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499B1 -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499B1
KR101662499B1 KR1020140133513A KR20140133513A KR101662499B1 KR 101662499 B1 KR101662499 B1 KR 101662499B1 KR 1020140133513 A KR1020140133513 A KR 1020140133513A KR 20140133513 A KR20140133513 A KR 20140133513A KR 101662499 B1 KR101662499 B1 KR 101662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rod
substrate
punch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484A (ko
Inventor
전영환
Original Assignee
전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환 filed Critical 전영환
Publication of KR2016001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봉과 터치봉을 타격하는 펀치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봉은 터치봉 고정부 하부면에 형성되어 V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을 구비함으로서, 제조 공정이 간편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기판 결합 후 펀치 가격을 하면 결과물이 작아 그라운드를 다 덮지 않도록 하여 납땜이 잘되고 십자 비슷하게 퍼지면서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ELECTRIC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봉과 터치봉을 타격하는 펀치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봉은 터치봉 고정부 하부면에 형성되어 V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을 구비함으로서, 제조 공정이 간편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기판 결합 후 펀치 가격을 하면 결과물이 작아 그라운드를 다 덮지 않도록 하여 납땜이 잘되고 십자 비슷하게 퍼지면서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치봉과 같이 PCB 등의 기판에 결합되는 핀과 관련하여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65047호 『터미널 핀의 회전 방지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PCB 기판의 터미널 홀에 삽입단부가 끼워지고, PCB 기판의 상부에 플렌지가 밀착되는 한편 봉 형태의 권선부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단부는 방사상으로 벌린 후 납땜을 하는 터미널 핀에 있어서, 터미널 핀의 플렌지 하부에 하나 이상의 회전 방지 돌기를 형성시키되 상기 회전 방진 돌기가 PCB 기판에 박힌 채로 고정되어 터미널 핀의 회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터미널 핀의 회전 방지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터치봉과 유사하게 PCB 등의 기판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나, 핀 끝에 원기둥 모양의 긴 구멍을 파는 경우, 직경이 작은 핀에 더 작은 구멍을 파기 위한 공정이 힘들고, 펀치 수명도 짧아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4-0009199호 『편향요크의 터미널 핀』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터미널 단자에 감아 배선된 코마 프리 리드선이 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편향 요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향 요크의 터미널 단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이 PCB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측으로 세워지고 그 외주면에 감겨진 코마 프리 리드선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풀림 방지부가 형성되는 편향요크의 터미널 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터미널 핀을 결합하여 납땜하는 경우, 상기의 문제점과 동일하게 작은 구멍을 내기가 힘들어 제작공정이 어렵고, 펀칭 후 넓게 퍼져 핀이 그라운드를 다 덮게 됨으로서 납땜 시 납이 핀 안쪽에 고여서 납땜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견고하게 결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터치봉을 기판에 설치하기 위하여 V자 홈을 구비함에 따라 터치봉을 제조하는 공정이 간단하고, 펀칭 후 변형된 부위의 크기가 작아 이후 납땜 공정이 용이하며, 본체에 구비되는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고정부에 구비함에 따라 기판 상부면에 제1 직경이 밀착될 수 있는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터치봉 머리 상부에는 가스켓을 구비하여 정전식 터치 스위치를 형성할 수 있으며,
펀치는 하면 외주면의 둘 이상의 타격부를 포함하되, 타격부가 고정부의 하부면에서 홈과 이격된 외주면을 타격함으로서 고정부 외측으로 가격되어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홈과 이격되 외주면을 타격하는 단계를 통하여 십자형상으로 기판 하부에 퍼져나갈 수 있어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전기 구조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터치봉 및 상기 터치봉을 타격하여 기판에 체결하는 펀치로 이루어진 기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터치봉은
제 1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터치봉 본체;
상기 터치봉 본체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 2 직경을 갖는 터치봉 고정부; 및
상기 터치봉 고정부 하부면에 형성되며 V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
을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은
