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918B1 - 세발용 의자 - Google Patents

세발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918B1
KR101661918B1 KR1020160031061A KR20160031061A KR101661918B1 KR 101661918 B1 KR101661918 B1 KR 101661918B1 KR 1020160031061 A KR1020160031061 A KR 1020160031061A KR 20160031061 A KR20160031061 A KR 20160031061A KR 101661918 B1 KR101661918 B1 KR 101661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ar
support
leg
coupled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진
Original Assignee
이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진 filed Critical 이병진
Priority to KR1020160031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06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2/00Step-s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없이 세발 대상의 체중을 이용하여 등 받침대의 회동 펼침 동작 시 다리 받침대가 자동으로 회동 펼침 되도록 하되, 흔들림 및 다리 받침대의 처짐이 방지되는 세발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구비된 제1회동결합부 및 타단에 구비된 제2회동결합부를 포함하는 엉덩이 받침대와, 상기 제1회동결합부에 회동 결합되는 등 받침대와, 상기 제2회동결합부에 회동 결합되는 다리 받침대와, 상기 엉덩이 받침대 하부에 구비되고,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등 받침대와 결합되는 제1고정결합부와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다리 받침대와 결합되는 제2고정결합부를 갖는 제1링크바(bar)로 이루어져, 상기 등 받침대의 회동 펼침 동작 시 상기 다리 받침대가 회동 펼침 동작 하도록 하는 동작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세발용 의자{CHAIR FOR WASHING OF HAIR}
본 발명은 미용실 등에서 세발(머리 감김) 대상의 머리를 감기기 위해 사용되는 세발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없이 세발 대상의 체중을 이용하여 등 받침대의 회동 펼침 동작 시 다리 받침대가 자동으로 회동 펼침 되도록 하되, 흔들림 및 다리 받침대의 처짐이 방지되는 세발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은 머리를 자르기 위해 미용실을 이용하고 있다. 특히나 요즘 미용실은 단순하게 머리를 자르는 서비스뿐만 아니라 고객의 피로감을 풀어주는 마사지를 동반한 세발(머리 감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이에 종래의 미용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세발대는 세발 대상이 앉아서 머리를 뒤로 젖힐 수 있는 의자를 동반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미용실의 세발대는 세발 대상이 의자에 착석하여 목을 뒤로 젖혀서 기댈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에 위치시키는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세발대의 전방 모서리에는 사용자의 목을 받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미용실 세발대의 전방에는 세발용 의자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세발용 의자는 전방에는 세발 대상이 착석할 경우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는 엉덩이 받침대가 구비되고, 양측으로는 팔걸이가 각각 마련되며, 후방에는 등 받침대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기대어 앉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세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세발용 의자에 착석한 채로 몸을 뒤로 젖혀, 세발대의 홈에 목 뒷부분을 안착시켜 모발을 세발대 내로 위치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등 받침대는 뒤로 젖혀지게(펼침 동작)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등 받침대의 펼침 동작이 전원을 통한 전자동식으로 이루어지거나, 엉덩이 받침대의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전자동식의 경우 가격적인 측면, 또한 세발대의 물에 의한 감전 또는 쇼트 발생 위험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불리하고, 아울러 슬라이딩 방식 역시 세발 대상이 스스로 이동하여야 하는 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불편감이나 슬라이딩 결합 부위의 고장 발생에 대한 우려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세발용 의자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60669호 (2011년08월24일) [의자겸 베드형 자동 두발세척관리기](종래기술1)가 있는데, 종래기술1은 상기한 전자동식의 펼침 