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213B1 -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213B1
KR101666213B1 KR1020150067307A KR20150067307A KR101666213B1 KR 101666213 B1 KR101666213 B1 KR 101666213B1 KR 1020150067307 A KR1020150067307 A KR 1020150067307A KR 20150067307 A KR20150067307 A KR 20150067307A KR 101666213 B1 KR101666213 B1 KR 101666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terminal
circumferential surface
insulator
cente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콘텍
Priority to KR1020150067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1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specially adapted to a specific shape of cables, e.g. corrugated cables, twisted pair cables, cables with two screens or hollow cables
    • H01R24/564Corrugated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단자들과 연결되는 단자부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여 단자부가 파손될 경우 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동축케이블을 재활용 할수 있게 되어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며, 연결할 단자부와 규격이 다를 경우 적절한 단자부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이 연결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부에 구비되어 타측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자부는 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a changable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단자들과 연결되는 단자부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여 단자부가 파손될 경우 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동축케이블을 재활용 할수 있게 되어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며, 연결할 단자부와 규격이 다를 경우 적절한 단자부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동축케이블은 신호전달의 매개체인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를 감싸는 유전체, 상기 유전체를 감싸는 외부도체, 상기 외부도체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진 케이블로, 타 케이블에 비해 외부 전자기파에 의한 간섭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여러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축케이블의 내부도체는 속이 꽉 찬 원기둥 형태 또는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공이 형성되지 않은 형태의 내부도체는 동축케이블의 직경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 사용되고 중공이 형성된 형태의 내부도체는 동축케이블의 직경이 비교적 큰 경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동축케이블은 특정 목적을 위해 타 동축케이블과 연결된 타 커넥터, 계측기기, 구동기기, 제어기기등과 같은 장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동축케이블은 길이의 연장을 위해 타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고, 품질 검사를 위해 계측기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기기와 제어기기 간의 신호 전송을 위해 이들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동축케이블을 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경우, 동축케이블용 커넥터가 사용되는데,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중심도체의 유형에 따라 그 구성이 상이하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중심도체와 상기 장비의 신호 송/수신부(상기 장비가 타 동축케이블과 연결된 타 커넥터일 경우에는 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앙 접촉체와, 외부도체와 장비의 접지부(상기 장비가 타 동축케이블과 연결된 타 커넥터일 경우에는 타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우징과, 중앙 접촉체와 하우징 간을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적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면서 암수 한쌍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내부 유전체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기 위한 것으로서, 유무선통신 시스템의 각종 부품 등을 포함한 전기장치와의 연결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도와 성능 및 결합구조에 따라 N형, DIN형, TNC형, BNC형, SMA형, SMB 형, SMC형, 및 기타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이러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일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9688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중심부에 중앙도체(2a)가 구비된 동축케이블(2)과 통신 신호를 전달받는 케이블입력부(3)를 연결시키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2)의 단부에 구비되며, 일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커플러요입부(11)와, 상기 커플러요입부(11)의 외주연에 형성된 멈춤수단요입홈(12)으로 구성된 케이블하우징(10)과; 상기 케이블입력부(3)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측에 나사부(20a)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요입부(11)에 요입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는 커플러(20)와; 상기 커플러요입부(11)에 요입된 커플러(2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멈춤수단요입홈(12)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멈춤수단(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멈춤수단(30)은 상기 커플러요입부(11)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원판형의 멈춤수단몸체(31)와, 상기 멈춤수단몸체(31)의 외측면에 상기 커플러요입부(11)의 외주연에 접촉되며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수직으로 절곡된 다수개의 멈춤수단탄성편(32)과, 상기 멈춤수단탄성편(32)의 단부에 연장되며 상기 멈춤수단요입홈(12)에 요입되도록 절곡된 탄성편절곡부(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9688호에 기재된 기술은 동축케이블을 용이하게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조립할 수 있으며,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사용하여 다른 기기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이러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자주 착탈되기 때문에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쉽게 파손되게 되며, 그에 따라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연결된 동축케이블까지 모두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자원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부에 구비되어 다른 단자들과 연결되는 단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절연체의 전단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중심도체 연결핀의 후단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가 형성됨으로써, 단자부와 고정부가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장시간 사용에 의해 단자부가 손상될 경우 단자부만을 교체할 수 있어 자원낭비를 방지하게 되며, 연결하여야할 단자의 규격이 맞지 않을 경우 적절한 단자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단자부는 내부에 제2중심도체 연결핀과 제2절연체가 구비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외측에 구비되어 단자부와 나사결합되는 연결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캡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가 