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470B1 -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470B1
KR101663470B1 KR1020150029071A KR20150029071A KR101663470B1 KR 101663470 B1 KR101663470 B1 KR 101663470B1 KR 1020150029071 A KR1020150029071 A KR 1020150029071A KR 20150029071 A KR20150029071 A KR 20150029071A KR 101663470 B1 KR101663470 B1 KR 101663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ontology
content
user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808A (ko
Inventor
우운택
김은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29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47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6Creation of semantic tools, e.g. ontology or thesauri
    • G06F16/367Ontology
    • G06F17/3073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비스 수행 시 역사문화 관련 스토리텔링 콘텐츠 생성을 지원하기 위한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하나 이상의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데이터 제공을 요청하고 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집된 사료 정보를 기설정된 콘텐츠 서비스 정책 기반 온톨로지 모델링(Ontology Modeling)을 통해 온톨로지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DB화하는 과정과, 상기 DB화된 사료 정보를 상기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에서 선택된 저작 인터페이스 모드를 통해 스토리텔링 기반 제작자별 적응적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스토리텔링 콘텐츠 검색 기반 상호 작용형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SERVICE BASED DYNAMIC DATA BASE}
본 발명은 동적으로 진화하는 역사문화 관련 스토리텔링 콘텐츠 생성을 지원하기 위한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역사에 대한 학습은 인류사의 발전과 함께하였다. 전통적으로 역사 학습 방법은 서적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인터넷의 발전 덕분에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역사 학습 방법이 제안되었다. 지역사에서부터 세계사에 이르기까지 온라인을 통해서 손쉽게 역사 정보를 획득 가능하다. 일차적으로는 검색 사이트에서 역사에 관한 키워드 예컨대, 사건, 인물, 지역 등에 관한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함으로써 소정의 역사 정보를 획득 가능하다. 그러나,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는 있지만 단지 정보 수집만이 가능할 뿐 정보가 역사의 관점으로 통합된 것은 아니다. 또한, 역사는 시간의 함수인데 통시적으로 역사를 학습하기 곤란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342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콘텐츠 DB를 중심으로 콘텐츠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콘텐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비스 수행 시 역사문화 관련 스토리텔링 콘텐츠 생성을 지원하기 위한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하나 이상의 사료 정보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데이터 제공을 요청하고 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집된 사료 정보를 기설정된 콘텐츠 서비스 정책 기반 온톨로지 모델링(Ontology Modeling)을 통해 온톨로지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DB화하는 과정과, 상기 DB화된 사료 정보를 상기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에서 선택된 저작 인터페이스 모드를 통해 스토리텔링 기반 제작자별 적응적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스토리텔링 콘텐츠 검색 기반 상호 작용형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합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콘텐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비스 수행 시 역사문화 관련 스토리텔링 콘텐츠 생성을 지원하기 위한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데이터 제공을 요청하고 이를 수집하는 역사문화 정보 통합 관리 서버와, 상기 역사 문화 정보 통합 관리 서버에 연동되어 역사문화 관련 사료가 DB화되고, 상기 역사문화 정보 통합 관리 서버 제어 하에 다수의 사료 정보를 제공하는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와, 상기 역사 문화 정보 통합 관리 서버 제어 하에 상기 다수의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집된 사료 정보를 기설정된 콘텐츠 서비스 정책 기반 온톨로지 모델링(Ontology Modeling)을 통해 온톨로지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DB화하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자가 로우 데이터 DB에서 사용자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혹은 사용자 콘텐츠들의 DB를 기반으로 온톨로지 저작 모듈을 통해 성장하는 진화된 콘텐츠 생성이 지속적으로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사용자 콘텐츠 DB를 중심으로 콘텐츠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별 적합한 콘텐츠를 제공 가능하며, 온톨로지 네트워크 및 스토리텔링이 조합되어 증강 혹은 가상 현실에 적용됨으로써 사용자와 제공자 상호 간 인터렉티브한 적응적인 콘텐츠 서비스가 가능하여 보다 신뢰성이 강화된 역사문화 디지털 가이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자의 온톨로지 네트워크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온톨로지 네트워크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모드별 관련 동작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모드에서의 화면 예시도.