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019B1 - 전력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019B1
KR101665019B1 KR1020150050931A KR20150050931A KR101665019B1 KR 101665019 B1 KR101665019 B1 KR 101665019B1 KR 1020150050931 A KR1020150050931 A KR 1020150050931A KR 20150050931 A KR20150050931 A KR 20150050931A KR 101665019 B1 KR101665019 B1 KR 101665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anagement
access point
sensing device
power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점
최중인
윤재원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50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019B1/ko
Priority to PCT/KR2015/004784 priority patent/WO2016163584A1/ko
Priority to US15/035,834 priority patent/US2017010890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력관리서버, 전력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며, 주소와 아이디를 가지는 액세스포인트, 액세스포인트에 연결되며 아이디를 가지는 감지장치, 감지장치와 연결된 액세스포인트의 주소와 아이디 정보를 가지며, 전력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전력관리서버에 위치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와 온도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보상 정보를 생성하는 보상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전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관리 방법{ELECTRIC POWER MANAGEMENT METHOD}
본 개시는 감지장치를 이용한 위치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는 감지장치와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전력과 관련한 가전기기의 사용을 자발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위치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전력 공급자는 전력량이 피크에 도달하는 경우 참여자(수용가)의 전력량 감축을 유도하기 위해 수요 반응(DR: Demand Response) 서비스를 운용한다. 이 서비스에 따르면, 공급자가 전력량 피크를 예고하고, 예고 메세지를 전달받은 참여자가 사용 전력량을 줄이도록 한다. 여기서 줄어든 사용 전력량은 공급자가 참여자에게 일정한 형식으로 보상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살펴보면, 여름철이나 겨울철 전력량 피크가 예상되거나 피크인 시기에, 전력 거래소에서 DR 신호(감축명령)를 발행한다. 그러면, DR 사업에 참여하는 사업자들은 자체에서 관리하는 수용가들에게 다시 DR 신호에 따른 전력 감축 메세지를 전달한다. 이 메세지에 따라 전력을 절감한 수용가들은 추후에 전력 절감으로 얻은 이익을 정산 받도록 한다. 전력을 관리하기 위해 이런 방법으로 공급자의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으나, 이런 시스템에서의 전력 절감은 수용가 내의 개개인들에게 제대로 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며, 얼마나 자발적으로 움직이는지 알 수 없게 되어 있어 그 효과에 한계가 있다.
도 1에서 설명하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3464호에 따르면, 에너지 절감을 위해 스마트 가전(12,13)에서 제어 가능한 기능을 외부 에너지 공급자(10)와의 인터페이스가 되는 에너지 서비스 인터페이스(11)나 계량기에 알려주고, 사용자가 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특정 조건에 해당하게 되면 직접 제어하여 에너지 절감을 달성하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 가전(12,13) 직접 제어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발명에 따르면 전력 수급이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사용자(15)가 허락한 범위 내에서 직접 스마트 가전(12, 13)을 제어하여 전력 소비를 줄여 대규모 정전과 같은 사태를 막을 수 있고, 사용자는 스마트 가전(12, 13)의 제어권을 허락된 범위 내에서 에너지 제공자에게 맡김으로써 정전이라는 최악의 사태를 막고 전력 수급이 좋지 않을 때 에너지 제공의 연속성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된다. 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댁내에 월 패드(Wall Pad, 14), 에너지 공급자와 댁내 전기기기들과의 인터페이스(ESI, Energy Service Interface, 11)등의 추가적 구성이 필요하며, 그나마도 제한적인 범위(사용자가 허락한 범위) 내에서만 전력을 감축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력 감축을 통한 직접적인 이익 대비 시스템 설치 비용이 과도하여 현실화 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 전력관리서버, 전력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며, 주소와 아이디를 가지는 액세스포인트, 액세스포인트에 연결되며 아이디를 가지는 감지장치, 감지장치와 연결된 액세스포인트의 주소와 아이디 정보를 가지며, 전력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전력관리서버에 위치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와 온도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보상 정보를 생성하는 보상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전력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1은 종래 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3464호에 개시된 전력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를 이용하는 위치기반 전력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를 이용하는 위치기반 전력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서버와 데이터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전력관리서버, 감지장치의 데이터 이동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포인트, 감지장치,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가 추가된 전력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감지장치를 이용하는 전력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력 공급자(200)는 수요자에게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망(Power Grid)을 가진다. 이 전력망을 통해서 수요자에게 전기를 공급한다. 전력 공급자는 이런 전력망의 전력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전력관리서버(201)를 가진다.
