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106B1 -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106B1
KR101662106B1 KR1020100104272A KR20100104272A KR101662106B1 KR 101662106 B1 KR101662106 B1 KR 101662106B1 KR 1020100104272 A KR1020100104272 A KR 1020100104272A KR 20100104272 A KR20100104272 A KR 20100104272A KR 101662106 B1 KR101662106 B1 KR 101662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upper substrate
color filter
light emitting
low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2549A (ko
Inventor
김우찬
안병철
한창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1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2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은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화소 영역을 가지는 상부기판; 상기 상부기판의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화소 영역 간의 경계 지역에 형성된 블랙매트릭스; 상기 상부기판의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화소영역에 형성된 적색 칼라필터층, 녹색 칼라필터층 및 청색 칼라필터층; 상기 상부기판의 백색 서브 화소영역에 형성된 선형 편광층 및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 상기 상부기판과 대향하는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상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하부기판 상에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각 각과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제1 전극; 상기 다수 개의 제1 전극과 접촉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 및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된 실링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셀 원 편광자 (In-cell circular polarizer)를 적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 중 종이와 같이 박막화가 가능한 유기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 표시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전극 사이의 얇은 유기 발광층을 이용한 자발광 소자로 유기 EL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장치라고 부르며, 이하에서는 OLED 표시장치를 사용한다. OLED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저소비전력, 박형, 자발광 등의 장점을 갖지만, 수명이 짧다는 단점을 갖는다.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는 한 화소를 구성하는 3색(R, G, B) 서브 화소 각 각을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동영상을 표시하기에 적합한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을 중심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결합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부기판(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영역 상에 하나의 화소를 다수의 서브 화소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적색(R) 서브 화소영역(12)에는 적색(R) 컬러필터층(45R), 녹색(G) 서브 화소영역(14)에는 녹색(G) 컬러필터층(45G), 청색(B) 서브 화소영역(16)에는 청색(B) 컬러필터층(45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백색(W) 서브 화소영역(18)에는 컬러필터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40)에는 빛샘 방지 및 각 컬러필터층(45R, 45G, 45B) 사이에 컬러 간 혼색영역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43)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반사방지층(4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기판(10)에는 서브 화소 구동부인 박막트랜지스터(T)과 접속된 제1전극(23)과, 이 제1 전극(23) 상의 발광층(27)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 (23)과 대향하는 제2 전극(29)과, 각 서브 화소 단위로 분리시키는 격벽(25)을 상기 다수의 제1 전극(23)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23)은 애노드 (anode)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극(29)은 캐소드전극일 수 있으며, 일함수가 낮은 마그네슘(Mg), 칼슘(Ca), 알루미늄 (Al),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하부기판(10)과 상부기판(40) 사이에는 실링재(50)가 충진되어 이들 양 기판(10, 40)이 서로 합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외광 시인성은 ACR(Ambient Contrast Ratio)로 정의하고 있는데, 현재 ACR를 향상시키기 위해 원편광층 (circular polarizer)을 사용하고 있으나, 원편광층의 투과율 42%에 의해 ACR은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패널의 소비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기존과 같이 백색 유기발광 표시소자를 적용하여, 한 개의 화소를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화소로 구성함으로써, 소비전력은 감소시킬 수 있으나, 원 편광자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외광 시인성이 떨어진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백색 서브화소에만 원 편광자를 적용하여 외광 시인성을 확보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화소 영역을 가지는 상부기판; 상기 상부기판의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화소 영역 간의 경계 지역에 형성된 블랙매트릭스; 상기 상부기판의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화소영역에 형성된 적색 칼라필터층, 녹색 칼라필터층 및 청색 칼라필터층; 상기 상부기판의 백색 서브 화소영역에 형성된 선형 편광층 및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 상기 상부기판과 대향하는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상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하부기판 상에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각 각과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제1 전극; 상기 다수 개의 제1 전극과 접촉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 및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된 실링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은 상부기판과, 이 상부기판과 대향하는 하부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부기판에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상부기판의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화소 영역 간의 경계 지역에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기판의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화소영역에 적색 칼라필터 층, 녹색 칼라필터층 및 청색 칼라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기판의 백색 서브 화소영역에 선형 편광층 및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기판상에 다수 개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하부기판 전면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층간절연막 내에 상기 다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 각각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기판 상에 서로 분리되며,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각 각과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수 개의 제1 전극 상에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실링재를 충진하여 합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백색 유기발광 표시소자를 