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469B1 -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469B1
KR101661469B1 KR1020150041216A KR20150041216A KR101661469B1 KR 101661469 B1 KR101661469 B1 KR 101661469B1 KR 1020150041216 A KR1020150041216 A KR 1020150041216A KR 20150041216 A KR20150041216 A KR 20150041216A KR 101661469 B1 KR101661469 B1 KR 101661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nut
nipple
socket wrench
hous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건
문인환
Original Assignee
남상건
문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건, 문인환 filed Critical 남상건
Priority to KR1020150041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품질관리를 위해 2.5kg/㎠의 예압을 걸 때 별도의 동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예압을 충진할 수 있음은 물론, 냉매의 누출을 막기 위한 콕킹과 용접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매우 향상되도록 된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1000)는, 등각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죠오(1110)에 죠오패킹(1120)이 설치되어 죠오가 축중심으로 가압되면 공기조화기의 배관에 설치된 니플을 감싸면서 니플쪽 전면을실링하여 냉매를 빼내거나 공급할 수 있고, 죠오와 하우징(1130)에 동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죠오를 탄발력에 대향하여 축중심으로 가압시키고,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부재에 의해 중심축에서 멀어지게 하는 캠(1150)을 갖는 하우징조립체(1100)와; 공기조화기의 배관에 설치된 니플(A)에 체결되는 캡너트(B)을 감싸면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니플에서 캡너트가 풀리고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니플에 캡너트가 체결되면서 니플의 개구를 개폐하는 캡너트를 파지하는 캡너트안착홈(1211)이 형성된 소켓렌치(1210)와, 소켓렌치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하우징(1130)에 체결되어 소켓렌치(1210)가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조립되는 그립(1270)을 갖는 그립조립체(1200);를 포함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A COMBINATION LOCK}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생산시 품질관리를 위해 2.5kg/㎠의 예압을 걸 때 별도의 동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예압을 충진할 수 있음은 물론, 냉매의 누출을 막기 위한 콕킹과 용접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매우 향상되도록 된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에어콘, 차량용 에어콘 등 각종 에어컨은 제조된 후, 그 냉매라인에 냉매를 25kg/㎠의 압력으로 공급하여 냉매의 충전여부를 시험하고, 유통시 냉매의 충전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생산과정에서 예압 2.5kg/㎠의 압력으로 냉매라인에 냉매를 충전하여 출고하게 된다.
종래에는 예압을 유지한 상태로 냉매를 충진하기 위해, 한쪽의 니플은 완전히 밀폐되도록 체결하고, 또 다른 한쪽의 니플은 동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로 체결하며, 이 동파이프를 통해 압력을 빼서 예압 2.5kg/㎠의 압력이 되면 동파이프의 중간 부분을 콕킹하고, 이후 후단을 용접하여 절단한 뒤 출고하게 된다.
이후 가정 등에서 에어컨을 설치할 때 동파이프가 연결된 니플을 풀게 될 때 냉매가 나오는 소리가 나면 냉매가 남아 있어 냉매라인이 문제없음을 알 수 있게 되어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예압을 유지하기 위해 불필요한 동파이프를 낭비해야 하고, 또 동파이프로 냉매가 빠지는 것을 막도록 하는 콕킹작업 및 용접 등에 의해 제조비가 높아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제10-0428187호 발명의 명칭 "에어컨의 냉매 점검용 공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생산시 품질관리를 위해 2.5kg/㎠의 예압을 걸 때 별도의 동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예압을 충진할 수 있음은 물론, 냉매의 누출을 막기 위한 콕킹과 용접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매우 향상되도록 된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는, 등각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됨과 더불어 니플육각머리수용부와 죠오패킹안착부를 갖춘 죠오와, 상기 죠오패킹안착부에 설치되어 죠오가 축중심으로 가압되면 공기조화기의 배관에 설치된 니플의 목부분을 감싸면서 니플의 목부분을 실링하고, 하우징의 시일접촉면에 밀착되어 실링함과 더불어, 등각도에 배치된 죠오의 측면간에도 밀착되어 실링함으로써 진공상태로 만들어서 냉매를 빼거나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죠오패킹과, 상기 죠오가 