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377B1 -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377B1
KR101665377B1 KR1020150135173A KR20150135173A KR101665377B1 KR 101665377 B1 KR101665377 B1 KR 101665377B1 KR 1020150135173 A KR1020150135173 A KR 1020150135173A KR 20150135173 A KR20150135173 A KR 20150135173A KR 101665377 B1 KR101665377 B1 KR 101665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isocyanate
glycol
foam
group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광
문형록
Original Assignee
문형록
박세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형록, 박세광 filed Critical 문형록
Priority to KR1020150135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3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11Polyalk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6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polymers, e.g. maleic anhydrid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82Polyurethanes; Polyisocyan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05Soil-conditioning by mixing with fibrous materials, filaments, open mesh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oi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올 화합물, 디올계 사슬연장제, 촉매,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제; 및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로 이루어진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에 함유된 수분의 영향을 받지 않아 발포체의 수축이 발생하지 않고, 빗물 등의 유입으로 인한 발포체의 침식을 예방하여 안정된 형태로 토양 내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반보강용 폴리우레탄계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Expandable composition for reinforcing foundation and method for reinforcing found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계 발포 조성물로부터 발포체를 형성함으로써, 이를 침하된 지반의 보강용으로 시공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용 토지의 제한으로 다양한 지반위에 공장, 상업용 건물, 주택 등의 건축구조물, 또는 도로, 터널, 교가, 철도, 항만, 공항 등의 토목구조물이 전국에 걸쳐 건설되고 있다. 그러나 기초지반의 침하 또는 인접한 신축구조물의 영향, 부실한 시공 등의 다양한 이유 때문에 이러한 구조물에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연약한 지반대에서 공장을 신축한 이후에 공장용수로써 지하수를 대량으로 퍼 올리거나, 인근의 지하터널의 개발에 따른 대량의 용수, 해역 매립지나 대규모 간척 조성지에 있어서 토양의 다짐 부족 등에 의해 광범위한 기초지반의 침수가 여러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건축구조물이 구축되어 있는 지역 일대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건물이 기울어지거나 도로의 단차 발생에 의해 차량의 주행에 악영향을 주는 등의 안전문제도 야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초지반을 보강하거나 침하된 지반을 보수하는 시공 작업이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지반의 고결화, 지반의 지지력 증가, 투수성 감소, 지반과 구조물과의 일체화 등을 목적으로 기초지반이나 구조물 주변 및 구조물 자체 내부로 각종 시멘트, 모르타르, 약제 등의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그라우팅(grouting) 시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침하가 발생된 지반 하부로 주입관을 주입한 후, 이 주입관을 통해 폴리우레탄 폼의 원료인 폴리올/폴리에테르 및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MDI)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팽창 가능한 물질을 주입하여 지반을 보강하고 복원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이와 관련하여 우레탄 발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복원방법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그러나 상기 방법은 지하부에 주입된 폴리우레탄 폼 원료가 지하에서 반응 과정을 거치게 되는바, 지하층의 토양 재질, 수분 함유량 등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폴리우레탄 폼 원료의 반응속도 및 발포 비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요구되는 지반의 상승 및 보강, 일정한 수준 이상의 강도, 시공 이후의 장기간의 안정성을 확보한 폴리우레탄 폼을 시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는 폴리올(주제)은 물과 상용성이 좋기 때문에, 지하토양에 함유된 수분과 쉽게 혼화되어 전체 반응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폴리올이 지하수에 의해 주입과 동시에 많은 양이 유실되어 우레탄 반응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음으로써 보강공사 자체가 무산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지반보강 시공용 발포체 개발을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폴리우레탄계 발포 조성물에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첨가하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내부열로 인하여 발포되는 셀구조 내부에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용융결합됨으로써 수분의 영향을 덜 받게 되므로 고성능의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이용하여 원활한 지반보강 시공을 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37764호
특허문헌 2. 유럽공개특허공보 EP1536069 A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반에 함유된 수분의 영향을 받지 않아 발포체의 수축이 발생하지 않고, 빗물 등의 유입으로 인한 발포체의 침식을 예방하여 안정된 형태로 토양 내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반보강용 폴리우레탄계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올 화합물, 디올계 사슬연장제, 촉매,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제; 및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로 이루어진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텔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폴리노보넨, 폴리디사이클로펜타디엔, 폴리(1,4-부타디엔)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직경이 0.01~100 ㎛인 분말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직경이 0.01~10 ㎛, 길이가 1~100,000 ㎛인 섬유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발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폴리(트리메틸렌 에테르)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글리콜 및 폴리(트리메틸렌-co-에틸렌 에테르)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올계 사슬연장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메틸펜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헥실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메틸올 프로판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촉매는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부탄디아민, N-메틸디사이클로헥실아민, N,N-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N-메틸모르폴린, 옥틸산 제1주석, 디-n-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디-n-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및 