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813B1 -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 - Google Patents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813B1
KR101666813B1 KR1020150062577A KR20150062577A KR101666813B1 KR 101666813 B1 KR101666813 B1 KR 101666813B1 KR 1020150062577 A KR1020150062577 A KR 1020150062577A KR 20150062577 A KR20150062577 A KR 20150062577A KR 101666813 B1 KR101666813 B1 KR 101666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specimen
space
laser
rotary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용
홍진태
안성호
김가혜
허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62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in a special atmosphere, e.g. in an enclosure
    • B23K26/1224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in a special atmosphere, e.g. in an enclosure in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in a special atmosphere, e.g. in an enclosure
    • B23K26/123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in a special atmosphere, e.g. in an enclosure in an atmosphere of particular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06Laser 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이 발생하는 공간을 외부와 밀폐한 상태에서 용접시료를 자유롭게 운동 가능하게 형성된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시료를 고정하되 수평운동과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와, 용접시료의 길이에 대응하여 용접공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확장부, 및 용접시료에 연결된 케이블을 고정하는 신호선 정리부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용접 공간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다양한 용접시료를 운동 시켜 용접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 {Laser welding chamber apparatus using nuclear fuel rod and irradiation rig}
본 발명은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제작 과정에서 봉단마개 및 계장센서 등을 진공 또는 불활성가스가 채워진 공간에서 용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계장핵연료봉 용접용 챔버는 용접공간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하여, 용접시료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외부를 실링 부재로 밀폐하여 고정 및 외부와 차단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술을 이용한 종래의 계장핵연료봉 용접용 챔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계장핵연료봉 용접용 챔버는, 회전 구동 기구에 의해 회전되는 스핀들의 관통공에 피복관을 삽입해, 그 피복관의 관단부를 용접 챔버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개소가 동시에, 첨단에 단전을 설치한 프레스 샤프트를 용접 챔버에 삽입해 피보고간의 관단부에 단전을 압입한 후 피복관의 관단부와 단전을 용접하는 계장핵연료봉 용접용 챔버장치에 있어서, 스핀들 회전 구동 기구의 측 변부에 피복관을 삽입 통과 하는 관통공을 갖는 케이싱과, 케이싱 안에 압착 기체에 의해 피복관의 축 방향으로 접동하는 피스톤부재, 및 피스톤부 재내에 피스톤부재에 의해 이동되어 피복관의 외주부를 접동해 스핀들의 단부에 배치한 환형 실링재를 압입 축경시키는 압입환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종래의 계장핵연료봉 용접용 챔버는 용접공간을 외부와 밀폐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피스톤부재 및 환형 실링재에 의해 피복관이 압입되어 다양한 위치가 용접되는 계장핵연료봉의 이동 또는 회전이 불가능해져, 계장핵연료봉을 용접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일본공개특허 제1997-0321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제작 과정에서 계장핵료봉 및 조사리그에 봉단마개 및 계장센서 등을 용접하는 용접공간을 진공상태 또는 불활성가스가 채워진 공간으로 만들되, 용접공간 내부에서 계장핵연료봉 또는 조사리그가 회전 또는 변위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용접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는, 내부에 용접공간(110)이 형성되고, 하측이 개통되어 용접공간(110)과 외부가 연결되며, 상측에 외부에서 레이저가 상기 용접공간(110)으로 유입되는 빔 투입구(120)가 형성되는 커버(100); 상기 커버(10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용접공간(110)을 외부와 차단시키며, 상기 용접공간(110)에 위치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 시키는 진공펌프(210) 및 상기 용접공간(110)에 불활성 가스를 유입 시키는 가스 유입부(220)가 구비되는 베이스(200);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에 형성되며, 용접시료를 상기 용접공간(110) 내부에 상기 베이스(200)와 수평을 이루며 이격 고정시키는 고정부(300); 및 상기 빔 투입구(120)를 통해 상기 고정부(300)에 고정된 용접시료에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헤드(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는,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로드(23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슬라이딩 로드(2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회전척 몸체(310)와, 상기 회전척 몸체(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시료를 고정 시키는 회전척(320)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는, 상기 회전척 몸체(310)의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용접시료에 연결된 케이블이 고정되는 신호선 정리부(330)가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척(320)과 상기 회전척 몸체(310), 및 상기 신호선 정리부(330)의 