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184B1 -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184B1
KR101665184B1 KR1020140099217A KR20140099217A KR101665184B1 KR 101665184 B1 KR101665184 B1 KR 101665184B1 KR 1020140099217 A KR1020140099217 A KR 1020140099217A KR 20140099217 A KR20140099217 A KR 20140099217A KR 101665184 B1 KR101665184 B1 KR 101665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proxy
cal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268A (ko
Inventor
강주은
김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99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18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7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대행 시스템은,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하여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외부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1통신단말기; 및 제1통신단말기에 의해 송출되는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하며, 제1통신단말기와 호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텍스트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단말기;를 포함하며, 제1통신단말기는 제2통신단말기와 송수신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통신단말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Communication Proxy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Proxy Terminal and Proxy Method, Communication Relay Terminal and Relay Method}
본 발명은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시청, 인터넷 검색, 게임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다른 통신단말기에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여야 하거나 다른 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가 착신되더라도 기존의 수행되는 기능의 동작에는 아무런 변화없이 다른 통신단말기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착신할 수 있는,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 유선전화기, 인터넷 전화기를 포함하는 통신단말기는 음성 통화기능 이외에, 영상 통화기능, 게임 플레이기능,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시청기능, 오디오 청취기능, 인터넷 검색기능 등의 기존의 컴퓨터에서 실행이 가능하였던 기능들의 대부분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는 가정, 사무실 등에 구비된 공용 또는 업무용 유선전화기, 인터넷 전화기 등의 이외에 개인적인 이동통신단말기를 구비하며, 각각의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그 기본적인 통화기능뿐만 아니라 방송시청, 인터넷 검색, 게임 등의 다양한 부가기능의 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시청, 인터넷 검색, 게임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외부의 통신단말기에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여야 하거나 외부의 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현재의 통신단말기를 통해 실행되고 있던 방송시청, 인터넷 검색, 게임 등의 기능은 호 또는 메시지의 실행이 종료될 때까지 중지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방송시청, 인터넷 검색, 게임 등의 흐름이 끊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신단말기가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이 가능하여 방송시청, 인터넷 검색, 게임 등의 동작과 호 또는 메시지의 실행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하나의 통신단말기가 멀티태스킹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화면을 분할하거나 새로운 윈도우를 열어야 하기 때문에, 먼저 수행되고 있던 방송시청, 인터넷 검색, 게임 등의 동작의 화면이 작아지거나 다른 윈도우에 가려지게 되어 사용자가 그 이용에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시청, 인터넷 검색, 게임 등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해당 통신단말기에 의해 착신 또는 발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를 다른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대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6048호 (공개일자: 2008. 06. 2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시청, 인터넷 검색, 게임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다른 통신단말기에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여야 하거나 다른 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가 착신되더라도 기존의 수행되는 기능의 동작에는 아무런 변화없이 기본 통신단말기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를 대행하여 발신하거나 착신할 수 있는,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외부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1통신단말기; 및 제1통신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직접 연결되고, 제1통신단말기에 의해 송출되는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하며, 제1통신단말기와 호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텍스트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제2통신단말기;를 포함하며, 제1통신단말기는 제2통신단말기와 송수신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통신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통신대행 시스템은, 제1통신단말기로부터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하여 제2통신단말기에 전달하며, 제1통신단말기에 대한 제2통신단말기의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하고, 제1통신단말기에 대한 제2통신단말기의 통신대행이 결정된 경우에 제1통신단말기와 제2통신단말기 사이의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통신중계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외부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각각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생성하는 대행신호생성부; 대행신호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통신대행신호를 통신대행단말기 또는 통신중계단말기에 전송하는 대행신호전송부; 및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통신대행단말기 또는 통신중계단말기로 전달하며, 통신대행단말기 또는 통신중계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통신단말기에 전달하는 통신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통신단말기는, 대행신호전송부에 의해 전송되는 통신대행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대행단말기 또는 통신중계단말기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를 수신하는 수락신호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중계부는 수락신호수신부를 통해 통신대행단말기 또는 통신중계단말기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외부통신단말기와 통신대행단말기 또는 통신중계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을 중계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단말기는, 통신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하여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외부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통신단말기로부터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직접 수신하는 대행신호수신부; 및 대행신호수신부를 통해 