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278B1 -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278B1
KR101007278B1 KR20050125547A KR20050125547A KR101007278B1 KR 101007278 B1 KR101007278 B1 KR 101007278B1 KR 20050125547 A KR20050125547 A KR 20050125547A KR 20050125547 A KR20050125547 A KR 20050125547A KR 101007278 B1 KR101007278 B1 KR 101007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t
message
mms
ser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2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4927A (ko
Inventor
김창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2005012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278B1/ko
Publication of KR2007006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27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서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PTT(Push To Talk)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PTT 기능 조작에 상응하여 입력된 입력 메시지를 이용하여 PTT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PTT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PTT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기로 MMS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PTT, MMS, 푸쉬투토크, 단말기

Description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TT service employing M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에서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기에서 PTT 서비스에 따라 수신된 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발신 단말기
12 : 착신 단말기
30 : 통신망
40 :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MSC)
100 : 이동 단말기
110 : 키 입력부
120 : 메시지 입력부
130 : 저장부
140 : 메시지 생성부
150 : 송수신부
160 : 출력부
170 : 제어부
본 발명은 PTT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 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 대 다점간 통신 시스템은 시스템의 중앙 지구와 복수의 사용자 간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상기 일 대 다점간 통신 시스템으로서 무선 푸쉬 투 토크(Push-to-Talk ; PTT) 시스템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각각 무선 통신 장치를 갖는 한 그룹의 개인들이 그 그룹의 다른 멤버와 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기존 국내의 PTT 서비스는 아날로그 무선망을 이용하거나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계열의 TRS(주파수공용통신)를 활용한다. 미국 등 CDMA 망을 활용하는 국가에서는 이미 CDMA 용 PTT 서비스가 활성화 되어있지만, 국내의 경우에는 통신법상 역무 침해 문제로 인하여 TRS 사업자인 KT 파워텔을 통해서만 서비스 되고 있고 PTT 서비스를 위해서는 전용단말기와 전용 서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국내에서 PCS와 같은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제공하기는 힘든 실정이며, 특히 기존 방식으로는 전용 서버 등의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 시스템 구축상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PTT 서비스와 같이,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단말기 쪽으로 한쪽 방향으로만 음성 메시지 등을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를 이용하는데 있어서는, 발신 단말기 사용자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이에 그림이나 음성 등을 첨부한 후 수신자를 설정하고 송신을 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여러 단계의 수동과정을 거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착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별도 조작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한다. 특히, 수신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해 발신 단말기 측으로 응답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메시지를 작성하여 이에 그림이나 음성 등을 첨부한 후 송신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멀티 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여러 단계의 입력 과정을 거치지 않고 별도로 구비된 기능 키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MMS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서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PTT(Push-to-Talk)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PTT 기능 조작에 상응하여 입력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PTT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PTT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PTT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기로 MMS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 메시지는 PTT 기능 키가 눌려진 상태에서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PTT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PTT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를 선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TT 메시지는 상기 PTT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PTT 메시지는 PTT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PTT 기능 조작에 상응하여 음성 메시지 및 영상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메시지 입력부; 상기 메시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PTT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메시지 생성부가 생성한 PTT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PTT 그룹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기로 MMS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PTT 그룹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TT 그룹은 타 이동 단말기로부터 이전에 수신한 PTT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 입력부는 마이크 및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발신 단말기(10)와 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신 단말기(12-1, 12-2, ... , 12-n, 이하 12으로 통칭)로 구분되는 이동 단말기 및 MMSC(40)를 포함하는 통신망(3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는 주로 PCS와 같은 휴대폰인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한 것이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 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할 수 있는 개인 휴대 장치(PDA) 등의 장치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중 발신 단말기(10)는 MMS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기(12)로 멀티미디어 메시지(이하, 'MMS 메시지'라 칭함)를 전송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발신 단말기(10)는 PTT(Push-to-Talk) 모드(mode)에서 미리 설정된 PTT 기능 키(도 2의 참조번호 103)를 이용하여 PTT 서비스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PTT 모드는 예를 들어, 별도로 구비된 PTT 모드 버튼(101)의 조작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메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PTT 기능 키(103)로는 통화버튼, 확인버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이동 단말기(100)의 일측에 버튼 형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PTT 기능 키(10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 버튼, 인터넷 접속 버튼과 같은 버튼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스위치(switch), 스크롤(scroll) 버튼 등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PTT 모드 버튼(101) 및 PTT 기능 키(103)는 통합될 수 있다. 