등각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외주면에서 축중심과 연통하는 가스주입기체결부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죠오와 하우징에 동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탄발부재의 탄발력에 대향하여 축중심으로 죠오를 가압시키고,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부재에 의해 중심축에서 죠오가 멀어지게 함과 더불어 외주면에는 상기 가스주입기체결부에 체결되는 가스공급관에 간섭을 받지 않고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가스주입기연결구를 갖춘 캠을 포함하는 하우징조립체와; 상기 니플에 체결되는 캡너트를 파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니플에서 캡너트가 풀리고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니플에 캡너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수용하는 캡너트안착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니플에 캡너트를 체결할 때 각각의 죠오패킹이 축중심으로 모이면서 밀착되어 니플의 개구 주변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소켓렌치와, 상기 소켓렌치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어 소켓렌치가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그립을 갖는 그립조립체;를 포함하는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는, 상기 하우징조립체를 구성하는 캠의 상부에 설치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축 중심으로 설치되어 내부압력에 의해 축 중심에서 외주면 쪽으로 이동하여 하우징과 캠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된 회전방지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는, 상기 그립조립체의 소켓렌치가, 캡너트안착홈의 축 중심 안쪽으로 연통 되도록 스플안착홈이 형성되는 한편, 축 중심 타단에서 스플안착홈까지 축중심에 형성된 푸싱핀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렌치의 푸싱핀안내홈으로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스플안착홈에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된 푸싱핀과, 상기 소켓렌치의 스플안착홈에 끼워져 푸싱핀의 가압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캡너트안착홈쪽으로 이동하면서 캡너트를 니플쪽으로 가압함과 더불어, 상기 소켓렌치의 캡너트안착홈에 끼워진 캡너트가 풀어지면 캡너트와 함께 푸싱핀을 가압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스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는, 상기 소켓렌치의 캡너트안착홈 또는 스플의 외면에 냉매유도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는, 상기 소켓렌치의 외주면에서 푸싱핀안내홈쪽으로 돌출되게 직각으로 설치된 볼프란자와, 상기 푸싱핀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됨과 더불어 계단진 외경이 상기 소켓렌치의 타 단부로 삽입가능하도록 된 칼라와, 상기 칼라의 계단진 작은 외경에 끼워져 상기 소켓렌치의 타단부로 끼워진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푸싱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볼프란자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볼프란자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생산시 품질관리를 위해 2.5kg/㎠의 예압을 걸 때 별도의 동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예압을 충진할 수 있음은 물론, 냉매의 누출을 막기 위한 콕킹과 용접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의 조립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커버를 제거하고 본 좌측면도,
도 3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죠오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4의 좌측면도,
도 8은 도 1의 죠오패킹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우측면도,
도 10은 도 8의 B방향에서본 측면도,
도 11은 도 1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우측면도,
도 14는 도 11의 좌측면도,
도 15는 도 11의 C - C선 단면도,
도 16은 도 11의 D - D선 단면도,
도 17은 도 1의 캠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8은 도 17의 좌측면도,
도 19는 도 18의 E - E선 단면도,
도 20은 도 1의 소켓렌치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좌측면도,
도 22는 도 20의 F - F선 단면도,
도 23은 도 1의 푸싱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4는 도 1의 스플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좌측면도,
도 26은 도 1의 그립을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
도 27은 도 26의 우측면도,
도 28은 도 1의 커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9는 도 28의 우측면도,
