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3590A -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3590A
KR20150073590A KR1020130161470A KR20130161470A KR20150073590A KR 20150073590 A KR20150073590 A KR 20150073590A KR 1020130161470 A KR1020130161470 A KR 1020130161470A KR 20130161470 A KR20130161470 A KR 20130161470A KR 20150073590 A KR20150073590 A KR 20150073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nnecting member
pipe
connect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근
정미경
Original Assignee
(주)로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커스 filed Critical (주)로커스
Priority to KR1020130161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3590A/ko
Publication of KR20150073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16L59/1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adapted for joints
    • F16L59/18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는 유체가 유동하는 관을 피팅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기 관이 설정된 길이만큼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연결부재; 절연 소재로 튜브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관이 관통되도록 상기 삽입구에 장착되어 상기 관과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면이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절연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결합되며, 결합에 의해 상기 관과 내부의 유로가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상대물;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관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관과 연결부재의 사이를 기밀하는 패럴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패럴어셈블리는, 상기 관의 삽입시 상기 관의 외측면을 눌러 상기 패럴어셈블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링; 상기 록킹링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상대물의 완전한 결합시 상기 관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변형되면서 상기 관과 연결부재 사이를 기밀시키는 패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 Pipe connector having insulating member }
본 명세서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관을 연결하는 대표적인 적용례로서, 공조기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여 피팅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을 연결하여 피팅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용접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용접방법은 많은 시간소모 및 관의 손상우려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종래 커넥터의 재질로는 우수한 물리적인 특성 및 그 미려함으로 인하여 황동이 주로 사용되었다. 황동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접뿐만 아니라 확관방식으로도 피팅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커넥터의 재질로 주로 사용되는 쾌삭황동은 납이 포함되어 있어서 ROHS규격을 충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황동을 대체할 수 있는 커넥터의 재질이 요구되고 있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또한 구리 가격의 인상으로 인하여,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많은 비용이 들게 되어, 구리를 대체할 수 있는 재질에 대한 필요가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구리를 대체할 수 있는 재질의 관 및 그 재질의 관에 적합한 커넥터에 대한 필요성이 함께 대두되고 있다.
한편, 커넥터의 재질로서 알루미늄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용접방식으로 피팅을 할 때 값비싼 브레이징(brazing) 및 고주파 아르곤용접이 적용되어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관의 직경을 늘리는 확관방식은, 연성이 좋은 알루미늄의 특성상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로써, 알루미늄을 관의 재질로 하면서도 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물질의 누설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0035호에는, 이종소재의 2개의 관을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하되, 내부에 관을 고정하기 위한 패럴과, 알루미늄 소재의 연결부재와 이종 소재의 연결관의 접촉부가 공기중에 노출되어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재가 구비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모두 피팅 작업을 실시하기 전에는 상기 패럴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럴이 분실 되거나 피팅 결합시 정위치에 위치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되는 관의 깊이 또한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게 되어 피팅과정에서 양측의 관의 삽입되는 길이의 차이로 인한 연결 불량 또는 파손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관이 삽입된 상태에서 정확하게 피팅이 완료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거나, 확인을 위해서는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확인하여야 하는 등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방식으로 관의 연결 작업 이전 유통중에 절연부재가 손상될 수 있으며, 관의 삽입 작업 이전에 절연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절연부재가 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꼬한, 상기 관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재의 내부에서 관과 연결부재가 서로 접촉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써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서 전위차 부식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럴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피팅이 체결될 수 있으며, 삽입되는 관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삽입되는 관과 연결부재 사이의 전위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는, 유체가 유동하는 관을 피팅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기 관이 설정된 길이만큼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연결부재; 절연 소재로 튜브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관이 관통되도록 상기 삽입구에 장착되어 상기 관과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면이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절연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결합되며, 결합에 의해 상기 관과 내부의 유로가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상대물;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관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관과 연결부재의 사이를 기밀하는 패럴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패럴어셈블리는, 상기 관의 삽입시 상기 관의 외측면을 눌러 상기 패럴어셈블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링; 상기 록킹링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상대물의 완전한 결합시 상기 관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변형되면서 상기 관과 연결부재 사이를 기밀시키는 패럴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시 상기 관의 외측면과 상기 관의 사이를 기밀하는 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링은 상기 패럴어셈블리와 상기 관이 관통되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링은,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 둘레와 접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측방에 각각 돌출되며, 일측은 상기 관과 상기 연결부재의 사이를 기밀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패럴어셈블리를 지지하는 한쌍의 측방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링은, 상기 패럴의 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패럴에 고정되는 링 장착부와; 내측 둘레를 따라서 다수개가 상기 관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며, 상기 관의 외측면에 단부가 박혀 고정되는 관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럴은,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오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록킹링이 결합되는 록킹링 안착부와; 상기 록킹링 안착부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관과 접하는 그립링의 단부가 위치되는 패럴 경사면과; 상기 록킹링 안착부의 일단에서 상기 관의 삽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변형에 의해 상기 관의 외측면과 접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내주면에서 둘레를 따라 함몰되어 상기 그립링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물의 일측에는 링 형상의 결합 확인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완전한 체결시 상기 결합 확인부재를 차폐하는 확인부재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와 상대물의 사이에는 상기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매개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상대물의 결합시 상기 매개부재는 상기 패럴어셈블리를 가압하여 상기 패럴어셈블리의 단부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개부재는, 상기 관이 삽입되는 개구된 단부에서 점차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상기 관의 외경보다 더 좁은 내경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며, 상기 패럴어셈블리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대물의 결합에 따라 상기 경사부를 지나 상기 삽입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우측에 구비되는 우측 연결부재이며, 상기 상대물은 상기 연결부재의 좌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개구된 내측으로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좌측 연결부재이며, 상기 좌측 연결부재에는 상기 관과 연통되는 다른 관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관에 고정되며, 상기 록킹링 및 패럴어셈블리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좌측 록킹링 및 좌측 패럴어셈블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에 삽입되는 상기 관과, 상기 상대물에 삽입되는 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물은 상기 연결부의 개구된 내측면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회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물은 밸브, "L"자형 관 또는 "T"자형 관이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밸브, "L"자형 관 또는 "T"자형 관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부재는 테프론, 폴리카보네이드, 나일론과 같은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절연부재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절연부재가 압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절연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절연부재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관이 관통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개구된 단부에 안착되는 플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절연부재가 장착되는 절연부재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재 장착부는, 상기 삽입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플렌지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되는 플렌지 안착부와; 상기 삽입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삽입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은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페럴 러셈블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한 