적용하여, 한 개의 화소를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화소로 구성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 백색 서브 화소에만 선형 편광층과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을 형성하여 원 편광자를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반사율이 감소하여 외광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백색 서브 화소에만 선형 편광층과 λ/4 리타데이션층 (retardation layer)을 형성하여 원편광자를 구성하도록 하여, 원 편광자(circular polarizer)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기본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부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n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공정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기본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한 화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라인(GL)과, 이 게이트 라인(GL)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데이터 라인(DL)과, 상기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과 접속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전원 라인(PL) 사이에서 유기발광 다이오드(E)와 접속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과 전원 라인(PL) 사이에 접속된 스토리지 캐패시터(C)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 라인(GL)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의 데이터 신호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에 공급한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로부터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라인(PL)으로부터 유기발광 다이오드(E)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유기발광 다이오드(E)의 밝기를 제어한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에 공급하여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가 오프(OFF)되더라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가 일정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한 화소를 구성하는 3색(R, G, B) 서브 화소 각 각을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동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부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부기판(140)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영역 상에 하나의 화소를 다수의 서브 화소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적색(R) 서브 화소영역(102)에는 적색(R) 컬러필터층(145R), 녹색(G) 서브 화소영역(104)에는 녹색(G) 컬러필터층(145G), 청색(B) 서브 화소영역(106)에는 청색(B) 컬러필터층(145B), 백색(W) 서브 화소영역(108)에는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147) 및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149)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백색(W) 서브 화소영역(108)에는 컬러필터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외광 시인성을 확보하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원 편광을 형성하기 위해,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147)과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149)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147)은 약 0.1 μm 내지 3 μm 정도 두께 범위를 가지며,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 (retardation layer)(149)은 1 μm 내지 100 μm 정도 두께 범위를 갖는다. 상기 백색(W) 서브 화소영역(108)에서는 상기 선형 편광층(147)에 의해 선 편광된 빛이 λ/4 리타데이션층 (149)으로 통과하고 반사한 후 다시 λ/4 리타데이션층(149)을 통과하므로 선형 편광층(147)의 편광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편광되어 반사 빛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140)에는 빛샘 방지 및 각 컬러필터층(145R, 145G, 145B) 및 리타데이션층(149) 사이에 컬러 간 혼색영역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143)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반사방지층(14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기판(100)에는 서브 화소 구동부인 박막트랜지스터(T)과 접속된 제1전극(125)과, 이 제1 전극(125) 상의 발광층(129)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 (125)과 대향하는 제2 전극(131)과, 각 서브 화소 단위로 분리시키는 격벽(127)을 상기 다수의 제1 전극(125)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125)은 애노드(anode)일 수 있으며, 투명한 전극 또는 반사전극일 수 있다.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조가 배면 또는 양면 발광일 경우에 제1 전극(125)은 투명한 전극일 수 있으며,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Tin Oxide) 또는 ZnO(Zinc Oxi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조가 전면발광일 경우에 제1전극(125)은 반사전극일 수 있으며, ITO, IZO 또는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층 하부에 알루미늄(Al), 은(Ag) 또는 니켈(Ni)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반사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ITO, IZO 또는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두 개의 층 사이에 반사방지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기판(100) 상에는 제1 전극(125) 이외에 데이터배선, 전원배선, 캐패시터 상부전극 등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극(131)은 캐소드전극일 수 있으며, 일함수가 낮은 마그네슘(Mg), 칼슘(Ca), 알루미늄 (Al),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전극(131)은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가 전면 또는 양면 발광구조일 경우, 빛을 투과할 수 있을 정도로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부기판(100)과 상부기판(140) 사이에는 실링재(150)가 충진되어 이들 양 기판(100, 140)이 서로 합착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상부기판(140)의 백색(W) 서브 화소영역(108)에 선형 편광층 (linear polarizer) (147)과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149)이 형성됨으로써 외광 시인성이 확보되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n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n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공정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 상에 스퍼터링 방법 등의 증착방법에 의해 버퍼층(11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버퍼층(111)은 기판(100)에서 유출되는 알칼리 이온 등과 같은 불순물로부터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실리콘 산화물(SiO2), 실리콘 질화물(SiNx) 등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일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버퍼층(111) 상에 비정질 실리콘 또는 결정화된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반도체층(113)을 증착하고 이어 상기 반도체층(113) 상에 감광막(114)을 도포한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12)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라피 공정기술을 통해 노광 공정을 실시한다.