전력망 내에는 단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여러 개의 하부 그룹이 형성될 수 있다. 보통은 전력 공급자(200)가 지정한 사업자가 있고, 그 사업자에 가입되어 있는 수용가가 있을 수 있고, 수용가에는 최종 사용자 그룹(202, 203), 예를 들어 일반 가구가 최종적으로 전기를 공급받게 된다.
도 2에서는 최종 사용자 그룹(202, 203)을 기준으로, 이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전력망 내에서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관리 시스템은 전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 처리하는 전력관리서버(201)를 가진다. 전기 계량기 등에서 측정한 전력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전력을 나타내는 또 다른 수치, 예를 들어, 특정 공간의 온도 변화, 조도 변화와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이 시스템의 최종 사용자 그룹(202, 203) 내에는 인터넷 혹은 자체 인프라에 의해 전력관리서버(201)와 연결이 가능하며, 고유의 주소와 아이디를 가지는 액세스포인트(210)(AP, Access Point), 액세스포인트(210)에 연결되며 고유의 아이디를 가지는 감지장치(220), 그리고 전력관리서버(201)와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240)가 있다.
최종 사용자 그룹(202, 203)에 설치된 감지장치(220)는 인터넷 등에 접속하여 통신 가능하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감지장치(220)는 스마트 온도계일 수 있다. 감지장치(220)는 특정 공간 내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 모니터링한다. 이렇게 감지된 정보는 자체 내에서 정보가공 단계를 거치던지, 전력관리서버(201)에 보내어져 저장된다.
감지장치(220)는 전력망 혹은 인터넷망 내에 설치될 때, 감지장치(220)의 아이디(ID)와 감지장치(220)가 사용하고 있는 액세스포인트(210)의 아이디(ID)와 MAC주소를 전력관리서버(201)에 등록하도록 한다. 이것은 사용자의 프로그램 설치나 임의 등록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설치 시 자동으로 정보를 보내는 플러그앤드플레이(Plug and Play) 기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감지장치(220)는 스마트 온도계 또는 스마트 조도감지장치 일 수 있다. 최종 사용자 그룹(202, 203) 내의 특정한 공간에는 이 감지장치(220)와 가전기기(230)가 함께 있게 된다. 감지장치(220)가 스마트 온도계인 경우, 감지장치(220)는 그 특정 공간 내의 온도를 측정한다. 그 특정 공간에는 냉방과 난방에 관련된 가전기기(230)들이 있을 것이고, 이들의 작동, 작동되는 정도에 따라 온도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 온도변화는 지속적으로 혹은 단속적으로 스마트 온도계에 의해 감지되어 자체 내의 메모리나 전력관리서버(201)의 데이터 저장부(340)에 그 감지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감지장치(220)가 스마트 조도장치인 경우, 감지장치(220)는 그 특정 공간의 빛에 의한 조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그 특정 공간 내에 있는 조명과 관련한 가전기기(230)가 있을 수 있고, 그의 작동이나 작동 정도에 따라 스마트 조도장치가 측정하는 빛의 양은 달라질 것이다. 이것은 온도계와 마찬가지로, 자체 내의 메모리나 전력관리서버(201)의 데이터 저장부(340)에 그 감지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감지장치(220)가 설치되면, 전력관리서버(201)는 이를 통해 최종 사용자 그룹(202, 203) 내의 전력 사용량 내지는 감지장치에 의해 전력 사용량을 추정하게 하는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이 들을 모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관리서버(201)는 감지장치(220)의 설치시 특정된 액세스포인트(210)의 정보에 따라, 감지장치(22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액세스포인트(210)는 자체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와 아이디(ID)를 가진다. 이를 이용하여, 액세스포인트(210)는 통신 네트워크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더불어, 액세스포인트(210)에 연결되는 감지장치(220)와 사용자 단말기(230)의 위치 역시 부가적으로 특정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전력망 사업자의 자체 인프라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인터넷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유선과 무선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무선 액세스포인트(210)인 경우에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와 같은 업계 표준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들을 유선의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액세스포인트(210)는 일반적으로 유선망을 중계하는 라우터에 연결되며 컴퓨터, 프린터 또는 스마트폰 등 각종 모바일 기기와 같은 무선 장치와 네트워크상의 유선 장치 간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포인트(210)는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비밀번호를 가지고 있는, 허용된 사용자만이 액세스포인트(210)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전력관리서버(201)에 이벤트 결과정보(252)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240)는 공급자(200) 측에서 설치한 임의의 단말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패드형 컴퓨터, 노트북 등의 각종 통신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이 사용자 단말기(240)에는 전력관리서버(201)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인 위치기반참여 앱(App, Application Program)이 설치된다. 