번의 회전작용에 의한 양방향 피팅 완결로 인한 피팅작업의 시간 및 노력절감, 부품 갯수 감소로 인한 경비절감, 견고한 실링에 의한 누설방지의 성능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피팅완료 여부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관이 연결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록킹링과 패럴이 일체로 구성되는 패f럴어셈블리가 제공되어, 록킹링에 의해 패럴이 삽입된 관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패럴이 피팅 작업 이전에 장착된 위치가 변하거나 탈거되어 분실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링에 의해 삽입되는 관과 연결부재의 사이를 기밀 시켜줌은 물론 록킹링을 지지하게 되어 관이 쉽게 빠지거나 삽입된 관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오조립 또는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 결합시킴에 따라서 패럴의 그립부가 상기 경사부과 접하여 변형되면서 삽입된 관의 외측면을 눌러서 실링시키게 되며, 상기 그립부가 상기 경사부을 지나 상기 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변형되어 보다 견고한 상태로 상기 패럴과 관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에 의해서 상기 관이 연결부재 및 상대물에 삽입 장착되었을 때 상기 연결부재와 이격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서도 상기 절연부재와 패럴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의 내츠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전위차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 및 상대물의 내측면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외부의 간섭 또는 관의 삽입 장착 작업 등 간섭에 의해 절연부재가 빠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완전히 연결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커넥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커넥터가 연결된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커넥터의 요부 구성인 오링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오링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커넥터의 요부 구성인 패럴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패럴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패럴어셈블리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상기 커넥터의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연결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연결된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연결된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연결된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연결된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완전히 연결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커넥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는, 좌측 관(10)이 삽입되는 좌측 연결부재(100), 우측 관(20)이 삽입되는 우측 연결부재(200), 좌측 관(10) 및 우측 관(20)의 결합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사이에 삽입되는 매개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일부는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의 개구된 요입부(201)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에는 결합 확인부재(도 3에서, 106)가 구비되며,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완전한 결합시 상기 결합 확인부재(106)가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단부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상기 결합 확인부재(10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결합 확인부재의 노출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커넥터(1)의 완전한 연결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커넥터(1)가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단부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단부가 서로 맞닿아 빈공간이 없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작업 없이 용이하게 정확한 연결상태의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좌측 오링(110)과 우측 오링(210),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와, 우측 패럴어셈블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측 관(10) 및 우측 관(20)은 알루미늄, 동 또는 구리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은 각각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각 측면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각 측면에는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이 관통되는 절연부재(1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은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와의 실질적인 접촉 없이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 상기 매개부재(300),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 및 상기 우측 패럴어셈블리(220)는 모두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형상으로 제공되고, 좌우 양측방에서 그 비어있는 공간의 내측으로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매개부재(300)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및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넥터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커넥터가 연결된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는 외측면이 다수의 평면이 연결된 너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가 완전히 서로 결합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단부가 서로 접하게 되며, 외측면의 평면이 서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부는 상기 좌측 관(10) 및 우측 관(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외측면에는 각각 상기 절연부재(150)가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에는 각각 절연부재 안착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좌측면 및 우측 연결부재(200)의 우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재(15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재(1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플렌지 안착부(161)와 수용부(1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렌지 안착부(161)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절연부재(150)의 플렌지부(15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62)는 상기 절연부재(150)의 삽입부(152)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플렌지 안착부(161)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절연부재(150)의 플렌지부(151)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재(150)의 안착시 상기 절연부재(150)가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외측 및 우측 연결부재(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절연부재(150)의 장착시 상기 절연부재(150)는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62)는 상기 절연부재(150)의 삽입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52)의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연부재(15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은 상기 절연부재(15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와 접촉되지 않고 삽입되며,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좌측 패럴 어셈블리(120)과 우측 패럴 어셈블리(22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은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측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와 접촉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절연부재(150)는 테프론,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 등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관(10) 및 우측 관(20)이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 사이를 절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연부재(150)는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에 장착되며,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에 압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연부재(150)는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관(10) 및 우측 관(20)의 삽입 작업 중 또는 삽입 작업 후에 빠지지 않고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절연부재(150)는 일단이 외측으로 연장된 플렌지부(151)와, 상기 플렌지부(151)의 내측단에서 연장되는 삽입부(1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151)는 상기 플렌지 안착부(161)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렌지 안착부(16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52)는 상기 수용부(16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152)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16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연부재(150)의 압입시 발생되는 변형에도 안정적으로 상기 삽입부를 수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우측단에는 돌출부(101)가 제공되어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에 개구된 우측 체결부(202)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우측 체결부(202)에는 나사산이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101)의 외측면에는 우측 체결부(202)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으로 예시 가능한 좌측 체결부(102)가 제공된다.
상기 좌측 체결부(102)와 우측 체결부(202)의 나사산이 서로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를 서로 회전시키면,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터의 피팅을 위해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일 작업만으로 피팅을 완료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의 수고를 덜고, 작업 시간/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의 체결구조는 실시예에 제시되는 구성으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 상호 간의 이동 및 이동 후의 잠금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라도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의 체결구조로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작업자가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편리하게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면에서 나사산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측에는 상기 매개부재(300)가 놓이는 좌측 매개부재 수용부(103)와 우측 매개부재 수용부(203)가 마련된다. 상기 좌측 매개부재 수용부(103)와 우측 매개부재 수용부(203)는 매개부재(300)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에 형성되는 좌측 매개부재 수용부(103)와, 우측 연결부재(200)에 형성되는 우측 매개부재 수용부(20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매개부재 수용부(103)와 우측 매개부재 수용부(203)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부에 매개부재(300)를 수용하여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가 매개부재(300)를 향하여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커넥터(1)의 피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매개부재(3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의 오버랩되는 부분(좌측 연결부재(100)의 좌측 체결부(102)와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의 우측 체결부(202)를 형성하는 부분)에 위치된다.