통신대행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단말기의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호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와 음성데이터,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텍스트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통신대행단말기는, 대행신호수신부를 통해 통신대행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단말기에 대한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하는 통신대행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송수신부는 통신대행결정부에 의해 통신단말기에 대한 통신대행이 결정된 경우에 통신단말기와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단말기는, 통신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하여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외부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통신단말기로부터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하는 대행신호수신부; 대행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대행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통신대행단말기에 직접 전송하는 대행신호전송부; 및 대행신호전송부에 의해 통신대행단말기에 통신대행신호가 전송되면, 통신단말기와 통신대행단말기의 사이에서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통신중계단말기는, 통신단말기에 대한 통신대행단말기의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하는 통신대행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중계부는 통신대행결정부에 의해 통신단말기에 대한 통신대행단말기의 통신대행이 결정된 경우에 통신단말기와 통신대행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전술한 통신중계단말기는, 대행신호전송부에 의해 전송되는 통신대행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대행단말기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를 수신하는 수락신호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중계부는 수락신호수신부를 통해 통신대행단말기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통신단말기와 통신대행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하여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외부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통신단말기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각각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통신대행신호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되는 통신대행신호를 통신대행단말기 또는 통신중계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통신대행단말기 또는 통신중계단말기로 전달하며, 통신대행단말기 또는 통신중계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통신단말기에 전달하여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통신방법은, 통신대행신호 전송단계에 의해 전송되는 통신대행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대행단말기 또는 통신중계단말기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중계단계는 통신대행 수락신호 수신단계를 통해 통신대행단말기 또는 통신중계단말기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외부통신단말기와 통신대행단말기 또는 통신중계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을 중계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방법은, 통신대행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대행방법에 있어서, 통신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하여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외부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통신단말기로부터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직접 수신하는 단계; 및 통신대행신호 수신단계를 통해 통신대행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단말기의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호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와 음성데이터,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텍스트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통신대행방법은, 통신대행신호 수신단계를 통해 통신대행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단말기에 대한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수신단계는 통신대행여부 결정단계에 의해 통신단말기에 대한 통신대행이 결정된 경우에 통신단말기와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방법은, 통신단말기와 통신대행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중계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중계방법에 있어서, 통신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하여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외부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통신단말기로부터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통신대행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대행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통신대행단말기에 직접 전송하는 단계; 및 통신대행신호 전송단계에 의해 통신대행단말기에 통신대행신호가 전송되면, 통신단말기와 통신대행단말기의 사이에서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통신중계방법은, 통신단말기에 대한 통신대행단말기의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중계단계는 통신대행여부 결정단계에 의해 통신단말기에 대한 통신대행단말기의 통신대행이 결정된 경우에 통신단말기와 통신대행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전술한 통신중계방법은, 통신대행신호 전송단계에 의해 전송되는 통신대행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대행단말기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중계단계는 통신대행 수락신호 수신단계를 통해 통신대행단말기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통신단말기와 통신대행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시청, 인터넷 검색, 게임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다른 통신단말기에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여야 하거나 다른 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가 착신되더라도 기존의 수행되는 기능의 동작에는 아무런 변화없이 그대로 수행하면서 다른 통신단말기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착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통신대행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통신대행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통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단말기의 통신대행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단말기의 통신중계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 시스템(30)은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제1통신단말기(100), 및 제1통신단말기(100)와 USB(Universal Serial Bus), LAN(Local Area Network) 등으로 직접 연결되어 유선통신을 하거나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Wi-Fi) 등으로 직접 연결되어 무선통신을 하는 제2통신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20)는 인터넷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망,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같은 유선전화망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한다. 