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722B1 -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722B1
KR102443722B1 KR1020200182789A KR20200182789A KR102443722B1 KR 102443722 B1 KR102443722 B1 KR 102443722B1 KR 1020200182789 A KR1020200182789 A KR 1020200182789A KR 20200182789 A KR20200182789 A KR 20200182789A KR 102443722 B1 KR102443722 B1 KR 102443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law
laws
checklist
key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1761A (ko
Inventor
유영찬
황은경
이종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82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722B1/ko
Publication of KR20220091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35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설계자 또는 인허가권자의 건축 인허가 검토를 위해서, 건축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건축법령을 전산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하고, 개별 건축 인허가 법령의 적용 여부 및 결과를 요약한 체크리스트를 전산적으로 제공하여 관리함으로써 설계자 또는 인허가권자의 건축 인허가 검토용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건축 인허가 법령의 피드백 루트를 추가한 실시간 법령 도출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건축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법령을 전산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건축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고 완성도를 제고할 수 있으며, 또한, 건축 인허가 법령의 설계적용 적합성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선택 및 취합하여 저장한 후, 향후 편집기능을 통해 수정함으로써 건축 인허가 절차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MPUTERIZED MANAGING SYSTEM FOR DERIVING BUILDING AUTHORIZING REGULATIONS AND FOR PROVIDING CHECKLIST OF EACH REGULATION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계자 또는 인허가권자의 건축 인허가 검토를 위해서 건축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건축법령을 전산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하고, 개별 건축 인허가 법령의 적용 여부 및 결과를 요약한 체크리스트를 전산적으로 제공하여 관리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허가 제도는 공공복리 증진 및 공공질서 유지를 위하여 특정 사업, 업무, 기타의 행위를 수행함에 있어서, 행정관청의 허가, 인가, 면허 등의 일정한 행위 또는 행정관청에 대한 등록, 신고 등의 일정한 행위를 요건으로 하는 등 국민에 대하여 사회 및 경제 생활상의 자유나 권리를 제한하거나 의무를 과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인허가 제도에서, 건설 인허가는 건설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금지하거나 제한한 건설사업 관련 행위를 행정기관이 일정한 요건과 기준에 따라서 사업시행자의 신청을 받아 허용하는 행정처분이나 이와 유사한 행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건설 인허가는 건축 인허가 및 토목분야(도로, 철도, 항만, 수자원, 하천 등) 인허가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국내의 건축 인허가 시스템은 설계자가 해당 건축물을 관련 법령에 따라 적합하게 건축물을 설계하여 허가권자에게 제출하면, 허가권자가 설계도면 및 제반서류를 검토하여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설계자 또는 인허가권자가 허가시 검토해야 할 법령을 누락하거나 또는 실제 검토시에도 누락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건축 인허가 절차의 객관성 및 공정성 측면에서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한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58450호에는 "체크리스트를 통한 토지 관련 인허가 종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체크리스트를 통한 토지 관련 인허가 종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대상 토지에 대한 목적사업에 따라 필요한 허가 및 검토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자동 분석 서버에 있어서, 체크리스트를 통한 허가 및 검토 정보를 자동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이용자 단말기로 허가 및 검토 정보 제공을 위한 단계별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b)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공한 단계별 체크리스트 항목에 대한 선택 사항을 입력받는 단계; c) 단계별 체크리스트에 대한 선택 사항을 입력받는 것에 응답하여 요구되는 허가 및 검토 항목리스트를 도출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d) 단계별 체크리스트에 대한 선택이 진행됨에 따라 입력되는 선택 사항과 연동하여 허가 및 검토 항목리스트를 갱신하여 이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단계별 체크리스트는, 사업 분류별, 목적 사업별, 대상지 지목 현황별, 용도지역별, 용도지구별, 용도구역별, 사업면적별 체크리스트, 또는 관계법령 체크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체크리스트를 통한 토지 관련 인허가 종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목적사업에 대해 필요한 허가 및 검토 정보를 미리 상세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이와 관계된 전문대행회사를 연계하여 빠른 허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체크리스트를 통한 토지 관련 인허가 종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의 경우, 입력받은 선택 사항을 기초로 하여 토지관련 통합 DB에서 요구되는 허가 및 검토 사항을 도출하여 이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지만, 이용자 단말기로 허가 및 검토 정보 제공을 위한 단계별 체크리스트를 제공하여 토지 관련 인허가 종류를 알리는 것에 국한된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체크리스트를 통한 토지 관련 인허가 종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의 경우, 이용자의 조건에 맞는 건축규정법령의 조항만을 추출하여 검토하는 것이 아니고, 소관 부처의 검토를 거친 건축 인허가 법령을 도출하거나 법령별 체크리스트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의 건축관련 법령은 주부처인 국토교통부뿐만 아니라 각 개별부처에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협의해야 할 관계부서가 많고, 건축행위관련 법령을 파악하기 위해 많은 시간적 소모와 행정업무로 상당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에서는 건축기본법 제25조(한국건축규정의 공고 등)에 따라 건축물 관련 규정을 통합한 한국건축규정(이하 "한국건축규정"이라 한다)을 전산화한 한국건축규정 e시스템을 개발하여 시범운영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한국건축규정 e시스템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009649호에는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명세서 내에 참조되어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룬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의 DB 구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은, 법령원문 DB는 법령원문 제공자로부터 법령원문을 제공받아, Open API를 이용하여 XML 형태로 가공한 법령원문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법령원문 제공자(20)는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치법규정보시스템, 국가건설기준센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속성정보 DB는 각 건축관련 법령 조항별 기본속성 및 세부속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법령정보 DB는 법령원문 DB에 저장된 법령원문과 상기 속성정보 DB에 저장된 속성 데이터를 매핑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법령의 조항만을 추출하여 검토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의 경우, 기존의 법령 시스템의 단순한 원본 정보제공의 서비스가 아니라 행정절차별/건축단계별 속성정보 DB를 구축하여 법령의 조/항/목 단위로 필요정보를 추출하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손쉽게 사용자의 목적과 필요성에 따라 조건이 적합한 법령정보만을 추출하여 검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10)은, 건축규정 분류체계 선택부(11), 통합 검색부(12), 법령원문/속성정보 매핑부(13), 법령원문 DB(14), 속성정보 DB(15), 법령정보 DB(16), 법령정보 추출부(17) 및 법령정보 출력부(18)를 포함하며, 법령원문 제공자(20)로부터 법령원문을 제공받아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30)에게 제공하게 된다.