디-n-부틸주석디옥토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제는 물, 부탄, 펜탄, 헥산, 헵탄, 메틸렌클로라이드,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 1,1,1,3,3-펜타플로오로부탄,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1-클로로-1,1-디플루오로에탄 및 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머,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틸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4-(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탄,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릭 메틸렌 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란스-1,4-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1,3-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오시아네이트, 디메틸 디이소시아네이트, 1,1,6,6,-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로-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페닐 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충전제, 염료, 안료, 난연제, 가수분해 억제제, 정전기 방지제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지반 하부로 주입관을 주입하는 단계; II) 상기 주입관을 통하여 발포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발포 조성물이 지반 하부에서 반응하여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반보강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에 함유된 수분의 영향을 받지 않아 발포체의 수축이 발생하지 않고, 빗물 등의 유입으로 인한 발포체의 침식을 예방하여 안정된 형태로 토양 내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반보강용 폴리우레탄계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에 대하여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올 화합물, 디올계 사슬연장제, 촉매,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제; 및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로 이루어진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을 제공한다.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가열하면 연화하여 가소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냉각하면 고화되기 때문에, 폴리올 화합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형성될 때 발생하는 내부의 고열에 의해 셀을 이루는 폴리우레탄 고분자 사슬들 사이에서 물리적으로 얽히게 되어(entangled) 구조보강 및 치수성능을 개선함으로써 종래 폴리우레탄계 발포 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한 구조성능과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텔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폴리노보넨, 폴리디사이클로펜타디엔, 폴리(1,4-부타디엔)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직경이 0.01~100 ㎛인 분말상의 것, 또는 직경이 0.01~10 ㎛, 길이가 1~100,000 ㎛인 섬유상의 것이 폴리우레탄 고분자 사슬사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발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량이 발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이면 폴리우레탄 고분자 사슬사이에 물리적으로 얽히는 정도가 미미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그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폴리우레탄의 발포 성능이 떨어져 지반보강에 적용하기 쉽지 않다.
또한,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반응물로서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테르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유동성이 좋은 폴리에테르폴리올을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폴리올 화합물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폴리(트리메틸렌 에테르)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글리콜 및 폴리(트리메틸렌-co-에틸렌 에테르)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형성하는 성분으로서 디올계 사슬연장제를 사용함으로써 분자간 결합을 더욱 강하게 하는바, 상기 디올계 사슬연장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메틸펜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헥실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메틸올 프로판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반응성이 높은 에틸렌글리콜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결합이 생성되는 반응촉진제의 역할을 수행하는 촉매로서 아민계 화합물 또는 유기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바, 아민계 촉매로서는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부탄디아민, N-메틸디사이클로헥실아민, N,N-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또는 N-메틸모르폴린을, 유기금속화합물계 촉매로서는 옥틸산 제1주석, 디-n-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디-n-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및 디-n-부틸주석디옥토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로부터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발포 조성물에 발포체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바, 상기 발포제로서는 물, 부탄, 펜탄, 헥산, 헵탄, 메틸렌클로라이드,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 1,1,1,3,3-펜타플로오로부탄,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1-클로로-1,1-디플루오로에탄 및 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사용하며, 취급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은 상술한 주제 이외에 폴리올 화합물과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반응물로서 경화제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바,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서는 공지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머,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틸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4-(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탄,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릭 메틸렌 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란스-1,4-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1,3-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오시아네이트, 디메틸 디이소시아네이트, 1,1,6,6,-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로-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페닐 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충전제, 염료, 안료, 난연제, 가수분해 억제제, 정전기 방지제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표면장력을 낮추어 혼화성을 향상시키고 발포체 형성시 생성된 기포의 크기를 균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과 같은 유기 실록산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비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들도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기타 충전제, 염료, 안료, 난연제, 가수분해 억제제, 정전기 방지제 및 착색제는 필요에 따라 공지의 상용화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은 I) 지반 하부로 주입관을 주입하는 단계; II) 상기 주입관을 통하여 발포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발포 조성물이 지반 하부에서 반응하여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반보강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즉, 지반보강 공사가 필요한 지반 하부로 주입관을 주입한 후, 상기 주입관을 통하여 통상의 가압장치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 발포 조성물을 주입하고, 지반 하부에서 그 폴리우레탄계 발포 조성물이 반응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지반보강 공사를 시행한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우레탄계 발포 조성물로부터 주제 성분들과 경화제를 30℃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발포하여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g) 비교예(g)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직경 50 분말상) 151 -