이때, 제1통신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제2통신단말기(100)는 인터넷 전화기 또는 유선전화기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통신단말기(100) 및 제2통신단말기(200)로 이용되는 단말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통신단말기(100)로 인터넷 전화기 또는 유선전화기가 이용될 수도 있고, 제2통신통신단말기(200)로 이동통신단말기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통신단말기(100) 및 제2통신단말기(200)는 서로 동일한 종류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유선전화기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1통신단말기(10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된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하여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한다. 여기서, 통신대행신호는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하여 호 또는 메시지가 발신되거나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가 착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로서, 제1통신단말기(100)에 의해 수행되는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의 이후에 외부통신단말기(100)에 대한 음성데이터의 송수신, 또는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텍스트데이터의 송수신을 대행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제2통신단말기(200)는 제1통신단말기(100)에 의해 송출되는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하며, 제1통신단말기(100)와 호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텍스트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수신한다. 즉, 제2통신단말기(200)는 제1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하며, 제1통신단말기(100)의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 이후의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음성데이터의 송수신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송수신을 대행한다. 이때, 제2통신단말기(200)는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제1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송수신한다. 또한, 제1통신단말기(100)는 제2통신단말기(200)와 송수신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20)를 통해 외부통신단말기(10)와 제2통신단말기(20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 시스템(30)은 도 1에나타낸 통신대행 시스템(30)에 통신중계단말기(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통신중계단말기(300)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중계단말기(300)는 제1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하여 제2통신단말기(200)에 전달하며, 제1통신단말기(100)에 대한 제2통신단말기(200)의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하고, 제1통신단말기(100)에 대한 제2통신단말기(200)의 통신대행이 결정된 경우에 제1통신단말기(100)와 제2통신단말기(200) 사이의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계한다. 예를 들어, 통신중계단말기(3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통신단말기(100)의 역할을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제2통신단말기(100)의 역할을 하는 유선전화기 사이에 USB, LAN, 블루트스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하여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 또는 착신하는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하여 유선전화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중계단말기(300)는 유선전화기(200)가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대행하여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송수신을 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유선전화기(200)가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대행하여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결정된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유선전화기(200) 사이의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통신중계단말기(300)와 송수신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20)를 통해 외부통신단말기(10)와 통신중계단말기(30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1통신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외부통신단말기(10)에 호를 발신하는 경우, 외부통신단말기(10)와 제1통신단말기(100) 사이의 호가 연결된 이후에는 제1통신단말기(100)에 의해 송출되는 통신대행신호에 기초하여 제2통신단말기(200)의 송수화기를 통해 집음되는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통신단말기(10)에 전송하고,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2통신단말기(2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제1통신단말기(100)로 호가 착신되는 경우, 제1통신단말기(100)에 의해 송출되는 통신대행신호에 기초하여 제2통신단말기(200)의 벨을 울리며 그에 따라 제2통신단말기(200)의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외부통신단말기(10)와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제1통신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외부통신단말기(10)에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제1통신단말기(100)로 메시지가 착신되는 경우, 제1통신단말기(100)에 의해 송출되는 통신대행신호에 기초하여 제2통신단말기(200)에서 메시지를 작성하여 제1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외부통신단말기(10)로 전송하거나 제2통신단말기(200)를 통해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제1통신단말기(100)로 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는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제1통신단말기(1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단말기(100)는 대행신호생성부(110), 대행신호전송부(120), 통신중계부(130) 및 수락신호수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대행신호생성부(110)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네트워크(20)를 통해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각각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생성한다. 즉, 대행신호생성부(110)는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하여 호가 발신되는지 또는 메시지가 발신되는지,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호가 착신되는지 또는 메시지가 착신되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대행신호를 생성한다.
대행신호전송부(120)는 대행신호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되는 통신대행신호를 통신대행단말기(200) 또는 통신중계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대행단말기(200)는 도 1에 나타낸 제2통신단말기(200)에 해당하는 단말기로서 유선전화기, 인터넷 전화기, 다른 이동통신단말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통신중계단말기(300)는 도 3에 나타낸 통신중계단말기(300)로서 컴퓨터, 노트북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중계부(130)는 외부통신단말기(10)와 통신대행단말기(200) 또는 통신중계단말기(300)의 사이에서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호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 또는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텍스트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한다. 즉, 통신중계부(130)는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통신대행단말기(200) 또는 통신중계단말기(300)에 전달하며, 통신대행단말기(200) 또는 통신중계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외부통신단말기(10)에 전달한다.