물론, 상기 커넥터(1)의 피팅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 이유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가 상기 매개부재(300)로 외력을 인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매개부재(300)에서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의 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또는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좌측 오링(110)과 우측 오링(210)이 각각 안착되는 좌측 오링 안착부(104)와 우측 오링 안착부(204)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 오링 안착부(104)와 우측 오링 안착부(204)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좌측 오링 안착부(104)와 우측 오링 안착부(20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오링 안착부(104)와 우측 오링 안착부(204)는 상기 좌측 오링(110)과 우측 오링(210)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단차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좌측 오링(110)과 우측 오링(210)이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부에서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오링 안착부(104)와 상기 좌측 매개부재 수용부(103) 및 상기 우측 오링 안착부(204)와 우측 매개부재 수용부(203)의 사이에는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와 우측 패럴어셈블리(220)가 위치되는 좌측 패럴어셈블리 수용부(105) 및 우측 패럴어셈블리 수용부(205)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 수용부(105) 및 우측 패럴어셈블리 수용부(205)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좌측 패럴어셈블리 수용부(105) 및 우측 패럴어셈블리 수용부(205)는 상기 좌측 오링 안착부(104)와 우측 오링 안착부(204) 및 상기 좌측 매개부재 수용부(103)와 우측 매개부재 수용부(203)와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구분되며,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와 우측 패럴어셈블리(220)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측 관(10) 및 우측 관(20)이 삽입되는 방향을 외측이라고 할때, 외측에서 부터 내측을 향하여 차례로, 상기 좌측 오링 안착부(104)와 우측 오링 안착부(204)와 좌측 패럴어셈블리 수용부(105) 및 우측 패럴어셈블리 수용부(205), 좌측 매개부재 수용부(103)와 우측 매개부재 수용부(203)가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의 개구된 단부에는 확인부재 수용부(206)가 형성된다. 상기 확인부재 수용부(206)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에 장착된 상기 결합 확인부재(106)가 수용될 수 있도록 단차 또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확인부재(106)는 고무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돌출부(101)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확인부재(106)는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검정색이 아닌 다른 색, 예를 들어 빨간색과 같은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회전에 의한 결합시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상기 결합 확인부재(106)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가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결합 확인부재(106)는 상기 확인부재 수용부(20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외부에서 볼 때 상기 결합 확인부재(106)가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확인부재 수용부(206)의 단부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돌출된 부분과 접하여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가 서로 완전히 맞닿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 확인부재(106)가 장착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일측은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확인부재(106)가 장착되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일부는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단차진 부분은 좌측 스토핑부(107)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좌측 스토핑부(107)는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의 좌측단 즉, 상기 확인부재 수용부(206)가 형성되는 단부에 해당하는 우측 스토핑부(207)와 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가 완전히 체결되면 상기 좌측 스토핑부(107)와 우측 스토핑부(207)가 접하여 더 이상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체결이 진행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매개부재(300)에 의한 상기 패럴(140)의 변형 또한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좌측 스토핑부(107)와 우측 스토핑부(207)가 접하는 지점은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을 상기 좌측 매개부재(300)와 우측 매개부재(300)가 눌러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패럴(140)이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충분한 유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매개부재(300)는 상기 좌측 매개부재 수용부(103)와 우측 매개부재 수용부(203)에 삽입될 수 있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개부재(300) 내측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삽입되는 상기 좌측 관(10) 및 우측 관(20)의 단부와 접하는 실링부(310)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310)에는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이 삽입될 때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의 단부에 압입되어 상기 좌측 관(10) 및 우측 관(20)과 상기 매개부재(300)의 사이를 실링시킬 수 있는 실링 돌기(도 10에서 311)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 돌기(311)는 상기 실링부(3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개부재(300)의 양단부에는 경사부(320)와 패럴 삽입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320)는 상기 매개부재(300)의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도록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럴 삽입부(330)는 상기 테이퍼진 상기 경사부(32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320)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럴 삽입부(330)에서 상기 실링부(310)까지는 상기 좌측 관(10) 및 우측 관(20)의 내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관 삽입부(340)가 형성된다. 상기 패럴 삽입부(330)는 상기 관 삽입부(340)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 및 우측 패럴어셈블리(220)의 외경보다는 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 및 우측 패럴어셈블리(220)의 이동시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 및 우측 패럴어셈블리(220)의 단부는 상기 경사부(320)과 접촉을 시작하여여 상기 패럴 삽입부(33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 및 우측 패럴어셈블리(220)의 단부는 상기 매개부재(30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의 외주면을 눌러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을 눌러서 고정 및 실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좌측 오링 안착부(104) 및 우측 오링 안착부(204)에는 좌측 오링(110)과 우측 오링(210)이 각각 장착된다. 상기 좌측 오링(110)과 우측 오링(210)은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결합시, 상기 좌측 관(10)과 좌측 연결부재(100)의 사이 공간 및 우측 관(20)과 우측 연결부재(200)의 사이 공간을 기밀함은 물론,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 및 우측 패럴어셈블리(220)를 밀어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변형이 용이한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는 상기 커넥터의 요부 구성인 오링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오링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 오링(110)과 우측 오링(210)은 장착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조와 형상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좌측 오링 안착부(104)에 장착되는 좌측 오링(11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좌측 오링(110)은 중앙부에 개구(113)가 형성되어 상기 좌측 관(1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113)는 상기 좌측 관(10)의 외경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외어 상기 좌측 관(10)은 상기 좌측 오링(110)의 개구(113)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오링(110)은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중앙부(111)와 상기 중앙부(111)의 좌우 양측방으로 돌출된 측방 돌출부(1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111)와 상기 측방 돌출부(112)는 모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측 오링 안착부(104)에 안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좌측 오링(110)은 상기 좌측 오링 안착부(10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가 서로 결합되면 가압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좌측 관(10)과 좌측 연결부재(100)의 사이를 기밀 시키게 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측방 돌출부(112)는 상기 좌측 오링(110)의 가압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상기 좌측 관(10)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완전히 기밀시킬 수 있으며, 내측의 상기 측방 돌출부(112)는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의 록킹링(13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좌측 오링(110)은 상기 커넥터(1)의 피팅 결합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좌측 관(10)의 사이를 기밀함으로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좌측 관(10)과 좌측 연결부재(1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좌측 오링(11)은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의 록킹링(1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상기 커넥터의 요부 구성인 패럴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패럴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패럴어셈블리의 절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와 우측 패럴어셈블리(220)는 배치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는 상기 좌측 관(10)에 의해 관통되며, 관통되는 상기 좌측 관(10)을 눌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는 록킹링(130)과 패럴(140)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결합된 상태의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가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00)는 상기 좌측 관(10)이 관통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관(10)으로부터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록킹링(130)은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좌측 관(10)에 상기 패럴(140)이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록킹링(130)은 금속 소재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링 장착부(131)와 관 구속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 장착부(131)는 상기 록킹링(130)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패럴(140)의 록킹링 안착부(142) 둘레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록킹링(130)이 상기 패럴(14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링 장착부(131)는 상기 록킹링 안착부(142)의 하방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며, 상기 연장된 상기 링 장착부(131)의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상기 링장착부(131)를 감싸 상기 록킹링(130)이 상기 패럴(14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링 장착부(131)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연속하여 배치되며, 절곡되어 상기 록킹링 안착부(142)에 상기 록킹링(130)이 안정적으로 안착 및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관 구속부(132)는 상기 록킹링(130)의 내측 둘레를 따라서 판상의 돌기의 형상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연속 형성되며, 상기 록킹링(130)을 관통하는 상기 좌측 관(1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 구속부(132)는 상기 좌측 관(1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며, 상기 관 구속부(132)의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 구속부(132)의 단부는 날카롭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좌측 관(10)과의 접촉시 상기 좌측 관(10)의 표면으로 외측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링(130)이 상기 패럴(140)과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관 구속부(132)가 상기 패럴(14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링(130)과 패럴(140)을 관통하는 좌측 관(10)의 외측면은 상기 관 구속부(132)의 단부와 접하게 된다.
