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950B1 -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950B1
KR101663950B1 KR1020140171944A KR20140171944A KR101663950B1 KR 101663950 B1 KR101663950 B1 KR 101663950B1 KR 1020140171944 A KR1020140171944 A KR 1020140171944A KR 20140171944 A KR20140171944 A KR 20140171944A KR 101663950 B1 KR101663950 B1 KR 101663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iece
fixing
plate
fixed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1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768A (ko
Inventor
한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71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9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3/00Measuring and testing
    • Y10S73/04Piezoelectr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차량용 강판과 같은 시편을 고속에서 충돌시켜 물리적 성질을 시험하기 위한 고속 충돌 시험 장치에 있어서 시험편을 고정하는 고정 기구를 개시한다. 시험편 고정 기구는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지지부의 대차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고정판과, 시험편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고서 고정판에 고정되며, 시험편의 후측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갖는 시험편 수용부와, 시험편 수용부 내에 구비되어 시험편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시험편을 대차와 중심이 일치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시험편 유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장치{DEVICE FOR FIXING TEST PIECE IN HIGH SPEED COLLISION TESTER}
본 발명은 차량용 강판과 같은 시편을 고속에서 충돌시켜 물리적 성질을 시험하기 위한 고속 충돌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시험편을 고정하는 시험편 고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의 고속 충돌 시험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 충돌 시험 장치(1)는 시험편을 고정하는 고정 기구(10)와, 고속으로 이동하여 시험편에 충돌하게 되는 대차(30)와, 대차(30)를 고속으로 이동시키는 발사 유닛(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발사 유닛(20)에 의해 발사되어 고속으로 이동하는 대차(30)가 고정 기구(10)에 고정된 시험편(T)에 충돌하면, 충돌에 의해 가해지는 충력량이 고정 기구(10)에 설치된 하중 센서(50)에 의해 측정되고, 이 측정값을 분석함으로써 시험편(T)의 물리적 성질을 파악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는 도 1의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구성 중에서 시험편(T)을 고정하는 고정 기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편 고정 기구(10)는 고정판(11)과, 고정판(11)의 전면 양측에 고정되고 대략 'L'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고정 가이드(13)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판은 후면에 고정된 대략 4 개의 핀(에 의해 시험 장치의 지지부(40)에 지지되고 중앙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관통하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지지부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판(11)의 후면에는 다수, 예를 들면 3 개의 하중 센서(50)가 설치된다.
시험편(T)은 대략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제작되고 후단에는 고정 기구(10)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Tp)가 용접으로 고정된다. 시험편(T)의 플랜지(Tp)를 한 쌍의 고정 가이드(13) 사이로 삽입한 후에 고정 가이드(13)들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고정 볼트(17)를 체결함으로써 시험편은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고정 기구에 고정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고정 기구에 있어서는 수작업으로 시험편(T)의 플랜지(Tp)를 고정 가이드(13)들 사이로 삽입한 후에 다수의 고정 볼트(17)들을 체결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 공수가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작업 과정에서 시험편(T)의 무게로 인해 시험편(T)이 미끄러져 내림으로써 시험편(T)과 대차(20)의 충돌 중심을 일치시키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충돌 시험 시의 충격력에 의해 고정판을 고정하는 볼트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매 충돌 시험 시마다 볼트의 풀림을 확인하여 조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조임 작업을 소홀히 하였을 경우 하중 센서(50)가 고정판(11)과 지지부(40) 사이에서 밀착이 되지 않아 충돌 시험 시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0002)에는 시험편이 안착되는 프레임 내에 대략 'U' 형상의 상판과 하판을 구비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축을 이용하여 상판과 하판을 동시에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시험편과 대차의 충돌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한 시험편 고정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0002)의 고정 기구에서도 대차와 시험편의 충돌 중심을 맞추기 위해서 시험편을 프레임에 삽입한 후에 상판과 하판을 이동시키는 작업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0002)의 고정 기구에서도 역시 고정 볼트가 풀려서 하중 센서(50)의 파손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한국특허 제10-0985244호 한국특허 제10-0857704호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로 대차와 시험편의 충돌 중심을 맞추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는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중 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을 고정하는 고정 기구로서,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지지부의 대차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고정판과, 시험편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고서 고정판에 고정되며, 시험편의 후측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갖는 시험편 수용부와, 시험편 