축방향 중심에 상기 회전척(320)에 고정된 용접시료에 연결된 케이블이 통과하는 천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신호선 정리부(330)의 타측에 상기 천공부를 통과한 상기 케이블이 끼워지는 고정 그립(331)이 원형을 이루며 복수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100)는, 상측에 상기 용접공간(110)에 상기 용접시료를 유입시키도록 상기 용접공간(110)과 외부를 개폐하는 덮개(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100)는,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상기 회전척(320)에 고정된 용접시료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용접공간(110)의 길이를 연장하는 확장부(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부(140)는, 상기 커버(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확장튜브 결합부(141)와, 상기 확장튜브 결합부(141)에 결합되어 상기 용접공간(110)의 길이를 연장하는 확장튜브 조립체(142)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튜브 조립체(142)는 복수의 단위체(142A)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는, 상기 커버(100)와 상기 확장튜브 결합부(141)의 연결부에 상기 용접시료와 용접되는 대상물체를 고정 시키는 심압대(1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200)는, 상측에 상기 회전척(320)에 고정된 용접시료를 지지하는 보강대(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장치는, 용접시료를 고정 시키는 고정부가 커버와 베이스로 결합되어 용접공간이 외부와 밀폐된 상태에서 외부 제어에 의해 용접공간 내부에서 수평운동 및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용접공간이 진공상태 또는 불활성 기체로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용접에 용이하게 용접시료를 이동 및 회전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고정부에 고정되는 용접시료의 길이에 맞춰 용접공간(110)의 길이를 제어하는 확장부가 구비되어 용접시료가 길어지더라도 용접시료를 용접공간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용접시료에 부착된 케이블을 고정하는 신호선 정리부와 용접시료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용접시료에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시료에 봉단마개 및 계장센서를 용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계장핵연료봉 레이저용접 챔버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커버 제거 시)
도 4는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확장부 결합 시)
도 5는 신호선 정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확장부에 결합된 심압대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도3에서는 본 발명인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장치는, 내부에 용접공간(110)이 형성되고, 하측이 개통되어 용접공간(110)과 외부가 연결되며, 상측에 외부에서 레이저가 용접공간(110)으로 유입되는 빔 투입구(120)가 형성되는 커버(100)와, 상기 커버(10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용접공간(110)을 외부와 차단시키며, 상기 용접공간(110)에 위치한 기체를 외부로 배출 시키는 진공펌프(210)와, 불활성 가스를 용접공간(110)으로 유입 시키는 가스 유입부(220), 및 용접공간(110)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250)가 구비되는 베이스(200)와,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에 형성되며, 용접시료를 상기 용접공간(110) 내부에 상기 베이스(200)와 수평을 이루며 이격 고정시키는 고정부(300), 및 상기 빔 투입구(120)를 통해 상기 고정부(300)에 고정된 용접시료에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헤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에 상기 커버(100)가 씌워지며 밀착 결합됨으로써, 커버(100)의 내부에 비어있는 공간이 외부와 차단되어 용접공간(110)을 형성하고, 상기 용접공간(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기체를 상기 진공펌프(210)로 배출시킴으로써 용접공간(110)을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으며, 선택에 따라 용접공간(1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상기 가스 유입부(220)를 통해 용접공간(110)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유입시킴으로써, 용접공간(110) 내부를 불활성 가스가 채워진 공간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에 용접시료를 고정 시키는 고정부(30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 로드(2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회전척 몸체(310)와, 상기 회전척 몸체(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시료를 고정시키는 회전척(320), 및 상기 회전척 몸체(31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용접시료에 연결된 케이블을 고정 시키는 신호선 정리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용접시료가 상기 회전척(320)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척 몸체(310)가 용접시료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로드(230)를 따라 용접시료를 좌우 이동 시키며, 회전척(320)이 용접 시료를 회전운동 시킴으로써, 용접 시키고자 하는 용접시료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효율적인 용접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는, 상기 회전척(320)과 상기 회전척 몸체(310), 및 상기 신호선 정리부(330)의 축방향 중심에 상기 회전척(320)에 고정된 용접시료에 연결된 케이블이 통과하는 천공부가 형성되어, 회전척(320)에 고정된 용접시료에 연결된 케이블을 상기 신호선 정리부(330)의 타측에 원형을 이루며 복수개로 배치된 고정 그립(331)에 끼워 줌으로써 용접시료(계장핵연료봉, 조사리그)에서 케이블을 탈착시키지 않고 용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핵연료봉에 계장된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금속절연케이블(MI cable)의 경우 약 16m의 길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블이 부착된 상태에서 원활한 용접 작업이 어렵다.