상기 좌측 관(10)의 삽입시 상기 관 구속부(132)의 단부는 상기 좌측 관(10)의 외측면과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 구속부(132)는, 상기 좌측 관(10) 또는 상기 좌측 관(10)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 보다 더 단단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 관(10)의 외측면에 꽂히는 형태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 관(10)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링(130)은 상기 좌측 관(10) 및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에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링(130)과 결합된 상기 패럴(140)의 위치 즉,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링(130)의 좌측에 위치한 좌측 오링(110)의 작용에 의해 상기 커넥터(1)의 피팅 결합시 상기 좌측 오링(110)이 상기 록킹링(130)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좌측 오링(110)의 측방 돌출부(112)가 상기 관 구속부(132)를 밀어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패럴(140)은,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회전에 의한 상기 커넥터(1)의 피팅 결합시, 상기 좌측 관(10)을 눌러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의해 고정되어 상기 좌측 관(10)이 탈거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패럴(140)은 상기 좌측 관을 눌러 고정하는 그립부(141)와, 상기 록킹링(130)이 안착되는 록킹링 안착부(142), 그리고 상기 관 구속부(132)가 위치되는 패럴 경사면(143)을 포함한다.
상기 그립부(141)는 피팅 과정에서 상기 매개부재(300)의 경사부(320) 및 패럴 삽입부(330)와 차례로 접촉되며, 상기 매개부재(300)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외경이 축소되도록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141)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의 홈(14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패럴(140)의 외측에서 외력이 가해지게 될 경우 상기 홈(144)에 의해서 상기 그립부(141)가 쉽게 변형되어 상기 좌측 관(10)의 외측면을 누를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홈(144)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상기 그립부(141)의 범위가 설정되어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완전한 결합시 상기 좌측 관(10)을 적절한 깊이만큼 누르게 되어 상기 좌측 관(10) 내부의 유체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좌측 관(10)의 고정 및 실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록킹링 안착부(142)는 상기 패럴(140)의 단부를 형성하며, 피팅 과정에서 상기 패럴(140)이 상기 오링(110)에 의해 밀려서 이동될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록킹링 안착부(142)의 외경은 상기 그립부(141)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매개부재(300)의 경사부(320) 입구의 내경보다도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링 안착부(142)의 내측면에는 상기 패럴 경사면(143)이 형성된다. 상기 패럴 경사면(143)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록킹링 안착부(142)에 안착되는 록킹링(130)의 관 구속부(132)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경사지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럴 경사면(143)은 상기 좌측 관(10)이 상기 패럴어셈블리(220)를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피팅이 될 때 상기 오링(110)이 상기 관 구속부(132)를 밀어서 탄성 변형시켜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 구속부(132)의 기울기 보다는 더 큰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록킹링(130)이 상기 패럴(140)에 장착됨에 있어, 절곡 형성되는 상기 링 장착부(131)와 상기 관 구속부(132)가 상기 패럴(140)의 록킹링 안착부(142)를 감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패럴(140)과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서의 피팅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상기 커넥터의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부에 상기 좌측 오링(110)과 우측 오링(210) 및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와 우측 패럴어셈블리(220)를 안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에 상기 절연부재(150)를 압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연부재(150)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되며,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거나 다소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측으로 들어간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에 각각 장착된 상기 절연부재(150)를 관통하도록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을 삽입하게 된다. 이때,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은 설정된 깊이만큼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지그 또는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장치를 이용하여 삽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은 상기 좌측 오링(110)과 우측 오링(210) 그리고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와 우측 패럴어셈블리(220)를 관통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패럴 어셈블리(120,220)에 의해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은 상기 상기 절연부재(150)와 상기 패럴 어셈블리(120,22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측면과는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좌측 오링(110)과 우측 오링(210)을 지지하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측면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과 접촉될 수도 있으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거의 접촉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오링(110)은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상기 좌측 관(10)의 사이 공간을 기밀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오링(210)은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와 상기 우측 관(20)의 사이 공간을 기밀하게 되며, 상기 우측 패럴어셈블리(22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와 우측 패럴어셈블리(220)를 구성하는 록킹링(130)은 상기 좌측 관(10) 및 우측 관(20)의 표면을 파고들어 박히게 되므로,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와 우측 패럴어셈블리(2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의 삽입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부에는 매개부재(300)가 수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가 서로 결합되는 초기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의 그립부(141)의 단부는 상기 경사부(320)의 입구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의 단부는 상기 실링부(310)의 실링 돌기(311)와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확인부재(106)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사용자는 상기 커넥터(1)의 피팅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를 더 회전시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가 서로 접근하게 됨에 따라, 상기 좌측 오링(110)은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가 매개부재(300) 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가 상기 매개부재(300)를 향하여 밀려 이동하게 되면, 상기 그립부(141)의 단부는 상기 매개부재(300)의 경사부(320)와 접촉하면서, 상기 매개부재(300)의 경사부(320)를 파고들어 좌측 관(10)을 변형시키기 시작하게 된다.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가 좌측 관(10)을 파고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좌측 관(10)은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보다 인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고드는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매개부재(300)의 양측에 경사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141)의 내주면에 홈(144)이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141)가 상기 매개부재(300)의 경사부(320)와 접하는 상태서 내측으로 밀리면 상기 그립부(141)는 상기 경사부(320)의 경사 방향에 따라 상기 좌측 관(10)의 중심 측으로 변형되고, 상기 그립부(141)의 선단부와 접촉하는 상기 좌측 관(10)의 일부분은 안으로 수축된다. 즉, 좌측 관(10)의 수축에 의해서 상기 그립부(141)는 상기 좌측 관(10)을 집는 작용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가 상기 매개부재(300)측으로 더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그립부(141)의 단부는 상기 경사부(320)를 지나 상기 패럴 삽입부(33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141)는 상기 경사부(320)를 지나 상기 패럴 삽입부(330)의 내측에서 상기 패럴 삽입부(330)의 내측면과 상기 좌측 관(10)의 외측면 사이에 압입되어 고정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좌측 관(10)의 수축 작용은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좌측 스토핑부(107)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우측 스토핑부(207)가 서로 접촉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좌측 스토핑부(107)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우측 스토핑부(207)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좌측 패럴 어셈블리(120)와 우측 패럴 어셈블리(220)는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 상기 매개부재(300)와의 상대 운동이 종료된다.
