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066B1 - 소결장치 및 소결방법 - Google Patents

소결장치 및 소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066B1
KR101665066B1 KR1020140164467A KR20140164467A KR101665066B1 KR 101665066 B1 KR101665066 B1 KR 101665066B1 KR 1020140164467 A KR1020140164467 A KR 1020140164467A KR 20140164467 A KR20140164467 A KR 20140164467A KR 101665066 B1 KR101665066 B1 KR 10166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tering
raw material
exhaust gas
cooler
gaseous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288A (ko
Inventor
박종인
정은호
조병국
정해권
최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6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066B1/ko
Priority to TW104129491A priority patent/TWI639805B/zh
Priority to PCT/KR2015/009979 priority patent/WO2016080650A1/ko
Priority to JP2017523877A priority patent/JP6415714B2/ja
Priority to CN201580062386.1A priority patent/CN107109519B/zh
Priority to EP15860114.6A priority patent/EP3222953B1/en
Publication of KR20160062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05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gas
    • F27D2009/0008Ways to inject gases against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내부에 원료가 장입되는 복수의 소결대차, 상기 소결대차 내의 원료층에 화염을 분사하도록 상기 소결대차 상부에 배치되는 점화로, 상기 소결대차의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원료를 소결시키도록 상기 소결대차의 하부에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윈드박스, 상기 소결대차에서 배출되는 원료에 쿨러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이동경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쿨러, 상기 원료를 냉각시키면서 발생한 쿨러 배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흡입하여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공급하도록 상기 쿨러와 연결되는 쿨러 배가스 순환부, 및 상기 쿨러 배가스에 기체연료를 공급하도록 상기 쿨러 배가스 순환부에 연결되는 기체연료 공급부를 포함하여, 원료의 연소과정을 제어하고 원료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소결장치 및 소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ntered Ore}
본 발명은 소결장치 및 소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의 연소과정을 제어하여 원료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결장치 및 소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공정에서 분철광석과 부원료 및 연료(분코크스, 무연탄) 등을 드럼 믹서에 넣어 혼합 및 조습을 실시한 뒤, 소결대차에 일정 높이로 장입한다. 그리고, 점화로에 의해 표면 점화 후 하방으로부터 공기를 강제 흡인하면서 소결 배합 원료의 소결이 진행되고 소결광이 제조된다. 이후, 소결이 완료된 소결광은 배광되어 파쇄기(crusher)를 거쳐 냉각기(cooler)에서 냉각되고, 고로 내 장입 및 반응에 용이한 입도를 갖는 소결광은 고로로 이송되며, 작은 크기를 갖는 소결광인 분광은 반광으로 분류되어 소결원료로 다시 사용된다.
이러한, 소결공정은 소결대차 하부에 배치된 윈드박스의 부압을 형성하여 소결대차에 흡입력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메인 블로어가 구동되면 윈드박스에 부압이 형성되고, 형성된 부압에 의해 소결대차에 적재된 배합원료는 착화된 표면에서 하부로 공기가 흡입되면서 하향 소결이 진행된다. 그리고, 소결이 완료된 원료는 파쇄기를 거쳐 냉각기에서 분사되는 쿨러가스에 의해 냉각된다.
그러나 소결대차 내의 원료가 소결될 때, 상부층은 외부와 접촉하여 외부 공기에 의해 열에너지를 빼앗기기 때문에, 하부층에 비해 온도 상승이 어렵고, 온도를 상승시켜도 고온 상태의 유지시간이 짧을 수 있다. 이에, 원료 상부에서는 소결반응이 불충분하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생성되는 원료의 품질 및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KR 2014-0016658 A
본 발명은 원료의 연소과정을 제어할 수 있는 소결장치 및 소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료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결장치 및 소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내부에 원료가 장입되는 복수의 소결대차; 상기 소결대차 내의 원료층에 화염을 분사하도록 상기 소결대차 상부에 배치되는 점화로; 상기 소결대차의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원료를 소결시키도록 상기 소결대차의 하부에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윈드박스; 상기 소결대차에서 배출되는 원료에 쿨러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이동경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쿨러; 상기 원료를 냉각시키면서 발생한 쿨러 배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흡입하여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공급하도록 상기 쿨러와 연결되는 쿨러 배가스 순환부; 및 상기 쿨러 배가스에 기체연료를 공급하도록 상기 쿨러 배가스 순환부에 연결되는 기체연료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경로는, 상기 원료가 상기 소결대차 내로 장입되는 장입구간, 상기 원료가 점화되는 점화구간; 및 상기 원료가 소결되는 소결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쿨러 배가스 순환부 및 상기 기체연료 공급부는 상기 소결구간에 연결된다.
상기 쿨러 배가스 순환부 및 상기 기체연료 공급부는, 상기 소결구간의 시작지점부터 상기 이동경로의 1/2 지점 사이를 이동하는 소결대차 상부로 쿨러 배가스 및 기체연료를 공급한다.
상기 쿨러 배가스 순환부는, 상기 소결대차 상부에 배치되고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후드; 일단이 상기 쿨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드에 연결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는 블로어를 포함한다.
상기 기체연료 공급부는, 내부에 기체연료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연료공급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기체연료 공급부는, 내부에 기체연료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일단이 상기 후드에 연결되는 연료공급라인; 및 상기 연료공급라인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기체연료를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분사하는 분사기를 포함한다.
상기 기체연료 공급부는, 상기 연료공급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기체연료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기체연료는 연소 하한농도 이하로 희석되어 공급된다.