따라서, 회전 운동을 하는 상기 회전척(320)의 축방향 중심과 상기 회전척 몸체(310), 및 상기 신호선 정리부(330)의 축방향 중심에 상기 천공부를 형성하여 상기 금속절연케이블을 정리 및 고정 시키는 것이다.
이때,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척(320)의 중심축에 형성된 천공부에 끼워진 용접시료를 고정 시키는 방법은, 상기 회전척(320)의 일측면에 원형을 이루며 복수의 압박부재(321)가 서로 마주보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척(320)에 끼워진 계장핵연료봉을 압박 고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며, 계장핵연료봉을 회전척(320)의 축방향 중심에 위치시켜, 용접 위치를 바꾸기 위하여 계장핵연료봉을 회전시킬 시 계장핵연료봉의 위치가 계획된 위치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 충분하므로 회전척의 좌우 방향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신호선 정리부(330)는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타측면에 케이블이 끼워지는 고정 그립(331)이 원형을 이루며 복수개로 배치되는 신호선 정리판(332)과 상기 신호선 정리판(332)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척 결합부(333)로 구분되며, 이때 상기 회전척 결합부(333)는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척 몸체(310)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척(320)과 결합되어 회전척(320)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함으로써, 회전척(320)의 회전운동 시 신호선 정리판(332)에 고정된 케이블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때, 상기 고정 그립(331)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신호선 정리판(332)에 부착될 수 있으나, 케이블의 두께와 직경에 따라 유동성 있게 신호선 정리판(332)과 결합되는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신호선 정리판(332)에 부착 가능한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권장한다.
아울러, 본 발명인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는 상기 커버(100)의 상측에 상기 용접공간(110)에 용접시료를 유입시키도록 용접공간(110)과 외부를 개폐하는 덮개(130)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상기 회전척(320)에 고정된 용접시료의 길이에 대응하여 용접공간(110)의 길이를 연장하는 확장부(140)가 형성되며, 덮개(130)와 확장부(140)는 용접시료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길이가 작은 용접시료의 경우 상기 덮개(130)를 개봉 후 상기 용접공간(110)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회전척(320)에 고정 시키고, 상기 덮개(130)를 통해 상기 용접공간(110)으로 유입이 어려운 길이를 가지는 용접시료의 경우 상기 커버(100)를 상기 베이스(200)와 분리시킨 상태에서 회전척(320)에 용접시료를 고정 후 커버(100)와 베이스(200)를 결합 시키며, 회전척(320)에 용접시료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커버(100)와 베이스(200)의 결합이 어려운 길이의 시료의 경우 커버(10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확장부(140)를 통해 용접시료를 유입시키고 덮개(130)를 통해 시야 확보를 하여 회전척(320)에 용접시료를 고정 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확장부(140)는 회전척(320)에 고정된 용접시료의 연장 방향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확장튜브 결합부(141)와, 상기 확장튜브 결합부(141)에 결합되어 상기 용접공간(110)의 길이를 연장하는 확장튜브 조립체(14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인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는 상기 회전척 몸체(310)가 상기 슬라이딩 로드(230)를 따라 상기 베이스(200)의 길이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여유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확장튜브 결합부(141)에 필요한 공간에 대응하도록 상기 확장튜브 조립체(142)를 연결하여 상기 용접공간(110)의 길이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용접시료의 길이에 맞춰 상기 커버(100)와 상기 베이스(200)를 제작 시 장치가 커지게 되어 불필요한 낭비가 생기며,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넓은 공간을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는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고자 용접시료의 길이에 맞춰, 상기 확장튜브 조립체(142)를 상기 확장튜브 결합부(141)에 결합시켜 상기 용접공간(110)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시킨 것이다.