도 30은 도 1의 칼라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10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죠오(1110)와, 죠오패킹(1120), 하우징(1130), 탄성부재(1140), 캠(1150)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조립체(1100)와, 이 하우징조립체에 끼워짐과 더불어 체결되되, 소켓렌치(1210)와, 베어링(1220), 볼프란자(1230), 푸싱핀(1240), 칼라(1250), 스풀(1260), 그립(1270) 및 탄성부재(1280)를 포함하는 그립조립체(1200)와, 상기 하우징조립체에 체결되는 커버(1300)와, 상기 하우징조립체의 하우징(1130)에 설치되어 압력이 증가하면 캠(1150)에 걸려 회전하지 못하도록 된 회전방지수단(14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죠오(1110)는, 도 1과 도 2 및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조립체(1100)의 하우징(1130)과 캠(1150)의 사이에 120도 간격으로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130)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핀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힌지축구멍(1111)과, 이 힌지축구멍과 이웃하는 위치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1140)의 일단부를 수용하도록 된 탄성부재수용홈(1112)와, 이 탄성부재수용홈의 이웃하는 위치이면서 힌지축구멍과 먼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죠오패킹(1120)을 수용하도록 된 죠오패킹안착부(1113)와, 이 죠오패킹안착부와 이웃하면서 상기 탄성부재수용홈과 먼 위치에 공기조화기의 냉매관에 설치된 니플(A)을 파지하도록 형성된 니플육각머리수용부(1114)와, 이 니플육각머리수용부와 이웃하는 위치에 상기 탄성부재수용홈(1112)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볼트(1118)로 베어링(1119)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어링조립면(1115)과, 이 베어링조립면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렌치볼트설치부(1116)와, 상기 힌지축구멍(1111)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힌지축구멍으로 끼워진 힌지핀이 빠지지 않도록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나사부(111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죠오패킹안착부(1113)는, 상기 니플육각머리수용부(1114)와 가까운 쪽으로 120도 각도로 형성된 내측륜죠오패킹수용부(1113a)와, 이 내측륜죠오패킹수용부의 단부에서 니플육각머리수용부와 멀어지는 쪽의 수직일방향으로 형성된 내외륜연결죠오패킹수용부(1113b)와, 상기 내측륜죠오패킹수용부의 높이 만큼 상부쪽으로 위치하면서 내외륜연결죠오패킹수용부(1113b)의 양단에 120도 각도의 환형고리 형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외륜죠오패킹수용부(1113c)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죠오(1110)는 힌지축구멍(1111)으로 끼워지는 힌지핀에 의해 하우징(1130)에 조립되어 회동되면서 상기 탄성부재수용홈(1112)으로 안착되는 탄성부재(1140)에 의해 축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렌치볼트설치부(1116)에 체결되는 볼트(1118)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된 베어링(1119)이 상기 캠(1150)의 캠면을 따라 마찰될 때 상기 죠오(1110)가 축중심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때 상기 죠오패킹안착부(1113)에 안착된 3개의 죠오패킹(1120)이 내측륜죠오패킹수용부(1113a)에서 니플(A)의 외주면과 실링을 이루고, 상기 외륜연결죠오패킹수용부(1113b)에서 하우징의 시일접합면에 밀착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면서 각각의 죠오패킹(1120)은 외륜연결죠오패킹수용부(1113b)에서 서로 밀착되어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죠오에 설치되어 죠오가 축중심으로 가압되면 공기조화기의 배관에 설치된 니플을 감싸면서 니플의 외주면으로 실링을 하도록 된 죠오패킹(1120)은, 도 1과 도 2 및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죠오(1110)의 내측륜죠오패킹수용부(1113a)에 수용되어 내측륜이 축방향으로 돌출된 내측륜죠오패킹(1121)과, 상기 내외륜연결죠오패킹수용부(1113b)에 수용되면서 내측륜죠오패킹의 양단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내외륜연결죠오패킹(1122)과, 상기 내측륜죠오패킹의 높이 만큼 상부쪽으로 위치하면서 내외륜연결죠오패킹(1122)의 양단에 120도 각도의 환형고리 형태로 연결 형성된 외륜죠오패킹(1123)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죠오패킹(1120)이 각각의 죠오(1110)에 형성된 죠오패킹안착부(1113)에 안착되어 죠오(1110)가 오므려질 때 상기 내측륜죠오패킹(1121)의 내주면과 외륜죠오패킹(1123)의 바닥면 및 내외륜연결죠오패킹(1122)의 양측면에서 실링이 이루어져 노즐의 개구와 진공상태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죠오가 등각도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하우징(1130)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소켓렌치(1210)가 