이 앱은 전력관리서버(201)가 보내는 이벤트 메시지(251)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앱을 통해서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전력 사용을 조절 또는 감축하게 된다. 이벤트에 참여한 사용자는 이벤트 결과정보(252)를 전력관리서버(201)로 송신하게 된다. 이벤트 결과정보(252)에는 사용자의 이벤트 요청에 따른 조절정보, 그리고 참여한 최종 사용자 그룹(202, 203)의 감지장치(220)가 이용하고 있는 액세스포인트(210)의 아이디와 주소를 포함된다. 이로써, 이벤트에 참여한 사용자는 참여한 당시의 위치를 액세스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관리서버(201)에 알릴 수 있게 되며, 전력관리서버(201)가 이벤트에 의해 조절 또는 감축된 전력량의 정도를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보상할 수 있게 한다.
위치기반참여 앱은 감지장치(220)가 연결된 액세스포인트(210)의 주소와 아이디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고 직접 입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이 앱은 액세스포인트(210)를 통하여 감지장치(220)가 해당 액세스포인트(210)에 연결되어 있는지 자동으로 확인하여 저장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전력을 조절하기 위해 직접 가전기기(230)의 전원을 끄거나, 사용 전력을 낮추는 행위를 하게 된다. 도 3에서는 사용자가 전력을 조절하는 부가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최종 사용자 그룹(202, 203) 내에 설치되는 가전기기(230)들은 그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액추에이터(260)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액추에이터(260)는 가전기기(230)의 전원부 혹은 전원 관리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액추에이터(260)를 통해서 가전기기(230)의 사용전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액추에이터(260)는 전력관리서버(201)에 아이디가 자동으로 등록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감지장치(220)와 같은 방법으로 플러그앤드플레이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 본인이 사용할 액추에이터(260)의 아이디를 직접 전력관리서버(201)에 등록할 수도 있다. 이 액추에이터(260)는 사용자가 가전기기(230)의 제어를 더욱 쉽게 해준다. 위치기반참여 앱에는 이 액추에이터(26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최종 사용자 그룹(202, 203) 지역의 외부에 있을 때도 가전기기(230)의 제어를 통하여, 특정 공간의 온도나 조도를 조절하며, 결과적으로 전기 사용량을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액추에이터에 의해 조절되는 가전기기(23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공공장소 혹은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공간인 경우에는 현재 액세스포인트에 접속하고 있지 않거나, 그 특정된 공간에 위치하지 않은 사용자의 참여를 제한할 수 있으며, 이들에게 액추에이터 접근 권한을 주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5에서는 이렇게 구성된 시스템이 각각의 최종 사용자 그룹(202, 203)의 사용 전력량을 관리하기 위한 전력관리서버(201) 구성과 데이터 교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전력관리서버(201)는 감지장치(220)로부터 연결된 액세스포인트(230)의 주소와 아이디, 감지장치(220)의 아이디를 수신받아 저장해 둔다. 전력관리서버(201)는 전력관리 이벤트(예, 전력 피크에 따른 전력 감축)가 필요한 경우 이벤트 메세지(251)를 각 사용자의 단말기(240)에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240)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들은 이벤트에 따라 전력 감축에 필요한 조절행위를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살펴보면, 여름철 냉방기 과다 사용으로 전력 피크 상태에 들어가게 된 경우, 전력관리서버(201)는 전력 감축(DR, Demand Response)에 관한 이벤트 메시지(251)를 사용자들에게 전달하게 된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위치에서 이벤트를 수행하고, 결과(252)를 전력관리서버(201)에 통보한다. 이벤트 결과의 내용은, 특정 공간의 온도나 조도와 관련한 가전기기(230)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사용 전력량을 줄이도록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전력관리서버(201)는 이벤트에 참여한 인원과 감지장치(220)로부터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수행에 참여한 인원에게 보상 내용을 생성한다. 보상은 시스템 사업자가 지정하는 포인트 또는 금액 일 수 있다. 전력관리서버(201)는 사용자가 송부한 액세스포인트(21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등록된 감지장치(220)의 액세스포인트(210)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데이터가 일치하는 사용자들에게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할 것이다.
