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015B1 -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015B1
KR101663015B1 KR1020100032860A KR20100032860A KR101663015B1 KR 101663015 B1 KR101663015 B1 KR 101663015B1 KR 1020100032860 A KR1020100032860 A KR 1020100032860A KR 20100032860 A KR20100032860 A KR 20100032860A KR 101663015 B1 KR101663015 B1 KR 101663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rojector module
projection
projection devic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460A (ko
Inventor
김영호
이해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2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015B1/ko
Priority to US13/082,757 priority patent/US9140964B2/en
Publication of KR20110113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08Direct viewing projectors, e.g. an image displayed on a video CRT or LCD display being projected on a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3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based on proj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 모듈 커버의 오픈 및 클로즈에 따라 화면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의 온 및 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프로젝션 디바이스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듈 운용 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터 모듈 커버의 오픈에 따라 발생된 검출신호가 검출될 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온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 온에 따른 프로젝션 모드 운용 중 상기 커버의 클로즈에 따라 발생된 검출신호가 검출될 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오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ROJECTION MODE ON PROJECTION DEVICE}
본 발명은 프로젝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젝션 디바이스(projection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프로젝터 모듈의 온/오프(On/Off)를 자동 제어하고, 이에 따라 프로젝션 모드(projection mode)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단말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단말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단말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재생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들은 주로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데이터를 휴대단말 자체에 구비된 내부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있다. 그런데 휴대단말들이 구비하고 있는 표시장치는 휴대단말의 외형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그 크기가 대체로 작다.
이에, 휴대단말에 영상 투사 기능을 구비하여 보다 큰 크기의 화면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시도들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예시로, 프로젝션(Projection)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에서 벽이나 바닥 등을 외부 스크린으로 활용하여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프로젝션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는 휴대단말의 내부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화면데이터를 상기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프로젝션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프로젝션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젝터 모듈의 커버를 이용하여 프로젝션 모드의 자동 실행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젝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젝션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프로젝션 모드 실행을 위한 최적의 제어 환경을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프로젝터 모듈 커버의 오픈/클로즈(Open/Close)에 따라 프로젝션 모듈을 자동 온/오프하고 그에 따라 프로젝션 모드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프로젝터 모듈 커버의 온/클로즈에 따라 프로젝션 모드의 실행/종료를 자동 제어함에 따라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사용성 및 편의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듈 운용 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터 모듈 커버의 오픈에 따라 발생된 검출신호가 검출될 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온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 온에 따른 프로젝션 모드 운용 중 상기 커버의 클로즈에 따라 발생된 검출신호가 검출될 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오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에 있어서, 일반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 수행 중 상태감지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검출신호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신호가 로우 전압에 대응하면 상기 일반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신호가 하이 전압에 대응하면 프로젝터 모듈을 온 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모드에서 프로젝션 모드로 전환하여 프로젝션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션 모드에서 상기 상태감지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검출신호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신호가 하이 전압에 대응하면 상기 프로젝션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신호가 로우 전압에 대응하면 상기 프로젝션 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오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프로젝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를 확대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보호를 위해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에 결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오픈 및 클로즈 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상태감지 센서와, 상기 상태감지 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오픈 또는 클로즈에 따른 상태를 알리기 위한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감지 센서는 자기장에 반응하는 자기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감지 센서의 출력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검출신호를 인가받는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내부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오프 상태일 시 상기 상태감지 센서에 의한 검출신호는 무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 커버의 오픈/클로즈 상태에 따라 프로젝션 모드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프로젝션 모드의 간편 실행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며, 프로젝터 모듈 커버의 오픈/클로즈 상태에 따라 프로젝터 모듈을 자동 온/오프 하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프로젝터 모듈의 커버를 오픈하거나 클로즈하는 동작 하나로 프로젝터 모듈 및 그에 따른 프로젝션 모드의 자동 실행 및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프로젝션 모드 실행 또는 종료를 위한 번거로운 조작 행위의 최소화를 통해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프로젝터 모듈 커버의 오픈/클로즈 동작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프로젝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젝션 