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350B1 - Retaining wall block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350B1
KR101661350B1 KR1020160071030A KR20160071030A KR101661350B1 KR 101661350 B1 KR101661350 B1 KR 101661350B1 KR 1020160071030 A KR1020160071030 A KR 1020160071030A KR 20160071030 A KR20160071030 A KR 20160071030A KR 101661350 B1 KR101661350 B1 KR 101661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ock
front unit
compartment
retaining wall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0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동영
박정필
Original Assignee
산천조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천조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산천조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1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3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350B1/en
Priority to PCT/KR2017/005891 priority patent/WO201721340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A front unit block and a rear unit block firmly inserted into a side portion or a vertical portion of the front unit block are assembled to be fit to each other to be arranged in a grid shape during construction of a retaining wall, and various constructions of a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realized through a finishing panel or vegetation of plants and trees provided between one or more front unit blocks and one or more rear unit blocks arranged in a grid shape.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front unit block to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ear unit block to enable the retaining wall to be arranged to be bent.

Description

옹벽블록 조립체 {Retaining wall block}{Retaining wall block}

본 발명은 옹벽블록 조립체, 특히 전면 연출 시공이 가능한 옹벽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in particular, a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capable of being provided with a front wall.

일반적으로, 도로의 비탈면이나 하천 변의 사면에 유실을 막기 위해서 콘크리트 블록을 시공하고 있다.Generally, a concrete block is installed to prevent leakage on the slope of the road or slope of the river side.

콘크리트 블록을 수단으로 하는 옹벽 축조는 특허문헌 1에 제안되었듯이 토지 또는 절개지에 토사의 유실로 인한 변형 및/또는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어, 식생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주변 환경과 조화되지 못하여 미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높다. As prop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sing concrete blocks is designed to prevent deformation and / or collapse due to the loss of soil on the land or the cut-out site, and thus the vegetation is not only impossible but also eco-friendly It is not possible to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o damage the beauty.

덧붙여서, 종래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은 인접하게 배치된 블록 간에 단순한 핀 결합을 통해 고정하고 있어 블록 상호 간의 지지력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In addition,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fixed through simple pin connection between adjacent blocks, so that it is impossible to secure the supporting force between the block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858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78581

본 발명은 옹벽 축조시 전방 단위블록과 이 전방 단위블록의 측부 또는 상하부로 후방 단위블록을 견고하게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하는 옹벽블록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for rigidly fitting a front unit block and a rear unit block to a side portion o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unit block at the time of building a retaining wall.

덧붙여서, 본 발명은 전방 단위블록과 후방 단위블록을 격자무늬로 배열하고, 전방 단위블록 간의 이격 공간에 다양한 문양과 무늬를 갖춘 마감 패널의 장착 혹은 관목 등의 식재를 통해 옹벽블록의 전면을 다양하게 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unit block and the rear unit block are arranged in a lattice pattern,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s variously formed by mounting a finishing panel having various patterns and patterns in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front unit blocks, So that it can be direc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 조립체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전면과, 후면, 외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연결홈과, 외부면의 전단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 전단측 상면에 형성된 상부 연결공, 및 전단측 하면에 형성된 하부 연결공을 갖춘 좌측면, 및 외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연결홈과 외부면의 전단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 전단측 상면에 형성된 상부 연결공, 및 전단측 하면에 형성된 하부 연결공을 갖춘 우측면을 구비한 전방 단위블록과;A connecting groov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outer surface, an upper connecting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n the front end side, and a lower connecting hol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side, And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outer surface, an upper connecting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n the front end side, and a lower connecting hol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side, A front unit block having a right side having a front side;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통형상의 돌기부와 내부 영역에 하나 이상의 배수공을 갖춘 전면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을 갖춘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구비한 후방 단위블록;A rear unit block having a semi-cylindrical project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a front surface having one or more drain holes in the inner area, a rear surface, a left surface, and a right surface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전방 단위블록의 상부 연결공과 수직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된 전방 단위블록의 하부 연결공 사이에 끼워 넣어져 상호 조립하는 연결핀; 및A connecting pin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connecting holes of the front unit block arranged adjacent to the upper connecting hole of the front unit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ssembled to each other; And

후방 단위블록의 결합공에 결합되어 배면의 성토체로 길이연장되는 커플러;로 이루어진다. And a coupler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rear unit block and extend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back surface.