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의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상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역사문화 관련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생성 및 지원하는 콘텐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역사문화 관련 사료 정보 기반 로우(raw) 데이터와 상기 로우 데이터 관련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온톨로지에 다수의 제작자로부터 생성된 온토로지별 스토리를 제공받아 해당 지도 인터페이스상에 온톨로지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스토리텔링 콘텐츠로 생성하고 생성된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GUI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별 수준에 맞춰 선별적으로 제공하고, 온토로지 저작 모듈을 통해 가공된 상기 로우 데이터를 사용자 콘텐츠들의 DB를 중심으로 서비스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자는 로우 데이터 DB에서 사용자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혹은 사용자 콘텐츠들의 DB를 기반으로 온톨로지 저작 모듈을 통해 성장하는 진화된 콘텐츠 생성이 지속적으로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사용자 콘텐츠 DB를 중심으로 콘텐츠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별 적합한 콘텐츠를 제공 가능하며, 온톨로지 네트워크 및 스토리텔링이 조합되어 증강 혹은 가상 현실에 적용됨으로써 사용자와 제공자 상호 간 인터렉티브한 적응적인 콘텐츠 서비스가 가능하여 보다 신뢰성이 강화된 역사문화 디지털 가이드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웹(web)상에 혹은 그 밖의 역사문화 유산 관리 시스템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사료 정보 자원들을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그래픽 형태의 온톨로지 맵으로 생성, 편집 및 관리하고, 상기 온톨로지 맵을 사용자에게 개방, 공유 및 참여의 과정을 통해 역사문화 분야별 동적/진화형 온톨로지 맵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료 정보 기반 구축된 온톨로지 네트워크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스토리 데이터가 매칭되어 해당 스토릴텔링에 기초하여 분류되어 생성된 콘텐츠를 DB화하고, 사용자 검색을 통해 호출된 상기 DB화된 소정 콘텐츠를 저작 모듈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되어 편집하도록 하여 동적/진화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콘텐츠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점진적으로 성장해가는 역사문화 관련 스토릴텔링 콘텐츠를 구축하고, 사용자별 특화된 콘텐츠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검색 목적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110 과정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된 콘텐츠 서비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는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된 문화유적이나 유물, 역사 연구에 필요한 문헌이나 문서, 기록 등을 포함하는 역사문화 관련 데이터가 역사문화 데이터의 유형 및 범주를 정의하는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온톨로지 모델링되어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서비스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된 콘텐츠는 하기에서 순차적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역사문화 관련 데이터가 기설정된 콘텐츠 서비스 정책 기반 온톨로지 모델링을 통해 온톨로지 네트워크로 구축되어 증강된(augmented) 혹은 가상(virtual) 현실에 오버랩되어 서비스되고, 해당 콘텐츠 제작자와 콘텐츠 사용자 간 상호작용 기반 피드백을 통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어 진화하는 콘텐츠 모두를 통틀어 지칭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의 특정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을 통해 지원되는 것으로, 이러한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에 관한 동작을 수행한다.
계속해서, 112 과정에서는 상기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이션 구동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콘텐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비스 수행 시 해당 사용자 선택을 통해 모드 전환부의 모드 스위칭을 체크하여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사용자 단말의 현재 모드가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인 경우, 114 과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비스 서버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데이터 제공을 요청하고 이를 수집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이 문화해설 모드를 통해 콘텐츠 제작을 위한 서비스 지원을 요청하는 경우, 역사문화 정보를 네트워크로 통합하여 공유하는 역사문화정보 통합 관리 서버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분산되어 위치하는 각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 필요한 사료 정보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역사문화 관련 사료 정보에 대응하는 로우(raw)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를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수집한다.
116 과정에서는 상기 다수의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집된 사료 정보를 기설정된 콘텐츠 서비스 정책 기반 온톨로지 모델링(Ontology Modeling)을 통해 온톨로지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이를 118 과정에서 DB화한다.
이때, 상기 DB화 수행은 해당 DB가 역사문화정보 통합 관리 서버 제어 하에 콘텐츠 서비스를 수행하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 구비되어, 해당 DB에서 상기 역사문화정보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시간을 중심으로 기술되는 사료 정보가 기설정된 항목별 색인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된다.