상기 윈드박스 중 일부와 연결되고, 상기 일부의 윈드박스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공급하는 소결 배가스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결 배가스 순환부는 상기 이동경로의 1/2 지점부터 상기 소결구간의 종료지점 사이에서 소결 배가스를 순환시킨다.
본 발명은, 소결광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소결대차 내부에 원료를 장입하는 과정; 상기 원료를 점화시키는 과정; 상기 원료의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 소결된 소결광을 배출하고, 상기 소결광에 쿨러가스를 공급하는 과정; 상기 원료를 냉각시키면서 발생한 쿨러 배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소결대차 내의 원료에 공급하는 과정; 및 상기 쿨러 배가스에 기체연료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쿨러 배가스 및 기체연료를 과정은, 상기 원료가 점화되는 지점 이후부터 상기 이동경로의 1/2 지점 사이를 이동하는 소결대차 상부로 상기 쿨러 배가스 및 기체연료를 공급한다.
상기 쿨러 배가스를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쿨러 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쿨러 배가스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쿨러 배가스를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기체연료를 혼합하는 과정은, 상기 쿨러 배가스의 공급이 시작되기 전, 상기 쿨러 배가스의 공급이 시작되는 동시에, 또는 상기 쿨러 배가스의 공급이 시작된 후에 기체연료를 공급한다.
상기 원료의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흡입된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경로의 1/2 지점부터 상기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최대가 되는 지점 사이의 영역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 및 상기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최대가 되는 지점부터 상기 원료의 소결이 완료되는 지점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상기 흡입된 공기를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원료의 상부로 고온의 쿨러 배가스와 기체연료를 공급한다. 이러한 기체연료는 원료의 연소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원료의 상부로 공급되는 기체연료에 의해 원료가 연소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시간 증가로 인해 원료의 온도를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고, 원료가 고온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쿨러 배가스가 원료의 상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원료의 연소가 고온의 쿨러 배가스에 의해 용이해지고, 쿨러 배가스가 공급되는 동안 원료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원료의 소결이 진행되는 동안 원료의 상부부터 하부까지 연소가 용이하게 수행되고 원료가 고온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생성되는 원료의 품질이 향상되고, 투입한 원료 대비 사용가능하게 생산되는 원료의 양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의 소결공정 중 소결층의 단면형상 및 배가스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결방법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의 소결공정 중 소결층의 단면형상 및 배가스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결방법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결장치(100)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내부에 원료가 장입되는 복수의 소결대차(130), 상기 소결대차(130) 내의 원료층에 화염을 분사하도록 상기 소결대차(130) 상부에 배치되는 점화로(110), 상기 소결대차(130)의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원료를 소결시키도록 상기 소결대차(130)의 하부에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윈드박스(140), 상기 소결대차(130)에서 배출되는 원료에 쿨러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이동경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쿨러(172), 상기 원료를 냉각시키면서 발생한 쿨러 배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흡입하여 상기 소결대차(130) 상부로 공급하도록 상기 쿨러(172)와 연결되는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 및 상기 쿨러 배가스에 기체연료를 공급하도록 상기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에 연결되는 기체연료 공급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소결장치(100)는, 장입부(120), 분쇄부(171), 배출부(190), 및 소결 배가스 순환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결대차(130)는 무한궤도방식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폐루프를 형성하여 상부측의 이동경로와 하부측의 회차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동경로에서는 소결대차(140) 내부에 원료를 장입하여 원료를 소결시키고, 회차경로에서는 소결이 완료된 소결광을 배광한 빈 소결대차(130)를 이동시켜 소결공정을 위해 상측의 이동경로로 회차시킨다.
이동경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소결대차(130)가 이동경로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경로는, 이동경로 중 최전방의 위치하고 상기 장입부가 배치되는 장입구간, 장입구간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점화로(110)가 배치되는 점화구간, 및 점화구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원료가 소결되는 소결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입구간은 원료가 소결대차(130) 내로 장입 또는 급광되는 구간이고, 점화구간은 원료가 점화되는 구간이고, 소결구간은 원료의 상부면에 점화된 화염을 하부로 이동시켜 원료를 소결시키는 구간이다.
이때, 후술될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 및 상기 기체연료 공급부(160)는 상기 소결구간에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의 제1 후드(183)가 소결구간에 배치되고, 기체연료 공급부(160)가 제1 후드(183)로 기체연료를 공급하므로, 소결구간으로 쿨러 배가스와 기체연료가 공급될 수 있다.
소결대차(130)는 내부에 원료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복수개가 일방향으로 무한궤도에 설치되어 이동경로 및 회차경로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소결대차(130)는 이동경로 및 회차경로를 이동하면서 원료를 내부로 장입시킨 후 소결시켜 배출 또는 배광할 수 있다.
장입부(120)는 이동경로 중 장입구간에 배치된다. 즉, 장입구간은 장입부(120)의 길이방향 길이와 같은 길이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장입부(120)는 소결대차(130)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원료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호퍼 및 원료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경사면을 장입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호퍼에서 하부로 원료를 배출하면, 원료가 하측의 장입슈트를 통해 소결대차(130)의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점화로(110)는 이동경로 중 점화구간에 배치된다. 즉, 점화구간은 점화로(110)의 길이방향 길이와 같은 길이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점화로(110)는 소결대차(130)의 상부 및 장입부(1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소결대차(130) 내의 원료 상부면으로 화염을 공급하여 착화시킨다.
