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514B1 -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및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및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514B1
KR101665514B1 KR1020150159936A KR20150159936A KR101665514B1 KR 101665514 B1 KR101665514 B1 KR 101665514B1 KR 1020150159936 A KR1020150159936 A KR 1020150159936A KR 20150159936 A KR20150159936 A KR 20150159936A KR 101665514 B1 KR101665514 B1 KR 101665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collecting
water
hinterland
collec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상
이치형
김민
이정운
Original Assignee
(주)인텔리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텔리지오 filed Critical (주)인텔리지오
Priority to KR1020150159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20Measuring flow in sewer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방사형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및 운영방법이 개시된다. 유량제어시스템은 는 소정 깊이만큼 지하로 삽입설치되는 집수정; 집수정에 취수되는 배후지의 지하수 또는 하천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배후지에 설치된 복수 개의 관측공; 집수정의 측면 벽 하부에 집수정의 외부를 향하여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집수관; 복수의 수평집수관 각각에 구비된 수평집수관 밸브; 집수정과 수평집수관의 유량을 측정하는 복수 개의 유량계; 배후지 지하수위를 관측하는 수위계; 수평집수관 밸브의 개방량을 결정하고, 이를 조절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및 운영방법{WATER FLOW CONTROL SYSTEM FOR HORIZONTAL COLLECTOR WELL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반침하 또는 민원 발생 시 방사형 집수정의 가동을 중단하거나 취수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목표한 양을 연속적으로 취수할 수 있는 유량제어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반침하 또는 민원에 대비하여 배후지의 지하수위 하강에 대한 한계를 설정하고, 취수시설 운영 시 관측공에서 측정된 배후지 지하수위가 한계수위를 초과하면 집수정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수평집수관 중 그 원인이 되는 수평집수관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집수정의 목표취수량은 유지하고 영향범위를 조절하는 유량제어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수(地下水: groundwater)는 지하의 지층이나 암석 사이의 빈틈을 채우거나 흐르는 물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산업의 발달과 인구 증가로 인해 용수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홍수, 돌발적인 수질사고로부터 안정적인 취수원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취수원 다변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사업으로 대형 지하수 개발이 급속도로 진행 중에 있다.
지하수 개발에서 대량의 취수를 목적으로 시공되는 방사형 집수정은 집수정의 몸체인 우물통을 주대수층 구간까지 설치를 한 후, 주대수층 구간에서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수평집수관을 방사형으로 설치하여 복수의 수평집수관 각각으로부터 집수정 내부로 지하수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수평집수관 각각의 길이는 대략 30m 에서 80m 사이이며, 대수층에 존재하는 지하수는 수두 차이 및 압력 차이에 따라 수평집수관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고 이들이 모여 집수정을 채우게 된다.
이러한 방사형집수정의 취수를 관리하는 종래의 시스템은 집수관별 유량을 측정하고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따로 설치되지 있지 않아, 집수정 취수 시 지하수위강하에 의해 지반침하와 같은 배후지의 영향이 발생하거나, 사용하던 관정의 취수량이 감소하는 등 민원이 발생할 경우, 집수정의 전체 목표취수량을 감소하거나 취수를 중지해야 한다.
이로 인해 정수장으로 보내는 취수량이 감소하여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및 발전용수 생산에 차질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방사형 집수정 내 수평집수관별 유량측정 및 조절장치를 설치하지 않았던 이유는 정확한 집수관별 유량 측정을 위해서 유량계 전후로 관직경의 2배 내지 3배의 길이를 즉 확보하여야만 하는데, 집수정 내부방향으로 0.6m 이상의 수평집수관이 방사형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실제로 1.2m 이상의 공간이 집수정에서 줄어들게 되고 향후 펌프 및 취수배관을 설치하고 유지관리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해져 설치할 수 없었다.
또한, 유량은 배후지의 지하수위 강하영향에 따라 결정되므로 배후지 지하수위 관측장치와 수평집수관별 유량조절장치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계된 시스템이 필요한데 아직 이에 대한 선행기술이 개발되지 않아 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63752호(2000.11.06.공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은 배후지 지하수위가 지반침하 또는 민원에 대비하기 위해 설정한 한계수위 초과 시, 집수정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수평집수관 중 그 원인이 되는 수평집수관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집수정의 목표취수량 감소를 방지하는 것이 하나의 목적이다.