디바이스(projection device)와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프로젝터 모듈 커버의 오픈(open) 및 클로즈(close)에 따라 화면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프로젝션 모드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프로젝터 모듈 커버의 오픈 및 클로즈를 감지하는 상태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태감지 센서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 프로젝터 모듈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프로젝션 모드의 활성화/비활성화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프로젝션 디바이스와 그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구성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구성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 1 및 도 2는 풀 터치스크린(Full Touch-screen)을 전면으로 가지는 바 타입(Bar type)의 휴대단말을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특히, 상기 도 1은 프로젝터 모듈(300)의 커버(400)가 클로즈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상기 도 2는 프로젝터 모듈(300)의 커버(400)가 오픈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신호 생성을 위한 입력부(100)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기능 수행에 따른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부(200)와,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전달되는 화면데이터를 확대하여 외부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프로젝터 모듈(300)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의 보호를 위해 디바이스 본체에 결착되는 커버(400)와, 상기 커버(400)에 안착되며 상기 커버(400)의 오픈 또는 클로즈에 따른 상태를 알리기 위한 자성체(450)와, 상기 자성체(450)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따라 상기 커버(400)의 오픈 및 클로즈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감지 센서(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의 포커스(focus) 제어를 위한 포커스 제어수단(미도시)과,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기능 수행에 따른 다양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K, Speaker)와, 사용자 음성 등의 외부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MIC, Microphone)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는 프로젝터 모듈(300) 커버(400)의 오픈 및 클로즈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 본 발명에서는 자기장에 반응하는 자기센서의 일종인 홀 집적회로(Hall IC(Integrated Circuit))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는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본체에서 커버(400)의 오픈 및 클로즈 상태에 따라 자기장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 범위를 고려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생성을 위한 자성체(450)는 상기 커버(450) 내에서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의 인식 범위를 고려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태감지 센서(500)와 자성체(450)의 장착 위치는 반드시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400)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적절한 이격 거리를 구성하여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의 커버(400)에 장착된 자석 등의 자성체(450)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태감지 센서(500)는 자기장을 검출할 시 하이(High) 전압을 생성하여 제공하고, 자기장이 검출되지 않을 시 로우(Low)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에 대해 하기 도 3을 예시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프로젝터 모듈 커버의 오픈/클로즈 동작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300)의 커버(400)가 클로즈 상태인 것을 가정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0)의 내측 일 영역에는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성체(45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450)의 위치는 상태감지 모듈(500)의 인식 범위를 고려한 설계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감지 모듈(500)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본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측의 출력포트가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태감지 모듈(5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출력포트는 상기 제어부의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 참조번호 Th는 상기 상태감지 모듈(500)이 상기 자성체(45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인식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임계값(Th)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301과 같이 커버(400)가 클로즈 된 상태에서 프로젝터 모듈(300) 커버(4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커버(400)의 오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커버(400)의 설계 형태에 따라 좌우(또는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타입,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탈착되는 탈착 타입, 힌지에 의해 본체와 결합되어 앞뒤로 이동되는 힌지 타입 등에 따라 커버(400)의 오픈 및 클로즈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커버(400)가 슬라이딩 타입으로 제공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다.
따라서 참조번호 301과 같이 커버(400)가 클로즈된 상태에서 참조번호 3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0)를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좌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커버(400)가 일부 오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에 의해 커버(400)가 점차적으로 오픈됨에 따라 상기 커버(400)의 자성체(450)가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의 인식 범위 내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3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가 자성체(450)의 자기장을 인식할 수 있는 임계값의 위치에 상기 자성체(45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는 상기 자성체(450)에 의한 자기장을 검출하고 그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전류에 따라 하이 전압을 제어부의 GPIO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상기 자성체(450)가 상기 임계값의 위치에 도달할 시 프로젝터 모듈(300) 온 및 프로젝션 모드를 활성화 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오픈 동작에 의해 참조번호 3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0)가 완전히 오픈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소정의 화면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참조번호 301, 참조번호 303 및 참조번호 305의 역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400)가 오프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커버(400)의 클로즈 동작에 따라 상기 자성체(450)가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의 인식 범위(예컨대, 임계값(Th))를 벗어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에서는 상기 자성체(450)에 의한 자기장이 검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자기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는 로우 전압을 제어부의 GPIO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상기 자성체(450)가 상기 임계값의 위치를 벗어날 시 프로젝션 모드 비활성화 및 프로젝터 모듈(300)을 오프 한다.