수용부 내에 구비되어 시험편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시험편을 대차와 중심이 일치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시험편 유지부를 포함하는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험편 유지부는 시험편 수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시험편 수용부의 내면과 시험편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유지판과 유지판들 각각을 시험편 수용부의 중앙을 향해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유지판들이 시험편에 밀착되어 시험편을 유지시키게 하는 다수의 탄력지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지판은 그 전단부가 시험편 수용부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그 후단부는 탄력지지수단에 의해 시험편을 향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험편 수용부의 전면 형상에 상응하는 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갖는 커버 프레임이 유지판의 전단에 형성된 고정 플랜지를 개재하여 시험편 수용부의 전단부를 덮어서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다수의 유지판들이 시험편 수용부의 전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지판은 전단부는 시험편 수용부에 가깝고 후단부는 시험편에 가깝도록 중앙의 곡선형 연결부에 의해 단차진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력지지수단은 시험편 수용부의 외부로부터 시험편 수용부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유지판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볼트 형상의 연결핀과, 시험편 수용부의 내벽과 유지판의 후단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연결핀 둘레로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편 고정 기구는 고정판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지지부에 체결되는 다수의 고정핀과, 고정핀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와, 너트와 고정판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판을 지지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코일 스프링을 갖는 고정판 탄력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에 의하면, 시험편이 시험편 수용부에 삽입될 때 시험편 유지부의 유지판들이 코일 스프링의 탄성으로 사방에서 시험편을 시험편 수용부의 중앙에 고정적으로 유지시키므로, 시험편을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시험편과 대차의 충돌 중심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험편과 대차의 충돌 중심을 정확히 맞춘 상태에서 충돌 시험을 행할 수 있어 정밀도 높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충돌 시험시의 충격력에 의해 고정판을 지지부에 고정하는 고정 볼트가 풀리더라도 고정 볼트에 설치되어 고정판을 지지부 쪽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고정판과 지지부 사이에 설치된 하중 센서가 고정판과 지지부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고정판과 지지부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어 충돌 시험시 하중 센서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1은 일반적인 고속 충돌 시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각각 종래의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시험편 고정 기구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시험편 고정 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는 고정판(110)과, 시험편 수용부(120)와, 시험편 유지부(130)와, 고정판 탄력지지부(140)를 포함한다.
고정판(110)은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지지부(40)에 지지부(40)와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게 고정되며, 고정판(110)과 지지부(40) 사이에 다수의 하중 센서(50)가 설치된다. 고정판(110)은 중앙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관통하는 고정 볼트(미도시)에 의해 지지판(110)에 고정되고, 고정판 탄력지지부(140)에 의해서 지지부(40)를 향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고정판 탄력지지부(140)는 4개의 고정핀(142)과 고정핀의 단부에 체결되는 4 개의 너트(144)와, 고정판(110)과 너트(144) 사이에서 고정핀(142)의 외측으로 각각 삽입되는 4 개의 코일 스프링(146)으로 이루어진다. 4 개의 고정핀(142)은 사각형인 고정판(110)의 네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지지부(40)에 고정된다. 코일 스프링(146)은 너트(144)와 고정판(110) 사이에서 고정판(110)을 지지부(40) 쪽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코일 스프링(146)과 너트(144) 사이에는 와셔(148)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정판(110)의 네 모서리마다 한 세트씩, 모두 4 세트의 고정핀(142), 너트(144) 및 코일 스프링(146)이 사용되었으나, 이들의 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더 많거나 적은 세트 수로, 예를 들면 3 세트, 6 세트 또는 8 세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146)이 고정판(110)을 지지부(40) 쪽으로 탄력지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편 고정 기구(100)에 의해서는, 고속 충돌 시험에 의해서 고정판(110)을 고정하는 볼트가 조금씩 풀리게 되더라도 코일 스프링(146)이 고정판(110)을 지지부(40) 쪽으로 계속 밀어붙이기 때문에, 하중 센서(50)가 지지부(40)와 고정판(110) 사이에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매 충돌 시험 시마다 볼트의 풀림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 및 하중 센서(50)가 고정판(110)과 지지부(40) 사이에서 밀착이 되지 않아 충돌 시험시 파손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고정판(110) 상에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전면(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시험편이 삽입되는 면을 전면으로 정한다)이 개방된 시험편 수용부(120)가 고정된다. 시험편 수용부(120)는 후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122)가 고정판(110)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거나 혹은 용접되는 것에 의해 고정판(110)에 고정된다. 시험편 수용부(120)는 그 단면적이 시험편(T)의 단면적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시험편(T)이 시험편 수용부(120)에 수용되면 시험편(T)과 시험편 수용부(120)의 내벽들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는데, 후술하는 시험편 유지부(130)가 이 공간에 마련되어 시험편(T)을 고정적으로 유지한다.