또한, 수평집수관별 유랑계 설치에 의해 집수정 내부공간이 협소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배후지 지하수위 관측장치와 수평집수관별 유량조절장치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계되어 수평집수관별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량제어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 깊이만큼 지하로 삽입설치되는 집수정과, 집수정에 취수되는 배후지의 지하수 또는 하천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배후지에 설치된 복수 개의 관측공과, 집수정의 측면 벽 하부에 집수정의 외부를 향하여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집수관과, 집수정과 수평집수관의 유량을 측정하는 복수 개의 유량계와, 배후지 지하수위를 관측하는 수위계와, 복수 개의 수평집수관 각각에 구비된 수평집수관 밸브와, 수평집수관 밸브의 개방량을 결정하고, 이를 조절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후지 지하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배후지에 설치된 관측공과, 배후지의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취수하는 복수 개의 수평집수관이 연결된 방사형집수정과, 수평집수관에 구비된 밸브의 개방량을 결정하여 이를 조절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한 방사형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시운전 시작 단계, (b) 유량계가 집수정 및 수평집수관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c) 운영서버가 유량계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집수정 목표취수량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수위계가 배후지 지하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e) 운영서버가 수위계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배후지의 한계수위 초과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f) 시운전 종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및 운영방법은 배후지 지하수위가 한계수위 초과일 경우, 취수시설의 가동을 중단하거나 취수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그 원인이 되는 수평집수관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목표한 양을 취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량계 설치를 위해 수평집수관에 수직배관을 연결함으로써, 집수정 내부공간이 협소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집수정 내부구성의 설치 및 유지관리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집수정과 배후지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운영서버가 수위계와 유량계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수평집수관 밸브의 개방량을 조절함으로써,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의 운영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형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의 계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수정의 계략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형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운영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평상 시, 도 1에 도시된 집수정 및 수평집수관의 유량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취수시설 운영에 따라 배후지 지하수위가 영향이 있을 경우 취수시설의 기존 운영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배후지 지하수위가 한계수위 초과 시, 도 1에 도시된 집수정 및 수평집수관의 유량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내용 중, ‘배후지’는 교외 농경지를 뜻한다.
그리고 ‘목표취수량’은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및 발전용수 등과 같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으로, 정수장으로 보내기 위한 집수정의 일일기준 유량을 뜻한다.
그리고 ‘운영수위’는 목표취수량에 대응되는 집수정 내부수위를 뜻하며, ‘한계수위’는 지반침하가능성 또는 배후지 인근 주거주민으로부터 민원이 발생할 수 있는 배후지 지하수위의 기준을 뜻한다.
그리고 ‘시운전’은 방사형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일정기간을 두고 목표취수량을 취수하며, 배후지 지하수위변동을 관측하고,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의 작동상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뜻하며, 기간은 3~4개월이 적합하고, 배후지조건에 따라 그 기간의 증감이 가능하다.
그리고,‘최적운영데이터’란, 시운전 동안 배후지 지하수위변동을 관측하여, 배후지 지하수위가 한계수위 이내를 유지하며 목표취수량을 집수할 수 있는 수평집수관의 유량을 분석한 결과값을 뜻한다.
수평집수관을 완전 개방하여 방사형 집수정을 운영할 경우 인접한 수평집수관끼리 간섭을 받으며, 이때 수평집수관의 취수량은 간섭효과로 인해 개별 취수할 때 보다 감소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사형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의 계략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수정(110)의 계략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사형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운영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평상 시, 도 1에 도시된 집수정(110) 및 수평집수관(130)의 유량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설 운영에 따라 배후지 지하수위가 영향이 있을 경우 취수시설의 기존 운영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계수위 초과 시, 도 1에 도시된 집수정(110) 및 수평집수관(130)의 유량을 나타낸 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은 집수정(110), 관측공(120), 수평집수관(130), 운영서버(140)를 포함한다.
집수정(110)은 소정 깊이만큼 지하로 삽입설치되어 있으며, 관측공(120)은 배후지에 복수 개 설치되며, 관측공(120)에 설치된 수위계(미도시)가 배후지 지하수위를 측정한다.
수평집수관(130)은 집수정(110)의 측면 벽 하부에 집수정(110)의 외부를 향하여 방사형으로 복수 개 설치되어 있으며, 수평집수관(130) 각각에 밸브(131)가 구비되어 있다.
수평집수관(130) 단부에는 수직배관(132)이 절곡연결되며 집수정(110) 저면방향으로 집수정(110) 내부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집수정(110) 내부 저면에는 취수펌프(1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취수배관(112)을 통해 집수정(110)에 취수된 지하수를 펌핑하여 원격에 위치한 정수장으로 이송시킨다.