그 다음,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광 공정을 완료한 후 현상공정을 진행하여 감광막패턴(114a)을 형성하고, 이어 상기 감광막패턴(114a)을 마스크로 상기 반도체층(113)을 패터닝한다.
이어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감광막패턴(114a)을 제거한 다음, 패터닝된 액티브층(113)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게이트절연막(미도시)과 게이트 금속층(미도시)을 차례로 증착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절연막으로는 무기 절연물질, 예를들어 산화 실리콘(SiOx),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금속층(미도시)으로는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다중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다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마스크를 이용한 패터닝 공정을 통해 상기 게이트 금속층 및 게이트절연막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게이트절연막패턴 (115) 및 게이트전극(117)을 형성한다. 이때, 게이트전극(117) 형성시에 스캔배선인 게이트 배선(미도시) 및 캐패시터의 하부전극도 함께 형성된다.
이어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전극(117)을 마스크로 하여 p형 또는 n형 불순물을 상기 반도체층(113) 내에 이온 주입하여 상기 반도체층 (113) 내에 소스영역(113a) 및 드레인영역(113b) 및 채널영역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전극(117), 게이트절연막패턴(115), 소스영역(113a) 및 드레인영역 (113b)은 박막 트랜지스터(T)를 구성한다.
그 다음,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를 구성하는 게이트전극(117)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층간절연막(12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층간절연막(121)으로는 산화 실리콘(SiOx),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층간절연막(121)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드레인영역 (113b)을 노출시키는 콘택홀(123)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택홀(123)을 포함한 상기 층간절연막(121) 상에 도전 물질층(미도시)을 증착한 후 이를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제1 전극(12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전극(125)은 애노드(anode)일 수 있으며, 투명한 전극 또는 반사전극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조가 배면 또는 양면 발광일 경우에 제1 전극(125)은 투명한 전극일 수 있으며,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Tin Oxide) 또는 ZnO(Zinc Oxi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조가 전면발광일 경우에 제1전극(125)은 반사전극일 수 있으며, ITO, IZO 또는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층 하부에 알루미늄(Al), 은(Ag) 또는 니켈(Ni)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ITO, IZO 또는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두 개의 층 사이에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125) 형성시에 데이터배선, 전원배선, 캐패시터 상부전극을 함께 형성하거나, 데이터배선, 소스/드레인전극, 전원배선, 캐패시터 상부전극을 형성한 다음 상기 드레인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125)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층간절연막(미도시)을 증착한 다음 이를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제1 전극(125) 상에 인접하는 제1 전극들을 절연시키며, 상기 제1 전극(125)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격벽(127)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5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27) 및 노출된 제1 전극 (125) 상에 발광층(129)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발광층(129)은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을 발광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광 또는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발광층(129)의 상, 하부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자수송층, 정공수송층, 전자주입층, 정공주입층 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그 배열 및 구조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 다음, 도 5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층(129)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도전물질층(미도시)을 증착하여 제2 전극(3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 전극 (31)은 캐소드전극일 수 있으며, 일함수가 낮은 마그네슘(Mg), 칼슘(Ca), 알루미늄 (Al),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전극(131)은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가 전면 또는 양면 발광구조일 경우, 빛을 투과할 수 있을 정도로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부기판(140) 상에 각 서브 화소(102, 104, 106, 108)의 경계 영역에 빛샘 방지 및 각 컬러필터층 사이에 컬러 간 혼색 영역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매트릭스(143)를 형성한다.