동작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머리를 뒤로 젖히는 동작 시 발 받침이 그대로 있어, 세발 대상이 목과 허리를 휘어지게 해야 하는데, 이러한 동작은 세발 대상으로 하여금 불편감을 유발하고, 특히 세발 대상의 목과 허리가 휘어지는 동작을 필요로 한다는 점은 미용 분야는 안락한 서비스 제공을 우선 시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부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등 받침대의 회동 펼침 동작 시 다리 받침대가 자동으로 회동 펼침 되도록 하되, 흔들림 및 다리 받침대의 처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 없이 세발 대상의 체중을 이용하여 등 받침대의 회동 펼침 동작 시 다리 받침대가 자동으로 회동 펼침 되도록 하되, 흔들림 및 다리 받침대의 처짐이 방지되는 세발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세발 대상의 머리를 세발대의 홈에 위치시키는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세발 대상으로 하여금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일단에 구비된 제1회동결합부 및 타단에 구비된 제2회동결합부를 포함하는 엉덩이 받침대와, 상기 제1회동결합부에 회동 결합되는 등 받침대와, 상기 제2회동결합부에 회동 결합되는 다리 받침대와, 상기 엉덩이 받침대 하부에 구비되고,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등 받침대와 결합되는 제1고정결합부와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다리 받침대와 결합되는 제2고정결합부를 갖는 제1링크바(bar)로 이루어져, 상기 등 받침대의 회동 펼침 동작 시 상기 다리 받침대가 회동 펼침 동작 하도록 하는 동작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엉덩이 받침대는 일단에 상부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회동결합부는 이 돌출부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등 받침대는 상기 등 받침대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방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고정결합부는 이 돌출단부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2고정결합부는 상기 제1링크바에 형성된 결합공, 이 결합공에 관통 삽입되는 결합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조절수단은 일단은 상기 다리 받침대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봉에 결합되는 제2링크바 및, 상기 엉덩이 받침대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봉이 삽입 및 안내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세발 서비스 제공 시, 세발 대상에게 편안감 및 안락감을 제공하여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소비자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커버 분리).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본 의자(C)를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등 받침대(2) 측을 후방, 다리 받침대(3) 측을 전방으로 설정하고, 본 의자(C)가 직립된 상태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상, 하를 설정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청구범위'에서도 이를 따른다.
본 발명은 전원 없이 체중을 이용하여 등 받침대의 회동 펼침 동작 시 다리 받침대가 자동으로 회동 펼침 되도록 하되, 흔들림 및 다리 받침대의 처짐이 방지되는 세발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발용 의자(이하 본 의자(C))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의자(C)는 엉덩이 받침대(1), 엉덩이 받침대(1) 일단에 결합되는 등 받침대(2), 엉덩이 받침대(1) 타단에 결합되는 다리 받침대(3) 및 등 받침대(2)의 회동 펼침 동작 시 상기 다리 받침대(3)가 회동 펼침 동작 하도록 하는 동작조절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흔히 미용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세발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미용사가 대상의 머리를 감길 수 있도록 하는 세발대(8)와, 머리 감김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대상이 편안하게 몸을 의탁할 수 있는 의자를 포함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미용실에서 사용되는 세발용 의자는 모두 세발대(8)를 포함하고 있기에 세발대(8)의 포함 여부는 언급을 생략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다만 본 세발용 의자에서 세발대(8)에 관한 특징으로, 도 1 그리고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발대(8)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이 지지체는 하부에 구비된 주름관(81), 이 주름관(81)의 하부에 구비된 수직지지체(82), 이 수직지지체(82) 하부에 구비되고 바닥면에 접하는 수평지지체(83)를 포함한다.
