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650B1 - 머위와 오디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머위와 오디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650B1
KR101661650B1 KR1020150071267A KR20150071267A KR101661650B1 KR 101661650 B1 KR101661650 B1 KR 101661650B1 KR 1020150071267 A KR1020150071267 A KR 1020150071267A KR 20150071267 A KR20150071267 A KR 20150071267A KR 101661650 B1 KR101661650 B1 KR 101661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oxidant
grape
audi
wool
chrysanthe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희
양은석
이민영
한정화
성학모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1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3002
    • A23L1/003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머위와 오디를 0.5~1.5:1.5~0.5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DPPH radical 소거능 및 FRAP assay 결과로부터 항산화 억제 효과가 상승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머위와 오디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Butterbur and mulberry}
본 발명은 항산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머위와 오디가 혼합된 항산화 효과가 상승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산업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식생활의 서구화로 암,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질환, 뇌질환, 및 당뇨 등 각종 성인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이러한 만성적인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합성의약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독성 및 안전성이 문제시되면서 천연 유래의 보다 안전하고 효능이 있는 생리화학물질(phytochemicals)의 개발과 더불어 그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성식품(functional foods, nutraceuticals)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신체의 항산화력이 증가하면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등 활성산소 종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켜 암과 심장병 등 각종 질병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보고 등으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높은 식품을 섭취하려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항산화 효과가 있는 과일류로는 귤, 사과, 감, 배, 수박, 포도, 오렌지, 바나나, 딸기, 복숭아, 키위, 메론, 파인애플, 자두, 자몽, 대추, 블루베리, 금귤, 살구, 망고, 리치, 코코넛, 오디, 석류, 무화과, 참다래, 머루, 라임, 레몬, 크렌베리, 산수유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국화, 머위, 돌나물, 질경이, 상추, 고춧잎, 마늘, 깻잎, 생강, 파프리카, 적겨자, 피망, 곤드레, 비트, 새싹채소, 고사리, 연근, 근대, 단무지, 부추, 신선초, 브로콜리, 우엉, 두릅, 샐러리, 토마토, 양배추, 쑥갓, 가지, 토란줄기, 케일, 시금치, 콜라비, 파, 쌈추, 민들레, 고구마줄기, 달래, 당근, 배추, 숙주, 무청, 씀바귀, 고추, 무, 아욱, 당귀, 양파, 곤달비, 더덕, 늙은 호박, 죽순, 곰취 등의 채소류도 항산화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채소와 과일을 매일 일정량 이상 개인단위나 가정에서 섭취하는 일은 상당히 번거롭고, 또 노인층 등 개인에 따라서는 소화불량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쉽고 간편하게 항산화 효과가 있는 물질을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에 열거한 각각의 채소와 과일 등이 어느 정도의 항산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항산화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과일류 분말식품으로는 감, 딸기, 복분자, 석류, 포도, 대추, 바나나, 밤, 사과, 코코넛, 포도, 감귤과즙, 망고과즙, 한라봉, 블루베리, 감귤(밀감), 귤껍질, 모과 등, 채소류 분말식품으로는 감자, 고구마, 깻잎, 늙은호박, 단호박, 당근, 대파, 돼지감자, 마, 마늘, 모시/모시잎, 무, 무청, 미나리, 보리순, 부추, 브로콜리, 비트, 상추, 샐러리, 시금치, 신선초(명일엽), 쑥, 양배추, 양파, 연근, 연잎, 우엉, 자색고구마, 케일, 토마토, 파슬리, 밀싹, 당귀 등 수십 가지가 시판되고 있으나, 이러한 제품들은 모두 단일식품을 조리한 후 건조시키거나 혹은 동결 건조하여 만든 제품들로서, 각 단일 물질들의 항산화 활성만을 기대하고 있는 수준에 불과하므로, 항상화 활성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나 사례는 전무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2288호
(특허문헌 0002) 한국등록특허 제726363호
본 발명은 상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채소류와 과일류의 항산화 효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채소와 과일의 혼합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섭취가 용이한 항산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은 머위와 오디를 포함하되, 상기 머위와 오디는 0.8~1.2 : 1.2~0.8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머위와 오디의 혼합물은 DPPH radical 소거능 결과 또는 FRAP assay 결과로 항산화 효과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은 상기 머위와 상기 오디는 분말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이 포함된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개별 단독 식품보다 항산화 효과가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분말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섭취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죽류, 음료수 등 식품에 첨가함으로써 항산화 억제 효과가 있는 기능성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개별 물질과 혼합물질의 DPPH 라디칼 소거능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개별 물질과 혼합물질의 FRAP assay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식품 종류의 선정
항산화력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채소류와 과일류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섭취량이 높으며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 101종의 과일 또는 채소를 선정하였다<표 1>.