끼워지도록 축중심에 형성되는 소켓렌지삽입홀(1131)과, 이 소켓렌지삽입홀의 반대쪽 축중심에 설치된 베어링안착홈(1132)과, 상기 소켓렌지삽입홀과 베어링안착홈의 사이에 설치된 시일안착홈(1133)과, 후술하는 죠오설치홈(1139)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1140)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된 탄성부재수용홈(1134)과, 상기 소켓렌지삽입홀(1131)이 형성된 측면에 상기 죠오 시일(1120)이 밀착되도록 돌출 구비된 시일접촉면(1135)와, 외주면에서 상기 소켓렌지삽입홀(1131)쪽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가스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가스주입기체결부(1136)와, 상기 베어링안착홈(1132)과 이웃하는 위치에서 축방향과 평행하게 일정 각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그립(1270)을 체결부재로 체결하도록 된 나사부(1137)와, 상기 가스주입기체결부(1136)와 이웃하는 위치에 외주면에 볼프란자(1009)를 설치하기 위해 형성된 볼프란자설치부(1138)와, 상기 죠오(1110)를 등각도에 설치하기 위해 외주면에 형성된 죠오설치홈(1139)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죠오설치홈(1139)의 측면에는 힌지핀을 끼워서 죠오를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힌지설치구멍(1139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죠오설치홈(1139)에 죠오(1110)를 위치시켜 힌지설치구멍(1139a)으로 힌지핀을 끼워 죠오가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볼프란자설치부(1138)에 설치되는 볼프란자(1009)가 후술하는 캠(1150)의 위치결정홈에 안착되어 일정한 각도 내에서 캠(1150)이 회전하도록 한다.
또 도 2와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130)의 외주면 소정위치에는 축 중심으로 관통되는 회전방지수단설치구멍(1130a)가 더 형성되고, 이 회전방지수단설치구멍(1130a)에 상기 회전방지수단(1400)을 구성하는 계단식의 외주면을 갖는 이동부재(1420)가 끼워지고, 이 이동부재의 직경이 작은 단부로 오링(1410)이 끼워져 회전방지수단설치구멍(1130a)가 마찰이 이루어지면서 이동부재(1420)가 축중심과 방사방향으로 이동되며, 이 이동부재의 축방향 상부에 볼(1430)이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30)의 내측에 압력이 높게 되면 상기 회전방지수단(1400)의 이동부재(1420)가 하우징의 외주면쪽으로 가압되어 볼(1430)을 밀게 되므로 후술하는 캠(1150)의 회전방지홈에 끼워져 하우징(1130)과 캠(1150)이 서로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고압이 외부로 누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죠오와 하우징의 사이에 죠오가 축중심에서 탄력적으로 멀어지도록 설치된 탄성부재(114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축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나 탄성을 갖는 부재는 설치가 가능하고, 각각의 죠오(1110)에 2개씩 설치되어 있으나 하나씩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동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죠오를 탄발력에 대향하여 축중심으로 가압시키고,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부재에 의해 중심축에서 멀어지도록 하는 캠(1150)은 도 1 내지 도 3과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그립(1270)이 조립되는 쪽으로 베어링(1004)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베어링안착홈(1151)과, 이 베어링안착홈에 안착된 베어링이 빠지지 않도록 멈춤링(1003)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멈춤링안착홈(1152)과, 이 멈춤링안착홈(1152)과 반대쪽에 상기 죠오(1110)에 체결된 베어링(1119)과 구름마찰되면서 죠오(1110)를 축중심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캠면(1153)과, 상기 베어링안착홈(1151)과 캠면(115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외주면으로 개구된 가스주입기연결구(1154)와, 이 가스주입기연결구(1154)와 이웃하는 위치에 90도 각도로만 캠(1150)를 상대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스톱퍼홀(1155)와, 외주면에 120도 각도로 형성된 회전렌지끼움홈(1156)과, 상기 캠면(1153)의 상부면에 상기 커버(1300)를 체결할 수 있도록 등각도에 형성된 커버체결나사부(115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렌지끼움홈(1156)이 형성된 외주면에는 회전조작이 용이하도록 너어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30)에 내측이 끼워져 고정된 베어링(1004)에 의해 캠(1150)이 고정되어 하우징(1130)과 상대회전 하면서, 상기 캠면(1153)의 높은 곳으로 가면 베어링(1119)이 마찰되면서 죠오(1110)를 축중심으로 가압하여 상기 죠오패킹(1120)에 의해 내측이 진공 상태로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회전렌지끼움홈(1156)에 렌지를 끼워서 회전하게 되면 회전력이 배가 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스톱퍼홀(1155)에 볼프란자(1009)가 안착되면서 90도로 회전이 제한되어 사용이 간편하게 된다.