이 경우 상기 매개부재(300)의 경사부(320)이 상기 그립부(141)를 더 이상 가압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그립부(141)가 더이상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만약, 그립부(141)가 과도하게 변형되면 상기 좌측 관(10)도 과도하게 변형되어 내경이 축소되어 관로 내부의 유체의 유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및 우측 연결부재(200)가 서로 접촉되어 상기 매개부재(30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상기 좌측 관(10) 및 우측 관(2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의 고정은 유지하면서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이 저하되는 것은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 또는 우측 연결부재(200)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조작을 통해 양측의 상기 좌측 패럴 어셈블리(120)와 우측 패럴 어셈블리(220)의 변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의 동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의 좌측 스토핑부(107)와 우측 연결부재(200) 우측 스토핑부(207)가 서로 접촉되면, 상기 매개부재(300)는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며, 상기 그립부(141)에 형성된 홈(144)에 의해 상기 그립부(141)의 변형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좌측 관(10)의 과도한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좌측 관(10)의 변형작용의 결과로써, 적절한 유량을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와 좌측 관(10)의 접촉부는 완전히 실링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우측 패럴어셈블리(220) 또한 좌측 패럴어셈블리(120)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며,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가 서로 완전히 접하도록 회전되어 피팅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에 장착된 결합 확인부재(106)가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서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가 서로 접하여 피팅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단부는 서로 완전히 밀착되어 더 이상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하게 되어 상기 좌측 관(10) 및 우측 관(20)이 더 변형되어 유량의 손실을 가져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가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는 서로 밀착됨은 물론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너트 형상의 각 평면 또한 서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의 일체감을 가질 수 있으며, 육안으로 정확한 결합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1)의 피팅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의 단부는 상기 실링(310)부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실링 돌기(311)는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의 단부에 압입되어 상기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이 완전히 기밀된다. 또한, 상기 패럴(140)의 그립부(141) 단부의 변형에 의해 상기 좌측 및 우측의 패럴(140)과 상기 좌측 관(10) 및 우측 관(20)이 서로 기밀되고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이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럴(140)의 그립부(141)는 경사부(320)를 지나면서 변형되어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을 누르며, 상기 패럴 삽입부(3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패럴(140)이 상기 매개부재(300)에 의해 눌려지게 되어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120) 및 우측 패럴어셈블리(220)가 보다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오링(110)과 우측 오링(210)은 상기 좌측 연결부재(100)와 우측 연결부재(200)와 상기 좌측 관(10)과 우측 관(20)의 사이를 기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좌측 관과 우측 관의 외경이 서로 다른 상태에서 피팅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좌측 연결부재와 우측 연결부재 그리고 매개부재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연결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커넥터(2)는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좌측 연결부재(400)와 우측 연결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와 우측 연결부재(200)를 향하여 좌우 양측방에서 좌측 관(30)과 우측 관(20)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좌측 관(30)과 우측 관(20)은 외경이 서로 다르며, 이에 따라 삽입되는 좌측 연결부재(4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경 및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의 크기 또한 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와 우측 연결부재(200)는 내부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지만 그 크기에 있어서, 삽입되는 좌측 관(30)과 우측 관(20)의 외경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좌우 양측면에는 각각 절연부재(150)가 장착되며, 상기 절연부재(150)가 장착되기 위한 절연부재 안착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부재(150) 및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기본적인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절연부재(150)는 그 크기만 다를 뿐 구조는 동일할 것이다.
상기 절연부재(150)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 및 우측 연결부재(200)와 상기 좌측 관(30) 및 우측 관(20)이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좌측 관(30) 및 우측 관(20)이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 및 우측 연결부재(200)와 접촉되어 전위차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연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절연부재(150)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좌측 관(30)과 우측 관(20)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때, 상기 구멍의 크기는 상기 좌측 관(30)과 우측 관(20)과 밀착될 수 있도록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150)는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절곡된 플렌지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 및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5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개구된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부(151) 및 상기 삽입부(152)와 대응하는 형상의 플렌지 안착부(161)와 수용부(16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상기 절연부재(150)가 압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절연부재(15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150)는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의 수용부(162)는 상기 삽입부(15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재(150)의 압입시 상기 절연부재(150)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의 내측에는 개구된 입구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좌측 결합 확인부재(540)를 선택적으로 가리는 좌측 확인부재 수용부(40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확인부재 수용부(406)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좌측 나사체결부(402)가 형성되며,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의 가장 내측에는 좌측 오링(410)이 안착되는 좌측 오링 안착부(404)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 오링(410)과 상기 좌측 패럴어셈블리(420)의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그것과 완전이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 연결부재(200)의 구성은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와 크기만 다를 뿐 동일하게 구성되며, 내부에는 우측 오링(210)과 우측 패럴어셈블리(22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사이에는 매개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재(500)는 상기 좌측 삽입부(510)와 우측 삽입부(520) 그리고, 좌측 삽입부(510)와 우측 삽입부(520) 사이의 지지부(5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삽입부(510)와 우측 삽입부(520)는 각각 좌측 연결부재(4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의 개구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삽입부(510)와 우측 삽입부(520)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좌측 체결부(511)와 우측 체결부(521)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회전시 상기 매개부재(500)와 나사 결합되면서 강기 좌측 연결부재(400)와 우측 연결부재(20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30)는 상기 매개부재(500)의 중앙에서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완전한 결합시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단부와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30)의 좌우 양측에는 좌측 결합 확인부재(540)와 우측 결합 확인부재(5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좌측 연결부재(400)와 우측 연결부재(200)의 나사 결합시 상기 좌측 결합 확인부재(540)와 우측 결합 확인부재(550)의 식별 여부에 따라 피팅이 완전히 이루어진 것을 확인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삽입부(510)와 우측 삽입부(520)의 개구된 단면에는 경사부(560)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560)의 단부에는 다시 삽입부(57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 관(30)과 우측 관(20)이 삽입된 상태에서 피팅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경사부(560)와 삽입부(570)에 의해 상기 그립부(141)는 변형되어 상기 좌측 관(30) 및 우측 관(20)을 눌러 고정 및 실링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관이 삽입되는 커넥터가 밸브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좌측 연결부재 및 매개부재를 대신하여 밸브의 연결부에 우측 연결부재가 체결되는 구조로 좌측 연결부재 및 매개부재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연결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커넥터(3)는 밸브(6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밸브(600)는 유체를 분배/보충/배출 등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상기 밸브(600)의 어느 한 연결관로에 관(20)을 연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에어컨에 사용되는 서비스 밸브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밸브의 종류에는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3)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밸브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상기 밸브(600)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좌측 연결부재(도 2에서 100) 및 매개부재(도 2에서 300) 