윈드박스(140)는 복수개가 이동경로를 따라 소결대차(130)의 하부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윈드박스(140)는 점화로(110)와 원료가 소결대차(130)로부터 배출되는 구간 사이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윈드박스(140)는 소결대차(130)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한다. 이에, 소결대차(130) 상부의 공기가 소결대차(130) 내부의 원료를 통과하여 하부의 윈드박스(140)로 흡입된다. 따라서, 윈드박스(14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소결대차(130) 내 원료의 상부면에 착화된 화염이 원료의 하부면으로 이동하여 원료가 소결될 수 있다. 그러나, 윈드박스(140)가 구비되는 구간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배출부(190)는 복수의 윈드박스(140)에 연결되어 윈드박스(140)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부(190)는, 복수의 윈드박스(140)의 하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며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흡입챔버(191), 흡입챔버(191)에 구비되는 집진기(192),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기준으로 집진기(192)의 후방에 배치되는 메인블로어(193), 및 메인블로어(193) 후방에 배치되는 굴뚝(194)을 포함한다. 이에, 메인블로어(193)가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윈드박스(140)를 통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흡입챔버(191)를 따라 메인블로어(193) 측으로 이동하면서 집진기(192)를 통과하여 여과된 후 메인블로어(193)를 지나 굴뚝(194)으로 배출된다. 즉, 메인블로어(193)가 윈드박스(140) 내부에 음압을 형성함으로써 소결대차(130) 상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때, 공기는 흡입챔버(191) 내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파쇄부(171)는 이동경로의 일측 즉, 이동경로의 최후방과 이격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소결이 완료되어 배광된 덩어리 형태의 소결광이 파쇄부(171)로 공급되면 파쇄부(171)에 의해 파쇄된다.
쿨러(172)는 파쇄부(171)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쿨러(172)는 내부에 원료 즉, 소결광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파쇄부(171)에서 파쇄된 소결광이 쿨러(172)로 공급되면, 노즐 등의 쿨러가스 분사기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쿨러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쿨러가스가 소결광에 접촉하여 통과하면서 소결광의 열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소결광은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적정한 크기로 선별되어 고로(미도시)로 장입되고, 작은 크기를 갖는 소결광은 반광으로 분류되어 소결원료로 재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소결대차(130) 내의 원료가 소결될 때, 상부층은 외부와 접촉하여 외부 공기에 의해 열에너지를 빼앗기기 때문에, 하부층에 비해 온도 상승이 어렵고, 온도를 상승시켜도 고온 상태의 유지시간이 짧을 수 있다. 이에, 원료 상부에서는 소결반응이 불충분하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생성되는 원료의 품질 및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 및 기체연료 공급부(160)를 구비하여 소결구간을 이동하는 소결대차(130) 상부로 고온의 쿨러 배가스 및 기체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는, 쿨러(172)와 연결되어 쿨러(172)에서 생성된 쿨러 배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흡입하여 소결대차(130) 상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는, 상기 소결대차(130) 상부에 배치되고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제1 후드(183), 일단이 상기 쿨러(17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후드(183)에 연결되는 제1 연결관(181), 및 상기 제1 연결관(181)에 구비되는 제1 블로어(182)를 포함한다. 또한,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는 온도측정기(미도시) 및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드(183)는 소결대차(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 후드(183)는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1/2 지점 이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후드(183)는 점화로(110)와 후술될 제2 후드(15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후드(183)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소결구간의 시작지점부터 상기 이동경로의 1/2 지점 사이를 이동하는 소결대차(130) 상부로 쿨러 배가스 및 기체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쿨러(172)에서 원료로 공급된 쿨러가스는 고온의 원료가 가지고 있는 열에너지를 흡수하므로 온도가 상승하고, 원료에서 발생한 더스트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점화로(110)와 1/2 지점 사이 구간에서 연소대가 원료의 소결층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원료를 냉각시켜 열에너지를 흡수한 고온의 쿨러 배가스를 제1 후드(183)를 통해 점화로(110)와 1/2 지점 사이 구간의 원료의 상부로 공급하면, 쿨러 배가스가 원료를 통과하면서 원료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원료의 연소가 더욱 용이해지고, 고온의 쿨러 배가스가 공급되는 동안 원료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열에너지를 흡수한 쿨러 배가스를 재사용하여 에너지 사용을 절감할 수 있다. 쿨러 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쿨러 배가스 내 더스트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더스트를 포함한 쿨러 배가스를 소결대차(130) 내 원료로 공급하므로, 더스트를 원료로 재사용할 수 있고, 쿨러 배가스 내 더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설비가 간소화되고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연결관(181)은 일단이 쿨러(172)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후드(183)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연결관(181)은 내부에 쿨러 배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쿨러(172)에서 원료로 공급된 쿨러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연결관(181)의 일단으로 흡입하고 이러한 쿨러가스를 제1 후드(183)로 공급하여 하부의 원료를 향하여 배출할 수 있다.
제1 블로어(182)는 제1 연결관(181) 즉, 쿨러 배가스의 이동경로에 배치된다. 제1 블로어(182)는 제1 연결관의 일단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쿨러(172)에서 쿨러가스를 공급하고 제1 블로어(182)가 제1 연결관(181)에 흡입력을 제공하면, 쿨러(172)에서 공급된 쿨러가스가 원료를 통과하면서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쿨러 배가스가 된 후 제1 연결관(181)의 일단으로 흡입되어 쿨러(172)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도측정기는 제1 연결관(181)에 구비되고 제1 연결관(181)을 이동하는 쿨러 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온도측정기로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기는 온도측정기 및 제1 블로어(182)와 연결되어, 제1 블로어(182)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쿨러(172)에서 흡입된 쿨러 배가스를 점화로(110)와 1/2 지점 사이의 원료로 공급하는 이유는 원료 내 연소를 돕기 위해서이다. 원료 내 연소를 돕기 위해서는 쿨러 배가스가 고온이어야 한다. 쿨러 배가스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오히려 원료의 열에너지를 빼앗아 연소를 방해할 수 있다.
