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043B1 -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 Google Patents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043B1
KR101663043B1 KR1020150140470A KR20150140470A KR101663043B1 KR 101663043 B1 KR101663043 B1 KR 101663043B1 KR 1020150140470 A KR1020150140470 A KR 1020150140470A KR 20150140470 A KR20150140470 A KR 20150140470A KR 101663043 B1 KR101663043 B1 KR 101663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base
hole
loop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2015014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3/00Hooks for laces; Guards for hook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4Shoe lacing fastenings with rings or loo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8Hook fastenings; Rotary hoo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연결되어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신발끈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가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일단의 반대편인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루프, 상기 베이스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어 신발의 갑피를 관통하도록 돌출되는 삽입부, 상기 베이스의 하면 타측에 형성되어 신발의 갑피를 관통하도록 돌출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는 상기 삽입부가 연결되는 영역에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신발끈이 삽입되도록 하는 베이스홀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는 상기 베이스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루프를 관통하여 신발끈이 삽입되도록 하는 루프홀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와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루프홀의 지름보다 작은 두께로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신발끈이 요입되어 고정 안착되는 결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Hooks for shoelaces, sho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tying the shoelaces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에 부착되어 신발끈을 고정하는 신발끈 후크, 이러한 신발끈 후크가 부착된 신발 및 상기 신발끈 후크를 이용하여 신발끈을 결속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동화, 캐주얼화, 신사숙녀화 등의 신발 중에는 갑피에 복수 개의 신발끈 구멍이 형성되어 신발끈을 이용하여 신발 착용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끈 구멍에 신발끈을 끼운 후 소정의 장력을 가하여 신발의 착용 상태를 공고히 한 후 매듭 등을 지어 신발끈을 결속시킴으로써 신발 착용을 수행하게 된다.
신발의 착용을 빠르고 편하게 하기 위해 여러 방법 등이 개발되어 왔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0445965호에는 신발목의 좌우 상단에 한쌍으로 구성되는 당김끈을 제공하여 신발을 간편하게 신고 벗을 수 있는 신발 및 결속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508981호에는 후크를 이용하여 신발끈을 결속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여전히 신발끝의 양단부를 고정하거나, 양단부의 매듭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즉, 등록특허 1508981에서도 후크를 이용하기는 하나 신발끈의 양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신발끈 양단부를 서로 매듭을 짓거나, 각 단부에 매듭을 형성하여 신발끈 구멍에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결속력의 조절 등을 위해서는 매듭을 다시 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매듭을 짓지 않고도 신발끈의 결속 및 결속 해제가 용이하여 착용자가 쉽게 신발을 신거나 벗을 수 있는 신발끈용 후크, 이를 부착한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연결되어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신발끈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가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일단의 반대편인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루프, 상기 베이스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어 신발의 갑피를 관통하도록 돌출되는 삽입부, 상기 베이스의 하면 타측에 형성되어 신발의 갑피를 관통하도록 돌출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는 상기 삽입부가 연결되는 영역에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신발끈이 삽입되도록 하는 베이스홀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는 상기 베이스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루프를 관통하여 신발끈이 삽입되도록 하는 루프홀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와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루프홀의 지름보다 작은 두께로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신발끈이 요입되어 고정 안착되는 결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의 직경은 상기 체결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는 속이 빈 원통형상이며,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상부와 반대편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의 베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상부는 밀폐되어 있으며, 반대편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연결부, 루프, 삽입부 및 체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재질은 알루미늄, 황동, 철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2이상의 재질의 혼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결속방법은 복수개의 구멍이 구비되는 좌우측 신발끈 구멍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 신발끈 구멍열 최상부에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끈용 후크가 구비되어 있는 신발에 신발끈을 결속하는 방법으로서, 좌측 신발끈 구멍열을 통과한 신발끈을 좌측 신발끈 구멍열의 최상부에 부착된 제1후크에 형성되어 있는 제1루프홀에 신발끈을 통과시키는 제1단계, 우측 신발끈 구멍열을 통과한 신발끈을 우측 신발끈 구멍열의 최상부에 부착된 제2후크에 형성되어 있는 제2루프홀에 신발끈을 통과시키는 제2단계, 제1루프홀에 형성되어 있는 제1결착부과 제2루프홀에 형성되어 있는 제2결착부에 신발끈을 고정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 각각의 안착부에 신발끈을 안착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 이전 또는 상기 제1단계와 상기 제2단계 사이에 수행되며, 상기 신발끈의 매듭이 묶이는 영역인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적어도 한번 연사(twist)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신발끈의 소정영역이 좌측 신발끈 구멍열에 형성되어 있는 가장 마지막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후에 수행되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신발끈의 소정영역이 우측 신발끈 구멍열에 형성되어 있는 가장 마지막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별도의 매듭을 짓지 않고도 신발끈의 결속 및 결속 해제가 용이하여 착용자가 쉽게 신발을 신거나 벗을 수 있다.
