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327B1 - 슈트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장치 - Google Patents

슈트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327B1
KR101655327B1 KR1020160016526A KR20160016526A KR101655327B1 KR 101655327 B1 KR101655327 B1 KR 101655327B1 KR 1020160016526 A KR1020160016526 A KR 1020160016526A KR 20160016526 A KR20160016526 A KR 20160016526A KR 101655327 B1 KR101655327 B1 KR 101655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liner
ceramic
main plate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철
정정운
정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웰텍
Priority to KR1020160016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6Interior surfaces;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8Supports or moun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6Rock wool ; Ceramic or silicate fibres
    • C04B14/4618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6Rock wool ; Ceramic or silicate fibres
    • C04B14/4687Non-oxide ceramics
    • C04B14/4693Silicon carb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B65G2812/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라이너는, 고착면이 상부에 형성된 메인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라이너몸체; 및 상기 고착면 상으로 타설된 세라믹 모르타르가 응고되어 형성되는 세라믹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슈트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장치{Chute liner and chut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슈트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피수송체의 충돌로부터 슈트몸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슈트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슈트(chute)는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이송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며, 이송장치로부터 낙하되는 피수송체의 종방향을 이동을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2228호 (2014.05.23.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수송체의 충돌로부터 슈트몸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슈트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라이너는, 고착면이 상부에 형성된 메인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라이너몸체; 및 상기 고착면 상으로 타설된 세라믹 모르타르가 응고되어 형성되는 세라믹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는 세라믹 분말과 물(H2O)이 혼합된 혼합물이며, 상기 세라믹 분말은 50 ~ 70wt%의 Al2O3, 5 ~ 15wt%의 SiC, 15wt% 이하의 SiO2, 5 ~ 10wt%의 CaO 및 2wt% 이하의 Fe2O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는 상기 물(H2O)이 상기 세라믹 분말의 중량에 대해 5 ~ 6wt%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몸체는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측부를 따라 기립 배치되는 사이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내측면은 상기 고착면과 함께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타설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몸체는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일단부와 대향되는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타단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착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앵커프레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커프레임들은 각각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몸체는 상기 앵커프레임들의 상단부 및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고착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부재는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가 외부로부터 상기 앵커프레임들 및 상기 보조프레임을 모두 덮도록 타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은 복수의 선재들이 교차 배치되어 형성되는 격자형의 그물망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라이너몸체는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플레이트에는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는, 이송장치로부터 낙하되는 피수송체의 낙하 방향을 안내하는 이동공간이 형성된 슈트몸체; 및 상기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슈트몸체의 내벽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세라믹 모르타르가 응고되어 형성된 세라믹부재가 상기 이동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슈트라이너를 포함하되,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는 세라믹 분말과 물(H2O)이 혼합된 혼합물이며, 상기 세라믹 분말은 50 ~ 70wt%의 Al2O3, 5 ~ 15wt%의 SiC, 15wt% 이하의 SiO2, 5 ~ 10wt%의 CaO 및 2wt% 이하의 Fe2O3를 포함한다.
상기 슈트라이너는,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타설공간이 형성된 라이너몸체; 상기 라이너몸체로부터 상기 슈트몸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너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슈트몸체에는 상기 볼트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볼트부재에 결합됨으로서 상기 슈트라이너가 상기 슈트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라이너는, 라이너몸체가 앵커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을 구비하므로, 타설공간에 타설되는 세라믹 모르타르가 라이너몸체에 효과적으로 고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라이너는, 피수송체가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부분에는 세라믹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형성된 세라믹부재가 배치되며, 세라믹부재의 내부에 지지구조로서 앵커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이 배치되므로, 슈트라이너의 강성 및 내마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는, 슈트라이너에 형성된 세라믹부재가 슈트몸체의 내부를 향하도록 이동공간에 배치되므로, 슈트몸체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는 슈트라이너에 형성된 볼트부재 및 슈트몸체에 형성된 체결홀에 의해 슈트라이너 탈착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슈트장치의 수리 및 유지 보수의 용이성이 확보된다.
