부(41)에 안착되는 지지부(410)과 상기 관통부(42)에 위치되는 몸통부(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돌출부(430)는 상기 몸통부(420)에서 더욱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420)는 상기 인출부의 관통부(42)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410)는 상기 인출부의 안착부(41)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부싱의 재질 특성상 상기 관통부(42)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싱(400)의 단면적은 각 부분에서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드 와이어의 관통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부싱의 단면적은 돌출부(430), 몸통부(420) 그리고 지지부(410) 순서로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러한 단면적의 차이는 부싱(4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리드 와이어를 당기는 경우 부싱(400)이 상기 인출부(40)로부터 이탈될 여지가 있다. 그러나, 상기 단면적의 차이로 인해 부싱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부싱(400)의 재질적 특성상 인출부(40)에 부싱(400)이 밀착되므로 마찰력이 매우 크게 된다. 또한, 마찰력은 접촉 면적에 비례한다. 상기 인출부의 관통부(42)는 충분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플랜지(21)에 관통부(42)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부싱(400)의 지지부(410)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되는 상기 인출부(40)의 안착부(41) 또한 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싱(400)의 몸통부(420)의 단면적 또한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어느 하나의 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420)의 높이가 폭 보다는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리드 와이어가 당겨질 때, 상기 부싱(400)의 이탈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상기 부싱(400)이 회전한다는 것은 상기 부싱(400)과 인출부(40) 사이에 틈이 발생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술한 부싱(400)의 형상과 이에 대응되는 인출부(40)의 형상으로 인해 부싱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더욱 견고히 상기 부싱(400)이 인출부(40)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부싱(400)은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30)의 결합 시, 상부 플랜지(21)과 하부 플랜지(31)에 위치되게 된다. 즉, 상기 부싱(400)은 상부 플랜지(21)과 하부 플랜지(31)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출부(40)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외면과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부싱(400)의 상면과 양측면은 상기 인출부(40)에 밀착되고, 상기 부싱(400)의 하면은 하부 플랜지(31)에 밀착된다고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출부(40)와 부싱(400)은 모터(100)의 최하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적인 특성상 인출부(40)와 부싱(400)을 통해 모터 내부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중력에 의해 인출부(40)와 부싱(400) 부분으로 물이 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통해서 수분을 배출하는 경우 별도로 배수구를 형성하지 않고 용이하게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한편으로는 이와는 반대로 인출부(40)와 부싱(400)을 통해 수분이 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인출부(40)와 부싱(400)의 위치가 모터의 최하부가 아닌 경우에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모순되는 요구에 대해서 구성의 큰 변화없이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술한 홈(23) 구성으로 인해 이러한 요구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먼저, 홈(23)에 오링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인출부(40)와 부싱(400)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오링은 환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부싱(400)에 상기 오링이 안착되는 부싱 홈(40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싱 홈(406)은 상부 플랜지(21)에 형성된 홈(23)과 연속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오링은 원주 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실링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홈(23)에 오링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의 배수구 없이 효과적으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단, 상기 홈(23)을 통해 내부의 수분이 인출부(40) 부분으로 모이게 된다. 여기서,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몸통부(420)의 상면(420') 높이를 조금 낮추면 홈(23)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상기 몸통부(420)의 상면(420')을 타고 외부로 흘러가게 된다. 물론, 상기 지지부(410)의 상면(410')의 높이를 조금 낮출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410)의 상면(410')과 몸통부(420)의 상면(420')을 통해 모터 외부와 내부가 직접 연통된다. 이 경우 보다 원활히 모터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부싱(400)의 사방에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410)의 상면(410')은 하부 플랜지(31)과 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40)는 상부 하우징(20)의 외면과 상부 플랜지(21)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40)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양 측벽(43)과 상기 양 측벽 사이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벽(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 측벽(43)과 상벽(45)은 상부 하우징(20)의 외면에서 상부 플랜지(21)만큼 돌출되어 내부에 관통부(42)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 측벽과 상기 상부 플랜지의 연결 부분에는 라운드(4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 측벽(43)과 상벽(45)은 반경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다. 이는 상기 인출부(40)가 모터의 최하부에 위치되는 경우 중력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돌출 길이만큼 인출부(40)와 부싱(400)의 접촉 면적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분이 중력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인출부(40)와 부싱(400)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인출부(40)와 부싱(400) 사이의 마찰력 및 밀봉 성능을 더욱 높여주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수분 노출에 취약한 환경에서 매우 효과적이고 신뢰성이 있게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모터 하우징 내부로 수분이 유입될 있는 부분에 효과적인 구조 및 구성을 제공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특성은 수분이 침투될 수 있는 경로들에 대응하여 최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로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로터로 인해 모터의 부하 운전 시 특정 회전수에서 공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스테이터(300)는 복수 개(M)의 슬롯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스테이터의 티스와 티스 사이에 코일이 감기는 공간을 말한다. 상기 슬롯에 코일이 감기는 방법에 따라 하나의 슬롯 당 하나의 스테이터 극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슬롯의 수(M)가 12 개이며, 스테이터 극수가 12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200)는 로터 코어(2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터 코어(201)는 철판을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적층된 철판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코킹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모터를 이너 타입 모터라 한다. 그리고, 상기 로터 코어(201)의 외면에는 영구자석(2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은 원주 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착자된다. 이러한 영구자석의 자극 수(N)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자극 수가 8인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로터의 외주면에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형태의 모터를 BLDC(Brushless DC) 모터라고 칭할 수 있다. 물론, 영구자석 로터 타입 모터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모터에 있어서, 상기 자극의 착자 형태는 수직이다. 즉, N극에서 S극, 또는 S극에서 N극으로 자극이 변환되는 변환선 내지 변환면은 상기 회전축(210)에 평행하게 된다.