상기 터치봉 고정부를 기판의 관통공에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터치봉 본체의 하부 표면을 상기 기판에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펀치로 상기 터치봉 고정부의 하부면을 타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은 터치봉을 기판에 결합하여 펀치 가공을 하기 위해 터치봉의 고정부에 구비되는 홈을 V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원뿔 형상의 홈으로 구성하여 공정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고정대의 길이가 종래의 펀치봉보다 짧게 구성되어 펀칭 후 결과물이 작아서 그라운드를 다 덮지 않기 때문에 후 처리인 납땜이 잘되며,
본체는 제1 직경을 갖고, 고정부는 제2 직경을 갖되, 제1 직경이 제2 직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기판 상부에 제1 직경을 갖는 본체의 하부가 밀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펀치 하면 외주면에 둘 이상의 타격부를 구비하되, 상기 타격부가 홈과 이격된 고정부 하부를 가격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가격에 의해 고정부가 십(十)자 형상으로 퍼져나갈 수 있어 기판과 견고하게 고정되어 흔들리거나 헛돌지도 않고, 납땜이 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의 터치봉을 기판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터치봉 고정부를 기판에 통과시키는 단계와, 본체의 하부를 기판에 접촉시키는 단계, 고정부의 하부를 펀치로 타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공정을 간소화 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의 터치봉과 펀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의 실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의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S)는 기판(10)과 터치봉(20) 및 상기 터치봉(20)을 타격하여 변형 및 고정시키는 펀치(30)를 포함하는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S)로서, 먼저 터치봉(20)은 본체(21)와, 상기 본체(21) 하부에 구비되는 터치봉 고정부(23) 및 상기 터치봉 고정부(23) 하부면에 형성되는 홈(25)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터치봉(2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1 직경(211)을 갖는 본체(2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21)의 하부에는 동일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터치봉 고정부(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봉 고정부(23)는 기판(10)에 구비되는 관통공(11)에 삽입되게 되는 부분으로서, 관통공(11)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갖되, 상기 제1 직경(211)보다 작은 제2 직경(231)을 갖으며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제1 직경(211)은 기판(10)에 형성된 관통공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되어, 상기 본체(21)는 기판(10)의 상부에 위치하고, 고정부(23)만 상기 관통공(11)을 통과하여 기판(10)의 하부에 돌출되게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3)에는 후술하는 펀치(30)에 의해 타격되어 기판(10) 하부에 찌그러져 기판(10)에 고정되게 되는데, 이러한 타격에 의한 찌그러짐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23)의 하부면에는 그 단면이 'V'자 형상을 갖는 홈(25)이 구비되며, 이러한 홈(25)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23)의 하부면에는 원뿔 형상의 홈(25)과 홈(25) 외주면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펀치(30)의 타격부(33)가 타격하는 평탄부(233)로 이루어져 있으며, 펀치(30)로 평탄부(233)를 타격함에 따라 홈(25)에 의하여 평탄부(233)는 상기 타격부(33)가 타격하는 부분만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십(十)자 형상을 이루어 기판(10)에 고정되게 된다.
다시 상기 제1 직경(211)을 구비한 본체(21)의 하부에는 제1 직경(211)보다 작은 제2 직경(231)을 구비한 고정부(23)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본체(21)의 하부면에는 밀착부(213)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밀착부(213)는 상기 터치봉(20)을 기판(10)에 구비되는 관통공(11)에 삽입하는 경우, 기판(10)의 상부와 밀착되도록 위치하게 되며, 고정부(23)가 기판(10)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밀착부(213)가 기판(10) 상부에 완벽하게 밀착되어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21)의 상부에는 터치봉 머리(27)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머리(27)는 상기 제1 직경(211)보다 크게 구성되는 제3 직경(271)을 갖으며 상기 본체(21)의 상부에 구비되게 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터치를 하여 정전기적 신호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머리(27)의 상부에는 가스켓(40)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가스켓(40)은 전도성이 있는 스펀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머리(27)와 패널 사이에서 제품별 유동을 방지하고, 신호를 전달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가스켓(40)의 크기는 제품별 또는 터치봉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S)는 터치봉(20)을 기판(10)에 고정유지 시키기 위하여 터치봉(20)의 고정부(23)를 타격하기 위한 펀치(30)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30)는 하부에 상기 고정부(23)를 타격하는 타격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35) 및 상기 하우징(31) 하부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23)를 타격하는 타격부(33)가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손잡이부(35)는 상기 하우징(31)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펀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거나, 