그 다음, 도 5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랙매트릭스(143) 사이의 적색 (R) 서브 화소영역(102)에는 적색(R) 컬러필터층(145R), 녹색(G) 서브 화소영역 (104)에는 녹색(G) 컬러필터층(145G), 및 청색(B) 서브 화소영역(106)에는 청색(B) 컬러필터층(145B)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백색(W) 서브화소(108) 영역에는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 (147)과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 (149)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 (147)과 λ/4 리타데이션층 (retardation layer) (149)은 포토리쏘그라피 공정기술, 노즐을 이용한 노즐 젯(nozzle jet) 방법 또는 잉크젯(ink jet)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특히, 상기 선형 편광층 (linear polarizer)(147)과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149)은 외광 시인성을 확보하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한다. 이때, 상기 선형 편광층 (linear polarizer)(147)은 약 0.1 μm 내지 3 μm 정도 두께로 형성하며,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149)은 1 μm 내지 100 μm 정도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127)과 λ/4 리타데이션층 (retardation layer)(149)은 원편광(circular polarizer)을 이루게 된다.
그 다음, 도 5n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기판(100)과 상부기판(140) 사이에 실링재(150)를 충진하여 이들 기판을 합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부기판(2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영역 상에 하나의 화소를 다수의 서브 화소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적색(R) 서브 화소영역(202)에는 적색(R) 컬러필터층(245R), 녹색(G) 서브 화소영역(204)에는 녹색(G) 컬러필터층(245G), 청색(B) 서브 화소영역(206)에는 청색(B) 컬러필터층(245B), 백색(W) 서브 화소영역(208)에는 선형 편광층 (linear polarizer) (24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색(R), 녹색(G), 청색(B) 칼라필터층 (245R, 245G, 245B) 및 선형 편광층(247)을 포함한 상부기판(140) 전면에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249)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백색(W) 서브 화소영역(208)에는 컬러필터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외광 시인성을 확보하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원 편광(circular polarization)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247)과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249)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선형 편광층 (linear polarizer)(247)은 약 0.1 μm 내지 3 μm 정도 두께 범위를 가지며,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249)은 1 μm 내지 100 μm 정도 두께 범위를 갖는다. 상기 백색(W) 서브 화소영역(208)에서는 상기 선형 편광층(247)에 의해 선 편광된 빛이 λ/4 리타데이션층(249)으로 통과하고 반사한 후 다시 λ/4 리타데이션층(249)을 통과하므로 선형 편광층(247)의 편광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편광되어 반사 빛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 (247) 및 λ/4 리타데이션층(249)은 포토리쏘그라피 공정기술, 노즐을 이용한 노즐 젯(nozzle jet) 방법 또는 잉크젯(ink jet) 방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240)에는 빛샘 방지 및 각 컬러필터층(245R, 245G, 245B) 및 선형 편광층(247) 사이에 컬러 간 혼색영역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 (243)가 형성되며, 배면에는 반사방지층(24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기판(200)에는 서브 화소 구동부인 박막트랜지스터(T)과 접속된 제1전극(225)과, 이 제1 전극(225) 상의 발광층(229)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 (225)과 대향하는 제2 전극(231)과, 각 서브 화소 단위로 분리시키는 격벽 (227)을 상기 다수의 제1 전극(225)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225)은 애노드(anode)일 수 있으며, 투명한 전극 또는 반사전극일 수 있다.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조가 배면 또는 양면 발광일 경우에 제1 전극(225)은 투명한 전극일 수 있으며,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Tin Oxide) 또는 ZnO(Zinc Oxi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조가 전면발광일 경우에 제1전극(225)은 반사전극일 수 있으며, ITO, IZO 또는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층 하부에 알루미늄(Al), 은(Ag) 또는 니켈(Ni)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ITO, IZO 또는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두 개의 층 사이에 반사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기판(200) 상에는 제1 전극(225) 이외에 데이터배선, 전원배선, 캐패시터 상부전극 등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극(231)은 캐소드전극일 수 있으며, 일함수가 낮은 마그네슘(Mg), 칼슘(Ca), 알루미늄 (Al),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전극(231)은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가 전면 또는 양면 발광구조일 경우, 빛을 투과할 수 있을 정도로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부기판(200)과 상부기판(240) 사이에는 실링재(250)가 충진되어 이들 양 기판(200, 240)이 서로 합착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상부기판(240)의 백색(W) 서브 화소영역(208)에 선형 편광층 (linear polarizer) (247)과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249)이 형성됨으로써 외광 시인성이 확보되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부기판(3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영역 상에 하나의 화소를 다수의 서브 화소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상부기판(340)의 적색(R) 서브 화소영역(302)에는 적색(R) 컬러필터층 (345R), 녹색(G) 서브 화소영역(304)에는 녹색(G) 컬러필터층(345G), 청색(B) 서브 화소영역(306)에는 청색(B) 컬러필터층(345B), 백색(W) 서브 화소영역(308)에는 선형 편광층 (linear polarizer) (347)이 형성된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349)은 