또한, 무리한 힘을 들이지 않고도 신발끈 결속력의 조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결속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결속상태를 표현한 신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에 대해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100)는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의 일단(111)에 연결되어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신발끈이 안착되는 안착부(137)가 형성되는 연결부(130), 상기 연결부(130)가 상기 베이스(110)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130) 일측의 반대편인 연결부(130)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11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루프(120), 상기 베이스(110)의 하면 일단(111)에 형성되어 신발의 갑피를 관통하도록 돌출되는 삽입부(140), 상기 베이스(110)의 하면 타단(113)에 형성되어 신발의 갑피를 관통하도록 돌출되는 체결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삽입부(140)가 연결되는 영역에 상기 베이스(110)를 관통하여 신발끈이 삽입되도록 하는 베이스홀(115)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120)는 상기 베이스홀(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루프(120)를 관통하여 신발끈이 삽입되도록 하는 루프홀(125)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120)와 상기 연결부(130)에는 상기 루프홀(125)의 지름보다 작은 두께로 상기 연결부(13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신발끈이 요입되어 고정 안착되는 결착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장방형의 직사각형 형상 또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하면이 신발의 갑피와 접촉하도록 신발에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신발끈이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110)를 관통하는 베이스홀(11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10)의 일단에는 연결부(130)가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베이스(110)에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신발끈이 안착되는 안착부(13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베이스(110)와 후술하게 될 루프(120)를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130)에 의해서 베이스(110)와 루프(120)가 연결되고, 이로 인하여 안착부(137)가 베이스(110)와 루프(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베이스(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루프(120)와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30)는 베이스(110)와 이루는 각도가 수직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0)는 루프(120)와 이루는 각도도 수직일 수 있다.
상기 루프(120)는 상기 연결부(130)가 상기 베이스(110)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의 일측의 반대편인 연결부(130)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11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루프(120)의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홀(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루프(120)를 관통하여 신발끈이 삽입되도록 하는 루프홀(125)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40)는 상기 베이스(110)의 하면 일단(111)에 형성되어 신발의 갑피를 관통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삽입부(140)는 속이 빈 원통형상일 수 있으며, 베이스(110)의 일단(111)에 연결되되, 베이스(110)에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홀(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베이스홀(115)을 통과한 신발끈이 삽입부(14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삽입부(140)의 양측은 모두 개방되어 있으며, 신발의 갑피를 관통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어, 통상적인 신발에서의 아이릿(신발끈 구멍에 원호를 따라 체결되는 금속재질의 원형 부속)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베이스홀(115), 루프홀(125) 및 삽입부(140)의 내측 직경은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150)는 상기 베이스(110)의 하면 타단(113)에 형성되어 신발의 갑피를 관통하도록 돌출형성된다. 체결부(150)는 삽입부(140)와 더불어 신발갑피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를 고정시킨다. 체결부(150)는 속이 빈 원통형상일 수 있으며, 베이스(110)와 연결되어 있는 일측은 밀폐되어 있다. 또한 체결부(150)의 내부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와 신발끈용 후크(100)를 부착 고정시킬때 갑피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볼트 등을 회전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140)의 직경은 상기 체결부(150)의 직경보다 클 수 있으며, 삽입부(140)와 체결부(150)의 길이는 신발의 갑피두께와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를 구성하는 상기 베이스(110), 연결부(130), 루프(120), 삽입부(140) 및 체결부(1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알루미늄, 황동, 철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2 이상의 재질의 혼합일 수 있다.