그리고, 상기 역사문화정보 통합 관리 서버를 통해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와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온톨로지가 구축되어 수행된다.
120 과정에서는 상기 DB화된 사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에서 선택된 온톨로지 저작 모듈이 제공되는 저작 인터페이스 모드를 통해 스토리텔링 기반 제작자별 적응적 콘텐츠를 생성하여, 122 과정에서 생성된 콘텐츠를 해당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분류하여 DB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자의 온톨로지 네트워크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에서 제작되는 콘텐츠 제작자의 온톨로지 네트워크는 선택된 특정 시대 흐름(1400년, 1500년, 1600년, 1700년, 1800년, 1900년: 220) 기반 하에 기설정된 역사문화 관련 카테고리(예컨대, 인물(212), 공간(214), 사물유물(216) 및 시간(218))별 대응하는 사료 정보(각 카테고리별 하위 계층에 정렬된 데이터)를 연계하여 카테고리 상호 간 교차되게 연관관계 표시하여 특정 시대별 통합 역사문화 온톨로지 네트워크로 머징(merging)되어 표시된다.
이어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모드별 관련 동작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사료 정보를 제공하는 계층별 특화된 서비스 서버로부터 통합되게 수집된 사료 및 고증 데이터(S410)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콘텐츠 서비스 정책 기반 온톨로지 모델링을 통해 제작자별 온톨로지 네트워크를 연계/구축(S412)하여 상기 사료 및 고증 데이터를 기설정된 색인으로 인덱스화여 DB(418)에 저장하고, 인덱스화된 사료 및 고증 데이터에 대응하는 온톨로지 관련 스토리 데이터를 부여함으로써 콘텐츠 제작자별 적응적인 콘텐츠를 생성 가능한 모드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이러한 제작자별 적응적으로 생성된 스토리텔링 기반 콘텐츠(S414)는 후술되는 사용자 모드 동작을 통해 콘텐츠 사용자별 참여를 통해 콘텐츠별 확대/재생산으로 연결되어 최초 제작자로부터 생성된 콘텐츠는 점진적으로 진화되어 사용자별 특화된 역사문화 관련 콘텐츠로 업데이트(S416)되어 DB(S418)에 저장되어 스토리텔링 콘텐츠 검색 기반 상호 작용형 콘텐츠 서비스가 제공되므로 사용자의 사료 정보 검색 목적에 따른 역사문화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자 모드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124 과정에서 콘텐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비스 수행 시 사용자 중심의 사용자별 적응적 콘텐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사용자 모드가 실행되면, 126 과정에서는 해당 사용자의 기등록된 상태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서비스 지원 시 해당 사용자별 수준이 고려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것으로, 서비스 이용을 위한 본 발명이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최초 등록 후 상기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케이션 로그 시마다 체크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기반 개인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마이 페이지와 같은 형태로 관리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의 수준에 따라 본 발명의 서비스는 사료 정보의 수준 및 양을 적응적으로 제어하여 서비스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 확인 동작은 후술되는 콘텐츠 서비스 편집을 위한 편집 권한 등급 부여 시에도 활용되어 해당 콘텐츠에 설정된 편집 권한 등급에 따라 권한 승인 여부에 따라 콘텐츠별 억세스가 차별화된다.