분류 식 품 명
과일류 (31종) 귤, 사과, 감, 배, 수박, 포도, 오렌지, 바나나, 딸기, 복숭아, 키위, 메론, 파인애플, 자두, 자몽, 대추, 블루베리, 금귤, 살구, 망고, 리치, 코코넛, 오디, 석류, 무화과, 참다래, 머루, 라임, 레몬, 크렌베리, 산수유
채소류 (70종) 국화, 머위, 돌나물, 질경이, 상추, 고춧잎, 마늘, 깻잎, 생강, 파프리카, 적겨자, 피망, 곤드레, 비트, 새싹채소, 고사리, 연근, 근대, 단무지, 부추, 신선초, 브로콜리, 우엉, 두릅, 샐러리, 토마토, 양배추, 쑥갓, 가지, 토란줄기, 케일, 시금치, 콜라비, 파, 쌈추, 민들레, 고구마줄기, 달래, 당근, 배추, 숙주, 무청, 씀바귀, 고추, 무, 아욱, 당귀, 양파, 곤달비, 더덕, 늙은 호박, 죽순, 곰취, 유채, 락교, 쑥, 취나물, 애호박, 미나리, 콩나물, 밀싹, 녹색완두콩, 양상추, 치커리, 세발나물, 도라지, 단호박, 야콘, 울외장아찌, 오이
선정된 상기의 몇몇 식품을 살펴보면, 오디는 당과 유기산이 풍부할 뿐 아니라 여러 정유성분과 안토시아닌 색소를 함유하고 있어 외국에서는 잼, 젤리, 음료 및 술 등 여러 가공식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오디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안토시아닌 색소는 최근 독성 및 발암 등의 안전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합성착색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착색료, 항균, 항염증, 항산화 및 항경련 작용을 지니고 있는 생리활성물질이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과 더불어 의약품의 신소재로써 주목받고 있다.
한편, 머위는 일본, 중국 및 한국의 산야와 습지에서 자생하는 다년생 식물로 관동화, 봉두엽, 사두초 등으로도 불리운다. 열매는 수과로 원통형이며 잎자루는 산채로서 식용으로 하고, 꽃 이삭은 식용 또는 진해제로 사용하며, 잎과 엽병은 매우 쓴맛이 강하여 데치거나 삶아서 먹는다. 잎에는 비타민A를 비롯하여 다양한 비타민 군이 들어있으나 줄기는 적고, 칼슘이 많은 알칼리성 식물인 머위는 영양면보다는 향채로 많이 애용되어 왔다.