전력관리서버(201)는 전력측정장치의 정보를 수신받는 전력측정장치 관리부(301), 사용자 단말기(240)에 전력관리 이벤트 메세지(251)를 송신하는 이벤트 송신부(310), 사용자 단말기(240)로부터 사용자 이벤트 참여 정보와 액세스포인트(210) 정보(252)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320)를 가지게 된다. 또한, 전력관리서버(201)는 이벤트 결과에 따라 정해진 사용자 보상정보를 생성하는 보상 정보 생성부(330)가 있다. 여기서 생성되고 교환되는 정보들은 모두 데이터 저장부(340)에 저장된다.
만약, 공공장소 혹은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공간에서 온도나 조도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면, 이들 다수 사용자의 의견을 도출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전력관리서버(201)에는 합의모듈(350)이 있을 수 있다. 합의모듈(350)은 특정 액세스포인트(210)를 기준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온도나 조도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이들로부터 원하는 조절 값을 받아 합의된 값을 도출한다. 합의 도출 방법은 전체 의견에 대한 평균, 다수결, 혹은 전력공급자에 의해 추천되는 계산 방법일 수 있다. 이렇게 도출된 합의값은 다시 사용자 단말기, 온도 측정장치, 혹은 액추에이터에 전달되어 그 특정 공간의 온도나 조도를 조절한다. 합의 모듈(350)은 서버에 위치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240), 혹은 액추에이터(260)에 위치할 수 있다.
전력관리서버(201)의 보상 정보 생성부(330)는 등록된 감지장치(220)로부터 송부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를 추정 사용 전력량으로 변환하여, 최종 사용자 그룹(202, 203)의 기본 사용 전력량(CBL: Customer Base Line)을 데이터 저장부(340)에 생성해 둘 수 있다. 또는, 온도나 조도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는 기본 사용량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전력관리서버(201)에 의해 전력 감축과 관련한 이벤트가 일어난 경우, 이 기본 사용 전력량(CBL)과 비교하여 이벤트에 의해 조절된 전력량이 어느 정도인지 판단하게 된다.
도 6은 사용자 단말기(240)가 위치기반참여 앱을 통해서 감지장치(220)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240)는 연결 가능한 액세스포인트(210)에 연결하여, 감지장치(220)가 같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이 이벤트를 수행하고 있는 지역에 연결된 감지장치(220)가 맞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이벤트 결과 송부 시에는 자동으로 확인된 액세스포인트(210) 정보를 송부할 수도 있다.
단말기의 위치기반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방법의 순서에 따라 운용될 수 있다.