건축규정 분류체계 선택부(11)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한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시 건축규정 분류체계에 따라 일반규정, 행정규정, 생애단계규정, 기술기준규정 등으로 구분 설정된 항목을 선택한다. 이때, 상기 건축규정 분류체계 선택부(11)는, 일반규정 선택부(11a), 행정규정 선택부(11b), 생애단계규정 선택부(11c) 및 기술기준규정 선택부(11d)를 포함한다.
여기서, 건축규정은 일반규정 행정규정, 생애단계규정 및 기술기준규정의 4가지로 구분될 수 있지만, 이에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관련 법령이 검색될 수 있다. 이때, 일반규정 선택부(11a)는 건축법의 목적과 용어의 정의를 포함한 법령 적용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일반규정을 선택하고, 행정규정 선택부(11b)는 인허가권자 중심, 행정기관에 신청 및 승인을 받아야 하는 행정관련 규제인 행정규정을 선택하며, 생애단계규정 선택부(11c)는 건축전문가 중심, 설계부터 건축물 폐기까지 건축단계별 행위관련 규제인 생애단계규정을 선택하고, 기술기준규정 선택부(11d)는 건축물과 대지 그 자체에 적용되는 실체적인 기준인 기술기준규정을 선택한다.
법령원문 DB(14)는 법령원문 제공자(20)로부터 법령원문을 제공받아 구축된다.
속성정보 DB(15)는 각 법령 조별 및 항별 속성정보 데이터의 기본속성과 세부속성에 따라 할당 키워드, 교차 키워드 및 제거 키워드를 입력하여 구축된다. 여기서, 속성정보 DB(15)는 할당된 키워드들을 세부 항목에 따라 그루핑(grouping)한 키워드 DB로서, 할당 키워드에 따라 각각 조제목 또는 조문내용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조문 중에서 불필요한 단어를 추출하여 제거 키워드로 선정하며, 속성정보 DB(15)의 각 시트(Sheet)별로 할당 키워드, 교차 키워드 및 제거 키워드를 각각 입력함으로써 구축된다. 또한, 상기 속성정보 DB(15)는 상기 할당 키워드, 교차 키워드 및 제거 키워드가 적용되도록 한국건축규정의 각 조문을 전산화 룰(또는 전산화 법칙)에 따라 하위 세부 분류체계별로 대범주-중범주-소범주-소소범주의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할당한다.
법령원문/속성정보 매핑부(13)는 속성정보 DB(15)의 할당 키워드, 교차 키워드 및 제거 키워드에 따라 속성정보 DB(15)를 상기 법령원문 DB(14)에 매핑시킨다.
법령정보 DB(16)는 상기 법령원문/속성정보 매핑부(13)에서 매핑시킨 법령 정보를 저장하고, 법령정보 추출부(17)는 법령정보 DB(16)로부터 법령정보를 추출하며, 법령정보 출력부(18)는 법령정보 추출부(17)에서 추출된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법령정보를 최종 출력한다.