결착부(135)는 상기 루프(120)와 상기 연결부(130)에 형성되며, 상기 루프홀(125)의 지름보다 작은 두께로 상기 연결부(13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신발끈이 요입되며 고정 안착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신발끈용 후크(100)에 체결되는 신발끈은 매듭이 형성되는 영역에 탄성이 우수한 신발끈이다. 결착부(135)는 루프홀(125)과 연결되어 형성되며, 루프홀(125)의 소정원호영역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길이방향이 연결부(130)를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신발끈 두께의 1.5배 내지는 2배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100)가 결합되어 있는 신발의 신발끈 결속방법을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결속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결속상태를 표현한 신발의 정면도이다.
상기 신발(300)은 갑피(310), 설포(330), 중창(340), 밑창(350)을 포함한다.
상기 갑피(310)는 설포(320)를 중심으로 설포(3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측면(311)과, 설포(32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측면(31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100a)(100b)는 상기 갑피(310)의 제1측면(311)과 제2측면(313)에 각각 부착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후크(100a)(100b)의 연결부(130)가 설포(320)을 향하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발끈용 후크(100a)(100b)는 삽입부(140)와 체결부(150)을 갑피(310)에 삽입시켜 신발(30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는 나사, 볼트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리벳일 수 있다.
상기 갑피(310)의 제1측면(311) 및 제2측면(313)에는 복수 개의 신발끈용 구멍(320)이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측면(311)에 형성되어 있는 좌측 신발끈 구멍열과 제2측면(313)에 형성되어 있는 우측 신발끈 구멍열이라 정의한다.
상기 갑피(310)의 좌측 신발끈 구멍열에는 제1후크(100a)가 부착되며, 갑피(310)의 우측 신발끈 구멍열에는 제2후크(100b)가 부착된다.
상기 제1후크(100a) 및 제2후크(100b)는 각 신발끈 구멍열의 정렬선 상에 부착되며, 갑피(310)의 제1측면(311) 및 제2측면(313)의 최상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후크(100a) 및 제2후크(100b)에는 제1루프홀(125a)과 제2루프홀(125b)이 각각 구비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제1후크(100a) 및 제2후크(100b)의 세부구성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신발끈은 후술할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서 인장력에 의해 길이가 연장될 수 있으며, 인장력이 제거된 후 원래의 길이로 수축하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발끈의 제1영역(515)은 신발끈이 갑피(310)의 제1측면(311)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에 가장 마지막으로 통과한 상태에서, 최종 신발끈 구멍(321)의 지점에서 신발끈(500)의 일측단부까지를 의미한다.
더불어, 신발끈의 제2영역(516)은 신발끈이 갑피(310)의 제2측면(313)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에 가장 마지막으로 통과한 상태에서, 최종 신발끈 구멍(323)의 지점에서 신발끈의 타측단부까지를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결속방법은, 좌측 신발끈 구멍열을 통과한 신발끈을 좌측 신발끈 구멍열의 최상부에 부착된 제1후크(100a)에 형성되어 있는 제1루프홀(125a)에 신발끈을 통과시키는 제1단계, 우측 신발끈 구멍열을 통과한 신발끈을 우측 신발끈 구멍열의 최상부에 부착된 제2후크(100b)에 형성되어 있는 제2루프홀(125b)에 신발끈을 통과시키는 제2단계, 제1루프홀(125a)과 함께 형성되어 있는 제1결착부(135a)과 제2루프홀(125b)과 함께 형성되어 있는 제2결착부(135b)에 신발끈을 고정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후크(100a)와 상기 제2후크(100b) 각각의 안착부(137)에 신발끈을 안착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신발끈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를 좌측 신발끈 구멍열 및 우측 신발끈 구멍열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320)으로 교대로 통과시켜 신발끈을 신발(300)에 결속한다.