아울러, 상기 확장튜브 조립체(142)는 복수의 단위체(142A)가 각각 결합되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되, 각각의 단위체(142A)가 각각 결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효율적인 용접공간(110)을 길이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때, 상기 단위체(142A)는 상기 커버(100)와 결합된 내측과 반대되는 외측 단부가 밀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도 5에 도시된 단위체(142A)는 단위체(142A)의 외측 단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단위체(142A)의 외측 단부의 내주면에 단위체(142A)의 길이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판을 넣은 상태에서 나비너트(142A-1)을 조여 외부와 용접공간(110)을 차단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커버(100)에 단위체(142A)가 결합되어 용접공간(110)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외부와 밀폐가 되면 충분하므로, 그 방법은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인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는 상기 확장부(140)에 상기 고정부(300)에 고정된 용접시료와 용접될 별도의 결합부재를 고정 시키는 심압대(150)와, 고정부(300)에 고정된 용접시료의 처짐을 방지하는 보강대(240)가 더 구비되어질 수 있다.
도 2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심압대(150)는 상기 확장부(14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어 용접시료와 결합될 별도의 결합부재를 압박하여 고정시켜 줌으로써, 용접공간(110) 내부에서 용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보강대(240)는 상기 슬라이딩 로드(23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딩 로드(230)를 따라 돌출 형성된 용접시료를 지지해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 커버 110 : 용접공간
120 : 빔 투입구 130 : 덮개
140 : 확장부 141 : 확장튜브 결합부
142 : 확장튜브 조립체 142A : 단위체
142A-1 : 나비너트
150 : 심압대
200 : 베이스 210 : 진공펌프
220 : 유입부 230 : 슬라이딩 로드
240 : 보강대
300 : 고정부 310 : 회전척 몸체
320 : 회전척 321 : 압박부재
330 : 신호선 정리부 331 : 고정 그립
332 : 신호선 정리판 333 : 회전척 결합부
331 : 고정 그립
400 : 레이저 헤드

Claims (8)

  1. 내부에 용접공간(110)이 형성되고, 하측이 개통되어 용접공간(110)과 외부가 연결되며, 상측에 외부에서 레이저가 상기 용접공간(110)으로 유입되는 빔 투입구(120)가 형성되는 커버(100);
    상기 커버(10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용접공간(110)을 외부와 차단시키며, 상기 용접공간(110)에 위치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 시키는 진공펌프(210) 및 상기 용접공간(110)에 불활성 가스를 유입 시키는 가스 유입부(220)가 구비되는 베이스(200);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에 형성되며, 용접시료를 상기 용접공간(110) 내부에 상기 베이스(200)와 수평을 이루며 이격 고정시키는 고정부(300); 및
    상기 빔 투입구(120)를 통해 상기 고정부(300)에 고정된 용접시료에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헤드(400);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200)는 상측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로드(23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슬라이딩 로드(2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회전척 몸체(310)와, 상기 회전척 몸체(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시료를 고정 시키는 회전척(320)으로 구분되며,
    상기 회전척 몸체(310)의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용접시료에 연결된 케이블이 고정되는 신호선 정리부(330)가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척(320)과 상기 회전척 몸체(310), 및 상기 신호선 정리부(330)의 축방향 중심에 상기 회전척(320)에 고정된 용접시료에 연결된 케이블이 통과하는 천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신호선 정리부(330)의 타측에 상기 천공부를 통과한 상기 케이블이 끼워지는 고정 그립(331)이 원형을 이루며 복수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0)는,
    상측에 상기 용접공간(110)에 상기 용접시료를 유입시키도록 상기 용접공간(110)과 외부를 개폐하는 덮개(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0)는,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상기 회전척(320)에 고정된 용접시료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용접공간(110)의 길이를 연장하는 확장부(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140)는,