또한, 통합 검색부(12)는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를 조회하면 항목을 선택하지 않아도 관련 법령 및 용어를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에 따르면, 일반규정, 행정규정, 생애단계규정 및 기술기준규정의 건축규정 분류체계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건축규정법령의 조항만을 추출하여 검토할 수 있는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에 따르면, 건축규정 분류체계를 일반규정, 행정규정, 생애단계규정, 기술기준규정 등의 상위 분류체계와 하위 세부 분류체계로 각각 구분하여 설정하고 사용자의 검색조건에 적합한 건축관련 법령의 해당 조항만을 추출하여 검토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법령 시스템의 단순한 원본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니라 행정절차별/건축단계별 속성정보 DB를 구축하여 법령의 조/항/목 단위로 필요정보를 추출하여 검토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의 경우, 건축행정별 세부 단계에 따라 건축관련 법령을 제공해주고 있지만, 도출된 법령은 단지 전산 시스템의 검색 기능에만 의존하고 있을 뿐이며, 이에 따라, 제공되는 건축관련 법령을 활용할 수 있는 스크리닝(Screening)이 필요하며, 예를 들면,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에 따른 체크리스트 제공 등의 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58450호(등록일: 2010년 5월 10일), 발명의 명칭: "체크리스트를 통한 토지 관련 인허가 종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009649호(등록일: 2019년 8월 6일), 발명의 명칭: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873882호(등록일: 2018년 6월 27일), 발명의 명칭: "건설 인허가 협의 서류 작성을 위한 토지특성별 용지도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618775호(등록일: 2016년 4월 29일), 발명의 명칭: "법령정보 메타데이터 입력 지원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664454호(등록일: 2016년 10월 4일), 발명의 명칭: "법령 온톨로지 구축장치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11394호(등록일: 2011년 1월 21일), 발명의 명칭: "연계 법령 통합 방법 및 서버"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20-61596호(공개일: 2020년 6월 3일), 발명의 명칭: "건설 인허가 협의서류 검증 방법 및 시스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계자 또는 인허가권자의 건축 인허가 검토를 위해서, 건축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건축법령을 전산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하고, 개별 건축 인허가 법령의 적용 여부 및 결과를 요약한 체크리스트를 전산적으로 제공하여 관리할 수 있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피드백 루트를 추가한 실시간 법령 도출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건축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법령을 전산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설계적용 적합성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선택 및 취합하여 저장한 후, 향후 편집기능을 통해 수정할 수 있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은, 전산관리 시스템 내의 건축 허가시 검토법령을 검색하는 건축 허가시 검토법령 검색부; 상기 건축 허가시 검토법령 검색부에서 검색된 건축 허가시 검토법령에 따라 검토법령 초안을 도출하는 검토법령 초안 도출부; 상기 검토법령 초안 도출부에서 도출된 검토법령 초안으로부터 1차 키워드를 도출하고, 키워드별 법령을 도출하여 검토하며, 소관부처의 검토결과에 따른 수정 키워드를 도출하여 수정 키워드별 법령을 도출하고, 상기 검토결과 만족시에 건축 인허가 법령을 도출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 상기 검토결과를 만족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 제공부;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에서 제공되는 건축 인허가 법령별로 체크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부; 건축 인허가 법령별 체크리스트가 저장된 체크리스트 DB; 및 상기 도출된 건축 인허가 법령 및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별 체크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가 제공하는 상기 도출된 건축 인허가 법령의 세부메뉴를 선택할 경우, 고시된 건축 인허가 법령조문 및 위임관계 영/규칙 조문을 3~5단으로 제공하며, 해당 조문을 클릭할 경우, 법령의 3~5단별 세부 조문내용을 제공하며; 건축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건축법령을 전산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함에 따라, 상기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는 개별 건축 인허가 법령의 적용 여부 및 결과를 요약한 체크리스트를 전산적으로 제공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는 자동으로 도출되는 건축 인허가 법령 법령을 해당 소관부처별로 선별하여 제외법령 또는 추가법령을 결정한 후, 선별된 조문이 도출 또는 제외되도록 키워드를 수정하고, 수정된 키워드를 키워드 DB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는, 상기 검토법령 초안 도출부에서 도출된 검토법령 초안으로부터 1차 키워드를 도출하거나, 키워드 수정 요청이 있는 경우, 수정 키워드를 도출하는 키워드 도출부; 상기 키워드 도출부에서 도출된 1차 키워드 및 수정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 DB; 상기 키워드 DB에 저장된 1차 키워드 및 수정 키워드에 따른 키워드별 법령을 도출하는 키워드별 법령 도출부; 및 상기 키워드별 법령 도출부에서 도출된 키워드별 법령을 검토하여 제외법령 또는 추가법령이 있는 경우 키워드 수정을 요청하는 법령 검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워드별 법령 도출부는 상기 법령 검토부의 검토결과로부터 키워드 수정이 없는 경우 최종 건축 인허가 법령을 도출하여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제공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워드 DB는 법령원문 제공자로부터 법령원문을 제공받아 법의 개정/제정에 따라 실시간으로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법령을 자동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여기서, 상기 3~5단별 세부 조문내용을 제공하는 법령을 미선택하면, 체크리스트 내용에 "해당없음"을 표기하며, 상기 3~5단별 세부 조문내용을 제공하는 법령을 선택하면, 기구축되어 있는 체크리스트 내용을 표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는 사용자가 프로젝트별로 건축 인허가에 필요한 개별 법령을 선택하면, 해당 법령의 선택 여부에 따라 체크리스트의 컨텐츠를 전산관리 시스템 내에서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1개의 파일로 취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체크리스트의 수정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의 체크박스 선택에 따라 관리되는 체크리스트를 저장하는 사용자 계정별 체크리스트 관리 D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체크리스트의 수정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의 체크박스 선택에 따른 사용자 선택 체크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계정별 체크리스트 관리 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은, a) 전산 알고리즘에 따라 건축 허가시 검토해야 할 법령을 