128 과정에서는 콘텐츠 서비스 사용자 확인 후 해당 사용자에게 부여된 혹은 모든 사용자와 공유되는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메뉴를 활성화하여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선택을 입력 대기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서비스 메뉴는 콘텐츠 서비스에서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 카테고리별 항목(예컨대, 인물, 시간, 공간, 유물 등을 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비스 메뉴를 문화해설 모드 및 사용자 모드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하지만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130 과정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비스 메뉴 중 인터럽트(interrupt)를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역사문화 서비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관련 온톨로지 네트워크를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상에 출력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온톨로지 네트워크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사용자 온톨로지 네트워크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혹은 검색된 소정 사료 정보에 대응하는 온톨로지가 상기 온톨로지 관련 장소가 표시된 지도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해당 온톨로지의 개체 즉, 아이템(item)과 함께 표시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는 콘텐츠 서비스 메뉴 활성화 동작에서 공간 및 시간 카테고리 선택을 통해 '인정전(312)'이라는 사료 정보 서비스를 요청하였으며, 상기 인정전을 기반으로 관련 온톨로지 아이템(이름 의미 314, 임진왜란 316, 소실 및 복원 318, 가례 320, 즉위식 322, 숙종, 현종, 영조 324)이 표시된다. 상기 온톨로지 아이템(314, 316, 318, 320, 322, 324)은 사용자로부터 선택 가능한 아이템별 해당 온톨로지가 구축된 것으로, 지도 인터페이스상에서 온톨로지 아이템 단위별 기설정된 연관범위에 기초하여 라인(line)을 통해 릴레이(relay)되어 연결되어 표시된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연관범위는 온톨로지 네트워크 구축 정책 기반으로 설정된 범위로 해당 사료 정보의 역사를 기준으로 연관 가능한 시대, 인물, 특정 이벤트, 유물, 가치, 역사 전개에 있어서 발단이나 중심이 되는 사건 등의 역사문화 정보의 속성을 조합하여 설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모드는 역사문화 서비스 오브젝트(사료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온톨로지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온톨로지 아이템이 단위별 연관범위에 기초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아이템이 선별적으로 조합되어 리스팅되어 표시되고, 리스트별 대응하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가 제공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6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6은 본 발명의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600)은 복수의 분할된 영역(611, 622, 프로젝트명, 페이지 경로, 화면설명, ID)을 갖고, 상기 분할된 영역(611, 622, 프로젝트명, 페이지 경로, 화면설명, ID) 중 제1 영역(611)의 제1 위치(612)에는 사용자 인터럽트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해당 이동 경로 상에서 활성화(613)되는 기설정된 범주를 기준으로 시대별 연도 단위로 분류된 연도 리스트(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1800, 1900)가 표시된다. 상기 연도 리스트는 타임머신의 시간 축 기능으로 사용자 인터럽트에 따라 해당 경로 상에서 슬라이딩의 형태로 원하는 시대의 연도를 선택하여 활성화 가능하다.
제2 위치(614)에는 상기 제1 위치(612)에 표시된 연도 리스트에 대응하는 온톨로지 아이템(인정전, 관천대, 홍화문, 관덕정)이 표시된 공간 기반의 장소 온톨로지 네트워크가 지도 인터페이스(615)상에 표시된다.
제3 위치(616)에는 상기 제2 위치(614)에 표시된 해당 온톨로지 아이템(인정전, 관천대, 홍화문, 관덕정)이 동기화되어 선택 가능한 장소들의 리스트가 링크 가능하게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온톨로지 아이템 중 소정 아이템을 선택할 경우 해당 아이템에 관한 온톨로지 네트워크가 제2 위치(614)에 디스플레이된다.
제4 위치(618)에는 상기 제1(612), 2(614) 및 3(616) 위치 표시 관련 코멘트가 표시되거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 윈도우가 생성된다.
제5 위치(620)에는 상기 제2 위치(614)에 표시된 온톨로지 아이템이 리스트화되어 표시된다.
이 밖에 620에 마크된 검색어 창을 통해 온톨로지 및 리스트 상의 아이템을 검색한다.
한편, 그리고, 상기 제2 위치(614)에 표시된 온톨로지 아이템(인정전, 관천대, 홍화문, 관덕정)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아이템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연관범위에 기초하는 서브 아이템을 릴레이하여 표시하고, 상기 서브 아이템별 연관범위에 관련된 또 다른 서브 아이템으로 연계되어 선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제3 영역(화면설명)에 표시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위치(612)의 연도 리스트에 대응하는 스토리텔링 기반 스토리 데이터 지원을 위한 스토리 리스트가 표시된다.
다음으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에서 발생된 사용자 인터럽트에 의해 시간의 변동에 따라 장소가 소실 및 생성됨을 보인 화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은 연도 리스트 중 시대별 각 연도 단위 활성화 여부에 따라 대응하는 온톨리지 아이템이 생성되거나 삭제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으로부터의 관련 온톨로지 네트워크는 인정전이 소실되고, 이에 따라 연도 리스트의 시대 년도는 인정전이 존재하지 않은 1700, 1800년도가 활성화(714)된다.