하부기판(300) 전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기판(340)의 백색(W) 서브 화소영역(308)에는 컬러필터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외광 시인성을 확보하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원 편광(circular polarization)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 (347)이 형성되고,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349)은 상기 하부기판 (300) 전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기판(300)과 상부기판(340)이 실링재 (350)에 의해 합착 됨으로써, 결국 상기 백색(W) 서브 화소영역(308)에는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347)과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349)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347)은 약 0.1 μm 내지 3 μm 정도 두께 범위를 가지며,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349)은 1 μm 내지 100 μm 정도 두께 범위를 갖는다. 상기 백색(W) 서브 화소영역(308)에서는 상기 선형 편광층(347)에 의해 선 편광된 빛이 λ/4 리타데이션층(349)으로 통과하고 반사한 후 다시 λ/4 리타데이션층(349)을 통과하므로 선형 편광층(347)의 편광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편광되어 반사 빛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347)은 포토리쏘그라피 공정기술, 노즐을 이용한 노즐 젯(nozzle jet) 방법 또는 잉크젯(ink jet) 방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340)에는 빛샘 방지 및 각 컬러필터층(345R, 345G, 345B) 및 선형 편광층(347) 사이에 컬러 간 혼색영역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 (343)가 형성되며, 배면에는 반사방지층(34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기판(300)에는 서브 화소 구동부인 박막트랜지스터(T)과 접속된 제1전극(325)과, 이 제1 전극(325) 상의 발광층(329)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 (325)과 대향하는 제2 전극(331)과, 각 서브 화소 단위로 분리시키는 격벽(327)을 상기 다수의 제1 전극(325)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325)은 애노드(anode)일 수 있으며, 투명한 전극 또는 반사전극일 수 있다.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조가 배면 또는 양면 발광일 경우에 제1 전극(325)은 투명한 전극일 수 있으며,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Tin Oxide) 또는 ZnO(Zinc Oxi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조가 전면발광일 경우에 제1전극(325)은 반사전극일 수 있으며, ITO, IZO 또는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층 하부에 알루미늄(Al), 은(Ag) 또는 니켈(Ni)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ITO, IZO 또는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두 개의 층 사이에 반사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기판(300) 상에는 제1 전극(325) 이외에 데이터배선, 전원배선, 캐패시터 상부전극 등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극(331)은 캐소드전극일 수 있으며, 일함수가 낮은 마그네슘(Mg), 칼슘(Ca), 알루미늄 (Al),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전극(331)은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가 전면 또는 양면 발광구조일 경우, 빛을 투과할 수 있을 정도로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331)을 포함한 하부기판 전면에 λ/4 리타데이션층(349)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349)은 포토리쏘그라피 공정기술, 노즐을 이용한 노즐 젯(nozzle jet) 방법 또는 잉크젯(ink jet) 방법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하부기판(300)과 상부기판(340) 사이에는 실링재(350)가 충진되어 이들 양 기판(300, 340)이 서로 합착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상부기판(340)의 백색(W) 서브 화소영역(308)에 선형 편광층 (linear polarizer)(347)이 형성되고, 상기 백색(W) 서브 화소영역(308)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기판(300) 상에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349)이 형성됨으로써 외광 시인성이 확보되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부기판(4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영역 상에 하나의 화소를 다수의 서브 화소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상부기판(440)의 적색(R) 서브 화소영역(402)에는 적색(R) 컬러필터층 (445R), 녹색(G) 서브 화소영역(404)에는 녹색(G) 컬러필터층(445G), 청색(B) 서브 화소영역(406)에는 청색(B) 컬러필터층(445B), 백색(W) 서브 화소영역(408)에는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 (447)이 형성된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은 실링재(450)와 혼합되어, 상기 상부기판(440)과 하부기판(400) 사이에 개재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기판(440)의 백색(W) 서브 화소영역(408)에는 컬러필터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원 편광(circular polarization)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447)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기판(400)과 상부기판(440)이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이 혼합된 실링재(450)에 의해 합착 됨으로써, 결국 상기 백색(W) 서브 화소영역(408)에는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347)과 실링재(450)에 혼합된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형 편광층(linear polarizer)(447)은 약 0.1 μm 내지 3 μm 정도 두께 범위를 갖는다. 상기 백색(W) 서브 화소영역(408)에서는 상기 선형 편광층 (447)에 의해 선 편광된 빛이 λ/4 리타데이션층이 혼합된 실링재(450)으로 통과하고 반사한 후 다시 실링재(450)을 통과하므로 선형 편광층(447)의 편광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편광되어 반사 빛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선형 편광층 (linear polarizer) (447)은 포토리쏘그라피 공정기술, 노즐을 이용한 노즐 젯 (nozzle jet) 방법 또는 잉크젯(ink jet) 방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440)에는 빛샘 방지 및 각 컬러필터층(445R, 445G, 445B) 및 선형 편광층(447) 사이에 컬러 간 혼색영역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 (443)가 형성되며, 배면에는 반사방지층(44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기판(400)에는 서브 화소 구동부인 박막트랜지스터(T)과 접속된 제1전극(425)과, 이 제1 전극(425) 상의 발광층(429)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 (425)과 대향하는 제2 전극(431)과, 각 서브 화소 단위로 분리시키는 격벽(427)을 상기 다수의 제1 전극(425)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425)은 애노드(anode)일 수 있으며, 투명한 전극 또는 반사전극일 수 있다.