또한 산수유는 층층 나무과에 속하며, 10 ~ 11월 과실이 성숙하면 채취하여 가지와 꼭지를 제거한 후, 약한 불로 말린 다음 식혀서 씨는 버리고 과육을 취하여 다시 햇볕이나 약한 불로 말려, 그늘에 보관한다. 한방에서는 자양, 강장, 수렴약으로 사용하며, 주성분으로는 모로니사이드(Morroniside), 로가닌(Loganin), 코르닌(Cornin(Verbenalin)), 사포닌(Saponin), 탄닌(Tanin), 우르솔닉산(Ursolic acid), 갈릭산(Gallic acid), 마릭산(Malic acid), 타타릭산(Tartaric acid) 및 비타민 A 등이 들어 있다. 산수유의 효능, 효과는 당뇨병, 혈압강하 작용, 항암작용, 수렴작용, 황색포도상구균, 황색 백선균(피부진균) 에 대한 항균효과를 갖고 있는 것을 알려져 있다.
2) 선정된 식품의 구입 및 추출물 시료 제조
선정된 식품은 시중에서 신선한 상태로 구입하였다. 구입한 식품은 세척 및 전처리 과정을 거쳐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석 시까지 -20 ℃ 냉동고에 저장하였다. 혼합 시료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동결건조 된 시료 각 1 g을 시험관에 넣고 methanol과 물을 50:50(v/v)으로 혼합한 용액 20 ml 넣은 다음 시험관을 실온에서 1시간 정도 shaking하였다. 그 다음 시험관을 3,000 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나머지에 acetone과 물을 70:30(v/v)으로 혼합한 용액 20 ml를 넣고 다시 shaking 한 후에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한 후 메탄올 추출물과 아세톤 추출물을 섞어서 추출물 시료를 완성하였다.
3) 식품 시료의 in vitro 항산화 기능성 측정
식품 시료의 in vitro 항산화 기능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사용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을 통해 높은 항산화력을 보이며, 동결건조 후 1g 당 가격이 저렴한 식품들을 선정 한 후 선정된 식품들의 조합을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FRAP assay를 이용하여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1)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은 시료의 전자 공여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증류수에 녹여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 10 ㎕에 120μM DPPH/ethanol solution 190 ㎕를 가하여 37 ℃에서 30분 동안 incubation 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 대신 증류수 첨가한 것을 blank로 사용하였다. 각 농도별 측정값은 blank와 비교하여 % Inhibition 로 표현하였다.
 
% Inhibition =
Figure 112015049073373-pat00001

(2)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분석
FRAP 방법은 전체 항산화능을 직접 평가하는 방법으로 낮은 농도의 pH에서 환원제(항산화제)에 의해 ferric tripyridyltriazine (Fe3+-TPTZ) 복합체가 파랑색을 띄는 ferrous tripyridyltriazine (Fe2+-TPTZ)으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40mM HCl에 녹인 10mM TPTZ와 20mM ferric chloride 그리고 acetate buffer (pH 3.6)를 각각 1 : 1 : 10 의 비율로 만들어 TPTZ 용액을 준비 한 후, 희석한 시료 (10mg/ml) 0.1ml에 TPTZ 용액 3ml을 vortexing 후 593nm에서 0분대에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후에 37℃ 항온 수조에 놓아두고 4분 후에 다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trolox를 이용하여 standard curve를 작성하여 μM TE(Trolox Equivalent)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실시예 1 : 항산화측정 방법에 따른 개별 식품의 항산화능 비교( In vitro )
상기 <표 1>에 열거된 과일류 31종과 채소류 70종에 대하여 항산화력을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법과 FRAP assay를 통하여 각각 측정하였고, 상위 9종(과일류 5종, 채소류 4종)에 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FRAP
순위 식품명 Inhibition % 순위 식품명 TE, uM
1 머위 73.2 1 머위 1816.6
2 오디 69.9 2 오디 1578.1
3 산수유 67.5 3 산수유 1100.3
4 크랜베리 31.4 4 크랜베리 704.0
5 딸기 23.6 5 고춧잎 655.5
6 고춧잎 23.5 6 국화 551.9
7 국화 22.4 7 질경이 429.0
8 포도 21.4 8 딸기 401.6
9 질경이 19.1 9 포도 376.4
상기 9가지 식품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 Inhibition % 결과를 살펴보면, 머위가 73.2%로 가장 높고, 오디 69.9%, 산수유 67.5%, 크랜베리 31.4%, 딸기 23.6%, 고춧잎 23.5%, 국화 22.4%, 포도 21.4%, 질경이 19.1%의 순으로 나타났다. FRAP의 경우에는 머위가 1816.6 TE, uM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는 오디 1578.1 TE, uM, 산수유 1100.3 TE, uM, 크랜베리 704.0 TE, uM, 고춧잎 655.5 TE, uM, 질경이 429.0 TE, uM, 딸기 401.6 TE, uM, 포도 376.4 TE, uM의 순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 과일/채소 혼합분말의 항산화 기능성 측정
상기 표 2에 기재된 9가지의 과일과 채소를 이용하여 만든 36가지 과일/채소 혼합 분말의 항산화 기능성 측정을 위해 2가지 in vitro 실험법(DPPH radical 소거능 측정법, FRAP assay)을 사용 하였고, 측정결과는 아래의 표 3, 4 및 도면 1, 2와 같다.