이상에서 상기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300)의 커버(400)가 클로즈 상태인 경우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와 상기 커버(400) 내에 안착된 자성체(450)와의 이격 거리가 멀어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는 상기 자성체(450)와의 이격 거리에 따라 자기장이 검출되지 않으면 로우 전압을 발생한다. 이러한 로우 전압은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제어부로 전달되며, 제어부는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로부터 로우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 프로젝터 모듈(300)을 오프 상태로 처리한다.
이상에서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300)의 커버(400)가 오픈 상태인 경우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와 상기 커버(400) 내에 안착된 자성체(450)와의 이격 거리가 근접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는 상기 자성체(450)와의 이격 거리에 따라 자기장이 검출되면 하이 전압을 발생한다. 이러한 하이 전압은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제어부로 전달되며, 제어부는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로부터 하이 전압이 인가될 시 프로젝터 모듈(300)을 온 상태로 처리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300)의 커버(400)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즈 상태인 경우, 상태감지 센서(500)와 커버(400)의 자성체(450) 간의 거리가 상태감지 센서(500)가 자기장을 인식하는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현재 커버(400)가 클로즈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프로젝터 모듈(300)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프로젝터 모듈(300)의 커버(400)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 상태인 경우, 상태감지 센서(500)와 커버(400)의 자성체(450) 간의 거리가 상태감지 센서(500)가 자기장을 인식하는 범위에 속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현재 커버(400)가 오픈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프로젝터 모듈(300)을 온하고 프로젝션 모드를 활성화하여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을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젝션 모드 실행 중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커버(400)의 클로즈 상태를 감지하면 실행 중인 프로젝션 모드를 비활성 및 프로젝터 모듈(300)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300), 커버(450) 및 상태감지 센서(500)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0022852385-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400)가 오픈되면 상태감지 센서(500)는 하이 전압을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제어부로 출력하고, 제어부는 상태감지 센서(500)로부터 하이 전압을 검출할 시 프로젝터 모듈(300)을 온 제어한다. 반면, 커버(400)가 클로즈되면 상태감지 센서(500)는 로우 전압을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제어부로 출력하고, 제어부는 상태감지 센서(500)로부터 로우 전압을 검출할 시 프로젝터 모듈(300)을 오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입력부(100), 표시부(200), 프로젝터 모듈(300), 상태감지 센서(500), 저장부(600), 그리고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부,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방송모듈, 사진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 인터넷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모듈 등의 통상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여러 개의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100)는 프로젝션 모드에서 사용자 운용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00)는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기능, 전자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웹 브라우징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검색 기능, 통신 기능, 전자책읽기 기능(예컨대, e-book), 동영상 기능, 사진촬영 기능, 사진보기 기능, TV시청 기능(예컨대, DMB나 DVB와 같은 이동방송), 음악재생 기능(예컨대, MP3), 위젯 기능 등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2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200)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때 가로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세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00)는 터치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200)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00)는 터치스크린 구성에 의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예컨대,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00)는 프로젝션 모드에 따라 운용되는 화면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표시부(200)는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프로젝션 디바이스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휴대단말이 아니고 일반적인 형태의 외부 출력 기능을 가지는 프로젝터인 경우 상기 표시부(200)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의 경우 소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된 화면데이터를 확대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에서 커버가 오픈될 시 상기 프로젝터는 자동 구동되고 커버가 클로즈될 시 상기 프로젝터는 종료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휴대단말에 내장 또는 외장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7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렌즈를 통해 확대하여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즉,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700)에서 처리된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에 왜곡 없이 투사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의 커버(400)가 오픈 상태인지 또는 클로즈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센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감지 센서(500)는 자기장에 반응하는 자기센서의 일종인 홉 집적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는 커버(400)에 안착된 자성체(450)가 발생하는 자기장에 따라 전류가 생성될 시(예컨대, 자성체(450)가 상태감지 센서(500)의 인식 범위 내에 진입할 때) 그에 따른 하이 전압을 상기 제어부(700)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는 커버(400)에 안착된 자성체(450)가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한 전류가 생성되지 않을 시(예컨대, 자성체(450)가 상태감지 센서(500)의 인식 범위를 벗어날 때) 그에 따른 로우 전압을 상기 제어부(700)로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600)는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600)는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운영체제, 프로젝터 모듈(300)의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커버(400)의 오픈 및 클로즈에 따른 프로젝션 