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조가 배면 또는 양면 발광일 경우에 제1 전극(425)은 투명한 전극일 수 있으며,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Tin Oxide) 또는 ZnO(Zinc Oxi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조가 전면발광일 경우에 제1전극(425)은 반사전극일 수 있으며, ITO, IZO 또는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층 하부에 알루미늄(Al), 은(Ag) 또는 니켈(Ni)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ITO, IZO 또는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두 개의 층 사이에 반사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기판 (400) 상에는 제1 전극(425) 이외에 데이터배선, 전원배선, 캐패시터 상부전극 등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극(431)은 캐소드전극일 수 있으며, 일함수가 낮은 마그네슘(Mg), 칼슘(Ca), 알루미늄 (Al),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전극(431)은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가 전면 또는 양면 발광구조일 경우, 빛을 투과할 수 있을 정도로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부기판(400)과 상부기판(440) 사이에는 λ/4 리타데이션층이 혼합된 실링재(450)가 충진되어 이들 양 기판(400, 440)이 서로 합착된다. 이때,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은 실링재(450) 재료와 혼합하여 하부기판(400) 상에 도포한 후 배양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상부기판(440)의 백색(W) 서브 화소영역(408)에 선형 편광층 (linear polarizer)(447)이 형성되고, 상기 백색(W) 서브 화소영역(408)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기판(400) 및 상부기판(450) 사이에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이 혼합된 실링재(450)이 개재되어 있음으로써 외광 시인성이 확보되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백색 유기발광 표시소자를 적용하여, 한 개의 화소를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화소로 구성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 백색 서브화소에만 선형 편광층과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을 형성하여 원편광자를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반사율이 감소하여 외광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백색 서브화소에만 선형 편광층과 λ/4 리타데이션층 (retardation layer)을 형성하여 원편광자를 구성하도록 하여, 원 편광자(circular polarizer)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니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하부기판 111: 버퍼층
113: 반도체층 115: 게이트절연막
117: 게이트전극 120: 박막 트랜지스터
121: 층간절연막 125: 제1전극(애노드)
127: 격벽 129: 발광층
131: 제2전극(캐소드) 140: 상부기판
141: 반사방지층 143: 블랙 매트릭스
145: 칼라필터층 145G: 적색 칼라필터층
145G: 녹색 칼라필터층 145B: 청색 칼라필터층
150: 실링재 102: 적색 서브 화소
104: 녹색 서브 화소 106: 청색 서브 화소
108: 백색 서브 화소

Claims (15)

  1.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화소 영역을 가지는 상부기판;
    상기 상부기판의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화소 영역 간의 경계 지역에 형성된 블랙매트릭스;
    상기 상부기판의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화소영역에 형성된 적색 칼라필터층, 녹색 칼라필터층 및 청색 칼라필터층;
    상기 상부기판의 백색 서브 화소영역에 형성된 선형 편광층 및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
    상기 상부기판과 대향하는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상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하부기판 상에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각 각과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제1 전극;
    상기 다수 개의 제1 전극과 접촉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 및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된 실링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1 전극 사이에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편광층은 0.1 μm 내지 3 μm 두께를 가지며,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은 1 μm 내지 100 μm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은 상기 적색 칼라필터층, 녹색 칼라필터층, 청색 칼라필터층 및 선형 편광층을 포함한 상부기판 전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은 상기 선형 편광층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은 상기 하부기판 전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은 상기 실링재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8. 