이에, 제1 연결관(181)을 통과하는 쿨러 배가스의 온도를 온도측정기로 측정하여 제1 블로어(18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는 온도측정기에서 측정된 쿨러 배가스의 온도가 섭씨 100도 미만인 경우, 제1 블로어(182)의 작동을 중단시켜 쿨러 배가스가 제1 후드(183)로 공급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기는 온도측정기에서 측정된 쿨러 배가스의 온도가 섭씨 100도 이상인 경우, 제1 블로어(182)를 작동시켜 쿨러 배가스를 제1 후드(183)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대가 소결층 상부에 위치하는 원료에 고온의 쿨러 배가스만을 공급하여 고온의 쿨러 배가스를 통해 원료 내 연소를 도와줄 수 있다.
기체연료 공급부(160)는,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에 연결되고, 기체연료를 공급하여 쿨러 배가스와 혼합시킨 후 소결대차(130)의 상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기체연료 공급부(160)는, 내부에 기체연료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연결관(181)에 연결되는 연료공급라인(161)을 포함하고, 제어밸브(162)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공급라인(161)은 기체연료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일단이 제1 연결관(181)과 연통된다. 이에, 연료공급라인(161) 내를 이동하는 기체연료가 제1 연결관(181)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1 연결관(181) 내부를 이동하는 쿨러 배가스와 만나 혼합된다. 그리고, 혼합된 기체연료와 쿨러 배가스는 제1 연결관(181)을 따라 이동하여 제1 후드(183)를 통해 소결대차(130) 상으로 공급된다.
제어밸브(162)는 상기 연료공급라인(161)에 구비되어 상기 기체연료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어밸브(162)의 작동을 제어하면 소결대차(130) 상으로 공급되는 기체연료의 양이나 기체연료가 공급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기체연료로 천연가스(LNG), 석유가스(LPG), 코크스 오븐 가스(COG: Coke Oven Gas), 용광로 가스(BFG: Blast Furnace Gas), 일산화탄소(CO), 수소(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체연료는 소결대차(130) 내의 원료로 공급되어 원료의 연소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원료의 상부로 공급되는 기체연료에 의해 원료가 연소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시간 증가로 인해 원료의 온도를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고, 원료가 고온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연성을 가진 다양한 기체 형태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체연료는 연소 하한농도 이하로 희석되어 공급될 수 있다. 즉, 기체연료는 소결대차(130) 상으로 공급된 후 연소되어 원료의 소결을 용이하게 해주어야 한다. 그런데, 기체연료가 제1 연결관(181) 내에서 고온의 쿨러 배가스와 만나 연소된 후 소결대차(130) 상으로 공급되면 원료의 소결에 도움을 줄 수 없다. 따라서, 기체연료가 소결대차(130) 상으로 공급되기 전에 쿨러 배가스와 혼합되어 연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체연료를 연소 하한농도 이하로 희석할 수 있다. 이에, 기체연료가 제1 연결관(181) 내에서 고온의 쿨러 배가스를 만나더라도 연소되지 않고 소결대차(130) 상으로 공급된 후 원료 내 화염에 의해 연소되어 원료의 소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기체연료의 연소하한 농도는 온도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즉, 기체연료의 온도가 상승할수록 연소하한 농도는 감소하고, 기체연료의 온도가 감소할수록 연소하한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체연료로 LNG를 사용하는 경우, 섭씨 200도에서 LNG의 연소하한 농도는 약 4.2%일 수 있고, 섭씨 400도에서 LNG의 연소하한 농도는 약 3.6%일 수 있고, 섭씨 600도에서 LNG의 연소하한 농도는 약 2.9%일 수 있다.
이렇게 기체연료의 연소하한 농도가 온도조건에 가변하기 때문에, 온도조건에 맞추어 기체연료의 연소하한 농도를 희석해야 한다. 이에, 기체연료와 만나 기체연료의 온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쿨러 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고, 쿨러 배가스의 온도에 따라 기체연료의 연소하한 농도를 조절해야한다. 즉, 쿨러 배가스의 온도가 높으면 기체연료가 조금 공급되어도 연소가 용이하게 일어나고, 쿨러 배가스의 온도가 낮으면 기체연료를 많이 공급해야 연소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쿨러 배가스 온도에 해당하는 기체연료의 연소하한 농도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기체연료의 연소하한 농도를 희석하여 원료 상으로 공급해야 한다. 이때, 쿨러 배가스의 온도는 섭씨 100~300도 일 수 있다. 그러나, 쿨러 배가스의 온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처럼, 기체연료와 고온의 쿨러 배가스를 원료에 공급해주므로, 원료의 소결이 진행되는 동안 원료의 상부부터 하부까지 연소가 용이하게 수행되고 원료가 고온의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생성되는 원료의 품질이 향상되고, 투입한 원료 대비 사용가능하게 생산되는 원료의 양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소결 배가스 순환부(150)는, 상기 윈드박스(140) 중 일부와 연결되고, 상기 일부의 윈드박스(140)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소결대차(130) 상부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소결 배가스 순환부(150)는 상기 이동경로의 1/2 지점부터 상기 소결구간의 종료지점 사이에서 소결 배가스를 순환시킬 수 있다.