본 발명은 후방 단위블록의 반원통형상의 양 돌기부를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반원통형상의 연결홈에 수용하여, 후방 단위블록이 전방 단위블록을 회동가능하게 지지보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protrusions on the semi-cylindrical shape of the rear unit block are housed in semi-cylindrical connection groove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a front unit block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rear unit block can rotate It can support and hold.

본 발명에서, 전방 단위블록의 후면은 양 단부에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unit block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at both ends.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수용홈 사이에 삽입되는 마감 패널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nishing panel inserted between the receiving grooves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front unit block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선택가능하기로, 전방 단위블록은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를 가로지르는 구획벽을 통해 제1 격실과 제2 격실을 구획하고, 구획벽은 제1 격실과 제2 격실 사이를 유체연통하는 배수공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forward unit block divides the first compartment and the second compartment through a partition wall transvers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compartment wall defines a drain hole in fl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mpartment and the second compartment As shown in FIG.

여기서, 구획벽은 전방 단위블록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연결홈보다 후단측에 배치되게 한다. 이는 후방 단위블록의 전면을 하단 열에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의 제1 격실 상에 배열될 수 있게 한다. Here, the partition wall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semi-cylindrical connection groove formed on the left side surface and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front unit block. This allows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unit block to be arranged on the first compartment of the front unit block disposed in the bottom row.

커플러는 가늘고 긴 수평 바아와, 이 수평 바아의 일단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수직 바아, 및 수평 바아의 타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upler may include an elongated horizontal bar, a vertical bar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and a bent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ar.

전방 단위블록은 제1 격실의 하방을 폐쇄하는 바닥면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The front unit block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surface that closes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mpartment.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전방 단위블록과 하나 이상의 후방 단위블록을 상호 교호적으로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되어 격자무늬로 배열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front unit blocks and one or more rear unit blocks are arranged in a grid pattern by interdigitally fitting together.

본 발명은 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 사이에 마감 패널을 배치하거나 초목류를 식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옹벽의 전면을 다양하게 연출하여 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arranging a finishing panel between front unit block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ateral direction or designing a plant flow to variously design the whole of the retaining wall.

또한, 본 발명은 토지 또는 절개지의 굴곡에 맞춰 일직선 뿐만 아니라 오목하고 혹은 볼록하게 옹벽을 굴곡 배열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방 단위블록과 후방 단위블록을 상호 회동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어 옹벽 축조시 토지 또는 절개지의 형상에 맞춰 굴곡을 주기 위한 별도의 구성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rrange the retaining wall in a concave or convex manner as well as a straight line in accordance with the bending of the land or the incision. Particularly, since the front unit block and the rear unit block can be assembled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omponent for flexing in conformity with the shape of the land or the cutter when the retaining wall is built.

본 발명은 토지 또는 절개지와의 체결 뿐만 아니라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적층된 전방 단위블록과 후방 단위블록을 상호 결합되게 하여 더욱 견고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more rigid retaining wall by joining the front unit block and the rear unit block stack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well as the fastening with the land or the cutter.