수락신호수신부(140)는 대행신호전송부(120)에 의해 전송되는 통신대행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대행단말기(200) 또는 통신중계단말기(300)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를 수신한다. 즉, 수락신호수신부(140)는 통신대행단말기(200) 또는 통신중계단말기(300)에 전송되는 통신대행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대행단말기(200) 또는 통신중계단말기(300)로부터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통신단말기(100)의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통신을 대행할 것인지에 대한 통신대행 수락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중계부(130)는 수락신호수신부(140)를 통해 통신대행단말기(200) 또는 통신중계단말기(300)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외부통신단말기(10)와 통신대행단말기(200) 또는 통신중계단말기(300)의 사이에서 통신을 중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통신대행단말기는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제2통신단말기(2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단말기(200)는 대행신호수신부(210), 데이터송수신부(220) 및 통신대행결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대행신호수신부(210)는 통신단말기(100)가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하여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 대행신호수신부(21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대행신호에 기초하여 통신대행단말기(200)의 벨 또는 메시지 착신음을 울리거나, 음성신호의 집음 또는 메시지의 작성을 위해 송수화기 또는 키입력부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통신단말기(100)와 통신대행단말기(200)의 사이에 통신중계단말기(300)가 연결되는 경우, 대행신호수신부(210)는 통신중계단말기(300)를 통하여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한다.
데이터송수신부(220)는 대행신호수신부(210)를 통해 통신대행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단말기(100)의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호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100)와 음성데이터,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텍스트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데이터송수신부(220)는 대행신호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대행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출력하며, 제2통신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외부통신단말기(10)로 전송한다.
통신대행결정부(230)는 대행신호수신부(210)를 통해 통신대행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단말기(100)에 대한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통신대행결정부(230)는 대행신호수신부(210)를 통해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대행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단말기(100)에 대행하여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송수신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송수신부(220)는 통신대행결정부(230)에 의해 통신단말기(100)에 대한 통신대행이 결정된 경우에 통신단말기(100)와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단말기는 도 3에 나타낸 통신중계단말기(3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신중계단말기(300)는 대행신호수신부(310), 대행신호전송부(320), 통신중계부(330), 통신대행결정부(340) 및 수락신호수신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대행신호수신부(310)는 통신단말기(100)가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하여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외부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한다.
대행신호전송부(320)는 대행신호수신부(310)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대행신호를 통신대행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즉, 대행신호전송부(320)는 대행신호수신부(310)를 통해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대행신호를 통신대행단말기(200)에 전달한다.
통신중계부(330)는 대행신호전송부(320)에 의해 통신대행단말기(200)에 통신대행신호가 전송되면, 통신단말기(100)와 통신대행단말기(200)의 사이에서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한다. 즉, 통신중계부(33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대행신호가 통신대행단말기(200)에 전달되면, 통신대행단말기(200)와 통신단말기(100) 사이의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계하여 통신대행단말기(200)가 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외부통신단말기(10)와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대행결정부(340)는 통신단말기(100)에 대한 통신대행단말기(200)의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한다. 즉, 통신대행결정부(340)는 대행신호수신부(310)를 통해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대행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통신대행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대행단말기(200)가 통신단말기(100)에 대한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송수신을 대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통신대행단말기(200)가 복수인 경우, 통신해댕결정부(340)는 특정 통신대행단말기(200)를 선택하며, 선택된 통신대행단말기(200)에 대한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중계부(330)는 통신대행결정부(340)에 의해 통신단말기(100)에 대한 통신대행단말기(200)의 통신대행이 결정된 경우에 통신단말기(100)와 통신대행단말기(20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수락신호수신부(350)는 대행신호전송부(320)에 의해 전송되는 통신대행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대행단말기(200)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락신호수신부(350)는 수신되는 통신대행 수락신호를 통신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중계부(330)는 수락신호수신부(350)를 통해 통신대행단말기(200)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통신단말기(100)와 통신대행단말기(20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통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통신방법은 도 5에 나타낸 통신단말기(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통신단말기(100)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네트워크(20)를 통해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각각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생성한다(S110). 즉, 통신단말기(100)는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하여 호가 발신되는지 또는 메시지가 발신되는지,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호가 착신되는지 또는 메시지가 착신되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대행신호를 생성한다.