검색하여 건축 인허가 검토법령 초안을 도출하는 단계; b) 상기 건축 인허가 검토법령 초안으로부터 1차 키워드를 도출하여 키워드 DB에 저장하고, 키워드 수정 요청시 키워드를 수정하여 상기 키워드 DB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키워드 DB에 저장된 1차 키워드 또는 수정 키워드에 따른 키워드별 법령을 도출하는 단계; d) 상기 도출된 키워드별 법령을 소관부처에서 검토하는 단계; e) 상기 소관부처의 검토결과에 따른 키워드 수정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f) 상기 검토결과를 만족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을 도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g) 체크리스트 DB에 저장된 체크리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h)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및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체크리스트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h) 단계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가 제공하는 상기 도출된 건축 인허가 법령의 세부메뉴를 선택할 경우, 고시된 건축 인허가 법령조문 및 위임관계 영/규칙 조문을 3~5단으로 제공하며 해당 조문을 클릭할 경우, 법령의 3~5단별 세부 조문내용을 제공하며; 상기 h) 단계는 건축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건축법령을 전산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함에 따라, 개별 건축 인허가 법령의 적용 여부 및 결과를 요약한 체크리스트를 전산적으로 제공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계자 또는 인허가권자의 건축 인허가 검토를 위해서, 건축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건축법령을 전산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하고, 개별 건축 인허가 법령의 적용 여부 및 결과를 요약한 체크리스트를 전산적으로 제공하여 관리함으로써 설계자 또는 인허가권자의 건축 인허가 검토용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 인허가 법령의 피드백 루트를 추가한 실시간 법령 도출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건축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법령을 전산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건축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고 완성도를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 인허가 법령의 설계적용 적합성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선택 및 취합하여 저장한 후, 향후 편집기능을 통해 수정함으로써 건축 인허가 절차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의 DB 구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에서 건축 인허가 법령과 체크리스트를 연계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에서 세부항목 체크리스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에서 추가확인이 필요한 체크리스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에서 체크리스트의 종류 및 구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에서 필수법령 및 추가확인 법령에 대한 체크리스트 작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에서 서식별 체크리스트 전산 입력/저장/편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에서 건축 인허가 필수 검토법령 및 하위 령-규칙-고시-조례가 연동하여 법령을 도출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에서 건축 인허가 필수 검토법령 및 하위 령-규칙-고시-조례가 연동하여 법령을 도출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에서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의 자동완성 및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에서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의 자동완성 및 관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고,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을 설명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009649호에는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에 개시된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은 본 명세서 내에 참조되어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룬다.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1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100)은, 건축 허가시 검토법령 검색부(110); 검토법령 초안 도출부(120),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130), 건축 인허가 법령 제공부(140), 건축 인허가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부(150), 체크리스트 DB(160),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170) 및 사용자 계정별 체크리스트 관리 DB(180)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130)는 키워드 도출부(131), 키워드 DB(132), 키워드별 법령 도출부(133) 및 법령 검토부(134)를 포함한다.
건축 허가시 검토법령 검색부(110)는 전산 알고지즘에 따라 건축 허가시 검토해야 할 검토법령을 검색한다.
검토법령 초안 도출부(120)는 상기 건축 허가시 검토법령 검색부(110)에서 검색된 검토법령에 따라 건축 허가시 검토법령 초안을 도출한다.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130)는 상기 검토법령 초안 도출부(120)에서 도출된 검토법령 초안으로부터 키워드를 도출하고, 키워드별 법령을 도출하여 검토한 후, 소관부처의 검토결과 만족시 건축 인허가 법령을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130)의 키워드 도출부(131)는 상기 검토법령 초안 도출부(120)에서 도출된 검토법령 초안으로부터 1차 키워드를 도출한다. 또한, 상기 키워드 도출부(131)는 후속적으로 법령 검토부(134)의 요청에 의해 수정 키워드를 도출한다.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130)의 키워드 DB(132)는 상기 키워드 도출부(131)에서 도출된 1차 키워드를 저장하며, 또한, 수정 키워드가 도출된 경우 상기 수정 키워드를 저장한다.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130)의 키워드별 법령 도출부(133)는 상기 키워드 DB(132)에 저장된 1차 키워드에 따라 건축 인허가 법령을 도출한다.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130)의 법령 검토부(134)는 상기 키워드별 법령 도출부(133)에서 도출된 법령을 검토한다. 이때, 상기 법령 검토부(134)는 소관 부처에서 이루어지며, 검토 결과에 따라 상기 키워드 도출부(131)에게 키워드 수정을 요청하거나 또는 키워드 수정이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별 법령 도출부(133)에게 법령 도출을 허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키워드별로 도출된 법령을 검토하여 검토결과가 만족스러울 때까지 키워드를 수정하면서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또한, 건축 인허가 법령 제공부(140)는 검토결과에 대응하여 키워드 수정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130)에서 도출된 건축 인허가 법령을 사용자 단말(300)과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170)에 제공한다.