즉, 초기 상태에서 PTT 기능 키(103)가 눌리면 PTT 모드로 진행되고, 이후 PTT 기능 키(103)는 PTT 기능을 위한 키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PTT 기능 키(103)가 버튼 형식으로 구현되며, 하나의 PTT 기능 키(103)를 이용하여 PTT 모드로의 진행 및 PTT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기(10)는 PTT 기능 키(103)가 한번 눌림으로써 PTT 모드로 진행하고, 착신 단말기 그룹을 설정한다. 착신 단말기 그룹은 PTT 서비스에 따른 MMS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 단말기(12)들에 대한 목록으로, 이하 'PTT 그룹'이라 칭하기로 한다. PTT 그룹 정보는 착신 단말기(12)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PTT 그룹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그룹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입력 받을 수 있다. 이후, 발신 단말기(10)는 대기 상태로 진행하며, PTT 기능 키(103)의 조작에 상응하여 입력되는 음성 및 영상(예를 들어,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입력 메시지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에 상응하는 MMS 메시지를 생성한 후 설정된 그룹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기(12)로 MMS를 통해 전송한다. 메시지의 입력은 PTT 기능 키(103)가 눌린 상태에서만 수행되거나, PTT 기능 키(103)가 한번 눌리면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메시지가 입력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입력 모드가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 PTT 기능 키(103)가 눌린 상태에 서만 메시지가 입력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전술한 두 번의 PTT 기능 키(103) 눌림 등의 이외의 PTT 기능 키(103) 조작에 의한 메시지 입력 방식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발신 단말기(10)는 PTT 그룹을 설정한 후 PTT 기능 키(103)의 조작만으로 간편하게 MMS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PT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PTT 기능 키의 사용자의 직접적인 수동조작 이외 방법으로도 단말기 내부 기능설정에 따라 자동 작동시킬 수 있으며, 실시 예를 들면 일반적인 무전기의 음성활성화(Voice Activation)기능처럼 별도의 설정에 의하여 음성주파수대역신호 검출시 자동으로 눌려지고 음성주파수대역신호 단절시 눌림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PTT 기능 키가 외부에 구비될 필요가 없이, 음성인식 등을 통해 PTT 기능이 자동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MMS시스템 특성제한에 따라 최대 입력시간을 사용자가 제한할 수 있다.
또한, PTT 모드의 종료는, PTT 모드 버튼(101)이 구비된 경우에는 PTT 모드 버튼(101)을 다시 한번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PTT 모드 버튼(101)이 없이 PTT 기능 키(103)만이 구비된 경우에는 "종료"버튼, "취소"버튼 등을 PTT 모드 종료 기능 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MMS 메시지에는 해당 메시지가 PTT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임을 식별할 수 있는 PTT 식별정보 및 설정된 PTT 그룹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MMS 메시지의 헤더(header)의 특정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착신 단말기(12)는 본 발명의 PTT 서비스에 따른 MMS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메시지를 액정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착신 단말기(12)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PTT 서비스에 따른 MMS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PTT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착신 단말기(12)는 수신된 MMS 메시지의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MMS 메시지가 PTT 서비스에 따른 MMS 메시지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기(12)는 수신된 MMS 메시지에 포함된 PTT 그룹 중 자신을 제외하고 발신 단말기(10)를 포함하는 PTT 그룹을 설정하여 PTT 서비스에 따른 MMS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발신 단말기(10)가 설정한 PTT 그룹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12)가 M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발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발신 단말기(10)와 각 착신 단말기(12)는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망(30)은 기지국, 교환기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일 수 있으며,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하여 화상 통신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시스템 등 이동 단말기(100)가 타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CDMA :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 등의 모든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통신망(30)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MSC : 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40)를 포함한다. MMSC(40)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며, 단지 단문 메시지가 아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MMSC(40)는 현재에도 사용되고 있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하되,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발신 단말기(10) 및 착신 단말기(12)로 구분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100)가 MMS 메시지를 발송하는지 여부에 따라 발신 단말기(10) 또는 착신 단말기(12)로 동작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키 입력부(110), 메시지 입력부(120), 저장부(130), 메시지 생성부(140), 송수신부(150), 출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키 입력부(110)는 복수의 키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수신자에 대한 전화번호,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문자 및 특정 기능(예를 들어, 인터넷 접속, PTT 모드 실행)의 수행을 위한 명령 정보 등을 입력 받기 위한 수단이다. 특정 기능의 수행을 지시하기 위한 키 버튼은 예를 들어 기능 버튼들로 특정될 수 있다. 특히, 키 입력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PTT 기능 키(103)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키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PTT 그룹을 설정하기 위한 착시 단말기 전화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키 입력 부(110)의 기능은 종래의 일반적인 기능과 하기의 설명을 통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시지 입력부(120)는 음성 메시지 및 영상 메시지 등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입력 받는 수단이다. 메시지 입력부(120)는 예를 들어 음성 메시지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및/또는 이미지, 동영상 등의 영상 메시지를 입력받기 위한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메시지 입력부(120)는 PTT 모드에서 PTT 기능 키(103)의 조작(예를 들어, 눌림)을 인식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PTT 기능 키(103)가 눌려진 상태에서만 음성/영상 메시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저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운용 프로그램, 이동 단말기(100)가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관련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 일련번호(ESN : Electronic Serial Number), 전화번호 등)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30)는 설정된 PTT 그룹 정보를 저장하며, 메시지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를 임시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30)는 타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MMS 메시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시지 생성부(140)는 메시지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를 MMS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MMS 메시지를 생성한다. 특히, 메시지 생성부(140)는 생성한 MMS 메시지에 PTT 서비스 임을 인식할 수 있는 PTT 식별정보와 PTT 그룹 정보를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PTT 서비스에 따른 MMS 메시지를 'PTT 메시지'라 칭하기로 한다.