걸림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의 외주면 후단에는 오링이 삽입되는 제3수용홈이 형성되어, 오링의 착탈만으로 연결캡을 분리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에 의해 연결캡이 손상될 경우 연결캡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이 연결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부에 구비되어 타측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자부는 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후단에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동축케이블 연결부가 형성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내주면 전단에 구비되는 제1절연체와, 상기 제1절연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구비되는 제1중심도체 연결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절연체의 관통공의 전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중심도체 연결핀의 후단에는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부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2절연체와, 상기 제2절연체를 전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2중심도체 연결핀과, 상기 제2몸체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타측 단자에 연결되는 연결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중심도체 연결핀의 후단은 상기 제1절연체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제1중심도체 연결핀의 전단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중심도체 연결핀의 후단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의 외주면에는 결합링이 삽입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링이 삽입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캡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의 외주면 후단에는 오링이 삽입되는 제3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링은 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부에 구비되어 다른 단자들과 연결되는 단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절연체의 전단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중심도체 연결핀의 후단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가 형성됨으로써, 단자부와 고정부가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장시간 사용에 의해 단자부가 손상될 경우 단자부만을 교체할 수 있어 자원낭비를 방지하게 되며, 연결하여야할 단자의 규격이 맞지 않을 경우 적절한 단자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단자부는 내부에 제2중심도체 연결핀과 제2절연체가 구비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외측에 구비되어 단자부와 나사결합되는 연결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캡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가 걸림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의 외주면 후단에는 오링이 삽입되는 제3수용홈이 형성되어, 오링의 착탈만으로 연결캡을 분리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에 의해 연결캡이 손상될 경우 연결캡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동축케이블이 연결되는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의 전부에 구비되어 타측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단자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단자부(2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데, 연결하고자 하는 타측의 단자와 규격 또는 형태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적절한 단자로 교체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자부(200)는 타측 단자와 착탈되는 빈도가 높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경우 쉽게 파손되게 되는데, 종래에는 커넥터만을 교체할 수 없어 동축케이블과 커넥터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자원의 낭비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자부(200)만을 교체할 수 있어, 파손된 단자부(200)만을 교체하고 동축케이블은 재활용가능하므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00)는 후단에 동축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동축케이블 연결부(112)가 형성되는 제1몸체(110)와 상기 제1몸체(110)의 내주면 전단에 구비되는 제1절연체(120)와 상기 제1절연체(1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22)에 구비되는 제1중심도체 연결핀(1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중심도체 연결핀(130)은 제1절연체(120)에 형성된 관통공(122)의 후부에 위치하게 되며, 제1중심도체 연결핀(130)의 후단에는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가 삽입되는 삽입홈(132)이 형성된다.
그래서,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는 동축케이블 연결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는 제1중심도체 연결핀(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자부(200)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200)는 제2몸체(210)와 상기 제2몸체(21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2절연체(220)와 상기 제2절연체(220)를 전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2중심도체 연결핀(230)과 상기 제2몸체(210)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동축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타측 단자에 연결되는 연결캡(2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중심도체 연결핀(230)은 제2몸체(210)의 후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2중심도체 연결핀(230)의 후단은 상기 제1몸체(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절연체(120)의 관통공(122)에 삽입되어, 관통공(122)에 설치된 제1중심도체 연결핀(130)의 전단과 접하게 된다.
그래서,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는 상기 제1중심도체 연결핀(130)과 제2중심도체 연결핀(230)를 통하여 타측 단자로 전달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절연체(120)의 관통공(122)의 내주면 전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중심도체 연결핀(230)의 후단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에 대응되도록 수나사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단자부(200)는 나사결합으로 고정부(100)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단자부(200)를 고정부(100)에서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210)의 외측에는 연결캡(25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제2몸체(210)의 외주면에는 제1수용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캡(25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수용홈(212)에 대응되도록 제2수용홈(252)이 형성되어, 제1,2수용홈(212,252)에는 결합링(260)이 삽입되어 연결캡(250)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는 고정부(100)와 단자부(20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단자부(200)를 형성하는 제2몸체(210)의 외측에는 연결캡(25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2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캡(25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254)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214)이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210)의 후단 외주면에는 제3수용홈(216)이 형성되어 오링(240)이 삽입된다.