모드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표시부(20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본 발명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에 따른 기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00)는 일반모드에서 대기화면 또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표시부(200)를 통해 표시 중에 상태감지 센서(500)로부터 하이 전압이 검출되면 프로젝터 모듈(3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상태감지 센서(500)의 출력포트와 연결된 GPIO(미도시)를 통해 하이 전압이 인가되면 프로젝터 모듈(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 시 상기 일반모드에서 프로젝션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표시부(200)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700)는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제어 시 상기 표시부(200)에 표시하는 내부 화면데이터와 외부로 출력하는 외부 화면데이터를 동일한 형태로 출력 제어하거나, 서로 다른 형태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는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프로젝션 모드 운용을 위해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는 실행 어플리케이션(또는 대기화면)에 따라 재생 또는 실행되는 해당 화면데이터 자체만 확대되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프로젝션 모드 운용 중에 상태감지 센서(500)로부터 로우 전압이 검출되면 프로젝션 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오프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상태감지 센서(500)의 출력포트와 연결된 GPIO(미도시)를 통해 로우 전압이 인가되면 프로젝터 모듈(300)의 구동을 종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700)는 프로젝션 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 시 표시부(200)에 제공되는 내부 화면데이터의 표시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00)는 프로젝션 모드 실행에 따라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략하고 실행 어플리케이션(또는 대기화면)에 따른 해당 화면데이터 자체만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표시부(200)가 오프 상태에서 상태감지 센서(500)에 의한 검출신호(예컨대, 하이 전압 또는 로우 전압)를 무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표시부(200)가 오프 상태에서는 커버(400)의 오픈/클로즈에 관계없이 프로젝션 모드 운용을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가 표시부를 가지는 디바이스(예컨대, 휴대단말 등)인 경우에 해당하며, 만약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가 표시부를 가지지 않는 디바이스(예컨대, 프로젝터)인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제어부(700)는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00)는 일반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용을 제어하거나, 프로젝션 모드에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시 화면데이터를 전환하는 등의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휴대단말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스마트 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및 휴대게임단말 등의 소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스마트 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및 휴대게임단말 등의 소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젝션 디바이스와 그의 프로젝션 모드 실행 제어 방법은 프로젝터,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700)는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일반모드에 따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501단계). 예를 들어,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부(200)를 가지는 휴대단말인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대기화면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부를 가지지 않는 프로젝터인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검출신호(예컨대, 하이 전압 또는 로우 전압)를 검출하는 대기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번호 5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태감지 센서(500)로부터 로우 전압을 인가받고 있는 상태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300)의 커버(400)가 클로즈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상기와 같이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일반모드에 따른 동작 제어 중에 상태감지 센서(500)로부터의 검출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상기 검출신호가 하이 전압에 대응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앞서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400)가 오픈된 것으로 판단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로젝션 모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검출신호가 로우 전압에 대응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앞서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400)가 클로즈 된 것으로 판단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모드에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700)는 참조번호 501단계와 같이 일반모드 동작 중에 하이 전압이 검출되는지 체크한다(503단계). 만약, 제어부(700)는 상태감지 센서(500)로부터 하이 전압이 검출되지 않으면(503단계의 No) 전술한 501단계로 진행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일반모드에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로우 전압이 계속하여 검출되는 상태인 경우 커버(400)가 클로즈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일반모드에서 사용자 운용에 따른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700)는 상태감지 센서(500)로부터 하이 전압이 검출되면(503단계의 Yes) 프로젝터 모듈(300)을 온 제어한다(505단계). 예를 들어, 커버(400)가 오픈될 시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는 상기 커버(300) 내의 자성체(45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검출하고 그에 따라 하이 전압을 상기 제어부(70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700)는 GPIO를 통해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의 하이 전압에 따른 검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700)는 하이 전압을 검출할 시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의 구동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어부(7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의 온 제어 시 상기 일반모드에서 프로젝션 모드로 전환 제어한다(507단계). 본 명세서에서 프로젝션 모드는 프로젝션 디바이스를 통해 생성되는 화면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00)는 상기 프로젝션 모드 전환 후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을 제어한다(50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외부 출력한 화면데이터를 프로젝터 모듈(300)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전달되는 화면데이터를 소정의 크기로 확대하여 외부 스크린으로 투사한다.