도 1은 이송장치 및 슈트를 구비하는 이송설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보호부재를 장착한 슈트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슈트의 내벽에 보호부재로 설치된 세라믹 타일의 파손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4의 (a)는 메인플레이트, 사이드플레이트 및 볼트부재를 구비하는 라이너몸체의 사시도, (b)는 (a)의 라이너몸체를 B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c)는 (b)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라이너몸체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앵커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라이너몸체의 사시도, (b)는 (a)의 라이너몸체를 상부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c)는 (b)의 라이너몸체를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보조프레임과 라이너몸체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라이너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라이너의 사시도, 도 7의 (b)는 (a)의 슈트라이너를 Y-Y'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에 포함되는 슈트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슈트몸체와 슈트라이너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슈트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언급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이송장치 및 슈트를 구비하는 이송설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설비(1)는 피수송체(C)를 이송하는 이송장치(5a, 5b) 및 이송장치(5a, 5b)로부터 낙하되는 피수송체(C)의 낙하 방향을 안내하는 슈트(Chute, 2)를 구비한다. 도 1에서는 이송장치(5a, 5b)의 일 예로 컨베이어벨트를 도시하였으나, 이송장치(5a, 5b)는 컨베이어벨트에만 국한될 것은 아니며 피수송체(C)를 횡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설비(1)가 배치되는 장소적 환경 또는 이송설비(1)에 의해 이송되는 피수송체(C)의 이송거리에 따라 2 이상의 이송장치(5a, 5b)가 높낮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송장치(5a, 5b) 간의 효과적인 피수송체(C) 전달을 위해 각각의 이송장치(5a, 5b) 사이에는 슈트(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이송장치(5a)의 일측에 슈트(2)가 배치되며, 상부 이송장치(5a)로부터 낙하된 피수송체(C)는 슈트(10)를 통해 낙하하여 하부 이송장치(5b)에 안착 될 수 있다. 슈트(2)에는 상하방향을 관통하도록 이동공간(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공간(2')을 통해 피수송체(C)가 하부의 이송장치(5b)로 낙하될 수 있다.
이송설비(1)에 의해 철광석 또는 광석 등의 고형 피수송체(C)가 이송되는 경우, 상부 이송장치(5a)로부터 낙하된 피수송체(C)가 슈트(2)의 내벽과 충돌하여 슈트(2)의 파손이 야기될 수 있으며, 피수송체(C)의 충돌이 집중되는 부분은 다른 부위에 비해 파손이 집중될 수 있다. 즉, 상부 이송장치(5a)로부터 낙하된 피수송체(C)는 도 1의 A로 표시된 부분에 1차적으로 충돌하게 되며, 1차적으로 충돌한 피수송체(C)는 도 1의 A'로 표시된 부분에 2차적으로 충돌할 수 있다. 피수송체(C)의 충돌이 집중된 A 및 A' 부위 등에 슈트(2)의 파손이 발생함에 따라, 주기적인 슈트(2)의 수리 및 교체가 요구되며, 그에 따라 이송설비(1)를 이용한 피수송체(C)의 이송조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2는 보호부재를 장착한 슈트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슈트의 내벽에 보호부재로 설치된 세라믹 타일의 파손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2)의 보호를 위해 일반적으로 보호부재(3)가 슈트(2)의 내벽에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금속 판재 또는 세라믹 타일 등이 보호부재(3)로서 이용된다. 금속 판재를 보호부재(3)로 이용하는 경우 부식 및 산화 환경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존재하며, 세라믹 타일울 보호부재(3)로 이용하는 경우 충격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보호부재(3)로서 세라믹 타일을 사용하는 경우, 고무판재 등을 이용하여 세라믹 타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시도가 있으나, 지속적인 충돌에 의해 고무판재가 경화되어 고무판재의 충격 완화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도 3은 보호부재(3)로서 세라믹 타일을 장착한 슈트(2)의 내벽측을 촬영한 사진으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수송체(C)의 충돌이 집중되는 세라믹 타일의 파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a)는 메인플레이트, 사이드플레이트 및 볼트부재를 구비하는 라이너몸체의 사시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라이너몸체를 B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4의 (c)는 도 4의 (b)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라이너몸체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몸체(103)는 상부측에 고착면이 형성된 메인플레이트(1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는 사각 