본 발명은 전방 단위블록, 구체적으로 제1 격실에서 초목류의 식재를 가능하도록 지하수 혹은 우수 등의 급수와 배수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water supply and drainage function such as groundwater or stormwater to enable plants in the forward unit block, specifically the first compartment, to be plan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 조립체의 축조상태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옹벽블록 조립체의 축조상태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a)는 전방 단위블록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전방 단위블록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A-A 선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후방 단위블록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후방 단위블록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B-B 선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옹벽블록 조립체의 전방 단위블록과 후방 단위블록의 조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a)는 다른 실례에 따른 전방 단위블록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b)는 다른 실례에 따른 전방 단위블록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6(c)는 도 6(a)의 C-C 선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전면 연출을 혼합하여 시공한 축조상태를 도해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shown in FIG. 1, viewed from the rear. FIG.
FIG. 3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unit block viewed from above, FIG. 3 (b)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unit block viewed from below, and FIG. 3 (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unit block viewed from above,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unit block seen from below, and FIG. 4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state of the front unit block and the rear unit block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6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unit block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viewed from above, FIG. 6 (b)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ward unit block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s viewed from below,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uilt state in which various front projections are mixed and constructed. FIG.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 조립체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Now, a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features, and ways of accomplish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 내지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 조립체는 토지 또는 절개지에 토사의 유실로 인한 변형 및/또는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축조방식으로 시공되는 조적식 벽체(壁體) 구조물이다. 1 and 2, a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onry-type wall body (not shown) mounted on a building or a cutout to prevent deformation and / Wall body) structure.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 조립체는 전방 단위블록(100)과 후방 단위블록(200)을 수평방향으로 결합하여 하단 열을 구성하고, 다시 전방 단위블록(100)과 후방 단위블록(200)을 순차적으로 결합한 다른 열을 앞서 기술된 하단 열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옹벽블록 조립체는 옹벽의 횡방향(혹은 수평방향)을 따라 전방 단위블록(100)과 후방 단위블록(200)을 교호적(交互的)으로 조립하는 한편, 옹벽의 종방향(혹은 수직방향)을 따라 전방 단위블록(100)과 후방 단위블록(200)를 교대로 적층하여 쌓는다. Preferably, th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ont unit block 100 and a rear unit block 200 horizontally coupled to constitute a bottom row, The other rows sequentially connecting the unit blocks 200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row described above to form the wall. That is, th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s the front unit block 100 and the rear unit block 200 alternately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r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front unit block 100 and the rear unit block 200 are alternately stacked and stack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옹벽 축조시 전방 단위블록(100)과, 이 전방 단위블록(100)의 측부 및/또는 상하부에 후방 단위블록(200)을 견고하게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하도록 설계되어, 다수의 전방 단위블록과 다수의 후방 단위블록을 격자무늬로 배열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rigidly fit the rear unit block 200 at the side and / o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unit block 100 and the front unit block 100 at the time of building a retaining wall, The front unit block and the plurality of rear unit blocks can be arranged in a lattice pattern.

본 발명은 옹벽블록 조립체를 전술된 방식으로 조적(組積)하여 옹벽 벽체의 배면측에 토사 및 골재를 성토한 성토체(700)를 구성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o construct the embedding body 700 that embeds the soil and aggregate on the back side of the retaining wall wall.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성토체(700)는 지반 상에 일정 두께로 성토와 다짐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지오그리드(600)를 매설할 수 있다.A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embeddable body 700 may be embedded with the geogrid 600 while repeatedly performing embankment and compaction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ground.

지오그리드(600)는 종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후방 단위블록(200) 사이에 삽입되되, 후방 단위블록(200)의 후면에 결합된 커플러(500)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전개되면서 성토체(700) 상에 포설된다. 그런 다음에, 지오그리드(600)는 그 위에 성토체(700)로 다시 성토하여 성토체 내부에 전개된 상태로 매설되어 성토체와의 마찰 저항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의 변위를 구속할 수 있게 된다. The geogrid 600 is inserted between a plurality of rear unit blocks 200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coupler 500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unit block 200, Lt; / RTI > Then, the geogrids 600 are buried in the embankment body 700 and embedded in the embankment body, so that the geogrid 600 can restrain the displacement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embankment body .

또한, 본 발명은 지오그리드(600) 및/또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후방 단위블록(200)을 결합하는 커플러(500)를 구비한다. 커플러(500)의 타단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성토체 내부로 박아줌으로써 옹벽과 지오그리드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coupler 500 coupling the geogrid 600 and / or the vertically stacked rear unit blocks 200. The other end of the coupler 500 is bent downward and is pushed into the inside of the embedding body so that a sufficient supporting force for the retaining wall and the geogrids can be secured.