일반적인 BLCD 모터의 경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자력의 파형은 구형파 내지는 구형파에 가까운 사인파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파형으로 인해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필연적으로 자극의 변환으로 인해 코깅 토크가 발생한다. 이러한 코깅 토크는 모터의 소음과 진동을 유발시키는 한편, 모터나 이를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효율을 저감시키는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도 10에는 일반적인 영구자석 로터 타입 모터(No Skew)에서의 로터 회전각에 따른 코깅 토크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깅 토크는 회전각에 따라 주기적인 파형으로 나타나며 코깅 토크의 피크 치가 매우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코깅 토크로 인한 진동이나 소음의 편차가 많이 발생되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진동의 편차, 즉 진폭의 편차가 크다는 것은 로터의 가진원이 매우 다양하게 발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물리적인 로터의 외경이외에 진동으로 발생되는 로터의 외경 편차가 그만큼 커지게 됨을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가진원의 발생은 코깅 토크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라 할 수 있지만, 모터 자체뿐만 아니라 모터에 부하가 가해졌을 때 공진을 유발하는 인자가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모터의 회전축(210)에 팬(1)이 결합되어 회전축(210)이 회전함으로써 팬(1)을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팬(1)은 고유의 형상과 질량을 갖기 때문에 고유 진동수를 갖게 된다. 따라서, 가진원의 발생이 매우 다양하게 발생되는 로터의 회전수가 상기 팬의 고유 진동수와의 관계에서 공진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크다.
도 9에는 일반적인 영구자석 로터(No Skew)에서 발생되는 공진을 도시하고 있다. 즉, 회전수가 360RPM인 경우와 회전수가 720RPM인 경우 소음과 진동이 급격히 커지는 공진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공진 발생은 매우 심각하며, 모터 자체뿐만 아니라 모터를 적용하는 가전제품을 구동하는 데 많은 제약을 갖게 한다. 왜냐하면 가전제품 자체에서 요구되는 최적의 모터 구동 RPM은 이러한 공진 RPM을 피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모터 제조자에게 있어서는 구동되는 팬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알 수 없고, 설령 안다고 하더라도 특정 수요자에게 공급되어야만 하는 모터를 제작하는 것은 설계 및 제작 비용이 과도하게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영구자석 로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을 기울어지게(skew) 착자하는 것(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스큐 착자"라고 한다)을 제공한다.