형상의 메인플레이트(110)를 도시하였으나, 메인플레이트(110)의 형상은 반드시 사각 형상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슈트몸체(200) 내측벽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메인플레이트(110)는 300mm * 300mm의 정사각형 형상 또는 400mm * 300mm의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형상 및 치수에 불과하며, 메인플레이트(110)의 형상 및 치수가 반드시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플레이트(110)에는 사이드플레이트(120)가 메인플레이트(110)의 모서리를 따라 상부측을 향해 기립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플레이트(120)는 메인플레이트(110)의 모든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므로, 사이드플레이트(120)의 내측면 및 메인플레이트(110) 상부의 고착면에 의해 형성되는 타설공간(125)은 상부측 일단만이 개방되고, 나머지는 메인플레이트(110) 및 사이드플레이트(120)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플레이트(110)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볼트부재(150)가 배치되며, 볼트부재(150)는 메인플레이트(110)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메인플레이트(110)에는 메인플레이트(110)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고정홀(1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부재(150)가 고정홀(115)에 삽입되어 메인플레이트(110)에 고정될 수 있다. 볼트부재(150)는 용접에 의해 메인플레이트(110)에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용접에 의해 용접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는 앵커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라이너몸체의 사시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라이너몸체를 상부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의 (c)는 도 5의 (b)의 라이너몸체를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의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몸체(103)는 사이트플레이트(130)의 서로 마주보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도록 연장되며, 메인프레임(110) 상부의 고착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앵커프레임들(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앵커프레임들(130)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점용접에 의해 메인프레임(110) 상부의 고착면과 사이드플레이트(12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앵커프레임(130)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들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앵커프레임(130)의 형상은 추후에 설명할 세라믹 모르타르의 타설 효율 및 고착력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서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3개의 앵커프레임들(130)을 도시하였으나, 라이너몸체(103)에 배치되는 앵커프레임(130)의 개수는 메인플레이트(110)의 크기 및 슈트라이너(100)에 요구되는 강성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 5에는 등 간격으로 배치된 앵커프레임들(130)을 도시하였으나, 앵커프레임들(130)의 이격거리(d1, d2) 역시 전술한 요소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프레임(130)은 사이드플레이트(120)의 높이(h1)보다 낮은 높이(h2)를 가지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타설공간(125)에 타설되는 세라믹 모르타르가 외부로부터 앵커프레임들(130)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의 (a)는 보조프레임과 라이너몸체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의 (b)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라이너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140)은 앵커프레임들(130)의 선단부에 배치된다. 보조프레임(140)은 메인플레이트(11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앵커프레임들(130)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라이너몸체(103)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보조프레임(140)은 점용접에 의해 앵커프레임들(130)의 선단부와 사이드플레이트(12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40)은 후술할 세라믹 모르타르가 라이너몸체(103)에 고착되는 것을 보조하며, 슈트라이너(100)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배치된다. 보조프레임(140)은 철사와 같은 선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규칙적인 격자 무늬를 가지도록 복수의 선재들을 교차 배치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세라믹부재가 라이너부재에 형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라이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라이너의 사시도, 도 7의 (b)는 도 7의 (a)의 슈트라이너를 Y-Y'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프레임(130) 및 보조프레임(140)을 구비하는 라이너몸체(103)의 타설공간(125)에 세라믹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세라믹부재(107)를 형성한다. 