체크리스트 DB(160)는 사전에 작성되는 건축 인허가 법령별 체크리스트가 저장된다.
건축 인허가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부(150)는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130)에서 제공되는 건축 인허가 법령별로 체크리스트를 상기 체크리스트 DB(160)로부터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체크박스에 체크한 정보를 건축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170)에 제공한다.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170)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을 통한 체크리스트의 수정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300)의 체크박스 선택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체크리스트를 사용자별 계정을 관리하는 사용자 계정별 체크리스트 관리 DB(180)에 저장한다.
사용자 계정별 체크리스트 관리 DB(180)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을 통한 체크리스트의 수정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300)의 체크박스 선택에 따라 관리되는 체크리스트를 저장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100)은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 내에 인허가 법령의 피드백(Feed-back) 루트를 추가한 실시간 건축관련 법령을 도출하는 시스템으로서, 구체적으로, 법제처 등 법령원문 제공자(200)에서 제공하는 건축관련 법령원문으로부터 검색된 검토법령에 따라 사전에 구축한 키워드 DB(132)를 적용하여 1차적으로 건축 인허가 관련법령을 도출하고, 이후, 상기 도출된 인허가 법령에 대하여 해석 권한이 있는 개별 소관부처의 전문가가 제외 또는 추가되는 수정 인허가 법령(또는 수정 키워드)을 제안하면, 그에 해당되는 수정 키워드 DB를 구성하여 검토결과 만족시에 최종적으로 건축 인허가에 필요한 건축법령을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건축 인허가에 필요한 개별 도출 법령에서 건축 인허가와 관련된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된 체크리스트를 연계시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에서 건축 인허가 법령과 체크리스트를 연계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설계자가 사용자로 로그인하여 프로젝트별로 건축 인허가에 필요한 개별 법령을 선택하면, 해당 법령의 선택 여부에 따라 체크리스트의 컨텐츠를 전산관리 시스템 내에서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1개의 파일로 취합한다. 즉, 세부메뉴를 선택할 경우, 고시된 건축 인허가 법령조문 및 위임관계 영/규칙 조문을 3~5단으로 제공하며, 이때, 해당 조문을 클릭할 경우, 법령의 3~5단별 세부 조문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법령을 미선택하면, 체크리스트 내용에 "해당없음"을 표기하며, 또는, 해당 법령을 선택하면, 기구축되어 있는 체크리스트 내용을 표기하게 된다.
여기서, 좌측은 고시된 인허가 검토법령 조문을 나타내고, 또한, 우측은 전산관리 시스템 내에서 위임관계에 따라 영/규칙 조항을 참고로 제공할 조문을 각각 나타낸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에서 세부항목 체크리스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에서 추가확인이 필요한 체크리스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100)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항목 체크리스트로서 현재 체크리스트 세부항목이 준비된 조문과,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확인 여부 체크리스트로서 현재 체크리스트 세부항목이 준비되지 않은 조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에서 체크리스트의 종류 및 구분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에서 필수법령 및 추가확인 법령에 대한 체크리스트 작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100)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령 체크리스트 모음"파일에 체크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해당 파일을 전산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계정별 체크리스트 관리 DB(180) 내에 저장한다. 이후, 해당 법령별 체크리스트가 취합되면 사용자는 취합된 "법령 체크리스트 모음"파일에 사용자가 해당 법령별 요약 체크리스트에 선별적으로 선택 및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수법령(체크리스트 작성본) 해당시 체크항목을 포함한 체크리스트 모음을 표기하고, 미해당시 해당 조문에 대해 "해당 없음"을 표기한다. 또한, 추가 확인법령(체크리스트 미작성본) 해당시에는 해당조문" 검토완료"를 표기하고, 미해당시에는 해당 조문에 대해 "해당 없음"을 표기한다.
이후,"법령 체크리스트 모음"파일에 체크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해당 파일을 전산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계정별 체크리스트 관리 DB(180) 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에서 서식별 체크리스트 전산 입력/저장/편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100)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 로그인하여 필요시 파일을 불러와서 편집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선택항목에 체크된 체크리스트를 불러와서 수정 편집이 가능하다.
또한, 회원계정에 프로젝트별로 체크리스트 불러오기 및 저장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프로젝트별로 체크리스트 모음/결과 불러오기 실행시, 체크리스트 개별 서식 저장 결과의 편집 또는 수정이 가능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설계자 또는 인허가권자의 건축 인허가 검토를 위해서, 건축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건축법령을 전산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하고, 개별 건축 인허가 법령의 적용 여부 및 결과를 요약한 체크리스트를 전산적으로 제공하여 관리함으로써 설계자 또는 인허가권자의 건축 인허가 검토용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축 인허가 법령의 피드백 루트를 추가한 실시간 법령 도출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건축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법령을 전산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건축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고 완성도를 제고할 수 있다.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은, 먼저, 전산 알고리즘에 따라 건축 허가시 검토해야 할 법령을 검색하여 건축 인허가 검토법령 초안을 도출한다(S110).