주름관(81)은 세발대(8)의 각도를 조절하여 대상의 머리 부분이 보다 쉽게 안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직지지체(82) 및 수평지지체(83)는 대상의 세발을 위해 세발대(8)의 적절한 높이를 제공하고, 또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도록 커버를 분리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도 2를 참고하여 각 구성 별로 설명하면, 먼저 엉덩이 받침대(1)는 세발 대상자의 엉덩이 부분과 허벅지 부분이 안착되는 구성으로, 일단에 구비된 제1회동결합부(11) 및 타단에 구비된 제2회동결합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 등 받침대(2)는 세발 대상자의 등이 안착되는 구성으로, 엉덩이 받침대(1)의 제1회동결합부(11)에 회동 결합되어, 세발 대상자가 몸을 뒤로 젖혀 등으로 가압하게 되면 회동하여(도 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 세발 대상자가 누울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다리 받침대(3)는 세발 대상자의 종아리 이하 부위가 안착되는 구성으로, 엉덩이 받침대(1)의 제2회동결합부(12)에 회동 결합되어, 세발 대상자가 몸을 뒤로 젖히면 이 다리 받침대(3)가 펼쳐져서 세발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로 누워서 세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동작조절수단(4)은 본 발명의 핵심 특징으로, 엉덩이 받침대(1) 하부에 구비되고, 일단에 구비되어 등 받침대(2)와 결합되는 제1고정결합부(411)와 타단에 구비되어 다리 받침대(3)와 결합되는 제2고정결합부(412)를 갖는 제1링크바(41)(bar)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조절수단(4)은 등 받침대(2)의 회동 펼침 동작 시 다리 받침대(3)가 회동 펼침 동작 하도록 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등 받침대(2)의 회동 펼침 동작 시, 등 받침대(2)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1링크바(41)가 전진하게 되고, 제1링크바(41)가 다리 받침대(3)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링크바(41)의 전진에 의해 다리 받침대(3)가 회동하여 펼침 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동작조절수단(4)에 의한 회동 펼침 동작은 펼침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토핑기능을 포함하는 동작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세발 대상자의 머리(Hair)를 감기기 위해 세발대에 대상의 머리(Head)를 고정시킬 때 등 받침대(2)가 회동하여 '펼쳐지게 되고(회동 펼침 동작)', 다리 받침대(3) 역시 '펼쳐져(회동 펼침 동작)', 대상이 편안하게 누운 상태로 세발(머리 감김) 작업이 진행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가적 특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의자(C)는 엉덩이 받침대(1)가 일단에 상부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13)를 구비하고, 제1회동결합부(11)가 이 돌출부(13)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돌출부(13)는 엉덩이 받침대(1)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데, 엉덩이 받침대(1)의 후방, 즉 등 받침대(2)와의 결합 부위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끔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3)의 구비는 용접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나사 결합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통해, 본 발명은 등 받침대(2)의 회전력 전달을 강화하고, 등 받침대(2)가 급격하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회동결합부(11)가 돌출부(13) 상에 형성되는 경우, 엉덩이 받침대(1) 상에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회동 반경이 크고. 이에 동일한 외력이 작용할 때 회전 속도가 느리게 되고, 이에 급격한 회동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회동결합부(11)가 돌출부(13) 상에 형성되는 경우, 등 받침대(2)의 하단부(제1고정결합부(411))와 회동 중심(제1회동결합부(11))간의 거리가 길어져, 동일한 회전력 대비 제1고정결합부(411)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게 되기 때문에, 돌출부(13) 상에 형성되는 제1회동결합부(11)가 엉덩이 받침대(1) 상에 형성되는 제1회동결합부(11)에 비해 등 받침대(2)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을 제1링크바(41)에 더 많이 전달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동작조절수단(4)의 동작 특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의자(C)는 등 받침대(2)가 등 받침대(2)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방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단부(23)를 구비하고, 제1고정결합부(411)는 이 돌출단부(23)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단부(23)가 등 받침대(2)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방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통해, 본 발명은 등 받침대(2)의 회전력 전달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데, 제1고정결합부(411)의 형성 위치가 등 받침대(2) 상에 있는 경우보다 전방으로 치우치기 때문에 등 받침대(2)의 회동에 의한 제1링크바(41)의 전진이 보다 강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동작조절수단(4)의 동작 특성을 강화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의자(C)는 제2고정결합부(412)가 제1링크바(41)에 형성된 결합공(412a), 이 결합공(412a)에 관통 삽입되는 결합봉(412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의자(C)는 동작조절수단(4)이 일단은 다리 받침대(3)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결합봉(412b)에 결합되는 제2링크바(42) 및, 엉덩이 받침대(1) 하면에 결합되고 