통신단말기(100)는 대행신호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되는 통신대행신호를 통신대행단말기(200) 또는 통신중계단말기(300)에 전송한다(S120).
통신단말기(100)는 전송되는 통신대행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대행단말기(200) 또는 통신중계단말기(300)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를 수신한다(S130). 즉, 통신단말기(100)는 통신대행단말기(200) 또는 통신중계단말기(300)에 전송되는 통신대행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대행단말기(200) 또는 통신중계단말기(300)로부터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통신단말기(100)의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통신을 대행할 것인지에 대한 통신대행 수락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단말기(100)는 통신대행단말기(200) 또는 통신중계단말기(300)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외부통신단말기(10)와 통신대행단말기(200) 또는 통신중계단말기(300)의 사이에서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S140).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단말기의 통신대행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대행방법은 도 6에 나타낸 통신대행단말기(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통신대행단말기(200)는 통신단말기(100)가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하여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한다(S210). 이 경우, 통신대행단말기(20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대행신호에 기초하여 벨 또는 메시지 착신음을 울리거나, 음성신호의 집음 또는 메시지의 작성을 위해 송수화기 또는 키입력부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통신단말기(100)와 통신대행단말기(200)의 사이에 통신중계단말기(300)가 연결되는 경우, 통신대행단말기(200)는 통신중계단말기(300)를 통하여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한다.
통신대행단말기(200)는 통신대행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단말기(100)에 대한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20). 즉, 통신대행단말기(20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대행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단말기(100)에 대행하여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송수신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대행단말기(200)는 통신단말기(100)에 대한 통신대행이 결정된 경우(S230), 통신단말기(100)와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송수신한다(S240). 이때, 통신단말기(100)와 통신대행단말기(200) 사이에 통신중계단말기(300)가 연결된 경우, 통신대행단말기(200)는 통신단말기(100) 및 통신중계단말기(300)를 통해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단말기의 통신중계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방법은 도 7에 나타낸 통신중계단말기(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 도 4,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통신중계단말기(300)는 통신단말기(100)가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하여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외부통신단말기(10)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한다(S310).
통신중계단말기(30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대행신호를 통신대행단말기(200)에 전송한다(S320).
통신중계단말기(300)는 통신단말기(100)에 대한 통신대행단말기(200)의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330). 즉, 통신중계단말기(30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대행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통신대행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대행단말기(200)가 통신단말기(100)에 대한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송수신을 대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통신대행단말기(200)가 복수인 경우, 통신중계단말기(300)는 특정 통신대행단말기(200)를 선택하며, 선택된 통신대행단말기(200)에 대한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통신중계단말기(300)는 통신단말기(100)에 대한 통신대행단말기(200)의 통신대행이 결정되면(S340), 통신단말기(100)와 통신대행단말기(200)의 사이에서 외부통신단말기(10)에 대한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한다(S350).