한편, 상기 그립조립체(1200)를 구성하는 소켓렌치(1210)는 도 1 내지 도 3과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기조화기의 배관에 설치된 니플(A)에 체결되는 캡너트(B)을 감싸면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니플에서 실링플러그(C)가분리되도록 캡너트가 풀리고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니플에 캡너트가 체결되면서 실링플러그(C)가 니플의 개구를 밀착하여 폐쇄하게 되는바, 상기 니플(A)의 개구를 개폐하는 캡너트(B)를 파지하도록 축중심 일단에 형성되는 캡너트안착홈(1211)과, 이 캡너트안착홈의 축중심 안쪽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스플안착홈(1212)과, 축중심 타단에서 스플안착홈까지 축중심에 형성된 푸싱핀안내홈(1213)과, 이 푸싱핀안내홈과 연통하도록 외주면 소정위치에 형성된 볼프란자설치부(1214)와, 상기 캡너트안착홈(1211)과 스플안착홈(1212)의 사이에 형성된 오링안착홈(1215)과, 상기 스플안착홈과 푸싱핀안내홈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시일(1006)을 안착시키도록 형성된 시일안착홈(1216)과, 상기 캡너트안착홈(1211)의 축방향 반대쪽에 외면이 볼트머리형상으로 형성된 회전력전달부(1217)와, 이 회전력전달부의 축중심에 일정길이 형성된 스프링안착홈(1218)과, 상기 회전력전달부(1217)의 경계 외주면에 멈춤링(1002)을 끼우도록 형성된 멈춤링안착홈(1219)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캡너트안착홈(1211)의 마주보는 면에는 축방향으로 냉매가 용이하게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냉매충진관로홈(121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캡너트안착홈(1211)에 캡너트(B)를 끼우고 상기 회전력전달부(1217)로 정,역회전 하게 되면 상기 캡너트(B)가 니플(A)에 잠기거나 풀리게 된다. 또 상기 그립(1270)의 일단에 고정되는 베어링(1220)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그립(1270)의 타단에 고정된 베어링(12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멈춤링안착홈(1219)에 끼워진 멈춤링(1002)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되게 된다.
상기 스프링안착홈(1218)과 푸싱핀안내홈(1213)으로 칼라(1250)와 스프링(1280)을 갖춘 푸싱핀(1240)을 상기 스플안착홈(1212)에 안착된 스풀(1260)쪽으로 타격하게 되면 상기 볼프란자설치부(1214)에 설치된 볼프란자(1230)에 의해 푸싱핀(1240)의 후술하는 볼프란자걸림홈(1241)까지 일정길이 유입되어 안착되게 되므로 상기 캡너트안착홈(1211)으로 끼워지는 캡너트가 조립이 용이한 위치까지 상기 스플안착홈(1212)에 안착된 스풀(1260)을 캡너트안착홈(1211)쪽으로 조정되게 된다.
