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068B1 - 슈트장치 - Google Patents

슈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068B1
KR101663068B1 KR1020160002647A KR20160002647A KR101663068B1 KR 101663068 B1 KR101663068 B1 KR 101663068B1 KR 1020160002647 A KR1020160002647 A KR 1020160002647A KR 20160002647 A KR20160002647 A KR 20160002647A KR 101663068 B1 KR101663068 B1 KR 101663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chute body
delete delete
wall surface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철
정정운
정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웰텍
Priority to KR1020160002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6Interior surfaces;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2Filing appliances comprising only one pocket or compartment, e.g. single gussetted p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6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alumi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ides or oxycarbides
    • C04B35/56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ides or oxycarbides based on silicon carbide
    • B65G2812/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는, 이송장치로부터 낙하하는 피수송체의 낙하 방향을 안내하는 이동공간이 형성된 슈트몸체; 및 상기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슈트몸체의 벽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세라믹 모르타르가 응고되어 형성된 라이너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슈트장치{Chute apparatus}
본 발명은 슈트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슈트몸체를 피수송체의 충돌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라이너부재를 구비하는 슈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슈트(chute)는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이송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며, 이송장치로부터 낙하하는 피수송체의 종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2228호 (2014.05.23.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수송체의 충돌로부터 슈트몸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라이너부재를 구비하는 슈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는, 이송장치로부터 낙하하는 피수송체의 낙하 방향을 안내하는 이동공간이 형성된 슈트몸체; 및 상기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슈트몸체의 벽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세라믹 모르타르가 응고되어 형성된 라이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공간은 슈트몸체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라이너부재는 상기 피수송체가 충돌하는 상기 슈트몸체의 내벽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는 세라믹 분말과 물(H2O)이 혼합된 혼합물이며, 상기 세라믹 분말은 50 ~ 70 wt%의 Al2O3, 5 ~ 15 wt% 의 SiC, 15 wt% 이하의 SiO2(0 wt% 제외), 5 ~ 10 wt%의 CaO 및 2 wt% 이하의 Fe2O3(0 wt% 제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는 상기 물(H2O)이 상기 세라믹 분말의 중량에 대해 5 ~ 6 wt%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부재는, 상기 슈트몸체의 내벽면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가 상기 슈트몸체의 내벽면에 고착되도록 보조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슈트몸체의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슈트몸체의 내부를 향해 기 설정된 돌출 높이로 돌출되도록 고정 배치되며, 상기 이동공간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앵커프레임들; 및 상기 앵커프레임들의 돌출된 선단에 일면이 고정 배치되며, 상기 슈트몸체의 내벽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커프레임은 상기 슈트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기 보조프레임은 복수의 선재들이 교차 배치되어 격자형의 그물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라이너부재는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가 외부로부터 상기 앵커프레임들 및 상기 보조프레임을 모두 덮도록 미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 제조방법은, 세라믹 분말과 물(H2O)을 혼합한 세라믹 모르타르를 혼련하는 혼련단계; 피수송체의 낙하 방향을 안내하는 이동공간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슈트몸체의 내벽면에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를 미장하는 미장단계;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를 양생하여 라이너부재를 형성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세라믹 분말은 50 ~ 70 wt%의 Al2O3, 5 ~ 15 wt% 의 SiC, 15 wt% 이하의 SiO2(0 wt% 제외), 5 ~ 10 wt%의 CaO 및 2 wt% 이하의 Fe2O3(0 wt% 제외)를 포함한다.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는 상기 세라믹 분말의 중량에 대해 5 ~ 6 wt%의 물(H2O)이 혼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는, 세라믹 모르타르의 고착을 보조하며 강성을 증대시키는 지지프레임과 피수송체가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충돌면이 세라믹 모르타르로 형성되는 라이너부재를 포함하므로, 슈트장치의 내마모성 및 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이송장치 및 슈트를 구비하는 이송설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보호부재를 장착한 슈트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슈트의 내벽에 보호부재로 설치한 세라믹 타일의 파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앵커프레임이 슈트몸체에 배치된 슈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앵커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이 슈트몸체에 배치된 슈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세라믹 모르타르가 미장된 슈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슈트장치를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 제조방법의 플로우차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슈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언급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이송장치 및 슈트를 구비하는 이송설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설비는 피수송체(C)를 이송하는 이송장치(20a, 20b) 및 이송장치(20a, 20b)로부터 낙하하는 피수송체(C)의 낙하 방향을 안내하는 슈트(chute, 10)를 구비한다. 도 1에는 이송장치(20a, 20b)의 일 예로 컨베이어벨트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것은 아니며, 피수송체(C)를 횡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모든 수단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송설비가 배치되는 장소적 환경 또는 그 이송거리에 따라 2 이상의 이송장치(20a, 20b)가 높낮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송장치(20a, 20b) 간의 피수송체(C) 전달을 위해 슈트(1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이송장치(20a)의 일측에 슈트(10)가 배치되며, 상부 이송장치(20a)로부터 낙하된 피수송체(C)는 슈트(10)를 통해 낙하하여 하부 이송장치(20b)에 안착 될 수 있다. 슈트(10)에는 상하방향을 관통하도록 이동공간(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피수송체(C)는 이동공간(14)을 통해 하부 이송장치(20b)로 낙하 될 수 있다.