여기서, 개별식품과 혼합식품은 대상 시료 내에서 동일한 질량이 포함되어 있다. 즉, 머위, 오디 및 산수유 등 개별식품으로 평가할 경우 각각의 농도는 0.2mg/L, 머위와 오디 또는 머위와 산수유 등 혼합식품인 경우에는 두 가지 혼합물질의 농도가 0.2mg/L(각각의 물질 농도 0.1mg/L)이다.
아래 표 3(도면 1 참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머위 단독일 경우 Inhibition는 73.2%, 오디 단독은 69.9%로 나타난 반면, 머위와 오디를 혼합한 혼합물의 Inhibition는 각각의 Inhibition을 합한 수치보다 상승한 98.6%의 결과가 얻어졌다. 즉, 머위나 오디를 동일한 질량으로 섭취하는 경우에 비해, 머위와 오디 각각의 양을 절반으로 줄이고 함께 섭취하는 것이 DPPH radical 소거능 효과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머위와 산수유를 조합한 경우를 살펴보면, 머위 단독의 Inhibition 73.2%, 산수유 단독의 Inhibition 67.5%에 비해, 머위와 산수유를 혼합한 경우의 Inhibition은 88.4%로 조사되어, 머위와 오디의 혼합물과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그러나 상기 상승효과가 인정되는 머위, 오디 또는 산수유를 혼합하더라도 나머지 식품과의 조합에서는 상승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머위와 국화 혼합물의 Inhibition 47.0%, 오디와 국화는 51.5%, 산수유와 국화는 58.9%에 불과하였고, 특히 상승효과가 인정된 식품 중에서 오디와 산수유를 혼합하더라도 Inhibition 60.4%로 나타나, 혼합에 의해 오히려 DPPH radical 소거능 효과가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머위와 오디, 또는 머위와 산수유를 혼합하면 전혀 예측할 수 없었던 DPPH radical 소거능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식품명 개별 식품 혼합물
Inhibition % Inhibition %
머위 + 오디 73.2 69.9 98.6
+ 산수유 67.5 88.4
+ 국화 22.4 47.0
+ 질경이 19.1 45.4
+ 크랜베리 31.4 44.8
+ 딸기 23.6 38.9
+ 포도 21.4 37.5
+ 고춧잎 23.5 33.1
오디 + 산수유 69.9 67.5 60.4
+ 국화 22.4 51.5
+ 고춧잎 23.5 48.9
+ 질경이 19.1 48.7
+ 딸기 23.6 46.7
+ 크랜베리 31.4 39.1
+ 포도 21.4 36.9
산수유 + 국화 67.5 22.4 58.9
+ 크랜베리 31.4 44.2
+ 고춧잎 23.5 42.6
+ 딸기 23.6 40.0
+ 포도 21.4 39.0
+ 질경이 19.1 27.1
크랜베리 + 국화 31.4 22.4 30.6
+ 포도 21.4 26.6
+ 고춧잎 23.5 24.9
+ 딸기 23.6 24.8
+ 질경이 19.1 18.0
딸기 + 국화 23.6 22.4 18.7
+ 포도 21.4 18.0
+ 고춧잎 23.5 17.2
+ 질경이 19.1 16.6
고춧잎 + 질경이 23.5 19.1 23.3
+ 국화 22.4 23.2
+ 포도 21.4 19.9
국화 + 질경이 22.4 19.1 18.9
+ 포도 21.4 16.4
포도 + 질경이 21.4 19.1 19.5