시험편 유지부(130)는 시험편 수용부(120) 내에서 시험편 수용부(120) 내에 수용되는 시험편(120)을 대차와 충돌 중심이 일치된 상태로 고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시험편 유지부(130)는 다수의 유지판(132)과 각각의 유지판(132)을 시험편 수용부(129(의 중앙을 향해 탄력지지하는 탄력지지부를 포함한다.
유지판(132)들은 시험편 수용부(120)의 각각의 내벽마다 적어도 하나씩 마련되며, 중앙부에 마련된 부드러운 곡선 형태의 연결부에 의해서 전단부와 후단부가 단차지게 연결된 대략 장방형의 판 부재이다. 유지판(132)의 전단에는 고정 플랜지(134)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 플랜지(134)가 시험편 수용부(120)의 전단에 볼트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유지판(132)은 시험편 수용부(120)에 고정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시험편 수용부(120)와 동일한 단면 크기를 갖는 사각형의 커버 프레임(122)이 유지판(132)들의 고정 플랜지(133)들과 시험편 수용부(120)의 전단을 덮도록 배치되고, 다수의 볼트(123)가 커버 프레임(122)과 유지판(132)들의 고정 플랜지(133)들에 형성된 홀들을 관통하여 시험편 수용부(120)의 전단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다수의 유지판(132)들이 시험편 수용부(120)에 고정된다.
시험편 유지부(130)의 탄력지지부는 다수의 연결핀(134)과 다수의 코일 스프링(136)들을 포함한다. 연결핀(134)은 시험편 수용부(120)의 후단부에 형성된 홀(124)을 관통하여 시험편 수용부(120)의 내부에 배치된 유지판(132)의 후단에 고정된다. 연결핀(134)은 볼트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머리가 시험편 수용부(120)의 홀(124)보다 커서 연결핀(134)이 시험편 수용부(120)의 홀(124)을 완전히 관통하지는 않는다. 코일 스프링(136)은 시험편 수용부(120)의 내부에서 연결핀(134)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136)은 시험편 수용부(120)의 내벽과 유지판(132)의 후단 사이에서 유지판(132)의 후단을 시험편 수용부(120)의 중앙을 향해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판(132)은 시험편 수용부(120)의 벽들 중에서 길이가 긴 벽에는 두 개씩 그리고 짧은 벽에는 한 개씩 설치된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일 뿐이며, 상하 또는 좌우에서 탄력지지하는 힘이 동일하여 시험편(T)의 중심을 충돌 시험용 대차의 중심에 정렬할 수 있는 한 하나의 벽에 3개 이상의 유지판(132) 및 이에 대응하는 탄력지지부가 설치되어도 상관없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시험편 고정 기구(100)에 시험편(T)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유지판(132)의 전단은 플랜지(133)에 의해 시험편 수용부(120)에 고정되어 있고 유지판(132)의 후단은 코일 스프링(136)에 의해서 시험편 수용부(120)의 중앙으로 최대한 밀려나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충돌 시험을 위해 시험편(T)을 시험편 수용부(120)에 삽입하면, 시험편(T)의 후단이 유지판(132)들의 중앙에 마련된 곡선 연결부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더 힘을 주어 시험편(T)을 시험편 수용부(120)로 깊게 삽입하면, 시험편(T)이 유지판(132)들의 곡선 연결부를 밀어냄에 따라 유지판(132)들의 후단은 코일 스프링(136)의 힘을 이겨내고 시험편 수용부(120)의 벽을 향해 후퇴한다. 시험편(T)이 시험편 수용부(120)에 완전히 삽입되면 유지판(132)들의 후단부들이 코일 스프링(136)의 탄성에 의해 시험편(T)의 외면에 밀착되고 코일 스프링(136)의 탄성으로 시험편(T)을 시험편 수용부(120)의 중앙부를 향해 탄력지지한다. 이 때 다 수의 유지판(132)들이 시험편(T)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사방에서 시험편(T)을 압착하게 되며, 서로 대향하는 벽들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136)들의 탄성이 동일하므로 시험편(T)은 시험편 수용부(120)의 중앙에 고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즉, 시험편 수용부(120)의 중심을 대차의 중심과 일치되게 미리 설정한 상태에서 시험편(T)을 시험편 수용부(120)에 삽입하면 자연스럽게 시험편(T)의 중심이 대차의 중심과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험편 수용부(120)에 시험편(T)이 수용된 상태에서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대차를 발사하여 충돌 시험을 실시한다. 