구조와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는 연결부(60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601)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610)와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부(6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610)와 체결부(620)가 인접하는 모서리에는 결합 확인부재(63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601)의 내측에는 삽입되는 관의 단부가 밀착되는 실링부(64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601)의 개구된 단면에는 경사부(6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650)의 단부에는 삽입부(660)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600)에는 연결부재(200)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우측 연결부재(도 2에서 200)와 그 구조가 동일하며, 내부에는 패럴어셈블리(220)와 오링(210)이 구비되어 상기 관(20)이 상기 연결부재(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개구된 우측면에는 상기 관(20)이 관통되는 절연부재(150)가 안착되는 절연부재 안착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절연부재(150)와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 절연부재(150)는 상기 연결부재(200)와 상기 관(20)이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관(20)이 상기 연결부재(200)와 접촉되어 전위차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연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150)는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절곡된 플렌지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5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개구된 우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부(151) 및 상기 삽입부(152)와 대응하는 형상의 플렌지 안착부(161)와 수용부(16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상기 절연부재(150)가 압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절연부재(15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150)는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부재(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의 수용부(162)는 상기 삽입부(15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재(150)의 압입시 상기 절연부재(150)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20)이 설정된 깊이만큼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연결부재(200)를 상기 밸브(600)의 체결부(620)에 나사결합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200)를 완전히 체결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200) 단부의 확인부재 수용부(206)가 상기 결합 확인부재(630)를 가리게 되어 사용자는 피팅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링(210)은 상기 연결부재(200)와 상기 관(20)의 사이를 기밀하고, 상기 록킹링(130)에 의해 고정된 패럴(140)은 그립부(141)의 단부가 상기 경사부(650)와 상기 삽입부(660)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변형되어 상기 관(20)의 외측면을 눌러서 변형시키게 되고, 상기 관(20)이 연결부(601)의 내측에서 기밀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관(20)은 상기 절연부재(150)와 상기 패럴 어셈블리(22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관(20)의 외측면과 상기 연결부재(200)의 내측면과는 이격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와 상기 관(20)의 접촉에 의한 전위차 부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제1관이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에 연결부재가 체결되어 피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좌측 연결부재 및 매개부재를 대신하여 연결관의 연결부에 연결부재가 체결되는 구조로 좌측 연결부재 및 매개부재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연결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커넥터(4)는 제1관(701)과 연결되는 확관 연결부재관, 상기 확관 연결부재에 체결되는 연결부재(2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관 연결부재(700)의 내부에는 제1관(701)이 삽입되는 제1삽입부(70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관(701)은 확관방식의 다른 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단부에 경사면(7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관(70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삽입부(70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760)과 대응하는 나사산(70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관(701)에 상기 확관 연결부재(700)는 회전되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경사면(704)과 상기 제1삽입부(702)의 내측면의 사이에는 실링부재(705)가 구비된다. 상기 실링부재(705)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관(701) 및 상기 확관 연결부재(700)보다 무른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1관(701)의 체결에 의한 가입시 상기 제1관(701)의 경사면(704)과 상기 제1삽입부(702)의 내측면이 각각 상기 실링부재(705)에 밀착되어 기밀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관(701)은 확관방식의 다른 관과 연결될 수 있는 배관으로 구성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밸브의 일 구성이 채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삽입부(702)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와 결합되는 연결부(75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확관 연결부재의 외부 특히 상기 연결부재(200)와 결합되는 연결부(750)의 형상은 전술한 제3실시예의 연결부(도 15에서 600) 구조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제1관(701)이 삽입되는 제1삽입부(702)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삽입된 제2관(20)이 수용되며, 상기 연결부재(200)와 결합되는 연결부(75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750)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7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720)의 단부에는 단차지게 돌출되는 지지부(71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710)와 체결부(720)의 사이에는 결합 확인부재(7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750)의 내측에는 삽입되는 제2관(20)의 단부가 밀착되는 실링부(74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750)의 개구된 단면에는 경사부(6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650)의 단부에는 삽입부(66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확관 연결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재(200)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전술한 제3실시예의 연결부재(200)와 그 구조가 동일하며, 내부에는 패럴어셈블리(220)와 오링(210)이 구비되어 상기 제2관(20)이 상기 연결부재(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개구된 우측면에는 상기 관(20)이 관통되는 절연부재(150)가 안착되는 절연부재 안착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절연부재(150)와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 절연부재(150)는 상기 연결부재(200)와 상기 관(20)이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관(20)이 상기 연결부재(200)와 접촉되어 전위차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연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150)는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절곡된 플렌지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5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개구된 우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부(151) 및 상기 삽입부(152)와 대응하는 형상의 플렌지 안착부(161)와 수용부(16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상기 절연부재(150)가 압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절연부재(15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150)는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부재(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의 수용부(162)는 상기 삽입부(15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재(150)의 압입시 상기 절연부재(150)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관(20)이 설정된 깊이만큼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연결부재(200)를 상기 체결부(720)에 나사 결합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200)를 완전히 체결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200) 단부의 확인부재 수용부(206)가 상기 결합 확인부재(730)를 가리게 되어 사용자는 피팅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링(210)은 상기 연결부재(200)와 상기 제2관(20)의 사이를 기밀하고, 상기 록킹링(230)에 의해 고정된 패럴(240)은 그립부(241)의 단부가 상기 경사부(650)와 상기 삽입부(660)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변형되어 상기 제2관(20)의 외측면을 눌러서 변형시키게 되고, 상기 제2관(20)이 상기 연결부(750)의 내측에서 기밀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관(20)은 상기 절연부재(150)와 상기 패럴 어셈블리(22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관(20)의 외측면과 상기 연결부재(200)의 내측면과는 이격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와 상기 관(20)의 접촉에 의한 전위차 부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엘보우 형태의 연결관에 제1관 및 제2관이 삽입되는 한쌍의 연결부재가 체결되어 피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좌측 연결부재 및 매개부재를 대신하여 연결관에 형성된 한쌍의 연결부에 연결부재들이 체결되는 구조로 좌측 연결부재 및 매개부재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연결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커넥터(5)는 엘보 형상의 연결관(800)과, 상기 연결관(800)에 체결되는 제1연결부재(200) 및 제2연결부재(80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800)은 일 례로 엘보우(elblow) 형태의 관일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관(80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연결관(800)의 양 측단에는 각각 제1연결부(801)와 제2연결부(802)가 형성되며,상기 제1연결부(801)와 제2연결부(802)에는 각각 제1관(20)과 제2관(40)이 삽입된 제1연결부재(200)와 제2연결부재(803)가 체결되어 피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801) 및 제2연결부(802) 그리고 제1연결부재(200) 및 제2연결부재(803)는 그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뿐 그 구조와 형상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801)와 제1연결부재(200)의 구성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제2연결부(802) 및 제2연결부재(803)의 구성은 상기 제1연결부(801) 및 제1연결부재(200)와 동일함을 밝혀둔다.