이송설비가 원료탄 등의 고형 피수송체(C)를 이송하는 경우, 상부 이송장치(20a)로부터 낙하된 피수송체(C)가 슈트(10)의 내벽에 충돌하여 슈트(10)의 파손이 야기될 수 있다. 즉, 상부 이송장치(20a)로부터 낙하된 피수송체(C)는 도 1의 A로 표시된 부분에 1차적으로 충돌하게 되며, 슈트(10)의 내벽에 1차적으로 충돌한 피수송체(C)는 도 1의 A'로 표시된 부분에 충돌할 수 있다. 슈트(10)의 내벽에 피수송체(C)가 반복적으로 충돌함에 따라, 이들 부위를 중심으로 슈트(10)의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슈트(10)가 파손되는 경우 슈트(10)의 수리 및 교체가 요구되며, 그에 따라 이송조업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2는 보호부재를 장착한 슈트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슈트의 내벽에 보호부재로 설치한 세라믹 타일의 파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10)의 수명 연장을 위해 슈트(10)의 내벽에 보호부재(12)를 장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호부재(12)로는 금속 판재 또는 세라믹 타일이 이용되나, 금속 판재의 경우 부식 및 산화에 취약한 문제가 있으며, 세라믹 타일의 경우 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존재한다. 보호부재(12)로 세라믹 타일을 사용하는 경우 고무판재를 이용하여 세라믹 타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시도가 있으나,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고무판재가 경화 되며, 그에 따라 고무판재의 충격 완화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도 3은 보호부재(12)로서 세라믹 타일을 슈트(10)의 내벽에 장착한 경우의 파손 발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수송체(C)의 충돌이 집중되는 부분에 세라믹 타일의 파손이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앵커프레임이 슈트몸체에 배치된 슈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앵커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이 슈트몸체에 배치된 슈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세라믹 모르타르가 미장된 슈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슈트장치를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이예에 의한 슈트장치(100)는 슈트몸체(110) 및 슈트몸체(110)의 내벽에 배치되는 라이너부재(150)를 포함하며, 라이너부재(150)는 지지프레임(120) 및 세라믹 모르타르(130)를 구비한다. 슈트몸체(110)에는 피수송체(C)의 낙하방향을 안내하는 이동공간(140)이 슈트몸체(110)의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7에는 하방을 향해 둘레가 감소하는 육각 기둥 형상의 슈트몸체(110)를 도시하였으나, 슈트몸체(110)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피수송체(C)의 낙하를 안내 가능한 모든 형상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몸체(110)의 내부에는 슈트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앵커프레임들(122)이 배치된다. 앵커프레임(122)은 일단이 슈트몸체(110)에 부착되고 타단은 슈트몸체(11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앵커프레임들(122)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슈트몸체(110)의 내벽면으로부터 앵커프레임(122)의 선단까지 균일한 길이(l)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앵커프레임(122)들은 점용접에 의해 슈트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보조프레임(124)이 앵커프레임들(122)의 돌출된 선단에 고정 배치된다. 보조프레임(124)은 복수의 선재들이 서로 교차 배치되어 형성된 격자형의 그물망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그물망 구조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프레임(124)은 슈트몸체(110)의 내벽면과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점용접에 의해 앵커프레임(122)의 선단에 보조프레임(124)이 고정될 수 있다. 슈트몸체(110) 및 앵커프레임(122)은 탄소강판 또는 탄소강대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보조프레임(124)은 철사와 같은 선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앵커프레임(122) 및 보조프레임(124)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120)은 후술할 세라믹 모르타르(130)가 슈트몸체(110)의 내벽에 고착되는 것을 보조하며, 라이너부재(150)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는 세라믹 모르타르(130)가 슈트몸체(110)의 내벽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응고된 라이너부재(150)를 포함한다. 즉, 세라믹 모르타르(130)는 앵커프레임(122) 및 보조프레임(124)을 외부로부터 모두 덮을 수 있도록 배치된다. 세라믹 모르타르(130)는 흙손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슈트몸체(110)의 내벽면에 미장될 수 있으며, 거푸집 등을 이용하여 세라믹 모르타르(130)의 타설공간을 형성한 후 타설될 수도 있다. 라이너부재(150)의 두께(h)는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피수송체(C)의 충돌이 집중되는 부분의 두께(h)가 더욱 두껍게 형성되는 것 역시 무방하다.