그래서, 상기 연결캡(250)은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254)가 제2몸체(210)의 걸림턱(214)에 걸림 지지되고, 후단은 상기 오링(240)에 의해 지지되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오링(240)은 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져 착탈이 가능하여 오링(240)을 분리하게 되면 상기 연결캡(250) 역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장시간 사용에 의해 상기 연결캡(250)이 마모되거나 손상될 경우 단자부(20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연결캡(250)만 교체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단자부(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N 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N형 뿐만 아니라 DIN형, TNC형, BNC형, SMA형, SMB 형, SMC형, 및 기타 다양한 종류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단자들과 연결되는 단자부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여 단자부가 파손될 경우 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동축케이블을 재활용 할수 있게 되어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며, 연결할 단자부와 규격이 다를 경우 적절한 단자부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100 : 고정부 110 : 제1몸체
112 : 동축케이블 연결부 120 : 제1절연체
122 : 관통공 130 : 제1중심도체 연결핀
132 : 삽입홈 200 : 단자부
210 : 제2몸체 212 : 제1수용홈
214 : 걸림턱 216 : 제3수용홈
220 : 제2절연체 230 : 제2중심도체 연결핀
240 : 오링 250 : 연결캡
252 : 제2수용공 254 : 단턱부
260 : 결합링

Claims (10)

  1. 동축케이블이 연결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부에 구비되어 타측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자부는 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는 후단에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동축케이블 연결부가 형성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내주면 전단에 구비되는 제1절연체와, 상기 제1절연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구비되는 제1중심도체 연결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자부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2절연체와, 상기 제2절연체를 전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2중심도체 연결핀과, 상기 제2몸체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타측 단자에 연결되는 연결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중심도체 연결핀의 후단은 상기 제1절연체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제1중심도체 연결핀의 전단과 접하며,
    상기 제1절연체의 관통공의 전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중심도체 연결핀의 후단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심도체 연결핀의 후단에는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외주면에는 결합링이 삽입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링이 삽입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캡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의 외주면 후단에는 오링이 삽입되는 제3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
KR1020150067307A 2015-05-14 2015-05-14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 KR101666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307A KR101666213B1 (ko) 2015-05-14 2015-05-14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307A KR101666213B1 (ko) 2015-05-14 2015-05-14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213B1 true KR101666213B1 (ko) 2016-11-04

Family

ID=57530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307A KR101666213B1 (ko) 2015-05-14 2015-05-14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2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9837A (ja) * 1991-12-10 1993-06-25 Nakajima Tsushinki Kogyo Kk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H0817522A (ja) * 1994-06-28 1996-01-19 Nec Eng Ltd 同軸コネクタおよびその組立体
KR20050056748A (ko) * 2003-12-10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 심선에 나사홈이 형성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200469688Y1 (ko) * 2012-04-24 2013-11-01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조립성이 향상된 멈춤수단이 구비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9837A (ja) * 1991-12-10 1993-06-25 Nakajima Tsushinki Kogyo Kk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H0817522A (ja) * 1994-06-28 1996-01-19 Nec Eng Ltd 同軸コネクタおよびその組立体
KR20050056748A (ko) * 2003-12-10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 심선에 나사홈이 형성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200469688Y1 (ko) * 2012-04-24 2013-11-01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조립성이 향상된 멈춤수단이 구비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6484B1 (en) Coax-to-power adapter
US7021964B1 (en) RJ “F”, modular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US8792759B2 (en) Gigabit wet mate active cable
US7922529B1 (en) High mating cycle low insertion force coaxial connector
US7442080B1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segmented center contact member
US20110130048A1 (en) Plug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set
US8702456B1 (en) Coaxial cable adaptor
US10181687B1 (en) Connector module
US10777943B2 (en) Connector with a conductive shield having a C-shaped ring
JP5727003B2 (ja) 無線受信機のためのアンテナインタフェース
US4333697A (en) Adapter for a coaxial connector
US20140011384A1 (en) Power adaptor
KR100808875B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 연결체
KR102123717B1 (ko) 동축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JP2021507492A (ja) 高周波検査用コネクタ装置、高周波検査システム、およびこれらの使用
US4076367A (en) Solderless connector
KR200386133Y1 (ko)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US5044990A (en) RF coaxial connector
EP2973871B1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GB588110A (en) Improved bayonet fitting, particularly for a miniature plug and socket coupling for coaxial cables
KR101666213B1 (ko)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
CN102856717B (zh) 一种具有真空密封功能的射频同轴连接器
CN205790798U (zh) 一种圆形混装连接器插座
KR101630684B1 (ko) 강제 압착방식의 알에프 동축 커넥터
EP3474389B1 (en) Female connector for use with different male coaxial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