하기 표 4(도면 2 참조)는 과일과 채소의 혼합물에 대한 FRAP assay 결과이다. 하기 표 4를 살펴보면, 머위와 오디 조합의 경우 머위 단독은 1816.6μM, 오디 단독은 1578.1μM인 반면, 머위와 오디를 혼합한 경우에는 1873.5μM로 조사되었다. 또한 머위와 산수유 조합의 경우, 머위 단독은 1816.6μM, 산수유 단독은 1100.3μM였으나, 머위와 산수유를 혼합한 경우에는 2628.7μM의 결과가 얻어져, 머위와 오디, 또는 머위와 산수유를 혼합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표 3의 DPPH radical 소거능 결과와 유사하게, 상기 머위, 오디 또는 산수유를 혼합하더라도 상기 조합을 제외한 경우에는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즉, 머위와 고춧잎의 혼합물은 1502.4μM, 오디와 질경이의 혼합물은 1574.7μM, 특히 상승효과가 인정된 식품 중에서 오디와 산수유의 조합에서는 1318.5 μM로 조사되어 별다른 상승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식품명 개별 식품 혼합물
TE, uM TE, uM
머위 + 산수유 1816.6 1100.3 2628.7
+ 오디 1578.1 1873.5
+ 고춧잎 655.5 1502.4
+ 크랜베리 704.0 1473.2
+ 딸기 401.6 1380.4
+ 국화 551.9 1351.8
+ 질경이 429.0 1181.3
+ 포도 376.4 935.3
오디 + 질경이 1578.1 429.0 1574.7
+ 산수유 1100.3 1318.5
+ 크랜베리 704.0 1177.9
+ 고춧잎 655.5 1167.7
+ 국화 551.9 1130.4
+ 딸기 401.6 1072.6
+ 포도 376.4 1016.8
산수유 + 국화 1100.3 551.9 1058.2
+ 크랜베리 704.0 931.0
+ 고춧잎 655.5 855.3
+ 질경이 429.0 854.6
+ 딸기 401.6 853.0
+ 포도 376.4 758.0
크랜베리 + 국화 704.0 551.9 840.4
+ 고춧잎 655.5 644.9
+ 질경이 429.0 547.9
+ 포도 376.4 547.1
+ 딸기 401.6 508.3
고춧잎 + 국화 655.5 551.9 727.2
+ 질경이 429.0 549.7
+ 포도 376.4 511.9
+ 딸기 655.5 500.6
국화 + 질경이 551.9 429.0 621.7
+ 딸기 551.9 606.6
+ 포도 376.4 511.9
질경이 + 포도 429.0 376.4 511.9
+ 딸기 429.0 347.9
딸기 + 포도 401.6 376.4 368.2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는 지표로 사용된 DPPH radical 소거능 결과(표 3)와 FRAP assay 결과(표 4)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오디, 산수유, 머위 등 항산화 효과를 가진 식품 중에서도 머위와 산수유, 머위와 오디를 혼합하면 개별적 식품이 갖는 효과보다 상승된 항산화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머위와 오디의 제공형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유통 및 보관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분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머위와 오디의 섭취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혼합조성물 단독으로도 섭취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섭취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각종 음료수와 함께 섭취하거나 샐러드와 함께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머위와 오디의 혼합 조성물을 식품에 첨가함으로써 항산화 억제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식품은 각종 음료, 죽류, 빵류, 면류, 소스류 등 모든 음식물을 의미한다.