도 8은 연도 리스트에서 시각 축이 변동되는 경우의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의 예시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된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에서는 특정 온톨로지 타입에 해당하는 온톨로지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온톨로지 개체와 이에 대응하는 스토리 리스트는 비활성화되어 업데이트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도 리스트 중 사용자로부터 인터럽트되어 활성화된 연도(802)에 해당하는 온톨로지 검색에 대응하는 인정전(812)를 기반으로 상기 인정전(812)에 연관된 온톨로지 개체 즉, 이름 의미(814), 임진왜란(816), 소실 및 복원(818), 즉위식(820), 가례(822), 숙종(824), 현종(826), 영조(828)가 상호 연관관계 표시되어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며, 스토리 리스트(830) 중 소정 스토리가 선택된 경우 해당 스토리를 구성하고 있는 온톨로지 메인 아이템(812)에 대응하는 지도 인터페이스(810)상의 온톨로지 아이템(814, 820, 822, 824, 826)이 활성화되고, 나머지 온톨로지 아이템(816, 818, 828)은 비활성화된다.
도 9는 특정 아이템 타입에 해당하는 온톨로지 개체에 관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 중 특정 서브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정전이라는 특정 아이템 타압에 해당하는 온톨로지 개체에 관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 즉, 이름 의미(916), 임진왜란(918), 소실 및 복원(920), 가례(914), 즉위식, 숙종, 현종, 영조에 해당하는 아이템 중 특정 서브 아이템 즉 즉위식이 선택된 경우 기설정된 연관범위를 기초로 선택된 서브 아이템인 즉위식과 관련되지 않은 서브 아이템(914, 916, 918, 920)은 비활성화되고, 관련되는 서브 아이템(숙종, 현종, 영조)은 활성화되어 선택 가능함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활성화된 서브 아이템을 기반으로 대응하는 스토리 리스트가 이웃하게 표시된다.
다시, 도 1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계속해서 132 과정에서는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상에 현재 출력되는 관련 온톨로지 네트워크에 대한 편집 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체크 결과 사용자가 출력된 온톨로지 네트워크에 대한 편집을 원할 경우 134 과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 내 소정 위치에 온톨로지 편집을 위한 저작 모듈을 사용자 인터페이스화하여 해당 온톨로지 네트워크를 편집한 후 136 과정에서 해당 콘텐츠를 업데이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사료 정보 기반 구축된 온톨로지 네트워크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스토리 데이터가 매칭되어 해당 스토릴텔링에 기초하여 분류되어 생성된 콘텐츠를 DB화하고, 사용자 검색을 통해 호출된 상기 DB화된 소정 콘텐츠를 저작 모듈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되어 편집하도록 하여 동적/진화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스토리텔링 콘텐츠 검색 기반 상호 작용형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다수의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152, 154, 156), 역사문환 정보 통합 관리 서버(158), 콘텐츠 서비스 서버(165) 및 사용자 단말(180)을 포함한다.
상기 역사문화 정보 통합 관리 서버(158)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관리부(160)를 통해 통합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콘텐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비스 수행 시 역사문화 관련 스토리텔링 콘텐츠 생성을 지원하기 위한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데이터 처리부(162)를 통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152, 154, 156)로부터 데이터 제공을 요청하고 이를 수집한다.