다음으로, 제어부(700)는 상기 프로젝션 모드 운용에 따른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중에 로우 전압이 검출되는지 체크한다(511단계). 만약, 제어부(700)는 상태감지 센서(500)로부터 로우 전압이 검출되지 않으면(511단계의 No) 전술한 509단계로 진행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프로젝션 모드에 따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하이 전압이 계속하여 검출되는 상태인 경우 커버(400)가 오픈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프로젝션 모드에서의 동작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700)는 상태감지 센서(500)로부터 로우 전압이 검출되면(511단계의 Yes) 상기 프로젝션 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 제어한다(513단계). 그리고 제어부(700)는 상기 일반모드로 전환 제어 시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오프 제어한다(515단계). 예를 들어, 커버(400)가 클로즈될 시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에는 상기 커버(300) 내의 자성체(45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검출되지 않는다. 이에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는 로우 전압을 상기 제어부(70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700)는 GPIO를 통해 상기 상태감지 센서(500)의 로우 전압에 따른 검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로우 전압을 검출할 시 프로젝션 모드를 비활성화 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의 오프를 제어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입력부 200: 표시부
300: 프로젝터 모듈 400: 커버
450: 자성체 500: 상태감지 센서
600: 저장부 700: 제어부

Claims (20)

  1.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슬라이딩 타입 이동에 따라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커버를 오픈하는 과정과,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태감지 센서로부터 검출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으로, 상기 검출신호는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커버를 오픈할 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
    상기 검출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표시부가 온 상태일 때 다양한 외부 화면 데이터를 투사하기 위해 프로젝터 모듈을 자동적으로 온 제어하는 과정과,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상기 기능의 실행에 따라 외부에 투사되는 상기 다양한 외부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동작의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신호는 상기 커버의 클로즈 및 오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상태감지 센서의 인식 범위 내에 상기 커버가 접근할 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에 있어서,
    슬라이딩 타입 이동에 따라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커버를 오픈하는 과정과,
    일반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으로, 상기 일반모드는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태감지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검출신호가 제 1 전압 또는 제 2 전압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신호가 상기 제 1 전압을 갖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일반모드로 계속하여 동작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검출신호가 상기 제 2 전압을 갖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표시부가 온 상태이면, 프로젝터 모듈을 자동적으로 온 제어하고, 상기 프로젝션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상기 일반모드에서 상기 프로젝션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상기 프로젝션 모드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하여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신호는 상기 커버의 클로즈 및 오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상태감지 센서의 인식 범위 내에 상기 커버가 접근할 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상태감지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검출신호가 상기 제 1 전압 또는 상기 제 2 전압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검출신호가 상기 제 1 전압을 갖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프로젝션 모드에서 상기 일반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오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6. 프로젝션 디바이스에 있어서,
    화면 데이터를 외부 표면 상에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와 결착하고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커버 및 보호하도록 구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오픈 및 클로즈 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상태감지 센서와,
    상기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표시부가 온 상태 및 오프 상태 중 하나일 때 상기 상태감지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온 및 오프 중 하나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슬라이딩 타입 이동으로 오픈 또는 클로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검출신호는 상기 커버의 클로즈 및 오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상태감지 센서의 인식 범위 내에 상기 커버가 접근할 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감지 센서는
    상기 자성체에 의한 자기장이 검출될 때 제 2 전압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자성체에 의한 자기장이 검출되지 않을 때 제 1 전압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감지 센서는
    상기 커버가 오픈 상태일 때 상기 자성체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검출하고,
    상기 커버가 클로즈 상태일 때 상기 자성체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검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디바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감지 센서는
    상기 자기장에 반응하는 자기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디바이스.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제 2 전압이 제공될 때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온 및 프로젝션 모드 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상태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제 1 전압이 제공되면 상기 프로젝션 모드의 비활성화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상태감지 센서의 출력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디바이스.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신호는
    제 2 검출신호 보다 낮은 전압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은
    상기 제 2 전압 보다 낮은 전압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은
    상기 제 2 전압 보다 낮은 전압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디바이스.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외부 화면 데이터는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내부 화면 데이터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화면 데이터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 의한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I)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디바이스.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 의해 투사되는 상기 외부 화면 데이터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와 작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 전송되는 화면 데이터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디바이스.