상부기판과, 이 상부기판과 대향하는 하부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부기판에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상부기판의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화소 영역 간의 경계 지역에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기판의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화소영역에 적색 칼라필터층, 녹색 칼라필터층 및 청색 칼라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기판의 백색 서브 화소영역에 선형 편광층 및 λ/4 리타데이션층 (retardation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기판상에 다수 개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하부기판 전면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층간절연막 내에 상기 다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 각각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기판 상에 서로 분리되며,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각 각과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수 개의 제1 전극 상에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실링재를 충진하여 합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1 전극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편광층은 0.1 μm 내지 3 μm 두께를 가지며,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retardation layer)은 1 μm 내지 100 μm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은 상기 적색 칼라필터층, 녹색 칼라필터층, 청색 칼라필터층 및 선형 편광층을 포함한 상부기판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은 상기 선형 편광층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은 상기 하부기판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λ/4 리타데이션층은 상기 실링재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편광층 및 λ/4 리타데이션층은 포토리쏘그라피 공정기술, 노즐을 이용한 노즐 젯(nozzle jet) 방법 또는 잉크젯(ink jet)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100104272A 2010-10-25 2010-10-25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62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272A KR101662106B1 (ko) 2010-10-25 2010-10-25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272A KR101662106B1 (ko) 2010-10-25 2010-10-25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549A KR20120042549A (ko) 2012-05-03
KR101662106B1 true KR101662106B1 (ko) 2016-10-05

Family

ID=4626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272A KR101662106B1 (ko) 2010-10-25 2010-10-25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3029B2 (en) 2017-10-16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n-cell phase difference lay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729B1 (ko) 2012-11-29 2019-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장치
KR102132883B1 (ko) 2013-12-10 2020-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추출 효율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4580B1 (ko) * 2014-04-30 2021-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07914B1 (ko) 2014-10-10 2021-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45505B1 (ko) * 2014-11-26 2021-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91904B1 (ko) * 2014-12-17 2022-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31372B1 (ko) * 2015-07-20 2022-08-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5470285B (zh) * 2016-01-05 2018-10-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14047648B (zh) * 2021-11-04 2024-04-1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9448A (ja) 2006-04-07 2007-10-25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567B1 (ko) * 2003-12-18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671160B1 (ko) * 2004-10-19 2007-01-1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37841B1 (ko) * 2005-06-29 2012-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투과형 액정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9448A (ja) 2006-04-07 2007-10-25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3029B2 (en) 2017-10-16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n-cell phase difference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549A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106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91661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544436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KR10182173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5985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4959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993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08403B1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0686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86164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WO2020233284A1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1352118B1 (ko) 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11829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79476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KR101709158B1 (ko) 표시 패널
KR2010006807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90073979A (ko) 양방향 유기발광표시장치
US20070152570A1 (en) Fabricating method for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1205685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50061920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56023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52432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8283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71050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80077856A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