세라믹 모르타르(130)는 세라믹 분말과 물(H20)의 혼합에 의해 제조되며, 세라믹 분말은 50 ~ 70 wt%의 Al2O3, 5 ~ 15 wt% 의 SiC, 15 wt% 이하의 SiO2(0 wt% 제외), 5 ~ 10 wt%의 CaO 및 2 wt% 이하의 Fe2O3(0 wt% 제외)를 포함할 수 있다. 세라믹 모르타르(130)의 발림성 또는 타설 작업의 용이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적절한 점도를 갖도록 세라믹 모르타르(130)에 물이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라믹 분말의 전체 중량에 대해 5 ~ 6 wt%의 비율로 물이 혼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세라믹 모르타르(130)는 혼련기를 통해 균일하게 혼련될 수 있으며, 라이너부재(150)의 강성 증대를 위해 얇은 금속성 실 또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실의 단위체를 더 포함하여 혼합될 수 있다. 세라믹 모르타르(130)는 양생과정을 거쳐서 응고되며, 수분 증발 억제를 위해 상온에서 세라믹 모르타르(130)의 표면을 비닐 등의 덮개로 덮어서 양생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100)는, 세라믹 모르타르(130)의 고착을 보조하며 강성을 증대시키는 지지프레임(120)과 피수송체(C)가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충돌면이 세라믹 모르타르(130)로 형성되는 라이너부재(150)를 포함하므로, 슈트장치(100)의 내마모성 및 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라이너부재(15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세라믹 모르타르(130)의 보충으로 슈트장치(100)의 유지 및 수선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세라믹 모르타르(130)가 보조프레임(120)을 모두 감싸도록 배치되어 부식 및 산화에 의해 보조프레임(120)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 제조방법의 플로우차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 제조방법은, 슈트몸체(110)에 지지프레임(120)을 설치하는 지지프레임 설치단계(S100), 세라믹 모르타르(130)를 혼련하는 혼련단계(S200), 세라믹 모르타르(130) 슈트몸체(110)의 내벽면에 미장하는 미장단계(S300) 및 미장된 세라믹 모르타르(130)를 양생하는 양생단계(S400)를 포함한다.
지지플레임 설치단계(S100)에서는 슈트몸체(110)의 내벽에 앵커프레임들(122)을 고정시킨 후 앵커프레임들(122)의 선단에 보조프레임(124)를 고정시킨다. 앵커프레임(122) 및 보조프레임(124)은 점용접에 의해 각각 슈트몸체(110)의 내벽 및 앵커프레임들(122)의 선단에 고정될 수 있다.
혼련단계(S200)에서는 50 ~ 70 wt%의 Al2O3, 5 ~ 15 wt% 의 SiC, 15 wt% 이하의 SiO2(0 wt% 제외), 5 ~ 10 wt%의 CaO 및 2 wt% 이하의 Fe2O3(0 wt% 제외)를 포함하는 세라믹 분말과 물을 혼련하여 세라믹 모르타르(130)를 제조하며, 물은 세라믹 분말의 전체 중량에 대해 5 ~ 6 wt%의 비율로 세라믹 모르타르(130)에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미장단계(S300)에서는 혼련된 세라믹 모르타르(130)를 슈트몸체(110)의 내벽면에 배치시키되, 지지프레임(120)을 모두 감싸도록 세라믹 모르타르(130)를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장단계(S300)에서는 흙손 등을 이용하여 세라믹 모르타르(130)를 슈트몸체(110)의 내벽면에 바르는 경우뿐만 아니라 거푸집 등을 이용하여 세라믹 모르타르(130)를 타설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양생단계(S400)에서는 슈트몸체(110)의 내벽에 배치된 세라믹 모르타르(130)를 양생하며, 수분 증발을 억제하기 위해 비닐 등의 덮개를 이용하여 세라믹 모르타르(130)를 덮은 후 상온에서 양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슈트 12: 보호부재 20a, 20b: 이송장치
100: 슈트장치 110: 슈트몸체 120: 지지프레임
122: 앵커프레임 124: 보조프레임 130: 세라믹 모르타르
140: 이동공간 150: 라이너부재

Claims (12)

  1. 이송장치로부터 낙하되는 피수송체의 낙하 방향을 안내하는 이동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슈트몸체; 및
    상기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슈트몸체의 내벽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라이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라이너부재는,
    상기 슈트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슈트몸체의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슈트몸체의 내부를 향해 기설정된 높이로 돌출되도록 고정 배치되며, 상기 이동공간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앵커프레임들;
    상기 슈트몸체의 내벽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일면이 상기 앵커프레임들의 돌출된 선단에 점용접되며, 격자형의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보조프레임; 및
    상기 앵커프레임들 및 상기 보조프레임을 둘러싸도록 상기 슈트몸체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응고되며, 상기 피수송체가 충돌되는 충돌면을 형성하는 세라믹 모르타르를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는 세라믹 분말과 물(H2O)이 혼합된 혼합물이며,