KR1020100032860A 2010-04-09 2010-04-09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663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860A KR101663015B1 (ko) 2010-04-09 2010-04-09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US13/082,757 US9140964B2 (en) 2010-04-09 2011-04-08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rojection mode in proj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860A KR101663015B1 (ko) 2010-04-09 2010-04-09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460A KR20110113460A (ko) 2011-10-17
KR101663015B1 true KR101663015B1 (ko) 2016-10-07

Family

ID=4476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860A KR101663015B1 (ko) 2010-04-09 2010-04-09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40964B2 (ko)
KR (1) KR101663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0564B2 (ja) * 2012-05-08 2016-12-0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投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WO2014073345A1 (ja) * 2012-11-09 2016-09-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2195314B1 (ko) * 2013-08-28 202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78159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D797713S1 (en) * 2014-10-01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506534B (zh) * 2014-12-09 2015-11-01 Awind Inc 具有低資料傳輸量的鏡射顯示系統及其方法
KR102395794B1 (ko) * 2015-10-13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7039242B2 (ja) * 2017-10-13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投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1010555B (zh) 2019-12-25 2021-05-28 成都极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投影机和投影机开关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7784A1 (en) 1999-10-15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074653A (ja) 2005-09-09 2007-03-22 Nikon Corp 投影システム
JP2007171885A (ja) 2005-12-26 2007-07-05 Funai Electric Co Ltd プロジェ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124B1 (ko) * 2005-09-09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개폐 인식의 향상 방법및 그 장치
TW200743010A (en) * 2006-05-10 2007-11-16 Compal Communications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projec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099107A (ko) * 2007-05-08 2008-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KR101587085B1 (ko) * 2008-08-04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545588B1 (ko) * 2009-01-30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101596842B1 (ko) * 2009-12-04 201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7784A1 (en) 1999-10-15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074653A (ja) 2005-09-09 2007-03-22 Nikon Corp 投影システム
JP2007171885A (ja) 2005-12-26 2007-07-05 Funai Electric Co Ltd プロジェ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40964B2 (en) 2015-09-22
US20110248983A1 (en) 2011-10-13
KR20110113460A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015B1 (ko)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605347B1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42722B1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의 표시 제어 방법
AU2014230175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101601049B1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KR101811219B1 (ko) 손가락 추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87000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ual-processing of screen data in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function
KR20110069526A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40062860A1 (en) Smart screen rotation based on user orientation
KR20110084653A (ko) 휴대단말에서 프라이버시 보호 방법 및 장치
US20110154249A1 (en) Mobile device and related control method for external output depending on user interaction based on image sensing module
KR101688145B1 (ko)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US20110234617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120032888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KR20120015968A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US20110279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unit of a portable terminal
KR20110131909A (ko)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US201601918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934529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protective co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40126153A (ko)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US201301291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earphone in portable terminal
KR20130017872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13021477A (ja) 電子機器、動作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68246A (ko) 이동 단말기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US2011010235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s according to mechanical touching action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dapted to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