P1) 단말기가 연결하고 있는 액세스포인트의 주소와 ID 확인
P2) 액세스포인트에 연결된 감지장치(220)의 존재 여부와 감지장치(220)의 아이디 확인
P3) 전력관리서버(201)의 이벤트 메세지(Event Message, 251) 수신
P4) 화면에 이벤트 메세지 표시
P5) 사용자의 이벤트 결과(조절정보) 입력 받음
P6) 전력관리서버(201)에 조절정보와 단말기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포인트(210) 주소, 아이디 정보 송부(252)
도 7은 이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전력관리시스템에는 하나의 전력측정장치(710)가 여러 공간(A, B, C, D)에 나누어진 가전기기(230)들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총 전력 소비량만을 측정할 수 있다. 개별적으로 나누어진 공간 A의 사용자a가 전력 감축에 대한 조절정보 info1을 보고 했지만 이 보고의 진위 여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전력관리시스템은 공간 A에 액세스포인트(210) 접속이 가능한 온도계 혹은 조도감지장치와 같은 공간 환경의 변화를 측정하는 감지장치(220)를 가지도록 한다. 전력측정장치(710)은 최초 설치시 기기 자체의 아이디, 연결된 액세스포인트(210)의 주소와 아이디, 그리고 같은 공간의 감지장치(220) 정보 등을 선택적으로 전력관리서버(201)에 송부하고, 전력관리서버(201)는 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감지장치(220)는 액세스포인트(210)를 통하여 전력관리서버(201)에 측정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다. 이런 시스템의 구성으로, 사용자(a) 단말기(740)가 이벤트 메세지(251)에 따른 가전기기(230) 조절정보를 송부한 경우(예를 들어 에어컨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조명의 밝기를 낮추는 것과 같은 조절에 관한 정보를 송부), 전력관리서버(201)는 실제로 이런 조절에 의해 온도나 조도 등의 환경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감지장치(220)의 측정 정보 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이에 따른 적절한 보상을 할 수 있게 된다. 관련한 정보는 보상정보생성부(330)에도 전달될 것이다.
이 개시에 의한 시스템과 방법에 의하면, 전력과 관련한 온도나 조도 조절과 감축에 실제로 참여한 사용자에게 보상이 가능해 개개인에게 동기부여가 되는 효과적인 수요반응 서비스의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즉 기존에는 하나의 빌딩이나 공장단위로 절약한 전력량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진 반면, 이 시스템에서는 층별, 가구별로 더욱 작은 단위에서 전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각 액세스포인트(210)가 커버하는 영역 내에서 실질적으로 이벤트에 참여한 개개인에게 보상이 가능하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1) 전력관리서버, 전력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며, 주소와 아이디를 가지는 액세스포인트, 액세스포인트에 연결되며 아이디를 가지는 감지장치, 감지장치와 연결된 액세스포인트의 주소와 아이디 정보를 가지며, 전력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전력관리서버에 위치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와 온도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보상 정보를 생성하는 보상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전력관리 시스템.
(2) 감지장치는 설치와 동시에 감지장치 아이디, 그리고 연결된 액세스포인트 주소와 아이디를 전력관리서버에 자동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전력관리 시스템.
(3)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 수단이며,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중 하나인 전력관리 시스템
(4) 감지장치는 온도측정장치 또는 조도측정장치인 전력관리 시스템.
(5) 액세스포인트는 감지장치 내에 위치하는 전력관리 시스템.
(6) 전력관리서버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이벤트 송신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며, 사용자 정보는 이벤트 참여 정보, 온도측정장치가 연결된 액세스포인트 주소와 아이디인 전력관리 시스템.
(7) 사용자 단말기는 전력측정장치의 아이디, 연결 중인 액세스포인트 주소와 아이디 정보를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전력관리 시스템.
(8) 사용자 단말기가 둘 이상인 경우, 사용자 간의 통합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합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관리 시스템.
(9) 합의모듈은 전력관리서버에 위치하는 전력관리 시스템.
(10) 전력관리서버의 전력관리 방법에 있어서, 감지장치의 연결 액세스포인트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전력관리 이벤트 메세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연결 액세스포인트 주소와 아이디 그리고 조절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감지장치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받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송부한 연결 액세스포인트 주소와 아이디가 감지장치의 연결 액세스포인트 주소와 아이디에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송부한 연결 액세스포인트 주소와 아이디가 감지장치의 연결 액세스포인트 주소와 아이디에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보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관리 방법.