    상기 물은 상기 세라믹 분말의 중량에 대해 5 ~ 6 wt%로 혼합되고,
    상기 세라믹 분말은 50 ~ 70 wt%의 Al2O3, 5 ~ 15 wt%의 SiC, 15 wt% 이하의 SiO2(0 wt% 제외), 5 ~ 10 wt%의 CaO 및 2 wt% 이하의 Fe2O3(0 wt% 제외)를 포함하는, 슈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면은 상기 슈트몸체의 내벽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슈트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002647A 2016-01-08 2016-01-08 슈트장치 KR101663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647A KR101663068B1 (ko) 2016-01-08 2016-01-08 슈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647A KR101663068B1 (ko) 2016-01-08 2016-01-08 슈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068B1 true KR101663068B1 (ko) 2016-10-06

Family

ID=5716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647A KR101663068B1 (ko) 2016-01-08 2016-01-08 슈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0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952B1 (ko) * 2022-08-17 2023-02-06 정영관 연료 이송 설비용 라이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608A (ja) * 1984-09-03 1986-04-03 Sumitomo Metal Ind Ltd ライナ−
JPH0635402U (ja) * 1992-10-09 1994-05-13 鹿島建設株式会社 鋼板コンクリート造躯体における鋼板の横リブ
KR101054068B1 (ko) * 2010-04-22 2011-08-04 박봉식 다공성 알루미나를 함유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958240B2 (ja) * 2008-03-28 2012-06-20 株式会社日本セラテック 耐衝撃複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62228A (ko) 2012-11-14 2014-05-23 인베스트세라믹(주) 세라믹 슈트 라이너 및 그 조립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608A (ja) * 1984-09-03 1986-04-03 Sumitomo Metal Ind Ltd ライナ−
JPH0635402U (ja) * 1992-10-09 1994-05-13 鹿島建設株式会社 鋼板コンクリート造躯体における鋼板の横リブ
JP4958240B2 (ja) * 2008-03-28 2012-06-20 株式会社日本セラテック 耐衝撃複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54068B1 (ko) * 2010-04-22 2011-08-04 박봉식 다공성 알루미나를 함유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62228A (ko) 2012-11-14 2014-05-23 인베스트세라믹(주) 세라믹 슈트 라이너 및 그 조립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952B1 (ko) * 2022-08-17 2023-02-06 정영관 연료 이송 설비용 라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068B1 (ko) 슈트장치
US9238155B2 (en) Concrete deck tie-off anchor point and system
CN109506469A (zh) 一种炉体浇注料快速施工方法
EP2992974B1 (en) Final disposal plant
CN103174095A (zh) 翼缘后展式箱梁混凝土浇筑结构及其施工方法
CN108643217A (zh) 一种高速铁路路基接触网立柱基础施工方法
CN107044778A (zh) 用于与加热的金属接触的预制替换表面
JP2010265612A (ja) 誘発目地材
JP2013159905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クーリング工法
KR101655327B1 (ko) 슈트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장치
KR20120128676A (ko) 금속괴용 열처리로, 금속괴용 열처리로의 보수 방법 및 금속괴용 열처리로에 사용하는 노상 충전용 재료의 제조 방법
CN103291000A (zh) 工具式钢筋支架及其悬挂楼板负弯矩钢筋的施工方法
CN104790657B (zh) 一种现浇混凝土板侧模可调支架及锯齿板施工系统
CN111155549A (zh) 一种钢结构组合预埋件的施工方法
CN110761562A (zh) 浇筑混凝土的辅助工具及使用方法
CN105064943B (zh) 一种井筒泄水孔保护设备
CN205444915U (zh) 一种现浇混凝土结构电子测温计保护装置
JP4636962B2 (ja) 耐火層の施工方法及び構造物
JP2015101821A (ja) 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
FI129152B (fi) Menetelmä nostoelimen kiinnittämiseksi ontelolaattaan ja ontelolaatta
JP6921018B2 (ja) 軌道スラブ及びその製造方法
JP4813219B2 (ja) 転炉の煉瓦積み方法
CN212026871U (zh) 一种叠合梁箍筋保护和定位装置
KR101059496B1 (ko)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414416B2 (ja) 岩塊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