Claims (5)

  1. 머위와 오디를 포함하되,
    상기 머위와 오디는 0.8~1.2 : 1.2~0.8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머위와 오디의 혼합물은 DPPH radical 소거능 결과 또는 FRAP assay 결과로 항산화 효과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위와 상기 오디는 분말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5. 제1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산화제 조성물이 포함된 식품.
KR1020150071267A 2015-05-21 2015-05-21 머위와 오디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KR101661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267A KR101661650B1 (ko) 2015-05-21 2015-05-21 머위와 오디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267A KR101661650B1 (ko) 2015-05-21 2015-05-21 머위와 오디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650B1 true KR101661650B1 (ko) 2016-09-30

Family

ID=5707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267A KR101661650B1 (ko) 2015-05-21 2015-05-21 머위와 오디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369A (ko) 2021-09-14 2023-03-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장미 및 국화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성 스틱 젤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송기, 오디분말의 항산화 효과 및 항균활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영양조리과학과, 석사학위논문(2012)* *
서훈석 외 2명, 머위(Petasites japonicus)추출물의 항산화와 항암활성 효과, Korean J. Plant Res. 21(4); 265~269(2008)*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369A (ko) 2021-09-14 2023-03-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장미 및 국화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성 스틱 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ela et al. Review on nutritional composition of orange‐fleshed sweet potato and its role in management of vitamin A deficiency
Šamec et al. White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f. alba): botanic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overview
Wolfe et al. Apple peels as a value-added food ingredient
Sharma et al. Pharmacological and biomedical uses of extracts of pumpkin and its relatives and applications in the food industry: a review
Annegowda et al. Influence of drying treatments on poly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raw and ripe papaya (Carica papaya L.)
KR20050083860A (ko) 망고스틴 기능성 식품 조성물
US2008026092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Five Kinds of Processed Fruit or Vegetables
Ikram et al. Exploring the health benefits and utility of carrots and carrot pomace: a systematic review
JP2014162721A (ja) 自然食材による糖化ストレス抑制剤及び糖化ストレス抑制飲食料理
Masih et al. Moringa: A multipurpose potential crop-A review
Kadivec et al. Potential of eggplant peel as by-product
CN101467690A (zh) 含有五种蔬果加工物的营养组合物
Akinbode et al. In vitro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in vivo anti-hyperglycemia potentials of cookies made from sorghum, orange-flesh-sweet-potato and mushroom protein isolate flour blends fed to Wistar rats
US8795749B2 (en) Process for preparing a heat processed blend from two or more fresh plant materials
Bayang et al. Variation of physical properties, nutritional value and bioactive nutrients in dry and fresh wild edible fruits of twenty-three species from Far North region of Cameroon
KR20170135290A (ko) 머위와 오디를 이용한 항산화효과 향상 방법 및 항산화 조성물
KR101661650B1 (ko) 머위와 오디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Mba et al. Developments on the Bioactive Compounds and Food Uses of the Tubers: Colocasia esculenta (L) Schott (Taro) and Xanthosoma sagittifolium (L) Schott (Tannia)
Amoussa-Hounkpatin et al. Contribution of plant-based sauces to the vitamin A intake of young children in Benin
Amin et al. In Vitro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and Cytotoxic Effects of Different Extracted Colorants from Two Species of Dragon Fruit (Hylocereus Spp.)
Boyer et al. Antioxidants of apples
Grebla-Al-Zaben et al. A review of the composition and health benefits of sweet potato
KR101694206B1 (ko) 머위와 산수유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KR20160128090A (ko) 매실 분말을 함유한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5287A (ko) 머위와 산수유를 이용한 항산화효과 향상 방법 및 항산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