신발끈을 신발끈 구멍(320)에 복수 회 통과시킨 후 상기 제1단계(S200)를 수행한다. 물론,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발끈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는 제1측면(311) 및 제2측면(313)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320)을 모두 통과하거나, 최상위 신발끈 구멍(321)을 통과하지 않고 제1단계(S200)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신발끈의 길이에 따라 신발끈 구멍을 통과하는 횟수는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단계(S200)는 상기 신발끈의 제1영역(515)의 일부를 상기 제1후크(100a)의 제1루프홀(125a)에 통과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제1단계(S200)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신발끈의 제1영역(515)은, 가장 마지막으로 통과한 신발끈 구멍(321)의 지점에서 제2후크(100b)를 향하지 않고 제1후크(100a)방향으로 향하여 제1루프홀(125a)에 삽입함으로서 도 4와 같이 신발끈이 환형고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제2단계(S300)는 상기 신발끈의 제2영역(516)의 일부를 상기 제2후크(100b)의 제2루프홀(125b)에 삽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단계(S300)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신발끈의 제2영역(516)은, 가장 마지막으로 통과한 신발끈 구멍(321)의 지점에서 제2루프홀(125b)에 삽입하게되면, 제1단계(S200)과 마찬가지로 신발끈이 환형고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단계(S20) 및 제2단계(S30)는 순서에 상관없이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신발끈의 제1영역(515) 및 제2영역(516)을 적어도 한번 연사(twist)하는 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사하는 단계(S100)는 상기 제1단계(S200) 이전 또는 제1단계(S200)와 제2단계(S30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신발끈의 제1영역(515)을 제1후크(100a)의 제1루프홀(125a)에 통과시키기 전에 제1영역(515)과 제2영역(516)을 적어도 한번 연사한 후에 제1단계(S200)를 수행하거나, 제1단계(S200)를 수행하여 신발끈의 제1영역(515)을 제1루프홀(125a)에 통과시킨 후, 제2영역(516)을 제1영역(515) 사이로 집어넣어 연사하고 제2단계(S300)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사하는 단계(S100)를 수행함으로써, 제3단계(S400) 및 제4단계(S500)를 수행하기 전에 신발끈이 설포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S400)에서는 신발끈의 제1영역(515)과 제2영역(516)을 각각 제1후크(100a)의 제1결착부(135a)에 고정시키고, 제2후크(100b)의 제2결착부(135b)에 고정시킨다.
제1결착부(135a)와 제2결착부(135b)에 신발끈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제1루프홀(125a) 및 제2루프홀(125b)를 통과하는 신발끈의 바로 앞부분을 잡고 인장력을 가해 늘린 상태에서 설포방향으로 눌러 제1, 제2 결착부(135a, 135b)에 삽입한 후에 가했던 힘을 릴리즈 시키게 되면 늘어났던 신발끈이 회복되면서 직경을 회복하게 되고, 회복된 직경 중에서 제1결착부(135a)와 제2결착부(135b)에 있는 부분이 눌리게되어 신발끈이 고정된다.
상기 제4단계(S500)에서는 신발끈을 제1후크(100a)와 제2후크(100b)에 구비되어 있는 각각의 안착부(137)에 안착시켜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각 결착부(135a, 135b)에 고정시킴으로서 형성된 환형고리형태의 제1영역(515)과 제2영역(516)을 잡고 반대측 후크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137)에 고정시킴으로서, 신발끈의 결속이 마무리된다.
즉 제1영역(515)은 제2후크(100b)의 안착부(137)에 제2영역(516)은 제1후크(100a)의 안착부(137)에 안착시키게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신발끈의 결속을 해제하여 신발을 벗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4단계의 수행을 해제함으로써 용이하게 신발을 벗을 수 있다.
즉, 제1후크 및 제2후크의 각 안착부(137)에 안착된 신발끈을 제1후크 및 제2후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신발끈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신발끈의 결속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제3단계를 재차 수행하여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신발끈의 결속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신발끈용 후크 110 베이스
120 루프 130 연결부
140 삽입부 150 체결부

Claims (9)

  1.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의 일단에 연결되어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신발끈이 안착되는 안착부(137)가 형성되는 연결부(130);
    상기 연결부(130)가 상기 베이스(110)와 연결되어 있는 일단의 반대편인 연결부(130)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11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루프;
    상기 베이스(110)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어 신발의 갑피를 관통하도록 돌출되는 삽입부(140);
    상기 베이스(110)의 하면 타측에 형성되어 신발의 갑피를 관통하도록 돌출되는 체결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삽입부(140)가 연결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110)를 관통한 신발끈이 상기 삽입부(140)에 삽입되도록 하는 베이스홀(115)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는 상기 베이스홀(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루프를 관통하여 신발끈이 삽입되도록 하는 루프홀(125)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와 상기 연결부(130)에는 상기 루프홀(125)의 지름보다 작은 두께로 상기 연결부(13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신발끈이 요입되어 고정 안착되는 결착부(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40)의 직경은 상기 체결부(150)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40)는 속이 빈 원통형상이며, 상기 베이스(110)와 연결되어 있는 상부와 반대편 하부는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50)의 베이스(110)와 연결되어 있는 상부는 밀폐되어 있으며, 반대편 하부는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 연결부(130), 루프(120), 삽입부(140) 및 체결부(150)는 일체로 형성되며, 재질은 알루미늄, 황동, 철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2이상의 재질의 혼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신발끈용 후크가 부착된 신발.