도 3은 옹벽의 전면에 노출되는 전방 단위블록을 개략적으로 도해하고 있다.Fig.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front unit block exposed in front of a retaining wall.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단위블록(100)은 전면(110)과 이와 마주보는 후면(120), 좌측면(130)과 이와 마주보는 우측면(140), 및 좌측면(130)과 우측면(140) 사이를 가로지르는 구획벽(150)을 구비한다. 전방 단위블록(100)은 전면(110)과, 후면(120), 좌측면(130), 및 우측면(140)으로 한정된 내부공간을 구획벽(150)을 통해 제1 격실(160)과 제2 격실(170)로 구분하여 이중 격실을 갖추게 된다. 구획벽(150)은 전방 단위블록(100)의 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응력을 제공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The front unit block 100 includes a front surface 110 and a rear surface 120 facing the left surface 130 and a right surface 140 facing the front surface 110 and a left surface 130 and a right surface 140, A partition wall 150 is provided. The front unit block 100 includes an inner space defined by the front surface 110 and the rear surface 120, the left surface 130 and the right surface 140 via the partition wall 150 to the first compartment 160 and the second compartment 160, And the compartment 170 is divided into two compartments. The partition wall 150 may provide a stress agains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unit block 100 to improve the durability.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격실(160)과 제2 격실(170)은 상부와 하부를 개방하고 있다. As shown, the first compartment 160 and the second compartment 170 are open at the top and bottom.

본 발명에서, 좌측면(130)은 후방 단위블록(200)의 돌기부(214;도 4(a) 참조)를 회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게 외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연결홈(131)과, 이의 전단측에 마감 패널(3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용하게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132), 전단측 상면에 형성된 상부 연결공(133a), 및 전단측 하면에 형성된 하부 연결공(133b)을 구비한다. 특히, 좌측면(130)은 수용홈(132)의 형성방향 전방에 외부방향으로 뻗은 걸림턱(132a)을 구비하는 한편, 수용홈(132)의 형성방향 후방과 좌측면(130) 사이에 모따기부(132b)를 구비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side surface 130 has semi-cylindrical connection grooves 131 (see FIG. 4A) formed vertically on the outer surface so as to be capable of pivotably receiving the protruding portions 214 A receiving groove 132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receive one side edge of the finishing panel 300 at the front end side thereof, an upper connecting hole 133a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end side, and a lower connecting hole 133b. Particularly, the left side surface 130 has a latching protrusion 132a exten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in front of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32, and has a chamfer 132a formed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32 and the left side surface 130, And a base 132b.

좌측면과 대응되게, 우측면(140)은 후방 단위블록(200)의 돌기부(213;도 4(a) 참조)를 회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게 외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연결홈(141)과, 이의 전단측에 마감 패널(3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용하게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142), 전단측 상면에 형성된 상부 연결공(143a), 및 전단측 하면에 형성된 하부 연결공(143b)을 구비한다. 특히, 우측면(140)은 수용홈(142)의 형성방향 전방에 외부방향으로 뻗은 걸림턱(142a)을 구비하는 한편, 수용홈(142)의 형성방향 후방과 우측면(140) 사이에 모따기부(142b)를 구비한다. The right side surface 140 corresponds to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rear unit block 200. The right side surface 140 has a semi-cylindrical connection groove (not shown)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so as to rotatably accommodate the protrusion 213 141, a receiving groove 142 formed in the front end side thereof to receive one side edge of the finishing panel 300 in a vertical direction, an upper connecting hole 143a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end side, (143b). Particularly, the right side surface 140 has a latching protrusion 142a exten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in front of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42, while a chamfered portion 142b is formed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42 and the right side surface 140 142b.

도 4는 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100) 사이에 맞물려 결합되는 하방 단위블록을 개략적으로 도해하고 있다.Fig. 4 schematically illustrates a lower unit block engaged between the front unit blocks 100 disposed laterally spaced apart.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단위블록(200)은 전면(210)과 이와 마주보는 후면(220), 좌측면(230), 및 좌측면(230)과 마주보는 우측면(240)을 구비한다. 후방 단위블록(200)은 전면(210)과, 후면(220), 좌측면(230), 및 우측면(240)으로 한정된 내부공간의 채움공(260)을 형성하는데, 채움공(260)은 배수 및 하방 단위블록(2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쇄석 및/또는 토양으로 채우기 위해 상면과 하면을 개방한 관통 구조를 갖는다.The rear unit block 200 has a front surface 210 and a rear surface 220 facing the left surface 230 and a right surface 240 facing the left surface 230. The rear unit block 200 forms a filling hole 260 of the inner space defined by the front face 210 and the rear face 220, the left face 230 and the right face 240, And a through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ed to fill with crushed stone and / or soil to prevent the flow of the lower unit block 200.