폴리올 화합물(폴리에틸렌글리콜) 740 882
디올계 사슬연장제(에틸렌글리콜) 33 38
촉매(트리에틸아민) 25 29
발포제(물) 36 33
유기 실록산계 계면활성제(DC5043, 에어 프로덕트 제조) 15 18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4,4-디메틸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000 100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된 발포체의 폼 밀도는 실시예 42kg/m3, 비교예 40kg/m3으로 측정되어 실시예의 발포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발포체의 폼 밀도가 비교예의 발포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발포체의 폼 밀도에 비하여 높으므로 지반보강 시공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발포체의 수축현상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의 발포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발포체는 1개월 이상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발포체의 수축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비교예의 발포 조성물로부터는 제조된 발포체는 발포체가 수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발포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발포체는 수분에 수개월 이상 장기간 접촉하여도 그 고유의 물성에 변화가 없어 발포체가 수분에 의하여 침식되는 등의 영향이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에 함유된 수분의 영향을 받지 않아 발포체의 수축이 발생하지 않고, 빗물 등의 유입으로 인한 발포체의 침식을 예방하여 안정된 형태로 토양 내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반보강용 폴리우레탄계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올 화합물, 디올계 사슬연장제, 촉매,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제; 및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로 이루어진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직경이 0.01~100 ㎛인 분말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직경이 0.01~10 ㎛, 길이가 1~100,000 ㎛인 섬유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발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폴리(트리메틸렌 에테르)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글리콜 및 폴리(트리메틸렌-co-에틸렌 에테르)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계 사슬연장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메틸펜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헥실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메틸올 프로판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부탄디아민, N-메틸디사이클로헥실아민, N,N-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N-메틸모르폴린, 옥틸산 제1주석, 디-n-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디-n-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및 디-n-부틸주석디옥토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물, 부탄, 펜탄, 헥산, 헵탄, 메틸렌클로라이드,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 1,1,1,3,3-펜타플로오로부탄,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1-클로로-1,1-디플루오로에탄 및 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머,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틸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4-(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탄,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릭 메틸렌 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란스-1,4-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1,3-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오시아네이트, 디메틸 디이소시아네이트, 1,1,6,6,-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로-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페닐 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충전제, 염료, 안료, 난연제, 가수분해 억제제, 정전기 방지제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12. I) 지반 하부로 주입관을 주입하는 단계;
    II) 상기 주입관을 통하여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포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발포 조성물이 지반 하부에서 반응하여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반보강 시공방법.
KR1020150135173A 2015-09-24 2015-09-24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 KR101665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173A KR101665377B1 (ko) 2015-09-24 2015-09-24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173A KR101665377B1 (ko) 2015-09-24 2015-09-24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377B1 true KR101665377B1 (ko) 2016-10-12

Family

ID=5717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173A KR101665377B1 (ko) 2015-09-24 2015-09-24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37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667B1 (ko) * 2017-01-23 2017-08-04 (주)대한하이텍건설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64669B1 (ko) * 2017-01-23 2017-08-04 (주)대한하이텍건설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에 관한 보강파일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64664B1 (ko) * 2017-01-23 2017-08-04 (주)대한하이텍건설 지반 고결용 우레탄과 점토질 흙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에 관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19917B1 (ko) * 2017-04-24 2018-01-19 (주)대한하이텍건설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에 관한 보강파일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129154A (ko) * 2017-05-25 2018-12-05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신소재 포켓 섬유와 팽창제를 이용한 지반함몰 복구 공법 및 복구 공동 유지관리 방법