소결 배가스 순환부(150)는, 상기 윈드박스(140)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순환챔버(151), 상기 소결대차(13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제2 후드(154), 일단이 상기 순환챔버(15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후드(154)에 연결되는 제2 연결관(153), 및 상기 제2 연결관(153)에 구비되는 제2 블로어(152)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챔버(151)는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복수의 윈드박스(140) 중 일부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순환챔버(151)는 이동경로의 1/2 지점부터 상기 흡입된 공기의 온도가 최대가 되는 지점(이하 BTP) 사이에 배치되는 윈드박스(140)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풍량은 소결층의 통기저항에 영향을 받으며, 통기저항은 소결완료층, 연소대, 및 미소결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통기저항이 큰 연소대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풍량은 점차 감소하여 이동경로의 1/2 지점과 BTP의 중간영역에서 최소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통기저항이 큰 영역에서는 윈드박스(140)에 의해 원료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감소하여 소결이 진행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경로의 1/2 지점(이하 1/2 지점)과 BTP 사이에 배치되는 윈드박스(140)들을 순환챔버(151)와 연결하면, 후술될 제2 블로어(152)가 전체 윈드박스(140) 중 일부의 윈드박스에만 흡입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메인블로어(193) 하나로 전체의 윈드박스(140)에 흡입력을 제공할 때보다 더 큰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 블로어(152)와 연결되는 윈드박스(140) 수가 적어 흡입력이 덜 분할되어 제2 블로어(152)와 연결된 각 윈드박스의 흡입력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1/2 지점과 BTP 사이의 연소대에서 통기저항이 크더라도, 제2 블로어(152)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이 크기 때문에, 1/2 지점과 BTP 사이에서 소결대차(130) 내의 풍량이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소결대차(130) 내의 원료의 통기저항 때문에 공기의 이동이 방해를 받을 수 있지만,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이 증가하여 통기저항으로 인해 감소한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료의 소결이 원활하게 진행되어 소결된 원료 즉, 소결광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1/2 지점과 BTP 사이에 배치되는 윈드박스들이 순환챔버(151)에 연결되는 경우, 1/2 짐과 BTP 사이의 윈드박스들을 제외한 나머지 윈드박스들은 흡입챔버(191)에 연결된다. 그러나, 순환챔버(151)에 연결되는 윈드박스(140)들의 영역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후드(154)는 소결대차(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순환챔버(151)로 흡입된 공기 즉, 소결 배가스를 원료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후드(154)는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순환챔버(151)와 연결된 윈드박스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후드(154)는 BTP 이후부터 최후방까지 배치되는 윈드박스들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후드(154)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순환챔버(15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원료의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고온이기 때문에, 일반외부 온도의 공기보다 부피가 클 수 있다. 이에, 윈드박스(140)가 흡입할 수 있는 공기의 부피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후드(154)가 공기를 공급하는 영역 또는 제2 후드(154)가 커버하는 윈드박스(140)의 수가 작아지면 제2 후드(154)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하측의 윈드박스들로 모두 흡입되지 못하고 일부가 외부로 유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제2 후드(154)의 연장되는 길이를 증가시키면 하측에 배치되는 윈드박스(140)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제2 후드(154)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하측의 윈드박스(140)들이 충분히 흡입하여 제2 후드(154)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의 제2 후드(154)의 길이는 제2 후드(154)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개수의 윈드박스(140)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야 한다.
한편, 제2 후드(154)는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BTP 이후부터 최후방까지 배치되는 윈드박스들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1/2 지점과 BTP 사이의 윈드박스(140)에서 흡입된 공기 즉, 소결 배가스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외부의 공기보다 산소의 농도가 낮기 때문에, 이러한 공기를 연소가 일어나는 구간의 원료로 공급하면 연소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가 거의 또는 완전히 종료되는 이동경로 후방의 원료 예를 들어, BTP 이후부터 최후방까지 배치되는 윈드박스(140)들 상부의 원료로 1/2 지점과 BTP 사이에서 흡입된 공기 즉, 소결 배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후드(154)의 위치나 공기를 공급하는 영역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챔버(151)와 연결되는 윈드박스와 제2 후드(154)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윈드박스 중 일부는 중복될 수 있다.
제2 연결관(153)은 일단이 순환챔버(15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후드(154)에 연결된다. 또한, 제2 연결관(153)은 내부에 순환챔버(151)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순환챔버(151)로 유입된 공기가 제2 연결관(153)을 통해 제2 후드(154)로 공급되어 하부의 원료를 향하여 배출될 수 있다.