  7. 복수개의 구멍이 구비되는 좌우측 신발끈 구멍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 신발끈 구멍열 최상부에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끈용 후크가 구비되어 있는 신발에 신발끈을 결속하는 방법으로서,
    좌측 신발끈 구멍열을 통과한 신발끈을 좌측 신발끈 구멍열의 최상부에 부착된 제1후크에 형성되어 있는 제1루프홀에 신발끈을 통과시키는 제1단계;
    우측 신발끈 구멍열을 통과한 신발끈을 우측 신발끈 구멍열의 최상부에 부착된 제2후크에 형성되어 있는 제2루프홀에 신발끈을 통과시키는 제2단계;
    제1루프홀에 형성되어 있는 제1결착부과 제2루프홀에 형성되어 있는 제2결착부에 신발끈을 고정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 각각의 안착부에 신발끈을 안착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이전 또는 상기 제1단계와 상기 제2단계 사이에 수행되며,
    상기 신발끈의 매듭이 묶이는 영역인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적어도 한번 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신발끈의 소정영역이 좌측 신발끈 구멍열에 형성되어 있는 가장 마지막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후에 수행되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신발끈의 소정영역이 우측 신발끈 구멍열에 형성되어 있는 가장 마지막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방법.
KR1020150140470A 2015-10-06 2015-10-06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KR101663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470A KR101663043B1 (ko) 2015-10-06 2015-10-06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470A KR101663043B1 (ko) 2015-10-06 2015-10-06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043B1 true KR101663043B1 (ko) 2016-10-11

Family

ID=5716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470A KR101663043B1 (ko) 2015-10-06 2015-10-06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0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0323A2 (en) * 1997-07-11 1999-01-13 Zanata S.p.A. A lacing cleat
EP0925733A1 (en) * 1997-12-19 1999-06-30 Sammi Export S.r.l. Hook for footwear
WO2009008020A1 (en) * 2007-07-11 2009-01-15 10 Ottobre S.R.L. Hook for footwear
KR20120006788U (ko) * 2011-03-24 2012-10-05 대영정공주식회사 신발끈 풀림방지용 구멍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0323A2 (en) * 1997-07-11 1999-01-13 Zanata S.p.A. A lacing cleat
EP0925733A1 (en) * 1997-12-19 1999-06-30 Sammi Export S.r.l. Hook for footwear
WO2009008020A1 (en) * 2007-07-11 2009-01-15 10 Ottobre S.R.L. Hook for footwear
KR20120006788U (ko) * 2011-03-24 2012-10-05 대영정공주식회사 신발끈 풀림방지용 구멍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1289B2 (en) Fastener for fastening together two lace segments
US9526300B2 (en) Dually adjustable, anchored, parallel lacing technology
US7073279B2 (en) Shoelace tightening structure
US20150096193A1 (en) Footwear securing system
US3279015A (en) Shoelace apparatus
US10426228B2 (en) Shoelace with magnets
JPS60502189A (ja) 覆物の締めひも組立体
US7036193B1 (en) Shoe tightening device
US20170245595A1 (en) Shoe lacing system
US6662415B1 (en) Fastener for lace
US9491989B2 (en) Shoelace and method for fastening a shoe using same
US7657980B2 (en) Fastener for a lace
KR101663043B1 (ko)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KR101664879B1 (ko)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US20170231325A1 (en) Lacing System for Shoes and Shoe Manufactured with Said Lacing System
US20140047739A1 (en) Footwear Securing systems
JP2009050454A (ja) 靴紐保持具
US9486038B1 (en) Apparatus that fits into the eyelets of lace up footwear and permits a closure means alternative to laces
US20080168680A1 (en) Tap shoe with multiple fastening devices and method of providing a shoe that provides the look and feel of a laced and elastically retained shoe
WO2008156347A1 (en) Method of tying string and footwear employing the same
KR20170123491A (ko) 신발끈 고정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US20170290393A1 (en) Shoe Fastening Device and Method
US20240081483A1 (en) Shoe with dual lace
WO2013165146A1 (ko) 끈 결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