결합봉(412b)이 삽입 및 안내되는 가이드(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결합공(412a) 및 결합봉(412b)의 구조를 통해, 제1링크바(41)와 제2링크바(42)는 관절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결합봉(412b)이 가이드(400)에 귀속되어 전진 또는 후진하기 때문에 제1링크바(41)의 전진에 의한 동력이 제2링크바(42)로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등 받침대(2)의 회동에 의한 회전력이 효과적으로 다리 받침대(3)의 회동을 위한 회전력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1링크바(41)는 등 받침대(2)와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링크바(42)는 다리 받침대(3)가 펼쳐진 상태에서 다리 받침대(3) 하측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링크바(42)가 다리 받침대(3)가 펼쳐진 상태에서, 다리 받침대(3)의 하측 후방으로 대각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제2링크바(42) 역시 결합공(412a)을 구비하여, 결합봉(412b)에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고, 이에 제1링크바(41)와 제2링크바(42)는 제2고정결합부(412)를 중심으로 하여 결합되고, 특히 제2링크바(42)는 제2고정결합부(41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다리 받침대(3)의 회동을 지지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가이드(400)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특징은 동작조절수단(4)인 제1링크바(41)가 하향 경사를 따라 전진하도록 하고, 이에 전진 동작을 보다 강화함으로써 제1링크바(41)의 전진에 의한 회전력 전달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하향 경사를 갖는 가이드(400)를 통해, 다리 받침대(3)의 펼침 동작 상태에서 가압에 의해 다리 받침대(3)가 접힘 상태로 회동하고, 이에 제1링크바(41)가 후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스토핑 기능)
특히 하향 경사를 갖는 가이드(400)는 제1링크바(41)의 전진에 의해 부드럽게 제2링크바(42)가 회동할 수 있도록 굴곡형 하향 경사 가이드(40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400)가 전방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커지는 굴곡형 하향 경사 가이드(40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조절수단(4)은 등 받침대(2)에 결합된 제1링크바(41), 다리 받침대(3)에 결합된 제2링크바(42)와 더불어 제3링크바(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3링크바(43)는 제1링크바(41)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51)를 갖고, 상측 단부에 제2링크바(42)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5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제3링크바(43)의 구비에 의해 제1링크바(41)와 제2링크바(42)가 직접 결합하지 않고, 이에 결합봉(412b) 및 가이드(400)는 제2링크바(42)와 제3링크바(43)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52) 상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제3링크바(43)의 하단부에는 세발대(8)의 수평지지체(83)와 결합되는 제3연결부(53)를 가져, 제3링크바(43)는 제1연결부(51)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제2연결부(52)가 가이드(4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에 따른 본 의자(C)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도 6 [A]의 상태에서 세발 대상자가 엉덩이 받침대(1)에 둔부를 위치시킨 채로 본 의자(C)에 앉은 후 세발을 위해 눕게 되면, 등 받침대(2)가 세발 대상의 등 부위에 의해 가압되고 이에 회동하여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다음으로 젖혀진 등 받침대(2)에 결합된 제1링크바(41)는 등 받침대(2)의 회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 때 제1링크바(41)와 제3링크바(43)는 제1연결부(51)를 통해 상호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3링크바(43)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 제3링크바(43)는 제2연결부(52)를 통해 제2링크바(42)와 상호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링크바(42)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제2링크바(42)와 결합된 다리 받침대(3)는 상측으로 회동하여 펼쳐지게 되고 도 6 [B]에 도시된 '회동 펼침 상태'로 전환된다.
이 때 제3링크바(43)와 제2링크바(42)는 가이드(400)에 귀속된 채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봉(412b)이 가이드(400)를 따라 이동되어, 다리 받침대(3)의 펼침 동작을 안내한다. 또한 가이드(400)는 다리 받침대(3)의 가압에 의한 역회전(접힘 동작)이 진행되어 제2링크바(42)의 역회전에 따른 제1링크바(41)의 후진을 방지하는 '스토핑 기능'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동작조절수단(4)을 통한 본 의자(C)의 '펼침 동작 특성'은 전원(동력원) 공급을 통한 동작을 제공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세발 대상의 체중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다리 받침대(3)가 펼쳐지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자세로 세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7 동작 과정도를 통해, 가이드(400)에 의한 스토핑 기능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제2실시예의 구조는 제2링크바(42)의 회동 중심과 제3링크바(43)의 회동 중심이 각기 다른 수평 위치를 갖도록 하고, 또한 제1링크바(41)로부터 전달되는 힘의 작용점인 제1연결부(51)와 제2연결부(52)도 각기 다른 수평 위치를 갖도록 하는데, 이를 통해 제1링크바(41)가 제3링크바(43)의 회동을 지지하는 힘과 제3링크바(43)가 제2링크바(42)의 회동을 지지하는 힘의 작용점이 엇갈리게 하여 제2링크바(42) 및 제3링크바(43)의 동작을 위한 최소한의 힘(임계치)을 형성한다.