    상기 커버(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확장튜브 결합부(141)와, 상기 확장튜브 결합부(141)에 결합되어 상기 용접공간(110)의 길이를 연장하는 확장튜브 조립체(142)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튜브 조립체(142)는 복수의 단위체(142A)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장치는,
    상기 커버(100)와 상기 확장튜브 결합부(141)의 연결부에 상기 용접시료와 용접되는 대상물체를 고정 시키는 심압대(1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0)는,
    상측에 상기 회전척(320)에 고정된 용접시료를 지지하는 보강대(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



KR1020150062577A 2015-05-04 2015-05-04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 KR101666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577A KR101666813B1 (ko) 2015-05-04 2015-05-04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577A KR101666813B1 (ko) 2015-05-04 2015-05-04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813B1 true KR101666813B1 (ko) 2016-10-19

Family

ID=5725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577A KR101666813B1 (ko) 2015-05-04 2015-05-04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8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715B1 (ko) * 2016-12-01 2018-05-24 한국원자력연구원 진공브레이징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104A (ja) 1995-07-17 1997-02-04 Takenaka Komuten Co Ltd 外部歩行用フラットバーグレーチング床
KR100207607B1 (ko) * 1996-12-04 1999-07-15 김성년 방사성 동위원소 조사용기의 밀봉캡 핀홀 용접장치 및 용접방법
JP2002045989A (ja) * 2000-08-04 2002-02-12 Olympus Optical Co Ltd 可撓性管の溶接接合装置
KR20040088764A (ko) * 2003-04-11 2004-10-20 한국원자력연구소 핵연료봉의 원격 레이저 용접방법 및 장치
KR20100052916A (ko) * 2008-11-11 2010-05-20 서인갑 다이아몬드 바이트 용접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104A (ja) 1995-07-17 1997-02-04 Takenaka Komuten Co Ltd 外部歩行用フラットバーグレーチング床
KR100207607B1 (ko) * 1996-12-04 1999-07-15 김성년 방사성 동위원소 조사용기의 밀봉캡 핀홀 용접장치 및 용접방법
JP2002045989A (ja) * 2000-08-04 2002-02-12 Olympus Optical Co Ltd 可撓性管の溶接接合装置
KR20040088764A (ko) * 2003-04-11 2004-10-20 한국원자력연구소 핵연료봉의 원격 레이저 용접방법 및 장치
KR20100052916A (ko) * 2008-11-11 2010-05-20 서인갑 다이아몬드 바이트 용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715B1 (ko) * 2016-12-01 2018-05-24 한국원자력연구원 진공브레이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54346A1 (ja) 電動弁
JP2016518905A5 (ko)
KR101666813B1 (ko) 계장핵연료봉 및 조사리그 레이저용접 챔버 장치
CN110315197A (zh) 用于搅拌摩擦焊的焊头
KR101836244B1 (ko) 클램프기구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CN113183058B (zh) 万能夹具
US3708098A (en) Assembly for plugging heat exchanger tubes
JP6829792B2 (ja) 不断流工法および装置
CN111220425A (zh) 一种密闭管道取气装置及其取气方法
JP3187642U (ja) クロマトグラフィ・カラム・アセンブリ、及び前記クロマトグラフィ・カラム・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JP5546266B2 (ja) ガス用分岐管の封止工具、気密試験方法、気密試験装置及び撤去方法
CN201208276Y (zh) 一次性管型吻合器整体式钉砧
RU2003134540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шарового крана между двумя трубами
CA2744869C (en) Maintenance device and method of making an access for maintenance
JP6524393B2 (ja) 穿孔機
JP5348779B2 (ja) 配管分岐部材の撤去方法及び装置
EP3052842B1 (en) A method for attaching an object to a valve housing
CN209439792U (zh) 一种修面倒角防渣复合夹头
KR20230028970A (ko) 차량용 체결 장치
JP2005291817A (ja) 微小試料挿入容器、微小試料装着治具、x線回折装置、微小試料挿入容器の形成方法、および微小試料装着方法
JP5221236B2 (ja) 石英製試料収容容器の製造方法及び石英製試料収容容器の製造装置
CN107430894B (zh) 核反应堆罩内表面修复方法,通过该方法获得的核反应堆罩
CN104295786B (zh) 电子膨胀阀
KR20140005242A (ko) 잔류 압력 밸브
CN108745796B (zh) 流体涂覆装置及其装卸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