대차가 시험편(T)에 충돌하면 충돌에 의한 충격량이 고정판(110)과 지지부(120) 사이에 설치된 하중 센서(50)에서 측정되고, 측정된 값을 분석함으로써 시험편(T)의 물리적 성질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100)에 의하면, 시험편(T)이 시험편 수용부(120)에 삽입될 때 시험편 유지부(130)의 유지판(132)들이 코일 스프링(136)의 탄성으로 사방에서 시험편(T)을 시험편 수용부(120)의 중앙에 고정적으로 유지시키므로, 시험편(120)을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시험편(T)과 대차의 충돌 중심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험편(T)과 대차의 충돌 중심을 정확히 맞춘 상태에서 충돌 시험을 행할 수 있어 정밀도 높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충돌 시험시의 충격력에 의해 고정판(110)을 지지부(40)에 고정하는 볼트가 풀리더라도 고정핀(142)에 설치되어 고정판(110)을 지지부(40) 쪽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46)의 탄성에 의해서 고정판(110)과 지지부(40) 사이에 설치된 하중 센서(50)가 고정판(110)과 지지부(40) 사이에서 밀착된 상태로 게속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고정판(110)과 지지부(40)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어 충돌 시험시 하중 센서(50)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본 발명을 개조, 변형 또는 응용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 시험편 100: 시험편 고정 기구
110: 고정판 120: 시험편 수용부
122 : 커버 프레임 130: 시험편 유지부
132 : 유지판 134: 연결핀
136: 코일 스프링 140: 고정판 탄력지지부
142: 고정핀 144: 너트
146: 코일 스프링

Claims (7)

  1.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을 고정하는 고정 기구로서,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지지부의 대차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지지부에 밀착되게 설치된 하중 센서;
    상기 고정판을 상기 지지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고정판 탄력지지부;
    시험편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고서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며, 시험편의 후측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시험편 수용부; 및
    상기 시험편 수용부 내에 구비되어 상기 시험편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시험편을 대차와 중심이 일치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시험편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 탄력지지부는,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는 다수의 고정핀;
    상기 고정핀의 단부에 채결되는 너트;
    상기 너트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서 상기 고정핀에 삽입되어 상기 하중 센서가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지지부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고정판을 상기 지지부 측으로 가압하는 다수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 수용부는 대응되는 형태인 시험편의 후측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갖고,
    상기 시험편 유지부는,
    상기 시험편 수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시험편 수용부의 내면과 시험편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유지판; 및
    상기 유지판들 각각을 상기 시험편 수용부의 중앙을 향해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유지판들이 시험편에 밀착되어 시험편을 유지시키게 하는 다수의 탄력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판은 그 전단부가 상기 시험편 수용부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그 후단부는 상기 탄력지지수단에 의해 시험편을 향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 수용부의 전면 형상에 상응하는 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갖는 커버 프레임이 상기 유지판의 전단에 형성된 고정 플랜지를 개재하여 상기 시험편 수용부의 전단부를 덮어서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다수의 유지판들이 상기 시험편 수용부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판은 전단부는 시험편 수용부에 가깝고 후단부는 시험편에 가깝도록 중앙의 곡선형 연결부에 의해 단차진 형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지지수단은,
    상기 시험편 수용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시험편 수용부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유지판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볼트 형상의 연결핀; 및
    상기 시험편 수용부의 내벽과 상기 유지판의 후단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연결핀 둘레로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기구.