본 발명에서,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면(210)은 이의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길이연장된 반원통형상의 돌기부(213,214)를 구비한다.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면(210)은 내부 영역에 하나 이상의 배수공(211)을 구비하는데, 배수공(211)은 채움공(260) 내부에 물을 전방,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열에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100)의 제1 격실(160)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ace 210 of the rear unit block 200 has semi-cylindrical protrusions 213 and 214 extending longitudinally at both ends thereof. The front surface 210 of the rear unit block 20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drain hole 211 in the inner area such that the drain hole 211 allows water to flow forward into the fill hole 260, To the first compartment 160 of the front unit block 100 disposed in the column.

축조시, 반원통형상의 돌기부(213)는 반원통형상의 연결홈(141) 내부에 삽입되는 한편, 반원통형상의 돌기부(214)는 반원통형상의 연결홈(131) 내부로 삽입된다. The cylindrical protrusion 213 is inserted into the semi-cylindrical connection groove 141 while the semi-cylindrical protrusion 214 is inserted into the semi-cylindrical connection groove 131.

또한, 후면(220)은 커플러(500)의 일단에 구비된 수직 바아(520)를 체결하는 결합공(225)을 구비한다. 결합공(225)은 수직 바아(52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공(225) 내부에 수용된 수직 바아(520)의 회동을 가능하게 돕는다. The rear surface 220 has a coupling hole 225 for coupling the vertical bar 520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upler 500. The engaging holes 225 ar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vertical bar 520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bar 520 received within the engaging hole 225.

덧붙여서,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면(210)은 인접하게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100) 간의 이격공간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전방 단위블록(100)을 지지하는 후방 단위블록(200)은 전방 단위블록(10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210 of the rear unit block 200 should be formed to have a width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adjacent front unit blocks 100. The rear unit block 200 supporting the front unit block 100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ront unit block 1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 조립체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옹벽의 횡방향 그리고 종방향을 따라 전방 단위블록(100)과 후방 단위블록(2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Th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front unit block 100 and the rear unit block 200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n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횡방향 조립시, 후방 단위블록(200)이 성토체(700;도 1에 도시됨)의 전면에 배치되고, 후방 단위블록(200)의 양측면에 각 전방 단위블록(100)을 배치한다. 후방 단위블록(200)은 성토체 전면에서 변위되지 않게 결합공(225)에 커플러(500)를 삽입배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플러(500)를 수단으로 하여 후방 단위블록(200)과 성토체(700) 사이를 체결할 수 있다. The rear unit block 200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mbedding body 700 (shown in FIG. 1), and each front unit block 10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ar unit block 200. [ The rear unit block 200 inserts the coupler 500 into the coupling hole 225 so as not to be displac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embedding body.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astened between a rear unit block 200 and an embedding body 700 by means of a coupler 500.

커플러(500)는 가늘고 긴 수평 바아(510)와, 이 수평 바아(510)의 일단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수직 바아(520), 및 이 수평 바아(510)의 타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530)로 이루어져 있다. The coupler 500 includes an elongated horizontal bar 510, a vertical bar 520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510, and a vertical bar 520 bent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ar 510 As shown in Fig.

수직 바아(520)는 후방 단위블록(200)의 결합공(225)에 끼워지고 필요에 따라 메쉬형태의 지오그라이드를 관통해 후방 단위블록(200)에서 커플러(500)의 위치선정을 돕는다. 참고로, 수직 바아(5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인접하게 적층된 후방 단위블록(200)의 결합공(225) 사이에 끼워 넣어져 수직배열된 후방 단위블록(200) 간의 위치고정을 돕는다. 수평 바아(510)는 수직 바아(520)에서 직교되게 성토체 및 지오그라드를 향해 길이연장된다. 절곡부(530)는 도시되었듯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어 성토체 내부에 박혀 성토체로부터 후방 단위블록(200)의 변위를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지오그라드의 전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The vertical bar 520 is fitted in the coupling hole 225 of the rear unit block 200 and passes through the geogrid in the form of a mesh as needed to help position the coupler 500 in the rear unit block 200. For reference, the vertical bar 520 is inserted between the engaging holes 225 of the rear unit block 200 stacked adjacent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to fix the position between the vertically arranged rear unit blocks 200 Help. The horizontal bar 510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embankment and the geograd in the vertical bar 520. The bent portion 530 is bent downward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bent portion 530 is embedded in the embedding body to prevent the rear unit block 200 from being displaced from the embossed body, and the expanded state of the geogrude can be maintained.