또 상기 캡너트안착홈(1211)에 캡너트(B)를 끼우고 상기 회전력전달부(1217)로 정,역회전 하여 상기 캡너트(B)가 니플(A)에서 캡너트에 의해 스풀(1260)이 밀리면서 푸싱핀(1240)을 가압하여 볼프란자걸림홈(1241)에서 볼프란자(1230)가 이탈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128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캡너트(B)를 풀기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푸싱핀(1240)은 스풀(1260)쪽으로 멈춤링(1007)이 끼워져 상기 탄성부재(1280)에 의해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소켓렌치(1210)가 끼워지는 베어링은 상기 그립(127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베어링(1220)과 베어링(12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122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2개가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베어링(1221)과 같이 하나의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소켓렌치(1210)의 외주면에서 푸싱핀안내홈(1213)쪽으로 돌출되게 직각으로 설치된 볼프란자(123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2개가 설치될 수도 있고, 1개나 3개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변형된 실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 상기 푸싱핀(1240)은 도 1과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소켓렌치(1210)의 푸싱핀안내홈(1213)으로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스플안착홈에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됨과 더불어 외주면에는 상기 볼프란자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볼프란자걸림홈(1241)과, 상기 스풀(1260)쪽으로 멈춤링(1007)이 끼워져 상기 탄성부재(1280)에 의해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멈춤링설치홈(1242)과, 상기 칼라(1250)와 결합하기 위해 스프링으로 된 핀(1001)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구멍(1243)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볼프란자걸림홈(1241)에 의해 캡너트(B)를 조립하기 용이한 위치에 셋팅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멈춤링설치홈(1242)에 멈춤링(1007)이 설치되어 푸싱핀(1240)이 소켓렌치(121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구멍(1243)에 의해 칼라(1250)와 핀(1001)으로 간단히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칼라(1250)는 도 1과 도 3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푸싱핀(1240)의 단부에 끼워져 핀(1001)으로 고정됨과 더불어 계단진 소외경이 상기 소켓렌치(1210)의 스프링안착홈(1218)에 끼워진 스프링(128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스프링안착홈(1218)의 단부로 삽입가능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푸싱핀(1240)을 칼라(1250)와 함께 스플(1260)쪽으로 밀어서 볼프란자(1230)에 볼프란자걸림홈(1241)이 걸려서 캡너트(B)를 조립하기 용이한 위치에 스플(1260)이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소켓렌치(1210)에 의해 캡너트가 니플에서 풀리되게 되면 스플과 함께 뒤로 밀려서 볼프란자걸림홈이 볼프란자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후방으로 최대한 후퇴하게 되므로 캡너트가 최대한 여유롭게 풀리도록 된다.
또 상기 스풀(1260)은 도 1과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소켓렌치(1210)의 스플안착홈(1212)에 끼워져 푸싱핀(1240)의 가압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캡너트안착홈(1211)쪽으로 이동하면서 캡너트를 니플쪽으로 가압함과 더불어, 상기 소켓렌치의 캡너트안착홈에 끼워진 캡너트가 풀어지면 캡너트와 함께 푸싱핀을 가압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풀(1260)은, 상기 푸싱핀(1240)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축중심에 형성된 푸싱핀수용홈(1261)과, 이 푸싱핀수용홈의 반대쪽 축중심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죠오패킹도피홈(1262)과, 이 죠오패킹도피홈쪽으로 형성된 냉매유입유도홈(1263)과,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냉매를 유입하도록 형성된 축방향냉매유입유도홈(1264)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푸싱핀수용홈(1261)에 푸싱핀(1240)이 위치하여 스풀(1260)을 가압하게 되고, 또 상기 캡너트(B)가 니플(A)에서 풀릴때는 푸싱핀수용홈(1261)이 푸싱핀(1240)을 가압하게 된다.
또 상기 냉매유입유도홈(1263)과 축방향냉매유입유도홈(1264)에 의해 냉매주입기로 부터 유입되는 냉매가 진공된 내부로 쉽게 들어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렌치(1210)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하우징(1130)에 체결되어 상기 소켓렌치(1210)가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조립되는 그립(1270)은, 도 1과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방향으로 소켓렌치(1210)가 끼워지는 관통구멍(1271)과, 이 관통구멍의 양단에 각각 베어링(1221,1220)을 안착시키도록 형성된 베어링안착홈(1272,1273)과, 상기 베어링안착홈(1272)쪽 플랜지에 형성되어 하우징(1130)과 보울트로 체결하도록 된 복수개의 하우징고정홀(127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고정홀(1274)로 체결되는 보울트에 의해 그립(1270)이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안착홈(1272,1273)에 설치된 베어링(1221,1220)에 의해 소켓렌치(1210)가 회전이 자유로이 조립된다.