제2 블로어(152)는 제2 연결관(153)에 구비되어 순환챔버(151)에 연결된 윈드박스(140)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한다. 제2 블로어(152)는 메인블로어(193)보다 흡입력을 제공하는 윈드박스(140)의 개수가 적다. 따라서, 제2 블로어(152)와 메인블로어(193)가 제공하는 흡입력의 크기가 같더라도, 제2 블로어(152)로부터 흡입력을 제공받는 윈드박스의 흡입력이 더 많이 분할되는 메인블로어(193)의 흡입력을 제공받는 윈드박스보다 더 클 수 있다. 그러나, 제2 블로어(152)의 흡입력의 크기 및 흡입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체연료 공급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체연료 공급부(160)는, 내부에 기체연료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일단이 상기 제1 후드(183)에 연결되는 연료공급라인(161), 및 상기 연료공급라인(161)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기체연료를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분사하는 분사기(163)를 포함하고, 제어밸브(162)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공급라인(161)은 제1 후드(183)에 직접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공급라인(161)의 일단이 제1 후드(183)를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연료공급라인(161)으로 공급되는 기체연료가 제1 후드(183) 내에서 제1 연결관(181)을 통해 공급되는 쿨러 배가스와 혼합되어 소결대차(130) 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연료공급라인(161)에 제어밸브(162)가 구비되어 상기 기체연료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어밸브(162)의 작동을 제어하면 소결대차(130) 상으로 공급되는 기체연료의 양이나 기체연료가 공급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분사기(163)는 제1 후드(183)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후드(183)를 관통하는 연료공급라인(161)의 일단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기(163)는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연료공급라인(161)을 따라 분사기(163)로 이동한 기체연료가 노즐을 통해 소결대차(130) 상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분사기(163)의 구조 및 소결대차(130) 상으로 기체연료를 공급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기체연료는 원료의 연소시간을 연장시켜줄 수 있고, 고온의 쿨러 배가스는 원료에 열에너지를 제공해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체연료와 고온의 쿨러 배가스를 원료에 공급해주므로, 원료의 소결이 진행되는 동안 원료의 상부부터 하부까지 연소가 용이하게 수행되고 원료가 고온의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생성되는 원료의 품질이 향상되고, 투입한 원료 대비 사용가능하게 생산되는 원료의 양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결방법은, 소결광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소결대차 내부에 원료를 장입하는 과정(S100), 상기 원료를 점화시키는 과정(S200), 상기 원료의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S300), 소결된 소결광을 배출하고, 상기 소결광에 쿨러가스를 공급하는 과정(S400), 상기 원료를 냉각시키면서 발생한 쿨러 배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소결대차 내의 원료에 공급하는 과정(S500), 및 상기 쿨러 배가스에 기체연료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과정(S6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경로는 상기 소결장치(100)에서 설명한 이동경로와 동일하다.
우선, 복수의 소결대차(130)를 장입부(120)의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장입부(120)를 통해 복수의 소결대차(130) 각각에 원료를 장입하여 원료층을 형성한다. 복수의 소결대차(130)가 점화로(110)의 하측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 점화로(110)에 의해 원료층의 상부에 화염이 착화되고, 각 소결대차(130)는 소결구간을 거쳐 원료를 소결시킨다. 즉, 소결대차(130)가 소결구간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소결구간 내 윈드박스(140)의 흡입력에 의해 원료층 상부의 화염이 하부로 이동하여 원료를 연소시키면서 소결광이 제조된다. 소결이 완료된 원료 즉, 소결광은 소결대차(130)에서 배출된 후 쿨러(172)로 이송되고, 쿨러(172)에서 공급되는 쿨러가스에 의해 냉각된다.
이때, 흡입된 공기 중 일부를 소결대차(130) 내의 원료에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소결대차(130)의 이동경로의 1/2 지점부터 윈드박스(140)에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최대가 되는 지점(BTP) 사이의 영역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 구간에서는 원료 내 통기저항이 크기 때문에 풍량이 최소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소결 배가스 순환부(150)를 구비하여 이 구간에 배치되는 윈드박스(140)들에 제공되는 흡입력을 향상시켜 1/2 지점과 BTP 사이에서 원료 내의 풍량이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원료의 소결이 원활하게 진행되어 소결된 소결광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윈드박스(140)를 통해 소결 배가스 순환부(150)의 순환챔버(151)로 유입된 공기 즉, 소결 배가스는 소결대차(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후드(154)를 통해 하측의 원료를 향하여 공급된다. 제2 후드(154)는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BTP 이후부터 최후방까지 배치되는 윈드박스들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1/2 지점과 BTP 사이의 윈드박스(140)에서 흡입된 공기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외부의 공기보다 산소의 농도가 낮기 때문에, 이러한 공기를 연소가 일어나는 구간의 원료로 공급하면 연소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가 거의 또는 완전히 종료되는 이동경로 후방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소결이 완료된 원료를 냉각시키고 발생한 쿨러 배가스를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를 통해 순환시켜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체연료 공급부(160)를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에 연결하여, 쿨러 배가스와 기체연료를 혼합하여 소결대차(130) 내 원료 상에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이동경로 중 원료가 점화되는 지점 이후부터 이동경로의 1/2 지점 사이를 이동하는 소결대차(130) 상부로 상기 쿨러 배가스 및 기체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구간에서는 연소대가 원료의 소결층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원료를 냉각시켜 열에너지를 흡수한 고온의 쿨러 배가스를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의 제1 후드(183)를 통해 점화로(110)와 1/2 지점 사이 구간의 원료의 상부로 공급하면, 쿨러 배가스가 원료를 통과하면서 원료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원료의 연소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이에, 연소효율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투입한 원료 대비 사용가능하게 생산되는 원료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열에너지를 흡수한 쿨러 배가스를 재사용하여 에너지 사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쿨러 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고, 쿨러 배가스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가 쿨러 배가스를 원료에 공급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온도는 섭씨 100도일 수 있다. 즉, 쿨러 배가스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쿨러 배가스가 원료를 통과하면서 오히려 원료의 열을 빼앗아 원료의 연소를 방해할 수 있다. 이에, 원료의 연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열에너지를 충분히 가기고 있는 쿨러 배가스 예를 들어, 섭씨 100도 이상의 쿨러 배가스만을 원료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로 흡입되는 쿨러 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고, 쿨러 베가스의 온도를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설정온도 이상이면 제1 블로어(182)의 작동을 제어하여 쿨러 배가스를 제1 후드(183)를 통해 원료 상으로 공급하고, 설정온도 미만이면 제1 블로어(182)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1 후드(183)에 쿨러 배가스 공급을 중단하고 쿨러 배가스가 원료 상으로 공급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그러나, 설정온도 값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기체연료 공급부(160)를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와 연결하여 쿨러 배가스와 기체 연료를 소결대차(130) 상으로 함께 공급할 수 있다. 기체연료 공그부(160)는 쿨러 배가스 순환부(180)의 제1 후드(183) 또는 제1 연결관(181)과 연결된다. 이에, 기체연료 공급부(160)가 기체연료를 공급하면, 기체연료가 제1 후드(183) 또는 제1 연결관(181)에 공급되고, 제1 후드(183) 또는 제1 연결관(181) 내를 이동하는 쿨러 배가스와 만나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된 쿨러 배가스와 기체연료는 소결대차(130) 내의 원료로 공급되어 원료의 소결이 원활하게 진행되게 할 수 있다.