후방 단위블록(200)의 반원통형상의 돌기부(213)는 전방 단위블록(100)의 반원통형상의 연결홈(141)에 배치하는 한편, 이와 상응되게 반원통형상의 돌기부(214)는 전방 단위블록(100)의 반원통형상의 연결홈(131)에 배치한다. 이로써, 인접하게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후방 단위블록(200)의 반원통형상의 돌기부(213,214)는 전면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이들 돌기부(213,214)를 전방 단위블록(100)의 측면(140,130)에 형성된 연결홈(141,131)에 끼워 넣고 있어 전방 단위블록(100)은 후방 단위블록(200) 보다 전면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The semi-cylindrical protrusion 213 of the rear unit block 200 is disposed in the semi-cylindrical connection groove 141 of the front unit block 100 while the semi-cylindrical protrusion 214 corresponds to the front unit block 100 in the semi-cylindrical connection groove 131. [ As a result, the front unit blocks 10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Particularly, the semicylindrical protrusions 213 and 214 of the rear unit block 20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protrusions 213 and 214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grooves 141 and 131 formed in the side surfaces 140 and 130 of the front unit block 100 The front unit block 100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front unit block 200 more than the rear unit block 200. [

마감 패널(300)은 일 전방 단위블록(100)의 우측면(140)에 구비된 수용홈(142)과, 이에 인접하게 배치된 타 전방 단위블록(100)의 좌측면(130)에 구비된 수용홈(132) 사이에 끼워져 옹벽의 전면을 마감 연출할 수 있다. The finishing panel 300 includes a receiving groove 142 provided on the right side surface 140 of the one front unit block 100 and a receiving groove 142 provided on the left side surface 130 of the other front unit block 100 disposed adjacent thereto.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finished and formed.

정합되게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100)과 후방 단위블록(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상으로 배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형상으로 혹은 오목형상으로 굴곡 배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반원통형상의 연결홈(141,131)과 반원통형상의 돌기부(213,214)를 회동가능하게 치합시킬 수 있어 전방 단위블록(100)과 후방 단위블록(200)을 상호 치합 상태로 지지보유하면서 만곡되게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마감 패널(300)은 굴곡 배열된 전방 단위블록(100)의 대향되게 배치된 수용홈(132,142) 사이에 삽입장착되는데, 전방 단위블록(100)의 회동 각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수용홈(132,142)에 모따기부(132b,142b)를 제공한다(도 3 참조). The front unit block 100 and the rear unit block 200 arranged in a matched manner may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 7, or may be bent in a convex or concave shape as shown in FIG. 7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ylindrical connecting grooves 141 and 131 and the semicylindrical protrusions 213 and 214 can be rotatably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ront unit block 100 and the rear unit block 200 are supported while being held in mutually meshing state, It offers the advantage of deployability. The finishing panel 300 is inserted between the oppositely arranged receiving grooves 132 and 142 of the front unit block 100 arranged in a bent manner and the receiving grooves 132 and 142 are formed so as not to affect the rotation angle of the front unit block 100. [ (See Fig. 3).

추가로, 본 발명은 전방 단위블록(100)의 후면(120)의 양 단부에 소정의 각도로 모따기되어 있는 경사면(121)을 갖춘다. 만약 전방 단위블록(100)이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면(210)에 각각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돌기부(213,214)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게 되는 경우에, 전방 단위블록(100)의 후면에 경사면(121)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전방 단위블록(100)의 좌측면(130) 및/또는 우측면(140)이 후방 단위블록(200)의 좌측면(230) 및/또는 우측면(240)에 접촉되어 회동이동을 제한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inclined surfaces 121 chamfered at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120 of the front unit block 100 at a predetermined angle. If the front unit block 1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ference to the semi-cylindrical protrusions 213 and 214 formed on the front surface 210 of the rear unit block 200, The left side surface 130 and / or the right side surface 140 of the front unit block 100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surface 230 and / or the right side surface 240 of the rear unit block 200, It is inevitable to limit the pivotal movement.