상기 제1연결부(801)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200)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제1체결부(8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820)의 단부에는 단차지게 돌출되는 제1지지부(8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810)와 제1체결부(820)의 사이에는 제1결합 확인부재(8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801)의 내측에는 삽입되는 제1관(20)의 단부가 밀착되는 제1실링부(840)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부(820) 개구된 단면에는 경사부(8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850)의 단부에는 삽입부(86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800)의 제1연결부(801)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200)가 결합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200)는 전술한 제3실시예의 연결부재와 그 구조가 동일하며, 내부에는 패럴어셈블리(220)와 오링(210)이 구비되어 상기 제1관(20)이 상기 제1연결부재(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200) 및 제2연결부재(803)의 개구된 각면에는 상기 제1관(20)과 제2관(40)이 관통되는 절연부재(150)가 안착되는 절연부재 안착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부재(150)와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 절연부재(150)는 상기 제1연결부재(200) 및 제2연결부재(803)와 상기 제1관(20) 및 제2관(40)이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제1관(20) 및 제2관(40)이 상기 제1연결부재(200) 및 제2연결부배(803)와 접촉되어 전위차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연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150)는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절곡된 플렌지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5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상기 제1연결부재(200) 및 제2연결부재(803)의 개구된 각면에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부(151) 및 상기 삽입부(152)와 대응하는 형상의 플렌지 안착부(161)와 수용부(16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상기 절연부재(150)가 압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절연부재(15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150)는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연결부재(200) 및 제2연결부재(803)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의 수용부(162)는 상기 삽입부(15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재(150)의 압입시 상기 절연부재(150)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관(20)이 설정된 깊이만큼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1연결부재(200)를 상기 제1체결부(820)에 나사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200)를 완전히 체결하게 되면, 상기 제1연결부재(200) 단부의 제1확인부재 수용부(206)가 상기 제1결합 확인부재(830)를 가리게 되어 사용자는 피팅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링(210)은 상기 제1연결부재(200)와 상기 제1관(20)의 사이를 기밀하고, 상기 록킹링(230)에 의해 고정된 패럴(240)은 그립부(241)의 단부가 상기 경사부(850)와 상기 삽입부(860)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변형되어 상기 제1관(20)의 외측면을 눌러서 변형시게 되고, 상기 제1관(20)이 상기 제1연결부(801)의 내측에서 기밀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연결부재(803)에는 제2관(40)이 삽입되며, 내부에는 오링과 패럴어셈블리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803)는 전술한 제1연결부재(20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동일하게 상기 제2연결부(802)에 피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T"자 형태의 연결관에 제1관, 제2관 및 제3관이 삽입되는 다수의 연결부재가 체결되어 피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좌측 연결부재 및 매개부재를 대신하여 연결관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에 연결부재들이 체결되는 구조로 좌측 연결부재 및 매개부재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연결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커넥터(6)는 "T"자 형상의 연결관(900)과, 상기 연결관(900)에 체결되는 제1연결부재(200), 제2연결부재(904) 및 제2연결부재(90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900)은 일 례로 "T"자 모양의 분지관 형태의 관일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관(90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연결관(900)의 양 측단에는 각각 제1연결부(901)와 제2연결부(902) 및 제3연결부(903)가 형성되며,상기 제1연결부(901)와 제2연결부(902) 및 제3연결부(903)에는 각각 제1관(20)과 제2관(50) 및 제3관(60)이 삽입된 제1연결부재(200)와 제2연결부재(904) 및 제3연결부재(905)가 체결되어 피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901), 제2연결부(902) 및 제3연결부(903) 그리고 제1연결부재(200), 제2연결부재(904) 및 제3연결부재(905)는 그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뿐 그 구조와 형상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901)와 제1연결부재(200)의 구성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제2연결부(902) 및 제2연결부재(904)와 제3연결부(903) 및 제3연결부재(905)의 구성은 상기 제1연결부(901) 및 제1연결부재(200)와 동일함을 밝혀둔다.
상기 제1연결부(901)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200)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제1체결부(9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920)의 단부에는 단차지게 돌출되는 제1지지부(9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910)와 제1체결부(920)의 사이에는 제1결합 확인부재(9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901)의 내측에는 삽입되는 제1관(20)의 단부가 밀착되는 제1실링부(940)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부(920)의 개구된 단면에는 경사부(9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950)의 단부에는 삽입부(96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900)의 제1연결부(901)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200)가 결합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200)는 전술한 제3실시예의 연결부재와 그 구조가 동일하며, 내부에는 패럴어셈블리(220)와 오링(210)이 구비되어 상기 제1관(20)이 상기 제1연결부재(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관(20)이 설정된 깊이만큼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1연결부재(200)를 상기 제1체결부(920)에 나사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200)를 완전히 체결하게 되면, 상기 제1연결부재(200) 단부의 제1확인부재 수용부(906)가 상기 제1결합 확인부재(930)를 가리게 되어 사용자는 피팅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링(210)은 상기 제1연결부재(200)와 상기 제1관(20)의 사이를 기밀하고, 상기 록킹링(230)에 의해 고정된 패럴(240)은 그립부(241)의 단부가 상기 경사부(950)와 상기 삽입부(960)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변형되어 상기 제1관(20)의 외측면을 눌러서 변형시게 되고, 상기 제1관(20)이 상기 제1연결부(901)의 내측에서 기밀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연결부재(904)에는 제2관(50)이 삽입되고 제3연결부재(905)에는 제3관(60)이 삽입되며, 이들 각각의 내부에는 오링(210)과 패럴어셈블리(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904)와 제3연결부재(905)는 전술한 제1연결부재(20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동일하게 상기 제2연결부(902) 및 제3연결부(903)에 피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200), 제2연결부재(904) 및 제3연결부재(905)의 개구된 각면에는 상기 제1관(20), 제2관(50) 및 제3관(60)이 관통되는 절연부재(150)가 안착되는 절연부재 안착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부재(150)와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 절연부재(150)는 상기 제1연결부재(200), 제2연결부재(904) 및 제3연결부재(905)와 상기 제1관(20), 제2관(50) 및 제3관(60)이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제1관(20) 및 제2관(40)이 상기 제1연결부재(200), 제2연결부재(904) 및 제3연결부재(905)와 접촉되어 전위차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연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150)는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절곡된 플렌지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200), 제2연결부재(904) 및 제3연결부재(905)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5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상기 제1연결부재(200), 제2연결부재(904) 및 제3연결부재(905)의 개구된 각면에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부(151) 및 상기 삽입부(152)와 대응하는 형상의 플렌지 안착부(161)와 수용부(16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는 상기 절연부재(150)가 압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절연부재(15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150)는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연결부재(200), 제2연결부재(904) 및 제3연결부재(904)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 안착부(160)의 수용부(162)는 상기 삽입부(15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재(150)의 압입시 상기 절연부재(150)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관이 연결된 연결부재가 상호 결합되거나, 밸브, 엘보관, T자형관, 등 기타 관이 접속된 다른 연결관에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하나의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타측의 연결부재 또는 연결관을 상대물이라 칭할 수 있다.