기체연료와 쿨러 배가스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쿨러 배가스의 공급이 시작되기 전, 상기 쿨러 배가스의 공급이 시작되는 동시에, 또는 상기 쿨러 배가스의 공급이 시작된 후에 기체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 연결관(181) 또는 제1 후드(183)를 통해 기체연료를 소결대차(130) 상에 먼저 공급하면서 쿨러 배가스를 공급할 수도 있고, 기체연료와 쿨러 배가스를 동시에 공급할 수도 있고, 쿨러 배가스를 먼저 공급하면서 기체연료를 공급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체연료와 쿨러 배가스가 공급되는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기체연료는 원료의 연소시간을 연장시켜 줄 수 있고, 고온의 쿨러 배가스는 원료에 열에너지를 제공해줄 수 있다. 즉, 소결대차(130) 내 원료의 상부면으로 기체연료가 공급되면, 기체연료과 원료 내 점화부(110)로 인해 생성된 화염과 만나 연소될 수 있다. 기체연료의 연소는 원료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와 접촉하는 원료 상부의 온도도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원료의 상부에서 하부로 방향으로 공급되는 기체연료는 원료의 중간부나 하부에도 공급되어 원료 내 화염이 하측으로 이동할 때 연소되어 원료 내 연소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중에 고온의 쿨러 배가스가 공급되어 원료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므로, 원료의 연소를 돕고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체연료와 고온의 쿨러 배가스를 원료에 공급해주므로, 원료의 소결이 진행되는 동안 원료의 상부부터 하부까지 연소가 용이하게 수행되고 원료가 고온의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생성되는 원료의 품질이 향상되고, 투입한 원료 대비 사용가능하게 생산되는 원료의 양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소결장치 110: 점화로
120: 장입부 130: 소결대차
140: 윈드박스 150: 소결 배가스 순환부
160: 기체연료 공급부 172: 쿨러
180: 쿨러 배가스 순환부 190: 배출부

Claims (14)

  1.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내부에 원료가 장입되는 복수의 소결대차;
    상기 소결대차 내의 원료층에 화염을 분사하도록 상기 소결대차 상부에 배치되는 점화로;
    상기 소결대차의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원료를 소결시키도록 상기 소결대차의 하부에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윈드박스;
    상기 소결대차에서 배출되는 원료에 쿨러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이동경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쿨러;
    상기 배출된 원료를 냉각시키면서 발생한 쿨러 배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흡입하여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공급하도록 상기 쿨러와 연결되는 쿨러 배가스 순환부; 및
    상기 쿨러 배가스에 기체연료를 공급하도록 상기 쿨러 배가스 순환부에 연결되는 기체연료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쿨러 배가스 순환부는, 소결구간의 시작지점부터 상기 이동경로의 1/2 지점 사이를 이동하는 소결대차 상부로 쿨러 배가스를 공급하는 소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는, 상기 원료가 상기 소결대차 내로 장입되는 장입구간, 상기 원료가 점화되는 점화구간; 및 상기 원료가 소결되는 소결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쿨러 배가스 순환부 및 상기 기체연료 공급부는 상기 소결구간에 연결되는 소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체연료 공급부는, 상기 소결구간의 시작지점부터 상기 이동경로의 1/2 지점 사이를 이동하는 소결대차 상부로 기체연료를 공급하는 소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쿨러 배가스 순환부는, 상기 소결대차 상부에 배치되고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후드; 일단이 상기 쿨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드에 연결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는 블로어를 포함하는 소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체연료 공급부는, 내부에 기체연료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연료공급라인을 포함하는 소결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체연료 공급부는, 내부에 기체연료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일단이 상기 후드에 연결되는 연료공급라인; 및 상기 연료공급라인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기체연료를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분사하는 분사기를 포함하는 소결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체연료 공급부는, 상기 연료공급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기체연료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소결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체연료는 연소 하한농도 이하로 희석되어 공급되는 소결장치.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박스 중 일부와 연결되고, 상기 일부의 윈드박스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공급하는 소결 배가스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결 배가스 순환부는 상기 이동경로의 1/2 지점부터 상기 소결구간의 종료지점 사이에서 소결 배가스를 순환시키는 소결장치.