또한 상기 커버(1300)는 도 1과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죠오(111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죠오커버부(1310)와, 이 죠오커버부에 형성된 니플유입구멍(1320)과, 상기 캠(1150)에 보울트(1301)로 커버(1300)를 조립하기 위한 보울트자리(133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죠오커버부(1310)에 의해 하우징(1130)과 캠(1150)의 사이에 설치된 죠오(1110)가 외부로 쉽게 노출되지 않게 됨은 물론, 이물질의 유입도 차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에서 성능검사가 완료되면, 상기 그립조립체(1200)의 그립(1270)를 잡고 하우징조립체(1100)의 캠(1150)를 도 2의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140)에 의해 상기 죠오(1110)가 축중심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벌리고, 재차 상기 캠(1150)를 도 2의 상태로 되도록 돌리게 되면 상기 죠오(1110)가 베어링(1119)를 매개로 캠(1150)의 캠면(1153)을 따라 조여지게 되고, 상기 죠오에 설치된 3개의 죠오패킹(1120)이 밀착되면서 니플(A)과 하우징(1130)에 밀착되어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소켓렌치(1210)의 캡너트안착홈(1211)에 캡너트(B)를 안착시켜 소켓렌치(1210)를 회전시키면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때 공기조화기의 충진된 냉매를 뽑아서 2.5kg/㎠의 예압 만을 남기고, 상기 소켓렌치(1210)를 캡너트(B)의 잠금방향으로 회전시켜 캡너트(B)를 니플(A)에 체결하게 되면 니플의 냉매출구가 밀폐되므로 니플(A)에 캡너트(B)를 체결할 때 별도의 동파이프를 조립할 필요가 없고, 또 콕킹은 물론 용접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 1100: 하우징조립체
1110: 죠오 1120: 죠오패킹
1130: 하우징 1140: 탄성부재
1150: 캠 1200: 그립조립체
1210: 소켓렌치 1220: 베어링
1230: 볼프란자 1240: 푸싱핀
1250: 칼라 1260: 스풀
1270: 그립 1280: 탄성부재
1300: 커버 1400: 회전방지수단

Claims (6)

  1. 등각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됨과 더불어 니플육각머리수용부(1114)와 죠오패킹안착부(1113)를 갖춘 죠오(1110)와,
    상기 죠오패킹안착부(1113)에 설치되어 죠오가 축중심으로 가압되면 공기조화기의 배관에 설치된 니플(A)의 목부분을 감싸면서 니플의 목부분을 실링하고, 하우징(1130)의 시일접촉면(1135)에 밀착되어 실링함과 더불어, 등각도에 배치된 죠오의 측면간에도 밀착되어 실링함으로써 냉매를 빼거나 공급할 수 있도록 진공상태를 이루도록 된 죠오패킹(1120)과,
    상기 죠오(1110)가 등각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외주면에서 축중심과 연통하는 가스주입기체결부(1136)가 구비된 하우징(1130)과,
    상기 죠오(1110)와 하우징(1130)에 동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탄발부재(1140)의 탄발력에 대향하여 축중심으로 죠오(1110)를 가압시키고,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부재(1140)에 의해 중심축에서 죠오(1110)가 멀어지게 함과 더불어 외주면에는 상기 가스주입기체결부(1136)에 체결되는 가스공급관에 간섭을 받지 않고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가스주입기연결구(1154)를 갖춘 캠(1150)을 포함하는 하우징조립체(1100)와;
    상기 니플(A)에 체결되는 캡너트(B)을 파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니플에서 캡너트가 풀리고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니플에 캡너트가 체결되면서 상기 니플의 개구를 개폐하는 캡너트를 수용하면서 파지하는 캡너트안착홈(1211)이 형성된 소켓렌치(1210)와,
    상기 소켓렌치(1210)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하우징(1130)에 체결되어 소켓렌치(1210)가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그립(1270)을 갖는 그립조립체(120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조립체(1100)를 구성하는 캠(1150)의 상부에 죠오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커버(1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30)의 외주면에 축중심으로 설치되어 내부압력에 의해 축중심에서 외주면쪽으로 이동 가압하여 하우징(1130)과 캠(1150)이 상대 회전하지 못하도록 된 회전방지수단(140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조립체(1200)는,
    상기 소켓렌치(1210)는, 캡너트안착홈의 축중심 안쪽으로 연통되도록 스플안착홈(1212)이 형성되는 한편, 축중심 타단에서 스플안착홈까지 축중심에 형성된 푸싱핀안내홈(1213)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렌치의 푸싱핀안내홈(1213)으로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스플안착홈에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된 푸싱핀(1240)과,