송수신부(150)는 미리 설정된 PTT 그룹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 기(12)로 PTT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메시지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PTT 메시지를 통신망(30)의 MMSC(40)로 전송한다. 또한, 송수신부(150)는 통신망(30)의 MMSC(40)로부터 타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MMS 메시지를 수신한다.
출력부(160)는 타 이동 단말기로부터 MMS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수신된 MMS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부(160)는 예를 들어, LCD와 같은 액정 및/또는 스피커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PTT 모드에서 PTT 기능 키(103)가 눌려짐에 따라 입력되는 메시지에 상응하는 PTT 메시지를 생성하여 설정된 PTT 그룹에 따른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기(12)로 전송할 수 있도록, 키 입력부(110), 메시지 입력부(120), 저장부(130), 메시지 생성부(140), 송수신부(15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타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MMS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60)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70)는 타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MMS 메시지가 PTT 메시지임을 인식한 경우, 자동으로 PTT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수신된 PTT 메시지에 포함된 PTT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PTT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PTT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키 입력부(110) 내의 미리 설정된 특정 버튼을 누른 경우에만 PTT 모드로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PTT 모드로 진입한 이동 단말기(100)는 이후 PTT 기능 키(103)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PTT 메시지를 설정된 PTT 그룹에 따른 착신 단말기(12)들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12)간의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에서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발신 단말기(10)는 PTT 기능 키(103) 등의 입력에 따라 PTT 모드를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기(10)는 타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PTT 메시지에 상응하여 PTT 모드로 진행될 수도 있다.
단계 420에서 발신 단말기(10)는 PTT 그룹을 설정한다. PTT 그룹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그룹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착신 단말기(12)의 전화번호가 입력 또는 주소록에서 선택되어 새로운 그룹이 설정될 수도 있다.
발신 단말기(10)는 PTT 그룹이 설정되면 PT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진행한 후(단계 430), PTT 기능 키(103)가 눌려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440).
PTT 기능 키(103)가 눌려졌음을 인식한 경우, 발신 단말기(10)는 PTT 기능 키(103)가 눌려진 상태에서 스피커 및/또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음성/영상 메시지를 입력 받는다(단계 450). 상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의 입력은 PTT 기능 키(103)가 눌려진 동안만 수행되도록 하거나, 후속하여 PTT 기능 키(103)가 눌려질 때까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PTT 기능 키(103)가 눌려진 동안만 메시지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를 가정할 때, 발신 단말기(10)는 단계 460에서 PTT 기능 키(103)의 눌림 상태가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PTT 기능 키(103)의 눌림 상태가 종료된 경우, 발신 단말기(10)는 입력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PTT 메시지를 생성한다(단계 470). 전술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기(10)는 PTT 메시지의 헤더 등에 PTT 식별정보 및 PTT 그룹 정보를 포함시키고, PTT 메시지의 제목에도 PTT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단계 480에서 발신 단말기(10)는 설정된 PTT 그룹의 전화번호에 따른 착신 단말기(12)로 생성된 PTT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하, 착신 단말기(12)가 발신 단말기(10)로부터 PTT 서비스에 따른 PTT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기에서 PTT 서비스에 따라 수신된 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착신 단말기(12)가 MMS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는 초기 상태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착신 단말기(12)는 통신망을 통해 MMS 메시지를 수신하고(단계 510), 수신된 MMS 메시지가 PTT 서비스에 따른 PTT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단계 520). 착신 단말기(12)는 MMS 메시지의 헤더 또는 제목에 PTT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PTT 메시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만일 PTT 메시지가 아닌 경우 일반 MMS 메시지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 단말기(12)는 수신된 MMS를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액정)를 통해 출력한다.