  10. 소결광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소결대차 내부에 원료를 장입하는 과정;
    상기 원료를 점화시키는 과정;
    상기 원료의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
    소결된 소결광을 배출하고, 상기 소결광에 쿨러가스를 공급하는 과정;
    상기 배출된 원료를 냉각시키면서 발생한 쿨러 배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소결대차 내의 원료에 공급하는 과정; 및
    상기 쿨러 배가스에 기체연료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쿨러 배가스를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원료가 점화되는 지점 이후부터 상기 이동경로의 1/2 지점 사이를 이동하는 소결대차 상부로 상기 쿨러 배가스를 공급하는 소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체연료를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원료가 점화되는 지점 이후부터 상기 이동경로의 1/2 지점 사이를 이동하는 소결대차 상부로 기체연료를 공급하는 소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쿨러 배가스를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쿨러 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쿨러 배가스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쿨러 배가스를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소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기체연료를 혼합하는 과정은,
    상기 쿨러 배가스의 공급이 시작되기 전, 상기 쿨러 배가스의 공급이 시작되는 동시에, 또는 상기 쿨러 배가스의 공급이 시작된 후에 기체연료를 공급하는 소결방법.
  14.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의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흡입된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경로의 1/2 지점부터 상기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최대가 되는 지점 사이의 영역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 및 상기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최대가 되는 지점부터 상기 원료의 소결이 완료되는 지점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소결대차 상부로 상기 흡입된 공기를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소결방법.
KR1020140164467A 2014-11-18 2014-11-24 소결장치 및 소결방법 KR10166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467A KR101665066B1 (ko) 2014-11-24 2014-11-24 소결장치 및 소결방법
TW104129491A TWI639805B (zh) 2014-11-18 2015-09-07 燒結設備及燒結方法
PCT/KR2015/009979 WO2016080650A1 (ko) 2014-11-18 2015-09-23 소결장치 및 소결방법
JP2017523877A JP6415714B2 (ja) 2014-11-18 2015-09-23 焼結装置及び焼結方法
CN201580062386.1A CN107109519B (zh) 2014-11-18 2015-09-23 烧结设备和烧结方法
EP15860114.6A EP3222953B1 (en) 2014-11-18 2015-09-23 Sintering apparatus and sinte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467A KR101665066B1 (ko) 2014-11-24 2014-11-24 소결장치 및 소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288A KR20160062288A (ko) 2016-06-02
KR101665066B1 true KR101665066B1 (ko) 2016-10-25

Family

ID=56135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467A KR101665066B1 (ko) 2014-11-18 2014-11-24 소결장치 및 소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06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083B1 (ko) * 2016-10-18 2017-11-10 주식회사 포스코 배가스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862152B1 (ko) * 2016-12-12 2018-05-3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KR20180062740A (ko)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 설비
KR20180062741A (ko)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 설비
KR20180086701A (ko) 2017-01-23 2018-08-0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KR20180086702A (ko) 2017-01-23 2018-08-0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KR20190069094A (ko)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장치 및 소결 방법
WO2023035050A1 (pt) 2021-09-09 2023-03-16 Fct Holdings Pty Ltd QUEIMADOR DE BAIXA EMISSÃO DE NOx E MÉTODO OPERACIONAL PARA REDUÇÃO DE FORMAÇÃO DE NOx APLICADO EM PROCESSO DE SINTERIZAÇÃO E/OU ENDURECIMENTO DE PELOTAS DE MINÉRIO DE FERR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2852A4 (en) * 2016-07-29 2019-07-03 Posco SINK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SINTERED ORE USING THE SAME
WO2018097674A1 (ko) * 2016-11-28 2018-05-3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 설비
JP2020513528A (ja) * 2016-12-01 2020-05-14 ポスコPosco 焼結鉱製造設備
KR101921940B1 (ko) 2016-12-02 2018-11-26 주식회사 포스코 통기성 측정기 및 소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078B1 (ko) 2012-07-30 2014-03-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083B1 (ko) * 2016-10-18 2017-11-10 주식회사 포스코 배가스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20180062740A (ko)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 설비
KR20180062741A (ko)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 설비
KR101862152B1 (ko) * 2016-12-12 2018-05-3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KR20180086701A (ko) 2017-01-23 2018-08-0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KR20180086702A (ko) 2017-01-23 2018-08-0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KR20190069094A (ko)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장치 및 소결 방법
WO2023035050A1 (pt) 2021-09-09 2023-03-16 Fct Holdings Pty Ltd QUEIMADOR DE BAIXA EMISSÃO DE NOx E MÉTODO OPERACIONAL PARA REDUÇÃO DE FORMAÇÃO DE NOx APLICADO EM PROCESSO DE SINTERIZAÇÃO E/OU ENDURECIMENTO DE PELOTAS DE MINÉRIO DE FERR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288A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066B1 (ko) 소결장치 및 소결방법
JP6415714B2 (ja) 焼結装置及び焼結方法
KR101461580B1 (ko) 소결광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US8974571B2 (en) Partially-reduced iron producing apparatus and partially-reduced iron producing method
US8961650B2 (en) Partially-reduced iron producing method and partially-reduced iron producing apparatus
JP2018503046A (ja) 焼結機及び焼結方法
JP2013130368A (ja) 焼結機および気体燃料供給方法
JP6688396B2 (ja) 焼結装置及び焼結方法
JP2020002457A (ja) Dl焼結機およびdl焼結機を用いた焼結鉱の製造方法
KR101719518B1 (ko) 소결장치 및 소결방법
JP5699453B2 (ja) 焼結機および焼結鉱の製造方法
KR101962381B1 (ko) 소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방법
KR101862152B1 (ko) 소결광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JP2013129894A (ja) 焼結機および気体燃料供給方法
KR101981452B1 (ko) 소결장치 및 소결방법
KR20170091212A (ko) 가스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광 제조 장치
KR101705055B1 (ko) 원료처리방법
JP2020003123A (ja) ドワイトロイド焼結機
JP7311784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
JP2010126774A (ja) 焼結鉱の製造方法
JP2012167156A (ja) フェロコーク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190076675A (ko) 소결광 제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