여기서, 스큐 착자한다는 것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이 변환되는 선 내지는 면이 회전축(210)과 소정 각도(θ1)를 갖게 기울어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큐 착자는 코깅 토크를 현저히 줄이는 효과를 나타낸다. 전술한 일반적인 로터는 로터의 높이에 관계없이 원주 방향으로의 자력 파형은 동일하다. 물론, 착자 정도에 따라 자력의 세기는 어느 정도 달라질 수 있으나, 적어도 위상은 동일하다. 따라서, 자극 방향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코깅 토크가 크게 발생하고, 진동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큐 착자에 의하면 로터의 높이에 따라 자력 파형의 위상이 스큐 각도, 즉 θ1 각도 만큼 차이가 나게 된다. 이를 통해 자극 방향의 급격한 변화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고, 코깅 토크 저감 및 진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스큐 각도는 스테이터(300)의 슬롯의 수(M) 또는 스테이터의 극 수(M)와의 관계에서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스테이터에서 발생되는 전자석의 자극에서 영구자석의 N, 로터 코어(201) 내부, 그리고 영구자석의 S극 순서로 자로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한편, 스테이터의 자극도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발생되며, 어느 하나의 티스가 N극을 나타낼 때 이웃하는 티스에는 동시에 S극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영구자석에 스테이터(300)의 두 개의 이웃하는 자극 또는 그 이상의 자극이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를 감안하여 상기 스큐 각도는 스테이터(300)의 슬롯 수 또는 스테이터(300)의 자극 수(M)에 따라 달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큐 각도 θ1 은 (360도 / 2M) ± 5도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롯 수가 12 인 경우에 스큐 각도가 10도 내지 20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구자석(240)은 균일한 착자를 위해서 일체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 하나 자극을 착자하는 것이 아니라, 착자 용 백요크(미도시)를 이용하여 모든 자극을 균일하게 착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에는 영구자석이 스큐 착자된 모터의 코깅 토크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큐 착자로 인해 일반 로터에 비해서 현저히 코깅 토크를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전술한 스큐 각도 산출식이 만족할 만한 것임을 입증하고 있다.
한편, 도 9에는 영구자석이 스큐 착자된 모터에서의 소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큐 착자로 인해 일반 로터와는 달리 공진이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인 형태로서 점진적으로 소음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물론, 특정 회전수에서 공진이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모터 제조자는 팬의 특성에 관계없이 만족할 만한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모터를 이용하여 가전제품을 제조하는 자는 최적의 설계 사양에 맞춰 모터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 코어(201) 내부에는 복수 개의 에어 벤트(21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벤트(211)는 로터 코어(201)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터 코어(201)는 비교적 무겁기 때문에 로터 코어 자체도 하나의 부하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 에어 벤트(2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는 상기 로터 코어(201)는 자로가 형성되는 공간으로 에어 벤트(211)로 인해 자로가 끊기거나 자속이 누설될 수 있다. 이는 모터 효율에 악영향을 준다.
이러한 서로 상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 벤트(211)는 로터 코어의 최외곽에서 반경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로터 코어의 최외곽과 에어 벤트(211)의 반경 방향 최외각 사이에 일정한 폭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폭을 통해 자로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자로의 폭은 실험을 통해 최적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에어 벤트(211)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된 후, 다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경 방향 최외각에서의 폭이 가장 좁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에어 벤트(211)의 최외각 부분의 형상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활한 자로 형성을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에어 밴트(211)의 측면은 이웃하는 에어 벤트(211)의 측면과 일부 구간 평행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에어 벤트(211)와 이웃하는 에어 벤트(211) 사이에 적층된 로터 코어(201)을 고정시키는 코킹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코킹부는 하나 건너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에어 벤트(211)의 형상으로 인해 에어 벤트와 에어 벤트 사이 부채꼴 형태의 로터 코어(201) 부분이 형성되어 자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 벤트(211)의 개수는 상기 영구자석(240)의 극수(N)과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곡면 형태의 자로 패스가 만나는 부분에서의 자력 밀도가 약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에어 벤트(2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스큐 착자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로터에서처럼 영구자석의 자극 중심에 대응되는 부분에 에어 벤트(211)를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서는 바람직한 영구자석의 위치에 대한 에어 벤트(211)의 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영구자석(240)의 자극 변환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벤트(211) 각각의 중심과 상기 로터 코어(201)의 중심이 이루는 반경선에 대해서 소정 각도(θ2)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소정 각도(θ2)는 반부하측을 기준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팬과 연결되는 회전축(210) 부분을 부하측이라 할 수 있고, 그 반대편을 반부하측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소정 각도(θ2)를 반부하측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은 회전하는 부하(팬)과 대향되는 위치이기 때문이다. 또한, 로터의 높이가 달라질수록 θ2는 일정하나 부하측에서의 이격 각도는 달라지기 때문이다.