판단 결과, PTT 메시지인 경우, 착신 단말기(12)는 수신된 MMS 메시지에 포함된 PTT 그룹 정보를 저장하고(단계 530), PTT 모드를 실행한다(단계 540). 저장된 PTT 그룹 정보는 이후, 착신 단말기(12)가 발신 단말기로서 PTT 메시지를 전송할 때 수신자들에 대한 PTT 그룹 정보로써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530 및 단계 540을 수행하는 이유는 해당 착신 단말기(12)가 수신된 PTT 그룹에 따른 다른 착신 단말기 및 발신 단말기(10)로 응답 PT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PTT 그룹 정보를 저장하고 PTT 모드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12)는 서로 설정된 PTT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MMS를 통해 PT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만일 하나의 이동 단말기(100)가 PTT 메시지를 생성하는 도중(예를 들어, PTT 기능 키(103)를 누르고 음성 메시지를 입력하는 도중)에 타 이동 단말기로부터 PTT 메시지를 수신하면, 생성되던 PTT 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을 완료한 후 수신된 PTT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으며 또는 그 반대로 수신된 PTT 메시지를 먼저 처리할 수도 있다. 이는 우선순위를 설정하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와는 달리, 착신 단말기(12)가 PTT 모드 상태일 경우에만 수신된 PTT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착신 단말기(12)가 PTT 모드가 아닐 경우에는 수신된 PTT 메시지를 일반 MMS 메시지로써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착신 단말기(12)는 수신된 MMS 메시지가 PTT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없어 프로세스를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여러 단계의 입력 과정을 거치지 않고 MMS 기능 키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MM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이동 단말기에서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PTT(Push-to-Talk)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MM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MMS 메시지에서 PTT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PTT 식별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PTT 그룹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음성 메시지 및 영상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음성 메시지 및 영상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응답 PTT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MMS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PTT 메시지를 상기 PTT 그룹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TT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MMS 메시지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MMS 메시지에 PTT 식별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PTT 그룹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음성 메시지 및 영상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 받는 메시지 입력부; 및
    상기 메시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PTT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수신부는 MMS를 이용하여 상기 PTT 메시지를 상기 PTT 그룹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KR20050125547A 2005-12-19 2005-12-19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007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25547A KR101007278B1 (ko) 2005-12-19 2005-12-19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25547A KR101007278B1 (ko) 2005-12-19 2005-12-19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927A KR20070064927A (ko) 2007-06-22
KR101007278B1 true KR101007278B1 (ko) 2011-01-13

Family

ID=3836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25547A KR101007278B1 (ko) 2005-12-19 2005-12-19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2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662B1 (ko) * 2015-01-06 2016-06-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운드콘을 재생하는 방법 및 이동 단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756A (ko) * 2002-05-06 2003-11-12 인포뱅크 주식회사 음성 메시지 제공 방법
KR20050066646A (ko) *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설 교환기를 통한 푸쉬 투 토크 메세지 방송 시스템 및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756A (ko) * 2002-05-06 2003-11-12 인포뱅크 주식회사 음성 메시지 제공 방법
KR20050066646A (ko) *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설 교환기를 통한 푸쉬 투 토크 메세지 방송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927A (ko) 200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99128B (zh) 用于提供对短消息服务的综合管理功能的方法和移动通信终端
KR100721641B1 (ko) 콜 개시에 대한 무선 요구를 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60111085A1 (en) Ringtone service ser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incoming call notif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CN101199127A (zh) 用于对包括在短消息服务中的电话号码提供超链接功能的方法及移动通信终端
WO2005112401A2 (en) Voice to text messaging system and method
EP1927237A1 (en) Method for responding to a voice connection without having to speak and terminal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20060121926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f talker during PTT call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7995361B (zh) 操作语音信息的方法、蓝牙耳机和智能终端
KR100972351B1 (ko) 개선된 이동 통신 방법 및 단말기
US94910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user ident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8769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종료 후 이동통신망에서의음성 녹음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09000A (ko)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문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JP4440166B2 (ja) 電話機、サーバ装置及び通信方法
CN102150470A (zh) 用于在空闲屏幕上显示缩略图组的方法和移动通信终端
KR101007278B1 (ko) Mms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7116742A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7249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PTT(Push―To―Talk)방식의 통화 알림 장치및 방법
KR2006013534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채팅하는방법
JP2003218995A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673324B1 (ko)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706978B1 (ko)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8059566B1 (en) Voice recognition push to message (PTM)
KR20110030985A (ko) 영상 채팅 방식을 이용한 텍스트-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20094B1 (ko) 동일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다중 서비스를 제공할 때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과금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9905B1 (ko) 피티티 서비스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