상기 다수의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152, 154, 156)은 상기 역사 문화 정보 통합 관리 서버(158)에 연동되어 역사문화 관련 사료가 DB화되고, 상기 역사문화 정보 통합 관리 서버(158) 제어 하에 다수의 사료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165)는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165)는 온톨로지 저작모듈(164), 모드 전환부(166), 콘텐츠 생성부(168), 편집부(170), 제어부(172), DB(174) 및 사용자 관리부(178)을 포함하며, 역사 문화 정보 통합 관리 서버(158) 제어 하에 상기 다수의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152, 154, 156)로부터 수집된 사료 정보를 제어부(172)의 제어 하에 기설정된 콘텐츠 서비스 정책 기반 온톨로지 모델링(Ontology Modeling)을 통해 온톨로지 구축부(166)를 통해 온톨로지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DB(174)에 DB화한다.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165)는 인터넷을 통해 연동된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DB화된 사료 정보를 상기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에서 선택된 저작 인터페이스 모드를 통해 스토리텔링 기반 제작자별 적응적 콘텐츠를 콘텐츠 생성부(168)로부터 생성하여 상기 스토리텔링 콘텐츠 검색 기반 상호 작용형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165)는 사용자 관리부(178)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80)의 로그 시도를 확인한 후 해당 사용자 단말(180)의 기등록된 상태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165)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상에 현재 출력되는 관련 온톨로지 네트워크에 대한 편집 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체크 결과 사용자가 출력된 온톨로지 네트워크에 대한 편집을 원할 경우 편집부(170)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 내 소정 위치에 온톨로지 편집을 위한 저작 모듈을 사용자 인터페이스화하여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전달된 해당 온톨로지 네트워크를 편집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80)은 콘텐츠 어플리케이션(184), 모드 전환부(182), 제어부(186) 및 디스플레이부(188)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86)의 제어 하에 콘텐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환경에서 모드 전환부(182)를 기반으로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 혹은 사용자 모드를 적응적으로 스위칭하여 스토리텔링 기반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혹은 제작된 기스토리텔링 기반 콘텐츠를 편집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88)는 상기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은, 복수의 분할된 영역을 갖고,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제1 영역의 제1 위치에는 사용자 인터럽트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해당 이동 경로 상에서 활성화되는 기설정된 범주를 기준으로 시대별 연도 단위로 분류된 연도 리스트가 표시되고, 제2 위치에는 상기 제1 위치에 표시된 연도 리스트에 대응하는 온톨로지 아이템이 표시된 온톨로지 네트워크가 지도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되고, 제3 위치에는 상기 제2 위치에 표시된 해당 온톨로지 아이템이 링크 가능하게 생성되어 표시되고, 제4 위치에는 상기 제1, 2 및 3 위치 표시 관련 코멘트가 표시되거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 윈도우가 생성되고, 제5 위치에는 상기 제2 위치에 표시된 온톨로지 아이템이 리스트화되어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52, 154, 156: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 158: 역사문화 정보 통합 관리 서버 165: 콘텐츠 서비스 서버 180: 사용자 단말

Claims (18)

  1. 사용자 단말에서 콘텐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비스 수행 시 역사문화 관련 스토리텔링 콘텐츠 생성을 지원하기 위한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역사문화 정보 통합 관리 서버에서 하나 이상의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데이터 제공을 요청하고 이를 수집하는 과정과,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집된 사료 정보를 기설정된 콘텐츠 서비스 정책 기반 온톨로지 모델링(Ontology Modeling)을 통해 온톨로지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DB화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상기 DB화된 사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에서 선택된 저작 인터페이스 모드를 통해 스토리텔링 기반 제작자별 적응적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스토리텔링 콘텐츠 검색 기반 상호 작용형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비스 수행 시 사용자 중심의 사용자별 적응적 콘텐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사용자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역사문화 서비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관련 온톨로지 네트워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상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은,
    복수의 분할된 영역을 갖고,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제1 영역의 제1 위치에는 사용자 인터럽트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해당 이동 경로 상에서 활성화되는 기설정된 범주를 기준으로 시대별 연도 단위로 분류된 연도 리스트가 표시되고,
    제2 위치에는 상기 제1 위치에 표시된 연도 리스트에 대응하는 온톨로지 아이템이 표시된 온톨로지 네트워크가 지도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되고,
    제3 위치에는 상기 제2 위치에 표시된 해당 온톨로지 아이템이 링크 가능하게 생성되어 표시되고,
    제4 위치에는 상기 제1, 2 및 3 위치 표시 관련 코멘트가 표시되거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 윈도우가 생성되고,