    상기 소켓렌치의 스플안착홈에 끼워져 푸싱핀의 가압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캡너트안착홈(1211)쪽으로 이동하면서 캡너트를 니플쪽으로 가압함과 더불어, 상기 소켓렌치의 캡너트안착홈에 끼워진 캡너트가 풀어지면 캡너트와 함께 푸싱핀을 가압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스풀(1260)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렌치(1210)의 캡너트안착홈(1211) 또는 스플(1260)의 외주면에 냉매유도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렌치(1210)의 외주면에서 푸싱핀안내홈(1213)쪽으로 돌출되게 직각으로 설치된 볼프란자(1230)와,
    상기 푸싱핀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됨과 더불어 계단진 외경이 상기 소켓렌치의 타 단부로 삽입가능하도록 된 칼라(1250)와,
    상기 칼라의 계단진 작은 외경에 끼워져 상기 소켓렌치의 타단부로 끼워진 탄성부재(128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푸싱핀(1240)의 외주면에는 상기 볼프란자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볼프란자걸림홈(12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
KR1020150041216A 2015-03-25 2015-03-25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 KR101661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216A KR101661469B1 (ko) 2015-03-25 2015-03-25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216A KR101661469B1 (ko) 2015-03-25 2015-03-25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469B1 true KR101661469B1 (ko) 2016-09-30

Family

ID=5707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216A KR101661469B1 (ko) 2015-03-25 2015-03-25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4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882A (ko) * 1999-09-01 2001-04-06 권윤노 냉동기기용 서비스밸브
JP3354574B2 (ja) * 1995-01-19 2002-12-09 ヴェー ゲーエムベーハー、フェアビンドゥングステクニーク 迅速連結式継手
KR20090109715A (ko) * 2008-04-16 2009-10-21 희성정밀 주식회사 공조기용 서비스 밸브
KR20130065539A (ko) * 2011-12-10 2013-06-19 박미순 냉각기기용 서비스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4574B2 (ja) * 1995-01-19 2002-12-09 ヴェー ゲーエムベーハー、フェアビンドゥングステクニーク 迅速連結式継手
KR20010025882A (ko) * 1999-09-01 2001-04-06 권윤노 냉동기기용 서비스밸브
KR20090109715A (ko) * 2008-04-16 2009-10-21 희성정밀 주식회사 공조기용 서비스 밸브
KR20130065539A (ko) * 2011-12-10 2013-06-19 박미순 냉각기기용 서비스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3566B2 (en) Bayonet coupling for the disconnectable connection of pipelines
JP6208152B2 (ja) 流体バルブと共に用いる回転防止アセンブリ
US4002186A (en) Quick disconnect coupling
US11530766B2 (en) Connector
TWI696776B (zh) 閥及具有逆向漸縮軸之閥連結器
US8783656B2 (en) Valve assembly
KR20170075659A (ko) 퀵 커넥터용 소켓 요소와 소켓 요소를 구비하는 퀵 커넥터
JP2008144922A (ja) シール材の圧入装置
IL209936A (en) Assembled handle with handle
KR20190016038A (ko) 자체-정렬 스템 팁을 구비한 밸브
US20200346845A1 (en) One-way valve, and tire repair sealant bottle having same
MX2012014518A (es) Canal de llenado, su uso y metodo de llenado.
US7789433B2 (en) Tube nut assembly
CN102691844B (zh) 一种自找正接头组件及其自找正接头
KR101661469B1 (ko) 공기조화기용 니플의 캡너트잠금구
EP3655687B1 (en) Hose connector assembly
US20130180610A1 (en) Plug lock
US4988129A (en) Fluid pipe coupling
JP2010078027A (ja) 配管用継手
US9550485B2 (en) Plug retention system for a brake actuator
EP2032910B1 (en) Sealing cap for radiator elements
KR20150073571A (ko) 공기조화기용 서비스 밸브 어셈블리
EP4040028A1 (fr) Élément de raccord
KR20150073590A (ko)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US20200018434A1 (en) Fluid Transfer Connector Plug, Fluid Transfer Connector Socket, Fluid Transfer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Fluid Transfer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