이러한 임계치 형성에 대한 동작 과정은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세발 대상이 세발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 본 의자(C)에 누워있는 상태에서는 다리 받침대(3)가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고, 세발이 끝난 후 상체를 일으키기 위해 다리 받침대(3)를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임계치를 넘는 힘으로 다리 받침대(3)가 가압되어야만 다리 받침대(3)가 접힘 상태로 전환되고, 이 후 펼침 동작과 반대의 과정을 통해 등 받침대(2)가 접힘 상태로 전환된다. (구체적인 등 받침대(2) 및 다리 받침대(3)의 접힘 상태 전환은 '펼침 상태 전환 동작'에 의해 충분히 유추될 수 있는 것으로, 동작조절수단(4)의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의자(C)는 엉덩이 받침대(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부지지대(6)를 더 포함하는데, 이 하부지지대(6)는 엉덩이 받침대(1)의 하면에 고정된 상부프레임(61), 상부프레임(61) 일단에 연장되고 수직 배치된 수직프레임(62), 수직프레임(62) 하단에 연장되고 수평 배치된 하부프레임(63) 및, 상부프레임(61)의 타단에 연장 형성된 연장프레임(64)을 포함하되, 연장프레임(64)은 하향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가이드(400)는 연장프레임(64) 상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한 하향 경사 특징과 더불어 '임계치 형성을 통한 다리 받침대(3)의 흔들림 또는 처짐 방지'특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데, 특히 전방으로 하향 경사를 갖는 연장프레임(64)과 굴곡형 하향 경사 가이드(400)는 발 받침대의 접힘 동작 시 제2링크바(42)의 회동 방향(시계 방향)과 제2연결부(52)의 이동 방향을 엇갈리게 하여 임계치 이상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2링크바(42)의 회동을 제한한다. 다시 말해, 제2링크바(4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도 6 [B]의 상태에서 6시 방향에서 9시 방향(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면, 실제로 제3링크바(43)와 연결된 제2연결부(52)는 3시 방향에서 12시 방향(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2링크바(42)의 회동 동력이 제2연결부(52)의 이동을 위한 동력으로 완전히 전환되지 못하므로 상기한 임계치를 형성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한 '회동축의 엇갈린 수평 위치' 특징과 더불어 임계치 형성에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의자(C)는 등 받침대(2)의 상부에 형성된 회동축(71)에 결합되고 등 받침대(2)와 평행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72) 및, 지지플레이트(72)의 회동 정도를 조절하는 회동조절부(73)를 포함하는 경사보정수단(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동조절부(73)는 등 받침대(2)에 지지플레이트(72) 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측 제1스토퍼(731)와 하측 제2스토퍼(732)로 이루어지고, 제1스토퍼(731)의 돌출 정도는 제2스토퍼(732)의 돌출 정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발 대상의 머리 안착을 위한 특징으로, 등 받침대(2)의 회동과 세발대(8)의 주름관(81)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경사보정수단(7)을 통해 세발 대상의 머리가 세발대(8)에 안착될 때 보다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하여 세발 대상으로 하여금 편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미용실은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념인 바, 상기한 경사조절수단을 통한 보다 편안한 세발 서비스 제공은 소비자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본 의자
1: 엉덩이 받침대 11: 제1회동결합부
12: 제2회동결합부 13; 돌출부
2: 등 받침대 23: 돌출단부
3: 다리 받침대
4: 동작조절수단 41: 제1링크바
411: 제1고정결합부 412: 제2고정결합부
412a: 결합공 412b: 결합봉
42: 제2링크바 400: 가이드
6: 하부지지대 7: 경사보정수단
8: 세발대

Claims (4)

  1. 일단에 구비된 제1회동결합부 및 타단에 구비된 제2회동결합부를 포함하는 엉덩이 받침대;
    상기 제1회동결합부에 회동 결합되는 등 받침대;
    상기 제2회동결합부에 회동 결합되는 다리 받침대; 및
    상기 엉덩이 받침대 하부에 구비되고,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등 받침대와 결합되는 제1고정결합부와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다리 받침대와 결합되는 제2고정결합부를 갖는 제1링크바(bar)로 이루어져, 상기 등 받침대의 회동 펼침 동작 시 상기 다리 받침대가 회동 펼침 동작 하도록 하는 동작조절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고정결합부는
    상기 제1링크바에 형성된 결합공 및, 이 결합공에 관통 삽입되는 결합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조절수단은