돌기를 형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타격부(33)는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형성되어 작업공정을 간편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타격부(33)는 상기 펀치(30)의 하면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펀치(30)의 타격부(33)는 상기 고정부(23)의 하부면의 외측을 타격하게 되되 상기 홈(25)과 타격부(33)가 타격하는 고정부(23)의 하부면(평탄부)에는 이격부(235)를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타격부(33)가 상기 고정부(23)의 평탄부(233) 외측면을 타격함에 따라 상기 평탄부(23)가 외측방향으로 퍼져나가 절곡되어 기판(10)의 하부에 밀착되게 될 때 상기 이격부(235)에 의하여 홈(25)이 형성된 고정부(23)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견고하게 기판(10)에 터치봉(20)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타격부(33)의 형상은 원형, 반원형 등 다양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3)의 외면의 형상과 동일하게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타격부(3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탄부(233)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구비됨에 따라 타격에 의해 절곡된 평탄부(233)가 외측으로 돌출되어도 밀림 없이 절곡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타격시 발생하는 미세한 위치 이동에 따른 오차를 커버할 수 있어 타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원뿔형의 홈(25)을 형성함에 따라 고정부(23)의 길이가 종래의 터치봉보다 짧게 형성이 될 수 있어 코킹(CAULKING)(펀치로 상기 고정부를 타격하는 동작) 후의 결과물이 작아 그라운드(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부가 퍼지는 공간)를 다 덮지 않기 때문에 후 작업인 납땜이 잘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홈을 가공하는 공정이 간편하여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다시 도 4 는 이러한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의 터치봉을 기판에 고정하는 전기 구조의 제조방법(M)을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상기 터치봉 고정부(23)를 기판(10)의 관통공(11)에 통과시키는 단계(100)와, 통과시킨 터치봉(20) 본체(21)의 하부 표면을 상기 기판(10)에 접촉시키는 단계(200), 상기 기판(10)에 접촉되어, 기판(10)으로부터 돌출된 터치봉 고정부(23)의 하부면을 타격하는 단계(300)를 포함하며, 타격된 터치봉(20)의 고정부(23)에 납땜하는 단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치봉(20)을 기판(10)에 고정하기 위하여 먼저 기판(10)에 형성된 관통공(11)에 터치봉(20)을 관통시켜 고정부(23)가 기판(10)의 반대쪽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위치시키게 된다. 이 후 기판(10)과 터치봉(20)을 펀치(30)에 의해 고정하기 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21)의 하부에 구비되는 밀착부(213)를 상기 기판(10)의 상부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 후 밀착시킨 터치봉(20)을 고정(별도의 장치)한 후 기판(10)의 반대방향에 돌출된 고정부(23)의 하면을 펀치(30)로 타격(펀칭)하여 고정부(23)를 찌그러트려서 기판(10)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타격하는 단계(300)에서는 상기 펀치(30)에 구비되는 타격부(33)로 상기 고정부(23)의 하부 외주면을 타격하여 외측방향으로 절곡 현상이 십(十)자 형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들뜸 현상 등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나아가 찌그러진 고정부(23)에 종래에 사용되는 납땜 방법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납땜 단계(4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은 종래의 원기둥 모양의 긴 구멍이 아닌 원뿔형의 홈을 형성함에 따라 공정을 간편하게 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M :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0 : 기판 11 : 관통공
13 : 그라운드 20 : 터치봉
21 : 본체 211 : 제1 직경
213 : 밀착부 23 : 고정부
231 : 제2 직경 233 : 평탄부
235 : 이격부 25 : 홈
27 : 머리 271 : 제3 직경
30 : 펀치 31 : 하우징
33 : 타격부 35 : 손잡이부

Claims (7)

  1. 기판(10)과,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터치봉(20) 및 상기 터치봉(20)을 타격하여 기판(10)에 체결하는 펀치(30)로 이루어진 기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터치봉(20)은
    제 1 직경(211)을 갖는 원통 형상의 터치봉 본체(21);
    상기 터치봉 본체(21)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직경(211)보다 작은 제 2 직경(231)을 갖는 터치봉 고정부(23); 및
    상기 터치봉 고정부(23) 하부면에는 V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25)과 상기 홈(25) 외주면에 형성되는 평탄부(233)가 구비되고,

    상기 펀치(30)는
    상기 펀치(30)의 하면 외주면에는 상기 터치봉 고정부(23)의 하부면을 타격하도록 구비되는 4개의 타격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평탄부(233)에는 상기 타격부(33)가 상기 홈(25)과 이격된 외주면을 타격하도록 타격위치와 홈 사이의 타격부(33)가 타격하지 않도록 이격되는 이격부(235)가 더 구비되어,
    상기 타격부(33)가 평탄부(233)의 외측면을 타격할 때 상기 평탄부(233)가 홈(25)이 형성된 고정부(23)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여 평탄부(23)가 외측방향으로만 퍼져나가 십(十)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봉(20)은,