유량계(150)는 집수정 유량계(151)와 수평집수관 유량계(152)로 구성되며, 집수정 유량계(151)는 취수배관(112)에 설치되며, 수평집수관 유량계(152)는 수직배관(132)에 설치된다.
유량계(150)는 측정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유량계(150) 양측에 일정부분 직관부를 확보해야 되며, 수직배관(132)에 수평집수관 유량계(152)가 설치됨으로써 수평집수관(130) 단부가 집수정(110) 내부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것을 막고, 집수정(110) 내부 유지보수공간이 협소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집수정(110)에는 수평집수관 밸브(131)의 개방량과 취수펌프(111)의 가동을 조절하는 제어부(141)와, 유량계(150)의 측정값을 운영서버(140)에 전달하고 운영서버(140)의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41)에 전달하는 통신부(142)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관측공(120)에도 통신부(142)가 설치되어 수위계의 측정값을 운영서버(140)에 전달한다.
즉, 운영서버(140)는 집수정(110)과 관측공(12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집수정(110)의 목표취수량값과 배후지 한계수위값 및 시운전기간이 기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유량계(150)와 수위계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수평집수관 밸브(131) 개방량을 결정하고, 이를 조절한다.
여기서, 운영서버(140)는 복수 개의 수평집수관 밸브(131)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량을 결정하여 조절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한계수위값과 배후지 지하수위 측정값을 상호분석하여 수평집수관 밸브(131) 개방량을 결정하고, 이를 조절한다.
운영서버(140)는 유량계(150)의 측정값이 목표취수량 초과이거나 미만일 경우 시, 취수펌프(111)의 가동율을 조절하여 집수정(110)의 운영수위를 조절한다.
이는 방사형 집수정(110)과 연계된 정수장은 처리 가능한 용량의 한계가 있고 유량에 따라 정수처리를 위해 투입되는 약품의 양이 달라지므로 효율적인 운영과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취수량 조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운영서버(140)는 배후지 지하수위 측정값이 한계수위 초과일 경우, 그 원인이 되는 수평집수관(130)을 선별하고, 선별된 수평집수관 밸브(131)의 개방량을 줄이고, 선별된 수평집수관(130)을 제외한 나머지 수평집수관(130)의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목표취수량의 감소를 방지한다.
즉, 선별된 수평집수관(130)의 유량이 80%에서 60%으로 감소될 경우, 감소된 20%의 유량만큼 나머지 수평집수관(130)으로부터 취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한계수위 이하 시, 집수정(110) 및 수평집수관(130)의 유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공 2가 설치된 배후지의 수위강하가 5m 로서 한계수위를 초과하면, 기존의 운영방법은 도 5와 같이 전체 수평집수관의 밸브개방량을 줄여 목표취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배후지의 수위강하를 한계수위 이내로 조절하였다.
기존과 같이 취수량을 감소시킬 경우, 용수공급에 문제가 있으므로, 도 6과 같이 운영서버(140)가 수위강하의 원인이 된다고 판단된 수평집수관 #1, #2, #8의 밸브 개방량을 줄여 영향범위를 조절한다.
여기서, 수위강하의 원인은 수평집수관(130) 취수량과 관측공(120)의 수위 측정을 통해 상호관계 분석이 가능하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집수관 #1, #2, #8의 유량은 각각 200톤/일씩 감소되었으며, 나머지 수평집수관 #3, #4, #5, #6, #7의 유량은 600톤/일만큼 증가되었다.
따라서, 관측공 2가 설치된 배후지의 수위강하가 2.5m로 감소되었으며, 목표취수량은 변화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운영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방사형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은 유량제어시스템의 최적운영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시운전을 진행하고(S110), 운영서버(140)가 전체 수평집수관 밸브(131)를 개방한다.(S120)
그리고 유량계(150)가 집수정(110) 및 수평집수관(130)의 유량을 측정하며(S130), 운영서버(140)가 유량계(150)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목표취수량에 도달했는지 판단한다.(S140)
여기서, 유량계(150)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목표취수량을 초과하거나 미만일 경우, 운영서버(140)가 취수펌프(111)의 가동율을 조절하여 운영수위를 변경함으로써 취수량을 조절한다.(S141)
이는 방사형 집수정(110)과 연계된 정수장은 처리 가능한 용량의 한계가 있고 유량에 따라 정수처리를 위해 투입되는 약품의 양이 달라지므로 효율적인 운영과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취수량 조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유량계(150)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목표취수량에 도달하면 수위계가 배후지 지하수위를 측정한다.(S150)
운영서버(140)가 수위계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한계수위 이내인지 판단한다.(S160)
여기서, 수위계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한계수위를 초과할 경우, 운영서버(140)가 원인이 되는 수평집수관(130)을 선별하고, 선별된 수평집수관 밸브(131)의 개방량을 줄인다.(S161)
수위계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한계수위 이내인 경우, 시운전 종료여부를 판단한다.(S170)
시운전이 종료되면 운영서버(140)가 방사형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의 최적운영데이터를 도출하고(S180), 이를 운영자의 모니터 또는 단말기에 도시한다.