    일단은 상기 다리 받침대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봉에 결합되는 제2링크바 및, 상기 엉덩이 받침대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봉이 삽입 및 안내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용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받침대는 일단에 상부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회동결합부는 이 돌출부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용 의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 받침대는
    상기 등 받침대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방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고정결합부는 이 돌출단부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용 의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조절수단은
    상기 제1링크바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를 갖고, 상측 단부에 상기 제2링크바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갖는 제3링크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용 의자.
KR1020160031061A 2016-03-15 2016-03-15 세발용 의자 KR101661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061A KR101661918B1 (ko) 2016-03-15 2016-03-15 세발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061A KR101661918B1 (ko) 2016-03-15 2016-03-15 세발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918B1 true KR101661918B1 (ko) 2016-10-04

Family

ID=5716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061A KR101661918B1 (ko) 2016-03-15 2016-03-15 세발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9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1612B1 (ko) * 2023-12-04 2024-07-05 이병진 무동력 세발용 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350U (ja) * 1982-09-27 1984-04-03 タカライス工業株式会社 椅子
JPH08182559A (ja) * 1994-12-27 1996-07-16 Takara Belmont Co Ltd 椅子におけるレッグレスト装置
KR20160065467A (ko) * 2014-12-01 2016-06-09 강동윤 샴푸 전동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350U (ja) * 1982-09-27 1984-04-03 タカライス工業株式会社 椅子
JPH08182559A (ja) * 1994-12-27 1996-07-16 Takara Belmont Co Ltd 椅子におけるレッグレスト装置
KR20160065467A (ko) * 2014-12-01 2016-06-09 강동윤 샴푸 전동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1612B1 (ko) * 2023-12-04 2024-07-05 이병진 무동력 세발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7291C (en) Multi-position convertible therapeutic chair
RU2438549C2 (ru) Настраиваемое кресло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ринятия множества положений тела и способы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H0614884B2 (ja) 椅子例えば複合椅子における配置
JPH06500944A (ja) 作業用椅子、特に事務用椅子
JPS59500849A (ja) 関節接合の椅子
KR20110082744A (ko) 자세 교정용 의자의 서포터 장치
KR101661918B1 (ko) 세발용 의자
KR101058333B1 (ko) 접이식 의자
KR102002423B1 (ko) 거꾸리 의자
JP6964373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CN115381240A (zh) 一种自适应联动控制的功能单椅
KR200423149Y1 (ko)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
KR101501992B1 (ko) 의자의 등받이와 발받침의 절첩장치
KR101384102B1 (ko) 의자
KR20130004781U (ko) 접철식 캠핑 의자
JP2016101301A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
CN211533488U (zh) 360度旋转折叠椅
CN205548929U (zh) 一种多功能按摩沙发
KR102681612B1 (ko) 무동력 세발용 의자
KR20100034425A (ko) 간이의자
KR20120063643A (ko)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CN218419065U (zh) 一种自适应联动控制的功能单椅
CN221129731U (zh) 一种坐式淋浴装置
CN212395352U (zh) 前后滑移与坐姿调节相互联动的按摩椅
JP2001231652A (ja) 理美容用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