    상기 터치봉 본체(21)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직경(211)보다 큰 제 3 직경(271)을 갖는 터치봉 머리(27)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25)은,
    원뿔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30)의 타격부(33)는
    상기 터치봉(20)의 평탄부(233)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봉(20)의 터치봉 머리(27)에는 전도성 재질의 가스켓(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기재된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터치봉 고정부를 기판의 관통공에 통과시키는 단계(100);
    상기 터치봉 본체의 하부 표면을 상기 기판에 접촉시키는 단계(200);
    상기 펀치로 상기 터치봉 고정부의 하부면을 타격하는 단계(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터치봉(20)은
    제 1 직경(211)을 갖는 원통 형상의 터치봉 본체(21);
    상기 터치봉 본체(21)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직경(211)보다 작은 제 2 직경(231)을 갖는 터치봉 고정부(23); 및
    상기 터치봉 고정부(23) 하부면에는 V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25)과 상기 홈(25) 외주면에 형성되는 평탄부(233)가 구비되고,

    상기 펀치(30)는
    상기 펀치(30)의 하면 외주면에는 상기 터치봉 고정부(23)의 하부면을 타격하도록 구비되는 4개의 타격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평탄부(233)에는 상기 타격부(33)가 상기 홈(25)과 이격된 외주면을 타격하도록 타격위치와 홈 사이의 타격부(33)가 타격하지 않도록 이격되는 이격부(235)가 더 구비되어,
    상기 타격부(33)가 평탄부(233)를 타격하는 단계에서, 평탄부(23)가 홈(25)이 형성된 고정부(23)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여 평탄부(23)가 외측방향으로만 퍼져나가 십(十)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된 터치봉(20)의 고정부(23)를 납땜하는 단계(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1020140133513A 2014-08-01 2014-10-02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662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8751 2014-08-01
KR1020140098751 2014-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484A KR20160016484A (ko) 2016-02-15
KR101662499B1 true KR101662499B1 (ko) 2016-10-14

Family

ID=55357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513A KR101662499B1 (ko) 2014-08-01 2014-10-02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61A (ko) 2019-06-03 2020-12-11 동국 김 스프링 고정봉
KR102343341B1 (ko) * 2020-10-05 2021-12-27 김출곤 터치스위치 접지핀 제조방법과 그 접지핀
KR20210003314A (ko) 2021-01-02 2021-01-11 동국 김 스프링 고정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475Y1 (ko) 2000-02-03 2000-08-16 이용삼 팬의 보스 결합구조
JP2002093489A (ja) * 2000-09-19 2002-03-29 Fukui Byora Co Ltd 極薄積層体の導通方法及びシート状電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082A (ja) * 1993-07-16 1995-02-03 Fujitsu Ten Ltd リベットかしめ装置
JP5582652B2 (ja) * 2011-04-19 2014-09-03 株式会社貴匠技研 端子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475Y1 (ko) 2000-02-03 2000-08-16 이용삼 팬의 보스 결합구조
JP2002093489A (ja) * 2000-09-19 2002-03-29 Fukui Byora Co Ltd 極薄積層体の導通方法及びシート状電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484A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9776B1 (en) Conductive wire connection structure of rail-type electrical terminal
KR101662499B1 (ko) 터치봉이 결합된 기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JP5541305B2 (ja) プレスフィット用コネクタ端子
JP5569548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及び同軸型電気コネクタ装置
EP2411820B1 (en) Scrub inducing compliant electrical contact
EP3174079B1 (en) Waterproof key structure and waterproof mobile phone utilizing same
JP2014107011A (ja) アース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2009052913A (ja) 同軸型コンタクト及び同軸多芯コネクタ
JPWO2013058015A1 (ja) 同軸コネクタ
US8105117B2 (en) Spring connector and terminal device
JP2009186210A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
EP2919251A1 (en) Coil terminal and electromagnetic relay
JP2008198359A (ja) 接続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部品。
US20110020059A1 (en) Probe Connector
JP4765855B2 (ja) スイッチ装置
KR102538387B1 (ko) 진공 스위칭 장치, 및 그를 위해 전기 접점을 전극에 고정시키는 접점 어셈블리 및 방법
JP6406645B2 (ja) 圧接コネクタ
JP6088227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6098833B2 (ja) 電子部品接続用端子及びそれを使用した電子部品の取付け構造
JP6790096B2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JP2008098125A (ja) L型プラグとその製造方法
JP4806692B2 (ja) ジャック
JP6658048B2 (ja) 検査装置、検査装置の製造方法
JP4274153B2 (ja) 入力ペンのシールド構造
KR20210003314A (ko) 스프링 고정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