상기 소정 각도 θ2는 전술한 스큐 각도 θ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θ2 또한 (360도 / 2M) ± 5도의 범위 안에서 설정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0에 따르면 스큐 각도 14도에서 가장 좋은 코깅 토크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15도에서 보다도 14도에서 좋은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자극 변환부와 에어 벤트(211)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 차이로 인한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자극 변환부와 에어 벤트(211)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 차이로 인해 로터 코어(201)에서의 자속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고, 만족할 만한 코깅 토크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는, 로터의 진동 소음을 최소화하여 가진원을 획기적으로 없앨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팬 부하 운전 시 특정 회전수에서 발생되는 공진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1 : 팬 10 : 모터 하우징
20 : 상부 하우징 30 : 하부 하우징
40 : 인출부 50 : 수분침투방지 부싱
200 : 로터 210 : 회전축
300 : 스테이터 400 : 리드 와이어 부싱

Claims (20)

  1. 복수 개(M)의 슬롯을 갖는 스테이터; 그리고
    내부에 복수 개(N)의 에어 벤트가 형성된 로터 코어와 상기 로터 코어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을 갖는 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영구자석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자극이 소정 각도(θ1)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영구자석의 자극 변환부는 상기 에어 벤트 각각의 중심과 상기 로터 코어의 중심이 이루는 반경선에 대해서 소정 각도(θ2) 이격되고,
    상기 θ2는 (360도 / 2M) ± 5도의 범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균일한 착자를 위하여 일체의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의 개수(N)는 상기 영구 자석의 극수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된 후 다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의 측면은 이웃하는 에어 벤트의 측면과 일부 구간 평행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θ1은 상기 θ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θ2는 상기 로터의 반부하측 기준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복수 개(M)의 극을 갖는 스테이터;
    내부에 복수 개(N)의 에어 벤트를 갖는 로터 코어; 그리고
    상기 로터 코어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 벤트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원주 방향을 따라 자극이 소정 각도(θ1) 기울어지게 형성된 영구자석을 갖는 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영구자석의 자극 변환부는 상기 에어 벤트 각각의 중심과 상기 로터 코어의 중심이 이루는 반경선에 대해서 소정 각도(θ2) 이격되고,
    상기 θ2는 (360도 / 2M) ± 5도의 범위에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균일한 착자를 위하여 일체의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된 후 다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의 측면은 이웃하는 에어 벤트의 측면과 일부 구간 평행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의 반경 방향 최외각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5. 삭제
  16.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에는 상기 극수(M)와 동일한 개수의 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7. 삭제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θ1은 상기 θ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θ2는 상기 로터의 반부하측 기준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에어컨의 팬 구동용이며, 상기 로터가 상기 스테이터 내측에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100006173A 2010-01-22 2010-01-22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KR101666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173A KR101666896B1 (ko) 2010-01-22 2010-01-22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173A KR101666896B1 (ko) 2010-01-22 2010-01-22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439A KR20110086439A (ko) 2011-07-28
KR101666896B1 true KR101666896B1 (ko) 2016-10-17

Family

ID=4492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173A KR101666896B1 (ko) 2010-01-22 2010-01-22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8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948B1 (ko) * 2019-10-30 2020-10-13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 파워 슬라이딩 장치의 중공형 bldc 모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2942A (ja) * 2001-02-23 2002-09-06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動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8770Y2 (ja) * 1993-04-19 1999-08-16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回転電機
KR0108523Y1 (en) * 1993-11-08 1997-10-25 Mando Machine Co Ltd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o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2942A (ja) * 2001-02-23 2002-09-06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439A (ko)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4304B2 (en) Washing machine
KR100989684B1 (ko) 액시얼 타입 모터
JP2010539884A (ja) 永久磁石埋め込み型モ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真空吸込装置
US20130042655A1 (en) Brushless motor for washing machine, drum-type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rushless motor for washing machine
JP2018518935A (ja) 永久磁石埋込型電動機のためのロ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電動機
JP2007074898A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縮機
US9287758B2 (en) Slim-type motor having a heat-dissipating structure, and washing machine adopting a direct drive system
EP1803208A2 (en) Motor rotor
KR101529925B1 (ko) 영구자석 매입식 비엘디시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WO2007074036A1 (en) An electric motor
JPWO2018173104A1 (ja) 電動機および送風装置
KR101666896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KR101692721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KR100932488B1 (ko) 공기조화기
KR101692722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KR101010836B1 (ko) 팬 구동용 모터
US20230243360A1 (en) Blower and air conditioner
JP4340632B2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及びそれを用いた圧縮機
KR100657660B1 (ko) 드럼 세탁기용 모터의 로터 구조
KR101055735B1 (ko) 공조기용 송풍장치
KR101137357B1 (ko) 세탁장치
WO2008060035A1 (en) Outer rotor type motor and outdoor unit having the same
WO2019146030A1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及びそれを用いた圧縮機
KR101143992B1 (ko) 모터의 로터
KR100896261B1 (ko)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