  7. 삭제
KR1020140171944A 2014-12-03 2014-12-03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장치 KR101663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944A KR101663950B1 (ko) 2014-12-03 2014-12-03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944A KR101663950B1 (ko) 2014-12-03 2014-12-03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768A KR20160066768A (ko) 2016-06-13
KR101663950B1 true KR101663950B1 (ko) 2016-10-12

Family

ID=5619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1944A KR101663950B1 (ko) 2014-12-03 2014-12-03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9074B (zh) * 2020-09-07 2021-09-10 吉林大学 车型移动载荷平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485B1 (ko) * 2000-12-21 2003-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옆문 임팩트바 벤딩 시험장치
KR100857704B1 (ko) * 2006-10-24 2008-09-08 주식회사 포스코 자동차강판의 고속충돌평가를 위한 프랜지 없는 시험편고정장치
KR100985244B1 (ko) 2008-04-11 2010-10-04 주식회사 포스코 충돌 시험용 시험편 제작장치 및 방법
KR101482267B1 (ko) * 2008-07-17 2015-01-14 주식회사 포스코 피 측정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마모량측정방법
KR100973908B1 (ko) * 2008-08-12 2010-08-03 주식회사 포스코 충돌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768A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1189B2 (en) Glass testing apparatus
KR101121885B1 (ko) 굽힘 강도 시험용 가압 기구
TW201405133A (zh) 自動對位裝置
TW200707610A (en) Electric connection device
CN105973523A (zh) 纱线张力检测装置
KR101663950B1 (ko) 충돌 시험 장치의 시험편 고정 장치
RU25070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еформационного крепления элемента на детали
US9494502B2 (en) Rock testing device with three-jaw chuck for direct tensile test
CN102472687A (zh) 车辆固定结构
KR101194683B1 (ko) 태양전지모듈 수직 응력 및 파괴 특성 시험장치
CN107941600B (zh) 一种用于复合材料拉伸试验的缓冲装置
KR101295171B1 (ko) 충격 시험기
CN213041512U (zh) 车辆前纵梁碰撞试验装置及系统
KR101371254B1 (ko) 차량용 도어의 충돌시험장치
KR102018825B1 (ko) 볼트-너트 풀림 시험기 및 볼트-너트 풀림 시험기의 작동 방법
CN102645331B (zh) 把手销钉检测治具
CN205749108U (zh) 一种动态拉伸试验防滑夹具装置
CN108779829A (zh) 具有碰撞识别和/或失效识别和无线数据传输的止挡缓冲器
CN204594392U (zh) 印刷板孔径测量器
KR20090100879A (ko) 소재 고속인장시험기 및 이를 이용한 소재 고속인장방법
KR101661474B1 (ko) 충격완화장치가 장착된 복수 시험편의 직렬식 하중 부가장치
CN211876894U (zh) 一种汽车前侧板的检测装置
TW200724930A (en) Optoelectronic system for sensing electromagnetic filed at total solid angle
KR20050121552A (ko) 테스트 부품 교체 타입 차량 충돌 실험 대차
KR20160002664U (ko) 자동차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