다음으로, 상기 건축 인허가 검토법령 초안으로부터 1차 키워드를 도출하여 키워드 DB(132)에 저장하고, 키워드 수정 요청시 키워드를 수정하여 상기 키워드 DB(132)에 저장한다(S120). 여기서, 상기 키워드 DB(132)는 법령원문 제공자(200)로부터 법령원문을 제공받아 법의 개정/제정에 따라 실시간으로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법령을 자동 도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키워드 DB(132)에 저장된 1차 키워드 또는 수정 키워드에 따른 키워드별 법령을 도출한다(S130).
다음으로, 상기 도출된 키워드별 법령을 소관부처에서 검토한다(S140).
다음으로, 상기 소관부처의 검토결과에 따른 키워드 수정 요청이 있는지 확인한다(S150). 이때, 상기 자동으로 도출되는 건축 인허가 법령 법령을 해당 소관부처별로 선별하여 제외법령 또는 추가법령을 결정하면, 이에 대응하여 선별된 조문이 도출 또는 제외되도록 키워드가 수정될 수 있고, 소관부처의 검토결과로부터 키워드 수정이 없는 경우 최종 건축 인허가 법령을 도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키워드 수정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검토결과를 만족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을 도출하여 제공한다(S160).
다음으로, 체크리스트 DB(160)에 저장된 체크리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체크리스트를 제공한다(S170).
다음으로,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및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체크리스트를 관리한다(S180). 즉, 상기 사용자 단말(300)을 통한 체크리스트의 수정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300)의 체크박스 선택에 따라 관리되는 체크리스트를 사용자 계정별 체크리스트 관리 DB(180)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상기 건축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건축법령을 전산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함에 따라, 개별 건축 인허가 법령의 적용 여부 및 결과를 요약한 체크리스트를 전산적으로 제공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300)을 통한 체크리스트의 수정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300)의 체크박스 선택에 따른 사용자 선택 체크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계정별 체크리스트 관리 DB(18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300)이 상기 도출된 건축 인허가 법령의 세부메뉴를 선택할 경우, 고시된 건축 인허가 법령조문 및 위임관계 영/규칙 조문을 3~5단으로 제공하며, 해당 조문을 클릭할 경우, 법령의 3~5단별 세부 조문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5단별 세부 조문내용을 제공하는 법령을 미선택하면, 체크리스트 내용에 "해당없음"을 표기하며, 상기 3~5단별 세부 조문내용을 제공하는 법령을 선택하면, 기구축되어 있는 체크리스트 내용을 표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에 따르면, 건축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건축법령을 전산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하고, 개별 법령의 적용 여부 및 결과를 요약한 체크리스트를 전산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설계자 또는 인허가권자의 건축 인허가 검토용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에서 건축 인허가 필수 검토법령 및 하위 령-규칙-고시-조례가 연동하여 법령을 도출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에서 건축 인허가 필수 검토법령 및 하위 령-규칙-고시-조례가 연동하여 법령을 도출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먼저, 시스템에 접속하여, 메뉴 상단의 두 번째 "한국건축규정 → 건축 허가시 검토법령" 메뉴를 클릭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144개의 건축 인허가 필수 검토법령 및 하위 령-규칙-고시-조례가 연동하여 검토법령을 도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검토법령에 따라 1차 키워드를 도출하여 키워드 DB(132)에 저장되고, 이후, 상기 키워드 DB(132)를 통해 전산에서 키워드별 건축 인허가 법령이 자동 도출되고, 이후, 자동 도출된 건축 인허가 법령 법령을 해당 소관부처별로 선별하여 제외법령 또는 추가법령을 결정하면, 이후, 선별된 조문이 도출 또는 제외되도록 키워드를 수정한 후, 수정된 키워드를 키워드 DB(132)에 저장한다.
이후, 수정 키워드가 저장된 상기 키워드 DB(132)를 적용함에 따라 추가적으로 키워드별 건축 인허가 법령을 도출하고, 이러한 도출된 건축 인허가 법령을 다시 해당 소관부처에서 검토한다. 이후, 전산관리 시스템에서 도출되는 법령과 해당 소관부처에서 검토하는 법령이 서로 적합할 때까지 전술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때, 법의 개정/제정에 따라 상기 키워드 DB(132)를 통해 실시간으로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법령을 실시간으로 자동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에서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의 자동완성 및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에서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의 자동완성 및 관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의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인허가 필수 검토법령, 예를 들면, 144개의 건축인허가 필수 검토법령에 대하여 프로젝트별로 해당하는 법령만 법령 앞에 체크박스를 체크한다 이후, 선택된 법령에 해당되는 체크리스트만 선별적으로 취합하여 체크리스트 입력창을 팝업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의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선택된 법령의 경우에는 세부내용을 요약한 체크리스트가 취합되며, 또한, 선택되지 않은 법령의 경우에는 체크리스트 항목에 "해당 없음"으로 자동 표기된다.
이후, 모든 체크리스트 법령을 선택하고 해당 프로젝트 이름으로 저장한다.
이후, 수정이 필요할 경우, 시스템에 로그인된 사용자가 저장한 체크리스트만 불러오기로 가져온 후에 수정 및 저장한다.