이와 같이, 상술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방사형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및 운영방법은, 배후지 지하수위가 한계수위 초과 시, 그 원인이 되는 수평집수관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집수정의 목표취수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량계 설치를 위해 수평집수관에 수직배관을 연결함으로써, 집수정 내부공간이 협소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집수정 내부구성의 설치 및 유지관리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집수정과 배후지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운영서버가 수위계와 유량계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수평집수관 밸브의 개방량을 조절함으로써,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의 운영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집수정
120 : 관측공
130 : 수평집수관
140 : 운영서버
150 : 유량계

Claims (12)

  1. 소정 깊이만큼 지하로 삽입설치되는 집수정;
    상기 집수정에 취수되는 배후지의 지하수 또는 하천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배후지에 설치된 복수 개의 관측공;
    상기 집수정의 측면 벽 하부에 상기 집수정의 외부를 향하여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집수관;
    상기 집수정과 상기 수평집수관의 유량을 측정하는 복수 개의 유량계;
    상기 배후지 지하수위를 관측하는 수위계;
    상기 복수 개의 수평집수관 각각에 구비된 수평집수관 밸브; 및
    상기 수평집수관 밸브의 개방량을 결정하고, 이를 조절하는 운영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배후지의 지하수위 측정값이 기설정된 상기 배후지의 한계수위값 초과일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원인이 되는 상기 수평집수관을 선별하고, 선별된 상기 수평집수관에 구비된 상기 수평집수관 밸브의 개방량을 줄이고, 상기 복수 개의 수평집수관 중 선별된 상기 수평집수관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수평집수관의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목표취수량의 감소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수평집수관 밸브 각각 개별적으로 개방량을 결정하고, 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배후지의 지하수위 측정값과 기설정된 상기 배후지의 한계수위값을 상호분석하여 상기 수평집수관 밸브 개방량을 결정하고, 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유량계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상기 집수정의 목표취수량 초과 또는 미만일 경우, 상기 집수정의 운영수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집수관 단부에 절곡연결되고, 상기 집수정 저면방향으로 상기 집수정 내부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집수관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는 상기 수직배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7. 배후지 지하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배후지에 설치된 관측공과, 상기 배후지의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취수하는 복수 개의 수평집수관이 연결된 방사형집수정과, 상기 수평집수관에 구비된 밸브의 개방량을 결정하여 이를 조절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한 방사형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시운전 시작 단계;
    (b) 유량계가 상기 집수정 및 상기 수평집수관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유량계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상기 집수정의 목표취수량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수위계가 상기 배후지의 지하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e)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수위계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상기 배후지의 한계수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f) 시운전 종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배후지의 지하수위 측정값이 기설정된 상기 배후지의 한계수위값 초과일 경우,
    상기 운영서버가 원인이 되는 상기 수평집수관을 선별하고, 선별된 상기 수평집수관에 구비된 상기 수평집수관 밸브의 개방량을 줄이고, 상기 복수 개의 수평집수관 중 선별된 상기 수평집수관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수평집수관의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목표취수량의 감소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운영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g) 상기 운영서버가 시운전 동안, 상기 배후지의 한계수위를 유지하며 목표취수량을 집수할 수 있는 상기 수평집수관 유량의 분석값인 최적운영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운영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수평집수관 밸브 각각의 개별적인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운영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배후지의 지하수위 측정값과 기설정된 상기 배후지의 한계수위값을 상호분석하여 상기 수평집수관 밸브 개방량을 결정하고, 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운영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유량계의 측정값이 상기 운영서버에 기설정된 상기 집수정의 목표취수량 초과 또는 미만일 경우,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집수정의 운영수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운영방법.