세라믹 모르타르는 앵커프레임(130) 및 보조프레임(140)을 외부로부터 모두 덮도록 타설되어 세라믹부재(107)를 형성하므로, 슈트라이너(100)의 상부면측에는 세라믹부재(107) 만이 노출된다. 즉, 피수송체(C)는 앵커프레임(130) 및 보조프레임(140)을 덮고 있는 세라믹부재(107)에 충돌하게 되며, 피수송체(C)가 앵커프레임(130) 및 보조프레임(140)에 직접적으로 충돌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세라믹 모르타르의 타설 후 외부에 노출되는 세라믹부재(107)의 일단부를 평탄화하기 위해 흙 삽 등을 이용하여 타설된 세라믹 모르타르의 상부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세라믹 모르타르는 세라믹 분말과 물(H20)의 혼합에 의해 제조되며, 세라믹 분말은 50 ~ 70 wt%의 Al2O3, 5 ~ 15 wt% 의 SiC, 15 wt% 이하의 SiO2, 5 ~ 10 wt%의 CaO 및 2 wt% 이하의 Fe2O3를 포함할 수 있다. 세라믹 모르타르의 타설 용이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적절한 점도를 갖도록 세라믹 모르타르에 물이 혼합되며, 세라믹 분말의 전체 중량에 대해 5 ~ 6 wt%의 비율로 물이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 모르타르는 혼련기를 통해 균일하게 혼련되며, 슈트라이너(100)의 강성 증대를 위해 얇은 금속성 실 또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실의 단위체를 더 포함하여 혼합될 수 있다. 세라믹 모르타르는 양생과정을 거쳐서 세라믹부재(107)로 응고될 수 있으며, 수분 증발 억제를 위해 상온에서 세라믹 모르타르의 표면에 비닐 등의 덮개를 덮어서 양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라이너(100)는, 라이너몸체(103)가 앵커프레임(130) 및 보조프레임(140)을 구비하므로, 타설공간(125)에 타설되는 세라믹 모르타르가 라이너몸체(103)에 효과적으로 고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라이너(100)는, 피수송체(C)가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부분에는 세라믹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형성된 세라믹부재(107)가 배치되며, 세라믹부재(107)의 내부에 지지구조로서 앵커프레임(130) 및 보조프레임(140)이 배치되므로, 슈트라이너(100)의 강성 및 내마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에 포함되는 슈트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몸체(200)에는 피수송체(C)의 낙하 방향을 안내하는 이동공간(200')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전술한 슈트라이너(100)의 볼트부재(150)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홀(205)이 슈트몸체(200)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도 9는 슈트몸체와 슈트라이너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슈트라이너(100)들이 슈트몸체(200)에 결합됨으로서 슈트장치(10)가 제작된다. 슈트몸체(200)에 결합되는 슈트라이너(10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슈트라이너(10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슈트라이너(100)는 이동공간(200')을 형성하는 슈트몸체(200)의 내벽측에 배치되며, 세라믹부재(107)가 형성된 일단이 슈트몸체(200)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슈트라이너(100)의 볼트부재(150)는 슈트몸체(200)에 형성된 체결홀(205)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볼트부재(150)의 선단이 슈트몸체(20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배치된다. 너트부재(160)의 내주면에는 볼트부재(150)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며, 슈트몸체(200)의 외부로 돌출된 볼트부재(150)에 너트부재(160)가 체결됨으로서 슈트라이너(100)가 슈트몸체(200)에 고정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10)는 슈트몸체(200) 및 슈트몸체(200)의 내벽에 배치되는 복수의 슈트라이너들(100)을 구비한다. 슈트라이너(100) 및 슈트몸체(200)의 형상은 반드시 도 10에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슈트몸체(200)의 형상에 따라 슈트라이너(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슈트몸체(200)의 효과적인 보호를 위해 인접하는 슈트라이너들(100)은 서로 밀착되는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슈트몸체(200)에 배치되는 슈트라이너들(100)은 세라믹부재(107)가 형성된 일측이 슈트몸체(200)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그에 따라 이동공간(205')을 따라 이동하는 피수송체(C)는 세라믹부재(107)에 직접적으로 충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10)는, 슈트라이너(100)에 형성된 세라믹부재(107)가 슈트몸체(200)의 내부를 향하도록 이동공간에 배치되므로, 슈트몸체(20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슈트장치(10)는 슈트라이너(100)에 형성된 볼트부재(150) 및 슈트몸체(200)에 형성된 체결홀(205)에 의해 슈트라이너(100)의 탈착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슈트장치(10)의 수리 및 유지 보수의 용이성이 확보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이송설비 2: 슈트 2': 이동공간