Claims (20)

  1. 유체가 유동하는 관을 피팅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기 관이 설정된 길이만큼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연결부재;
    절연 소재로 튜브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관이 관통되도록 상기 삽입구에 장착되어 상기 관과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면이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절연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결합되며, 결합에 의해 상기 관과 내부의 유로가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상대물;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관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관과 연결부재의 사이를 기밀하는 패럴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패럴어셈블리는,
    상기 관의 삽입시 상기 관의 외측면을 눌러 상기 패럴어셈블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링;
    상기 록킹링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상대물의 완전한 결합시 상기 관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변형되면서 상기 관과 연결부재 사이를 기밀시키는 패럴을 포함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시 상기 관의 외측면과 상기 관의 사이를 기밀하는 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상기 패럴어셈블리와 상기 관이 관통되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 둘레와 접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측방에 각각 돌출되며, 일측은 상기 관과 상기 연결부재의 사이를 기밀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패럴어셈블리를 지지하는 한쌍의 측방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링은,
    상기 패럴의 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패럴에 고정되는 링 장착부와;
    내측 둘레를 따라서 다수개가 상기 관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며, 상기 관의 외측면에 단부가 박혀 고정되는 관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럴은,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오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록킹링이 결합되는 록킹링 안착부와;
    상기 록킹링 안착부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관과 접하는 그립링의 단부가 위치되는 패럴 경사면과;
    상기 록킹링 안착부의 일단에서 상기 관의 삽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변형에 의해 상기 관의 외측면과 접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내주면에서 둘레를 따라 함몰되어 상기 그립링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물의 일측에는 링 형상의 결합 확인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완전한 체결시 상기 결합 확인부재를 차폐하는 확인부재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상대물의 사이에는 상기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매개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상대물의 결합시 상기 매개부재는 상기 패럴어셈블리를 가압하여 상기 패럴어셈블리의 단부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재는,
    상기 관이 삽입되는 개구된 단부에서 점차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상기 관의 외경보다 더 좁은 내경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며,
    상기 패럴어셈블리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대물의 결합에 따라 상기 경사부를 지나 상기 삽입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우측에 구비되는 우측 연결부재이며,
    상기 상대물은 상기 연결부재의 좌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개구된 내측으로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좌측 연결부재이며,
    상기 좌측 연결부재에는 상기 관과 연통되는 다른 관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관에 고정되며, 상기 록킹링 및 패럴어셈블리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좌측 록킹링 및 좌측 패럴어셈블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삽입되는 상기 관과, 상기 상대물에 삽입되는 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물은 상기 연결부의 개구된 내측면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회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물은 밸브, "L"자형 관 또는 "T"자형 관이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밸브, "L"자형 관 또는 "T"자형 관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테프론, 폴리카보네이드, 나일론과 같은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절연부재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절연부재가 압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절연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절연부재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관이 관통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개구된 단부에 안착되는 플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절연부재가 장착되는 절연부재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재 장착부는,
    상기 삽입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플렌지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되는 플렌지 안착부와,
    상기 삽입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삽입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페럴 러셈블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KR1020130161470A 2013-12-23 2013-12-23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KR20150073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470A KR20150073590A (ko) 2013-12-23 2013-12-23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470A KR20150073590A (ko) 2013-12-23 2013-12-23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150A Division KR20150120328A (ko) 2015-10-12 2015-10-12 배관 연결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590A true KR20150073590A (ko) 2015-07-01

Family

ID=5378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470A KR20150073590A (ko) 2013-12-23 2013-12-23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35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135B1 (ko) * 2019-07-30 2019-10-31 (주)에쎈테크 배관용 연결장치
CN110421774A (zh) * 2018-05-06 2019-11-08 内蒙古君诚兴业管道有限责任公司 一种在线自动同心度穿管封堵装置及自动发泡生产线
JP2021520472A (ja) * 2018-04-06 2021-08-19 キム,ブライアン,ビー. チューブの微細な位置調整が可能な接続チューブを作製するための継手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20472A (ja) * 2018-04-06 2021-08-19 キム,ブライアン,ビー. チューブの微細な位置調整が可能な接続チューブを作製するための継手装置
CN110421774A (zh) * 2018-05-06 2019-11-08 内蒙古君诚兴业管道有限责任公司 一种在线自动同心度穿管封堵装置及自动发泡生产线
CN110421774B (zh) * 2018-05-06 2023-11-10 内蒙古君诚兴业管道有限责任公司 一种在线自动同心度穿管封堵装置及自动发泡生产线
KR102039135B1 (ko) * 2019-07-30 2019-10-31 (주)에쎈테크 배관용 연결장치
CN112303364A (zh) * 2019-07-30 2021-02-02 埃森科技株式会社 配管用连接设备
JP2021021478A (ja) * 2019-07-30 2021-02-18 エッセン 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Essen Tech Co.,Ltd. 配管用連結装置
US11060648B2 (en) 2019-07-30 2021-07-13 Essen Tech Co., Ltd.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CN112303364B (zh) * 2019-07-30 2021-12-24 埃森科技株式会社 配管用连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377B1 (ko) 배관 연결용 커넥터
JP4814325B2 (ja) ケーブル接続アセンブリ
JP5608463B2 (ja) 流体継手
KR102066605B1 (ko) 배관연결장치
CN112752919B (zh) 管道连接用装配装置
JP7045684B2 (ja) 管継手
KR101876110B1 (ko) 조인트 유닛
US20190267781A1 (en) Cable entry device for electrical cable housed in a conduit
WO2019009049A1 (ja) 流体機器の接続構造
KR20150073590A (ko) 절연부재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커넥터
US20160258560A1 (en) Joint for high-pressure pipes and joint structure
US20080290658A1 (en) Fitting Structure
KR20150120328A (ko) 배관 연결용 커넥터
KR101618639B1 (ko) 공기조화기용 서비스 밸브 어셈블리
US10495238B2 (en) Fluid sealing device and power cable line
JP2008248983A (ja) 絶縁継手とその継手の組付方法
CN111336298B (zh) 一种阀装置、管路连接结构
JP6515822B2 (ja) 配管用継手
JP6532000B2 (ja) 配管用継手
KR101638835B1 (ko) 파이프 연결구
JP6516079B2 (ja) 配管用継手
US11927286B2 (en) Crimped end connection for flexible hose
KR200473400Y1 (ko) 파이프와 연결관의 연결장치
US11435012B2 (en) Elbow screw joint system
US20230127426A1 (en) Connecting device for a sealed exchange of fluid between two components, connecting system and brak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