통신중계단말기(300)는 통신대행단말기(200)에 전송되는 통신대행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대행단말기(200)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60). 이 경우, 통신중계단말기(300)는 수신되는 통신대행 수락신호를 통신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중계단말기(300)는 통신대행단말기(200)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통신단말기(100)와 통신대행단말기(20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Claims (16)

  1.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상기 외부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각각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1통신단말기;
    상기 제1통신단말기와 호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음성통화,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텍스트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제2통신단말기; 및
    상기 제1통신단말기로부터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통신단말기에 전달하며, 상기 제1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제2통신단말기의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통신단말기가 복수인 경우에 통신대행을 수행할 특정 제2통신단말기를 선택하여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제1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제2통신단말기의 통신대행이 결정된 경우에 상기 제1통신단말기와 결정된 상기 제2통신단말기 사이의 음성통화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통신중계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대행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통신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하여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상기 외부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하는 대행신호수신부;
    상기 대행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대행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통신대행단말기에 전달하는 대행신호전송부;
    상기 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통신대행단말기의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통신대행단말기가 복수인 경우에 통신대행을 수행할 특정 통신대행단말기를 선택하여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하는 통신대행결정부;
    상기 대행신호전송부에 의해 전달되는 통신대행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대행단말기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를 수신하는 수락신호수신부; 및
    상기 수락신호수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대행단말기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가 수신되거나 상기 통신대행결정부에 의해 통신대행이 결정되면, 상기 통신단말기와 해당 상기 통신대행단말기의 사이에서 상기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음성통화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며, 해당 상기 통신대행단말기에 의해 집음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통신단말기에 의해 변환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상기 통신대행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중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단말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통신단말기와 통신대행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중계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중계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하여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상기 외부통신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의 발신 또는 착신에 대응하는 통신대행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대행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대행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상기 통신대행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통신대행단말기의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통신대행단말기가 복수인 경우에 통신대행을 수행할 특정 통신대행단말기를 선택하여 통신대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대행신호 전송단계에 의해 전송되는 통신대행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대행단말기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대행 수락신호 수신단계를 통해 상기 통신대행단말기로부터 통신대행 수락신호가 수신되거나 상기 통신대행여부 결정단계에 의해 상기 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통신대행단말기의 통신대행이 결정되면, 상기 통신단말기와 해당 상기 통신대행단말기의 사이에서 상기 외부통신단말기에 대한 음성통화 또는 텍스트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며, 해당 상기 통신대행단말기에 의해 집음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통신단말기에 의해 변환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상기 통신대행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방법.


  15. 삭제
  16. 삭제
KR1020140099217A 2014-08-01 2014-08-01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 KR101665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217A KR101665184B1 (ko) 2014-08-01 2014-08-01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217A KR101665184B1 (ko) 2014-08-01 2014-08-01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268A KR20160017268A (ko) 2016-02-16
KR101665184B1 true KR101665184B1 (ko) 2016-10-12

Family

ID=5544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217A KR101665184B1 (ko) 2014-08-01 2014-08-01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1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766B1 (ko) 2021-10-08 2022-02-14 주식회사 이글루시큐리티 자산 서버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siem의 경보 규칙을 최적화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048A (ko) 2006-12-15 2008-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선 전화기로 통화 수행을 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통화서비스 전환방법
KR101162960B1 (ko) * 2008-01-10 2012-07-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경유한 공유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공유 서버
KR101745713B1 (ko) * 2010-10-20 2017-06-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입자 전화망을 이용한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26176A (ko) * 2011-09-05 2013-03-13 박명수 이동 통신사가 특정되지 않은 휴대 단말기에서 내려받은 전화기능 앱을 이용하여 음성/문자신호의 발신 및 수신기능을 갖는 태블릿 pc를 매개로 한 휴대 단말기 이용방법
KR101381032B1 (ko) * 2012-06-05 2014-04-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268A (ko)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84864B (zh) 用于在无线广域网与无线局域网之间无缝漫游的方法和移动终端
US7333804B2 (en) Message transmitting scheme of mobile terminal
JP505958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基地局、無線通信方法
KR20160035987A (ko) 통신 단말들간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118990A (ko) 통신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단말
US20150215449A1 (en) Incoming call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server, telephone terminal, controller, communication system, incoming call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4017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이를 위한 유선통화 중계장치
KR101665184B1 (ko)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
JP201224931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0621147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
JP2007135154A (ja) リピータ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
JP2010268085A (ja) 無線アクセスモード選択方法
JP200701364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
KR20060132254A (ko) 애칭 전송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6021663B2 (ja) 音声呼の確立と同時に、相手方端末におけるコードを確認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70010374A (ko) 동보 전송시 수신자별 이름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JP2007325201A (ja) 音源分離法
KR100651937B1 (ko) 두 개의 발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69491B1 (ko)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678108B1 (ko) 유선망/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KR101673324B1 (ko)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9161260A (ja) 通信制御システム
KR1007063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기반 주변정보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101303020B1 (ko) 음성통화와 메신저 서비스의 동시 실행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7409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화형 메시징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