5a: 상부 이송장치 5b: 하부 이송장치 3: 보호부재
10: 슈트장치 100: 슈트라이너 103: 라이너몸체
107: 세라믹부재 110: 메인플레이트 115: 고정홀
120: 사이드플레이트 125: 타설공간 130: 앵커프레임
140: 보조프레임 150: 볼트부재 152: 용접부
160: 너트부재 200: 슈트몸체 200': 이동공간
205: 체결홀

Claims (13)

  1. 타설공간이 형성된 라이너몸체; 및
    상기 타설공간 내에 타설된 세라믹 모르타르가 응고되어 형성되는 세라믹부재를 포함하는 슈트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몸체는,
    상부에 고착면이 형성된 메인플레이트;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측부를 따라 기립 배치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타설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일측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일측 내측면과 대향되는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타측 내측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에 고정 매치되고, 복수로 구비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앵커프레임들; 및
    상기 타설공간 내에 배치되되, 상기 앵커프레임들의 선단부 및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고착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격자형 그물망 구조의 보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는 세라믹 분말과 물(H2O)이 혼합된 혼합물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앵커프레임들 및 상기 보조프레임들을 모두 덮도록 상기 타설공간에 타설되며,
    상기 물(H2O)은 상기 세라믹 분말의 중량에 대해 5 ~ 6wt%로 혼합되고,
    상기 세라믹 분말은 50 ~ 70wt%의 Al2O3, 5 ~ 15wt%의 SiC, 15wt% 이하의 SiO2, 5 ~ 10wt%의 CaO 및 2wt% 이하의 Fe2O3를 포함하는, 슈트라이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몸체는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슈트라이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에는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 배치되는, 슈트라이너.
  12. 이송장치로부터 낙하되는 피수송체의 낙하 방향을 안내하는 이동공간이 형성된 슈트몸체; 및
    상기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슈트몸체의 내벽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세라믹 모르타르가 응고되어 형성된 세라믹부재가 상기 이동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슈트라이너를 포함하는 슈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슈트라이너는,
    타설공간이 형성된 라이너몸체; 및
    상기 타설공간 내에 타설된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가 응고되어 형성되는 상기 세라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너몸체는,
    상부에 고착면이 형성된 메인플레이트;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측부를 따라 기립 배치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타설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일측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일측 내측면과 대향되는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타측 내측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에 고정 매치되고, 복수로 구비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앵커프레임들; 및
    상기 타설공간 내에 배치되되, 상기 앵커프레임들의 선단부 및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고착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격자형 그물망 구조의 보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모르타르는 세라믹 분말과 물(H2O)이 혼합된 혼합물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앵커프레임들 및 상기 보조프레임들을 모두 덮도록 상기 타설공간에 타설되며,
    상기 물(H2O)은 상기 세라믹 분말의 중량에 대해 5 ~ 6wt%로 혼합되고,
    상기 세라믹 분말은 50 ~ 70wt%의 Al2O3, 5 ~ 15wt%의 SiC, 15wt% 이하의 SiO2, 5 ~ 10wt%의 CaO 및 2wt% 이하의 Fe2O3를 포함하는, 슈트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라이너는,
    상기 라이너몸체로부터 상기 슈트몸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너트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슈트몸체에는 상기 볼트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너트부재가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볼트부재에 결합됨으로서 상기 슈트라이너가 상기 슈트몸체에 고정되는, 슈트장치.