KR101956233B1 (ko) * 2018-09-07 2019-03-08 빌드켐 주식회사 폴리우레아 수지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39803B1 (ko) * 2019-10-18 2020-07-31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연약지반 침하 보강용 조성물
KR102310091B1 (ko) * 2021-04-07 2021-10-08 김경혜 가설기둥의 설치가 필요없는 지하구조물 설치공법
KR102324540B1 (ko) * 2021-04-21 2021-11-10 (주)대한지오이엔씨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그라우팅용 frp 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공법
KR20220043516A (ko) * 2020-09-29 2022-04-05 반석기초이앤씨(주) 비젼인식장비를 이용하여 정밀복원 및 제어가 가능한 고압팽창 공장바닥 침하복원공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7174A (ja) * 1993-01-13 1994-07-26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地盤や人工構造物などの安定化用注入薬液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安定強化止水工法
JPH0827463A (ja) * 1994-07-14 1996-01-30 Serutetsuku Plan Kk 軟弱地盤強化パイル基礎工法
JP2002285154A (ja) * 2001-03-22 2002-10-03 Tokai Rubber Ind Ltd 地山固結用薬液
EP1536069A1 (en) 2003-11-25 2005-06-01 Uretek S.r.l. A method of consolidating soil for foundation
KR100959691B1 (ko) * 2009-09-24 2010-05-26 (주)호성엔지니어링 우레탄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복원방법
KR101537764B1 (ko) 2014-12-19 2015-08-07 (주)대솔지오텍 시멘트 그라우팅용 고분자계 급결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7174A (ja) * 1993-01-13 1994-07-26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地盤や人工構造物などの安定化用注入薬液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安定強化止水工法
JPH0827463A (ja) * 1994-07-14 1996-01-30 Serutetsuku Plan Kk 軟弱地盤強化パイル基礎工法
JP2002285154A (ja) * 2001-03-22 2002-10-03 Tokai Rubber Ind Ltd 地山固結用薬液
EP1536069A1 (en) 2003-11-25 2005-06-01 Uretek S.r.l. A method of consolidating soil for foundation
KR100959691B1 (ko) * 2009-09-24 2010-05-26 (주)호성엔지니어링 우레탄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복원방법
KR101537764B1 (ko) 2014-12-19 2015-08-07 (주)대솔지오텍 시멘트 그라우팅용 고분자계 급결재 제조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667B1 (ko) * 2017-01-23 2017-08-04 (주)대한하이텍건설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64669B1 (ko) * 2017-01-23 2017-08-04 (주)대한하이텍건설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에 관한 보강파일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64664B1 (ko) * 2017-01-23 2017-08-04 (주)대한하이텍건설 지반 고결용 우레탄과 점토질 흙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에 관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19917B1 (ko) * 2017-04-24 2018-01-19 (주)대한하이텍건설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에 관한 보강파일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129154A (ko) * 2017-05-25 2018-12-05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신소재 포켓 섬유와 팽창제를 이용한 지반함몰 복구 공법 및 복구 공동 유지관리 방법
KR102008459B1 (ko) * 2017-05-25 2019-08-07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신소재 포켓 섬유와 팽창제를 이용한 지반함몰 복구 공법
KR101956233B1 (ko) * 2018-09-07 2019-03-08 빌드켐 주식회사 폴리우레아 수지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39803B1 (ko) * 2019-10-18 2020-07-31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연약지반 침하 보강용 조성물
KR20220043516A (ko) * 2020-09-29 2022-04-05 반석기초이앤씨(주) 비젼인식장비를 이용하여 정밀복원 및 제어가 가능한 고압팽창 공장바닥 침하복원공법
KR102433267B1 (ko) * 2020-09-29 2022-08-18 반석기초이앤씨(주) 비젼인식장비를 이용하여 정밀복원 및 제어가 가능한 고압팽창 공장바닥 침하복원공법
KR102310091B1 (ko) * 2021-04-07 2021-10-08 김경혜 가설기둥의 설치가 필요없는 지하구조물 설치공법
KR102324540B1 (ko) * 2021-04-21 2021-11-10 (주)대한지오이엔씨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그라우팅용 frp 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377B1 (ko) 지반보강용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
CN106496503B (zh) 水不敏感型聚氨酯注浆材料及其制备方法
US3798186A (en) Composition for plugging formations having pores in constructive works
CN102977586B (zh) 一种耐降解阻燃型硬质聚氨酯泡沫材料及其制备方法
DE60038391T2 (de) 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en und polyurethanschäumen
CN104045807B (zh) 一种环保型聚氨酯堵水加固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959691B1 (ko) 우레탄 발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복원방법
EP3097236B1 (en) Polyurethane foam in foundation footings for load-bearing structures
US3367892A (en) Polymeric soil-stabilizing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909047B1 (ko) 창틀 하부 사춤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시공방법
US20150337071A1 (en) Polyurethane foam panel
EP1391440A1 (en) Chemical grout composition for stabilization when digging tunnel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increasing stability using same
CN111763416B (zh) 抗水分散型聚氨酯硬质泡沫注浆止水加固材料及制备方法
CN109535688A (zh) 一种聚氨酯泡沫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432685A (zh) 高施工环境适应性低浆液黏度全水发泡高强聚氨酯注浆抬升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91663B1 (ko) 친환경 고분자 그라우팅용 급결제,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친환경 고분자 그라우트재 조성물 및 친환경 고분자 그라우팅 공법
RU2020117791A (ru) Полиуретановые композиции, обеспечивающие слабое воздействие свободного мономерного изоцианата мди, входящего в их состав, при нанесении распылением
JP2019172777A (ja) 土質の安定強化止水用注入薬液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安定強化止水工法
KR101537764B1 (ko) 시멘트 그라우팅용 고분자계 급결재 제조방법
KR100556567B1 (ko) 연약지반 고결용 초강도 우레탄 약액 조성물
JP2002256054A (ja) 空隙充填用注入薬液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空隙充填工法
JPH0725964A (ja) 2液型発泡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組成物
CN104788639A (zh) 一种用于房屋修复的注浆材料
JP2002226856A (ja) 空隙充填用注入薬液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空隙充填工法
KR102595064B1 (ko) Upc 시공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계 지반보강보수제 및 이를 이용한 지반의 upc 시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