이후, 해당 파일은 인허가 소관 부처에 전산으로 자동 송부하여 허가권자의 검토가 이루어진 후, 검토 결과에 따라 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 인허가 법령의 설계적용 적합성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선택 및 취합하여 저장한 후, 향후 편집기능을 통해 수정함으로써 건축 인허가 절차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산관리 시스템
200: 법령원문 제공자 300: 사용자 단말
110: 건축 허가시 검토법령 검색부 120: 검토법령 초안 도출부
130: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 140: 건축 인허가 법령 제공부
150: 건축 인허가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부
160: 체크리스트 DB 170: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
180: 사용자 계정별 체크리스트 관리 DB
131: 키워드 도출부 132: 키워드 DB
133: 키워드별 법령 도출부 134: 법령 검토부

Claims (17)

  1. 전산관리 시스템 내의 건축 허가시 검토법령을 검색하는 건축 허가시 검토법령 검색부(110);
    상기 건축 허가시 검토법령 검색부(110)에서 검색된 건축 허가시 검토법령에 따라 검토법령 초안을 도출하는 검토법령 초안 도출부(120);
    상기 검토법령 초안 도출부(120)에서 도출된 검토법령 초안으로부터 1차 키워드를 도출하고, 키워드별 법령을 도출하여 검토하며, 소관부처의 검토결과에 따른 수정 키워드를 도출하여 수정 키워드별 법령을 도출하고, 상기 검토결과 만족시에 건축 인허가 법령을 도출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130);
    상기 검토결과를 만족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을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 제공부(140);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130)에서 제공되는 건축 인허가 법령별로 체크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부(150);
    건축 인허가 법령별 체크리스트가 저장된 체크리스트 DB(160); 및
    상기 도출된 건축 인허가 법령 및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별 체크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하는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170)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300)이 상기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170)가 제공하는 상기 도출된 건축 인허가 법령의 세부메뉴를 선택할 경우, 고시된 건축 인허가 법령조문 및 위임관계 영/규칙 조문을 3~5단으로 제공하며, 해당 조문을 클릭할 경우, 법령의 3~5단별 세부 조문내용을 제공하며;
    건축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건축법령을 전산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함에 따라, 상기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170)는 개별 건축 인허가 법령의 적용 여부 및 결과를 요약한 체크리스트를 전산적으로 제공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130)는 자동으로 도출되는 건축 인허가 법령 법령을 해당 소관부처별로 선별하여 제외법령 또는 추가법령을 결정한 후, 선별된 조문이 도출 또는 제외되도록 키워드를 수정하고, 수정된 키워드를 키워드 DB(132)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도출부(130)는,
    상기 검토법령 초안 도출부(120)에서 도출된 검토법령 초안으로부터 1차 키워드를 도출하거나, 키워드 수정 요청이 있는 경우, 수정 키워드를 도출하는 키워드 도출부(131);
    상기 키워드 도출부(131)에서 도출된 1차 키워드 및 수정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 DB(132);
    상기 키워드 DB(132)에 저장된 1차 키워드 및 수정 키워드에 따른 키워드별 법령을 도출하는 키워드별 법령 도출부(133); 및
    상기 키워드별 법령 도출부(133)에서 도출된 키워드별 법령을 검토하여 제외법령 또는 추가법령이 있는 경우 키워드 수정을 요청하는 법령 검토부(134)를 포함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별 법령 도출부(133)는 상기 법령 검토부(134)의 검토결과로부터 키워드 수정이 없는 경우 최종 건축 인허가 법령을 도출하여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제공부(140)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DB(132)는 법령원문 제공자(200)로부터 법령원문을 제공받아 법의 개정/제정에 따라 실시간으로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법령을 자동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5단별 세부 조문내용을 제공하는 법령을 미선택하면, 체크리스트 내용에 "해당없음"을 표기하며, 상기 3~5단별 세부 조문내용을 제공하는 법령을 선택하면, 기구축되어 있는 체크리스트 내용을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170)는 사용자가 프로젝트별로 건축 인허가에 필요한 개별 법령을 선택하면, 해당 법령의 선택 여부에 따라 체크리스트의 컨텐츠를 전산관리 시스템 내에서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1개의 파일로 취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300)을 통한 체크리스트의 수정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300)의 체크박스 선택에 따라 관리되는 체크리스트를 저장하는 사용자 계정별 체크리스트 관리 DB(180)를 추가로 포함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 관리부(170)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을 통한 체크리스트의 수정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300)의 체크박스 선택에 따른 사용자 선택 체크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계정별 체크리스트 관리 DB(18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11. a) 전산 알고리즘에 따라 건축 허가시 검토해야 할 법령을 검색하여 건축 인허가 검토법령 초안을 도출하는 단계;
    b) 상기 건축 인허가 검토법령 초안으로부터 1차 키워드를 도출하여 키워드 DB(132)에 저장하고, 키워드 수정 요청시 키워드를 수정하여 상기 키워드 DB(132)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키워드 DB(132)에 저장된 1차 키워드 또는 수정 키워드에 따른 키워드별 법령을 도출하는 단계;
    d) 상기 도출된 키워드별 법령을 소관부처에서 검토하는 단계;
    e) 상기 소관부처의 검토결과에 따른 키워드 수정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f) 상기 검토결과를 만족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을 도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g) 체크리스트 DB(160)에 저장된 체크리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h) 상기 건축 인허가 법령 및 상기 건축 인허가 체크리스트를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체크리스트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h)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300)이 상기 도출된 건축 인허가 법령의 세부메뉴를 선택할 경우, 고시된 건축 인허가 법령조문 및 위임관계 영/규칙 조문을 3~5단으로 제공하며, 해당 조문을 클릭할 경우, 법령의 3~5단별 세부 조문내용을 제공하며;