KR1020160016526A 2016-02-12 2016-02-12 슈트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장치 KR10165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526A KR101655327B1 (ko) 2016-02-12 2016-02-12 슈트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526A KR101655327B1 (ko) 2016-02-12 2016-02-12 슈트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327B1 true KR101655327B1 (ko) 2016-09-07

Family

ID=5695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526A KR101655327B1 (ko) 2016-02-12 2016-02-12 슈트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952B1 (ko) * 2022-08-17 2023-02-06 정영관 연료 이송 설비용 라이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608A (ja) * 1984-09-03 1986-04-03 Sumitomo Metal Ind Ltd ライナ−
JPH0635402U (ja) * 1992-10-09 1994-05-13 鹿島建設株式会社 鋼板コンクリート造躯体における鋼板の横リブ
KR101054068B1 (ko) * 2010-04-22 2011-08-04 박봉식 다공성 알루미나를 함유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958240B2 (ja) * 2008-03-28 2012-06-20 株式会社日本セラテック 耐衝撃複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62228A (ko) 2012-11-14 2014-05-23 인베스트세라믹(주) 세라믹 슈트 라이너 및 그 조립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608A (ja) * 1984-09-03 1986-04-03 Sumitomo Metal Ind Ltd ライナ−
JPH0635402U (ja) * 1992-10-09 1994-05-13 鹿島建設株式会社 鋼板コンクリート造躯体における鋼板の横リブ
JP4958240B2 (ja) * 2008-03-28 2012-06-20 株式会社日本セラテック 耐衝撃複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54068B1 (ko) * 2010-04-22 2011-08-04 박봉식 다공성 알루미나를 함유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62228A (ko) 2012-11-14 2014-05-23 인베스트세라믹(주) 세라믹 슈트 라이너 및 그 조립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952B1 (ko) * 2022-08-17 2023-02-06 정영관 연료 이송 설비용 라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7161B1 (en) Wear resistant lining element for edge prot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693144A1 (en) Roof for electric furnace
KR101655327B1 (ko) 슈트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장치
CA2311236A1 (en) Transport and/or storage containers for radioactive heat-evolving elements
CN108699847A (zh) 侧护板、具有至少一个这种侧护板的天花板模板系统及用于架设这种侧护板的方法
EP2992974B1 (en) Final disposal plant
KR101332027B1 (ko) 컨베이어 벨트용 슈트 라이너
KR101090878B1 (ko) 슈트용 내마모 패널
KR101663068B1 (ko) 슈트장치
CN204250691U (zh) 物料仓锥斗壁防撞装置
CN112096156A (zh) 钢筋混凝土筒仓、筒仓仓壁的防护方法和物料储存站
JP2005189043A (ja) 原子炉格納容器
CN102615862A (zh) 嵌入式橡胶陶瓷复合衬板
CN213039031U (zh) 一种临边防护装置
KR20170015894A (ko) 야금 반응기의 충전 설비
CN214933207U (zh) 一种水泥生产线传送带用防护装置
KR200386883Y1 (ko) 타워크레인용 체결부재 보관구
CN105800179A (zh) 一种用于漏斗中的防堵料振打装置
CN216476455U (zh) 一种可重复使用的孔洞盖板防护装置
CN205400107U (zh) 电梯井道门洞防护装置
US20140215960A1 (en) Grating Clamp and Method for Fixing a Grating to a Support
KR100491404B1 (ko) 중공교각의 중공부 차폐용 가설부재 및 그 가설방법
CN211172103U (zh) 承台板施工用复合夹芯板变形缝
CN215997037U (zh) 一种棒条给料机防漏料结构
CN215087917U (zh) 重板给矿机用矿仓立帮防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