    제5 위치에는 상기 제2 위치에 표시된 온톨로지 아이템이 리스트화되어 표시되고,
    상기 연도 리스트 중 시대별 각 연도 단위 활성화 여부에 따라 대응하는 온톨리지 아이템이 생성되거나 삭제되며,
    상기 연도 리스트에서 시간 축이 변동되는 경우,
    특정 아이템 타입에 해당하는 온톨로지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온톨로지 개체와 이에 대응하는 스토리 리스트는 비활성화되어 업데이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는,
    시대 흐름 기반 하에 기설정된 역사문화 관련 카테고리별 대응하는 사료 정보를 연계하여 카테고리 상호 간 교차되게 연관관계 표시하여 특정 시대별 통합 역사문화 온톨로지 네트워크로 머징(merging)되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B화하는 과정은,
    상기 DB화를 수행하는 DB가 역사문화정보 통합 관리 서버 제어 하에 콘텐츠 서비스를 수행하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 구비되어, 해당 DB에서 상기 역사문화정보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시간을 중심으로 기술되는 사료 정보가 기설정된 항목별 색인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와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온톨로지가 구축되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텔링 콘텐츠 검색 기반 상호 작용형 콘텐츠 서비스는,
    상기 사료 정보 기반 구축된 온톨로지 네트워크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스토리 데이터가 매칭되어 해당 스토리텔링에 기초하여 분류되어 생성된 콘텐츠를 DB화하고, 사용자 검색을 통해 호출된 상기 DB화된 소정 콘텐츠를 저작 모듈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되어 편집하도록 하여 동적/진화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드는,
    상기 역사문화 서비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관련 온톨로지 네트워크가 해당 온톨로지 아이템의 단위별 연관범위에 기초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아이템이 선별적으로 조합되어 리스팅되어 표시되고, 리스트별 대응하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 표시된 온톨로지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아이템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연관범위에 기초하는 서브 아이템을 릴레이하여 표시하고, 상기 서브 아이템의 연관범위에 관련된 또 다른 서브 아이템으로 연계되어 선택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제3 영역에 표시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의 연도 리스트에 대응하는 스토리텔링 기반 스토리 데이터 지원을 위한 스토리 리스트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아이템 타입에 해당하는 온톨로지 개체에 관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 중 특정 서브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기설정된 연관범위를 기초로 선택된 서브 아이템과 관련되지 않은 서브 아이템은 비활성화되고, 관련되는 서브 아이템은 활성화되어 선택 가능함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서브 아이템을 기반으로 대응하는 스토리 리스트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 리스트 중 소정 스토리가 선택된 경우 해당 스토리를 구성하고 있는 온톨로지 아이템에 대응하는 지도 인터페이스상의 온톨로지 아이템이 활성화되고, 나머지 온톨로지 아이템은 비활성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드는,
    기등록된 해당 사용자 중심의 검색 패턴에 기반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별 특화된 콘텐츠 서비스를 지원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드는,
    역사문화 관련 스토리 텔링 관련 콘텐츠 서비스 지원으로 특화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모드이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GPS을 통한 위치정보 서비스 혹은 카메라부 혹은 인터넷을 통한 검색 엔진을 통해 지원 가능한 가상 혹은 증강 현실에 역사문화 관련 스토리 텔링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매칭하여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7.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합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콘텐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비스 수행 시 역사문화 관련 스토리텔링 콘텐츠 생성을 지원하기 위한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데이터 제공을 요청하고 이를 수집하는 역사문화 정보 통합 관리 서버와,
    상기 역사 문화 정보 통합 관리 서버에 연동되어 역사문화 관련 사료가 DB화되고, 상기 역사문화 정보 통합 관리 서버 제어 하에 다수의 사료 정보를 제공하는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와,
    상기 역사 문화 정보 통합 관리 서버 제어 하에 상기 다수의 사료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집된 사료 정보를 기설정된 콘텐츠 서비스 정책 기반 온톨로지 모델링(Ontology Modeling)을 통해 온톨로지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DB화하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연동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DB화된 사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문화해설 서비스 모드에서 선택된 저작 인터페이스 모드를 통해 스토리텔링 기반 제작자별 적응적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스토리텔링 콘텐츠 검색 기반 상호 작용형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비스 수행 시 사용자 중심의 사용자별 적응적 콘텐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사용자 모드가 실행되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역사문화 서비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관련 온톨로지 네트워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상에 출력하고,
    상기 콘텐츠 서비스 지원 화면은,