    상기 h) 단계는 건축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건축법령을 전산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함에 따라, 개별 건축 인허가 법령의 적용 여부 및 결과를 요약한 체크리스트를 전산적으로 제공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자동으로 도출되는 건축 인허가 법령 법령을 해당 소관부처별로 선별하여 제외법령 또는 추가법령을 결정하면, 이에 대응하여 선별된 조문이 도출 또는 제외되도록 키워드가 수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소관부처의 검토결과로부터 키워드 수정이 없는 경우 최종 건축 인허가 법령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키워드 DB(132)는 법령원문 제공자(200)로부터 법령원문을 제공받아 법의 개정/제정에 따라 실시간으로 인허가시 검토해야 할 법령을 자동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300)을 통한 체크리스트의 수정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300)의 체크박스 선택에 따른 사용자 선택 체크리스트를 사용자 계정별 체크리스트 관리 DB(18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
  16. 삭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3~5단별 세부 조문내용을 제공하는 법령을 미선택하면, 체크리스트 내용에 "해당없음"을 표기하며, 상기 3~5단별 세부 조문내용을 제공하는 법령을 선택하면, 기구축되어 있는 체크리스트 내용을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방법.
KR1020200182789A 2020-12-24 2020-12-24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43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789A KR102443722B1 (ko) 2020-12-24 2020-12-24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789A KR102443722B1 (ko) 2020-12-24 2020-12-24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761A KR20220091761A (ko) 2022-07-01
KR102443722B1 true KR102443722B1 (ko) 2022-09-16

Family

ID=8239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789A KR102443722B1 (ko) 2020-12-24 2020-12-24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722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450B1 (ko) * 2008-09-30 2010-05-18 주식회사 도시개발연구원 체크 리스트를 통한 토지 관련 인허가 종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11394B1 (ko) 2010-04-30 2011-01-28 대한민국 연계 법령 통합 방법 및 서버
KR101618775B1 (ko) 2014-08-07 2016-05-18 주식회사 에코시안 법령 정보 메타데이터 입력 지원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664454B1 (ko) 2015-06-23 2016-10-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법령 온톨로지 구축장치 및 방법
KR101873882B1 (ko) 2018-02-26 2018-07-03 주식회사 올앤올 건설 인허가 협의 서류 작성을 위한 토지특성별 용지도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009649B1 (ko) 2018-08-21 2019-08-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12140B1 (ko) 2018-11-26 2021-02-04 주식회사 올앤올 건설 인허가 협의서류 검증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6560호 (2010.04.08.)*
등록특허공보 제10-2009649호 (2019.08.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761A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ssiakos et al. A web-based system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US1089621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compliance framework database schema
Lambrix et al. SAMBO—a system for aligning and merging biomedical ontologies
US113865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web-based systems with local document processing applications
US7962844B2 (en) Dynamic publication of information from a database
Vassallo et al. Codes: Mining source code descriptions from developers discussions
US10778688B2 (en) Descendent case role alias
CN101477549B (zh) 知识库支持下的空间数据库设计系统和方法
CN111382956A (zh) 企业集团关系的挖掘方法和装置
Sleimi et al. A query system for extracting requirements-related information from legal texts
Xiao et al. Ontology-based knowledge model to support construction noise control in China
CN115757689A (zh) 一种信息查询系统、方法及设备
CN110399448A (zh) 中文地名地址搜索匹配方法、终端、计算机可读存储介质
Vela et al. A semi-automatic data–scraping method for the public transport domain
Belhiah et al. A User-Centered Model for Assessing and Improving Open Government Data Quality.
Yoo et al. A practical military ontology construction for the intelligent army tactical command information system
Erdoğan et al. Selection of the best outsourcing firm for WEEE under hesitant fuzzy environment
KR102443722B1 (ko) 건축 인허가 법령의 도출과 법령별 체크리스트 제공을 위한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Mussmann et al. Mapping the State of Security Standards Mappings.
CN102208065A (zh) 行政审批智能导航系统及导航方法
JP5510031B2 (ja) 情報セキュリティ管理支援方法及び装置
US20180260820A1 (en) System device and process for an educational regulatory electronic tool kit
Massoud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ioritization and rehabilitation decision support tool for uncontrolled waste disposal sites in developing countries
Fernández-Rosillo San Isidro et al. Micro-database for sustainability (ESG) indicators developed at the Banco de España (2022)
Di Mauro et al. Crowdsourced semantic enrichment for participatory e-gover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