201: 전력관리서버 210: 액세스포인트 220: 감지장치
230: 가전기기 240: 사용자 단말기 260: 액추에이터

Claims (10)

  1. 전력관리 방법에 있어서,
    전력관리서버; 가전기기; 주소와 아이디를 가지는 액세스포인트; 액세스포인트에 연결되며, 아이디를 가지고, 설치시 액세스포인트의 정보에 의해 위치가 전력관리서버에 특정되어 있는 감지장치;로서, 가전기기의 소비전력을 측정하는 전력측정장치와 별도로 가전기기에 의한 전력 사용 여부를 온도의 변화 및 조도의 변화 중의 하나를 통해 감지하는 감지장치; 감지장치와 연결된 액세스포인트의 주소와 아이디 정보를 가지며, 전력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가전기기를 제어하며, 전력관리서버에 아이디가 등록되어 있는 액추에이터;로서,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위치기반참여 앱에 의해 사용자가 가전기기를 직접 제어할 수 없는 외부에 있을 때는 사용자의 접근 권한이 제한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전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며,
    전력관리서버는:
    감지장치로부터, 연결된 액세스포인트의 주소와 아이디 및 감지장치의 아이디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
    전력관리 이벤트 메세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감지장치가 연결된 액세스포인트의 주소와 아이디 및 조절정보를 수신받고, 감지장치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받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액세스포인트 주소와 아이디가 감지장치로부터 수신받아 저장되어 있는 액세스포인트 주소와 아이디와 일치하는 때에, 감지장치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세스포인트가 커버하는 영역 내에서 이벤트에 참여한 개인별로 사용자 보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50931A 2015-04-10 2015-04-10 전력관리 방법 KR101665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931A KR101665019B1 (ko) 2015-04-10 2015-04-10 전력관리 방법
PCT/KR2015/004784 WO2016163584A1 (ko) 2015-04-10 2015-05-13 위치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15/035,834 US20170108904A1 (en) 2015-04-10 2015-05-13 Location based electric pow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931A KR101665019B1 (ko) 2015-04-10 2015-04-10 전력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019B1 true KR101665019B1 (ko) 2016-10-11

Family

ID=5716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931A KR101665019B1 (ko) 2015-04-10 2015-04-10 전력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295A (ko) 2017-11-06 2019-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전력 데이터를 활용하는 전자기기 전력 소모량 추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859A (ko) * 2010-02-10 2011-08-18 주식회사 유티솔 Ip 기반 복합센서를 이용한 조명 조광 제어 시스템
KR20110136381A (ko) * 2010-06-15 2011-12-21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절전형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6139A (ko) * 2012-05-11 2013-1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4665A (ko) * 2013-03-19 2014-09-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수요반응 시장의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859A (ko) * 2010-02-10 2011-08-18 주식회사 유티솔 Ip 기반 복합센서를 이용한 조명 조광 제어 시스템
KR20110136381A (ko) * 2010-06-15 2011-12-21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절전형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6139A (ko) * 2012-05-11 2013-1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4665A (ko) * 2013-03-19 2014-09-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수요반응 시장의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295A (ko) 2017-11-06 2019-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전력 데이터를 활용하는 전자기기 전력 소모량 추정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398B1 (ko) 능동적 전력 부하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277727B2 (en) Distributed network of a structure that provides location-based human interaction and intelligence
KR101724135B1 (ko) 건물 자동제어 네트워크 및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개별 실내환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US7983795B2 (en) Networked electrical interface
KR20120067368A (ko) 유틸리티 서비스 포인트 내외로의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50293511A1 (en) Appliances control devices and methods
US201101531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art energy management by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JP2014072561A (ja) 家電機器遠隔監視システム
US20160012553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nergy account management
EP3272104B1 (en) A distributed network of a structure that provides location-based human interaction and intelligence
KR101659453B1 (ko)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Lee et al. A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energy-efficient smart homes
JP200921269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USRE45602E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gistering and evaluating energy consumption
JP2006353005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4202542A (ja) 計測装置
KR101665019B1 (ko) 전력관리 방법
KR101611472B1 (ko) 위치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70280210A1 (en) Connected climatic system
KR102252339B1 (ko) 공동 주택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
KR101646747B1 (ko) 전력 관리 시스템
WO2016163584A1 (ko) 위치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79847B1 (ko) 수요반응 서버, 단말 및 제어방법
KR101365168B1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가입자 공간 전원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10400446A1 (en) Sensor-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control system comprising same, an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