    복수의 분할된 영역을 갖고,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제1 영역의 제1 위치에는 사용자 인터럽트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해당 이동 경로 상에서 활성화되는 기설정된 범주를 기준으로 시대별 연도 단위로 분류된 연도 리스트가 표시되고,
    제2 위치에는 상기 제1 위치에 표시된 연도 리스트에 대응하는 온톨로지 아이템이 표시된 온톨로지 네트워크가 지도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되고,
    제3 위치에는 상기 제2 위치에 표시된 해당 온톨로지 아이템이 링크 가능하게 생성되어 표시되고,
    제4 위치에는 상기 제1, 2 및 3 위치 표시 관련 코멘트가 표시되거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 윈도우가 생성되고,
    제5 위치에는 상기 제2 위치에 표시된 온톨로지 아이템이 리스트화되어 표시되고,
    상기 연도 리스트 중 시대별 각 연도 단위 활성화 여부에 따라 대응하는 온톨리지 아이템이 생성되거나 삭제되며,
    상기 연도 리스트에서 시간 축이 변동되는 경우,
    특정 아이템 타입에 해당하는 온톨로지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온톨로지 개체와 이에 대응하는 스토리 리스트는 비활성화되어 업데이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삭제
KR1020150029071A 2015-03-02 2015-03-02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63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071A KR101663470B1 (ko) 2015-03-02 2015-03-02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071A KR101663470B1 (ko) 2015-03-02 2015-03-02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808A KR20160106808A (ko) 2016-09-13
KR101663470B1 true KR101663470B1 (ko) 2016-10-25

Family

ID=5694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071A KR101663470B1 (ko) 2015-03-02 2015-03-02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005A (ko) * 2020-12-02 2022-06-1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분할 렌더링 영상 기반의 증강현실 영상을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241B1 (ko) 2011-09-23 2012-07-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맨틱 웹 기술을 연동한 증강현실시스템의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426A (ko) 2007-06-11 2009-01-12 임영태 역사 학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사 학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241B1 (ko) 2011-09-23 2012-07-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맨틱 웹 기술을 연동한 증강현실시스템의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005A (ko) * 2020-12-02 2022-06-1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분할 렌더링 영상 기반의 증강현실 영상을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42715B1 (ko) * 2020-12-02 2022-09-1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분할 렌더링 영상 기반의 증강현실 영상을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808A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09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user generated slide objects over a network
JP3943824B2 (ja) 情報管理方法および情報管理装置
US7860852B2 (en) Systems and apparatuses for seamless integration of user, contextual, and socially aware search utilizing layered approach
CN104903886B (zh) 基于社交图谱信息的结构化搜索查询
US20170308614A1 (en) Customizable, Real Time Intelligence Channel
CN101124576A (zh) 集成有来自信任网络的用户注释的搜索系统和方法
CN1971603A (zh) 从群体协作中聚集意见子集的系统和方法
CN103503048A (zh) 用于提供智能协作内容基础设施的方法、系统及计算机程序
US10783192B1 (en)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a search engine based on multi-document summarization
CN102708431A (zh) 用于咨询服务网络的游戏档案
Ferran et al. Towards personalization in digital libraries through ontologies
CN105741121A (zh) 一种基于条目引用的产品溯源信息的编写与存储方法
CN114741667A (zh) 一种文档展示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40019545A1 (en) Social Graph Expanding Method, Program and System
KR101663470B1 (ko) 동적 db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05981A1 (en) System for superimposed communication by object oriented resource manipulation on a data network
US11212363B2 (en) Dossier interface and distribution
JP5427304B1 (ja) 検索結果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0237949A (ja) データ提供装置、データ提供方法およびデータ提供プログラム
KR20100018674A (ko) 블로그 포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10601A (ko)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가족 사이트에서의 가족관계자동설정과 가계도 자동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443722B1 (ko)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Ziaie et al. Content in open production communities: taxonomy and design construct providing a taxonomy and conceptualizing a construct to address content and content-related activites
KR20080007770A (ko) 블로그 콘텐츠 게재 처리 방법 및 시스템
Bamfo An implementation of a web platform to support free recycling in Gha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