  12. 삭제
KR1020150159936A 2015-11-13 2015-11-13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66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936A KR101665514B1 (ko) 2015-11-13 2015-11-13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및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936A KR101665514B1 (ko) 2015-11-13 2015-11-13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및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514B1 true KR101665514B1 (ko) 2016-10-14

Family

ID=5715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936A KR101665514B1 (ko) 2015-11-13 2015-11-13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및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5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068B1 (ko) * 2017-10-24 2018-04-09 ㈜인텔리지오 더블 t자형 연결관을 이용한 수평집수관 유량계측 및 유지관리를 위한 배관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9797703A (zh) * 2019-03-25 2019-05-24 浙江省水利河口研究院 一种用于汊道水流模型的快速分流供水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4113A (en) * 1978-05-24 1979-12-05 Kajima Corp Automatic controller of underground waterrlevel
KR20000063752A (ko) 2000-08-02 2000-11-06 정지은 하저압입식 상수원 집수정
JP2001289691A (ja) * 2000-04-07 2001-10-19 Takenaka Komuten Co Ltd 広域地下水管理システム
KR101160678B1 (ko) * 2012-02-15 2012-06-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수 취수정 막힘 수류 회복 시설 및 방법
KR101555029B1 (ko) * 2015-04-20 2015-09-23 (주)인텔리지오 방사형집수정 수평집수관의 순환식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4113A (en) * 1978-05-24 1979-12-05 Kajima Corp Automatic controller of underground waterrlevel
JP2001289691A (ja) * 2000-04-07 2001-10-19 Takenaka Komuten Co Ltd 広域地下水管理システム
KR20000063752A (ko) 2000-08-02 2000-11-06 정지은 하저압입식 상수원 집수정
KR101160678B1 (ko) * 2012-02-15 2012-06-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수 취수정 막힘 수류 회복 시설 및 방법
KR101555029B1 (ko) * 2015-04-20 2015-09-23 (주)인텔리지오 방사형집수정 수평집수관의 순환식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068B1 (ko) * 2017-10-24 2018-04-09 ㈜인텔리지오 더블 t자형 연결관을 이용한 수평집수관 유량계측 및 유지관리를 위한 배관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9797703A (zh) * 2019-03-25 2019-05-24 浙江省水利河口研究院 一种用于汊道水流模型的快速分流供水装置
CN109797703B (zh) * 2019-03-25 2023-09-12 浙江省水利河口研究院 一种用于汊道水流模型的快速分流供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8270B2 (en) Well testing and monitoring
KR101665514B1 (ko) 방사형 집수정 유량제어시스템 및 운영방법
CN104897877B (zh) 模拟承压水地层的室内回灌模型试验系统及其控制方法
CN102455200A (zh) 农田或坡地径流水流量监测装置
RU2637245C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одачи ингибитора гидратообразования в шлейфы газового промысла
CN104865372B (zh) 模拟承压水地层的室内回灌模型试验系统的试验方法
CN102680029B (zh) 一种承压非完整井或井群动态降水过程中排水量及排水时间的计算方法
CN102680027B (zh) 一种承压完整井或井群动态降水过程中排水量及排水时间的计算方法
JP6447046B2 (ja) 地下水の揚注水管理システム及び地下水の揚注水工法
JP3950893B2 (ja) 多区間水質連続モニタリング装置
KR101555029B1 (ko) 방사형집수정 수평집수관의 순환식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N112965538A (zh) 一种基于动态抗突涌的基坑降水控制系统
CN112343648A (zh) 煤矿瓦斯抽采泵节能稳定运行调控系统及其控制方法
CN103526769A (zh) 谷肩堆积体边坡智能排水系统及排水方法
CN102778260A (zh) 一种潜水完整井或井群动态降水过程中排水量及排水时间的计算方法
CN210466169U (zh) 一种回灌自动化控制装置
CN110593831A (zh) 一种油田注水系统泄漏监控装置和方法
CN104198749B (zh) 一种供在线分析仪表在线实时检测的取样管路的安装方法
KR20140010623A (ko) 상수 관망 내 자동 압력 제어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847068B1 (ko) 더블 t자형 연결관을 이용한 수평집수관 유량계측 및 유지관리를 위한 배관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6588831B2 (ja) ヒータ運転管理方法
CN210798938U (zh) 一种油田注水系统泄漏监控装置
CN211874461U (zh) 一种常规双管分注地面流量数字式控制系统
CN211178570U (zh) 水井抽水试验自动监测记录装置
CN102797260A (zh) 降水井流量调节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