전방 단위블록(100)과 후방 단위블록(200)을 횡방향으로 결합하여 하단 열을 구성한 다음에 하단 열의 상부에 다른 열을 적층하는 종방향 조립시, 하단 열에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100)은 상부 연결공(133a,143a)에 연결핀(400)을 장착한다. 상단에 배치될 전방 단위블록(100)은 하단 열에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전방 단위블록(100) 간의 이격 공간 위에 배치하는데, 구체적으로 일 전방 단위블록(100)의 우측면(140)과 타 전방 단위블록(100)의 좌측면(130) 상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단에 배치될 전방 단위블록(100)은 하단 열에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100)에 장착된 연결핀(400)을 하부 연결공(133b,143b)에 삽입하여 수직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열된 전방 단위블록들을 확실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front unit block 100 arranged in the lower r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unit row 100 and the rear unit block 200 in the lateral direction to form the lower row column and then to stack the other rows on the lower row, The connection pins 400 are mounted on the upper connection holes 133a and 143a. The front unit block 100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is disposed on the space between the two front unit blocks 10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wer row. Specifically, the front unit block 10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surface 140 of the one front unit block 100, To be seated on the left side surface (130) of the unit block (100). The front unit block 100 to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is formed by inserting the connection pins 400 mounted on the front unit block 100 arranged in the lower row into the lower connection holes 133b and 143b and arranging the front unit blocks 100 arranged in a zigzag arrangement So that the blocks can be reliably bound.

또한, 하단 열에 배치된 후방 단위블록(200)은 결합공(225) 상부에 커플러의 수직 바아(520)를 장착한다. 상단에 배치될 후방 단위블록(200)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길이연장된 수직 바아(520)를 결합공(225) 하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r unit block 200 disposed at the bottom row mounts the vertical bar 520 of the coupler on the coupling hole 225. The rear unit block 200 to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can insert a vertical bar 5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225.

바람직하기로, 전방 단위블록(100)은 대향되게 배치된 반원통형상의 연결홈(131,141)과 구획벽(150)을 일직선상에 배열하도록 한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구획벽은 전방 단위블록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연결홈보다 후단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반원통형상의 연결홈(131,141) 내부로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면(210)의 돌기부(213,214)를 배치함으로써, 후방 단위블록의 전면(210)이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100)의 구획벽(15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후방 단위블록 아래에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100)의 구획벽(150) 상에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면(210)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적층배열은 전면(210)의 배수공(2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이 하부에 배열된 전방 단위블록(100)의 제1 격실(160)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Preferably, the front unit block 100 arranges the semi-cylindrical connecting grooves 131, 141 and the partition wall 150 arranged in a straight line. The partition wall may be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semicylindrical connection groove formed on the left side surface and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front unit block. This is because the protrusions 213 and 214 of the front unit 210 of the rear unit block 200 are disposed in the semi-cylindrical connecting grooves 131 and 141 so that the front unit 210 of the rear unit block is disposed in the front unit block The front face 210 of the rear unit block 200 is seated on the partition wall 150 of the front unit block 100 which can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artition wall 150 of the rear unit block 100 and disposed below the rear unit block 100 . This stacking arrangement can be guided to the first compartment 160 of the front unit block 100 in which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211 of the front surface 210 is arranged below.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된 조립단계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조립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ssembly steps and can be assembled in various order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 조립체는 전면으로 돌출된 전방 단위블록(100)과 배면을 향해 움푹 들어간 후방 단위블록(200)을 횡방향으로 끼움 결합한다. 종방향 조립시, 전방 단위블록(100)의 상부에는 후방 단위블록(200)을 배치하고 이 후방 단위블록(200)의 상부에는 전방 단위블록(100)을 배치하여, 전방 단위블록(100)과 후방 단위블록(200)이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도록 한다. Th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terally engages a front unit block 100 protruded to the front side and a rear unit block 200 recessed toward the rear side. The rear unit block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unit block 100 and the front unit block 1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unit block 200 so that the front unit block 100, So that the rear unit blocks 200 are stacked in a zigzag form.

이는 결과적으로 전방 단위블록(100)과 후방 단위블록(200)을 격자무늬로 배열하게 될 것이다. As a result, the front unit block 100 and the rear unit block 200 will be arranged in a lattice pattern.

도 6은 전반 단위블록의 다른 실례를 개략적으로 도해하고 있다.Fig.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unit block.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단위블록(100')은 전면(110)과 이와 마주보는 후면(120), 좌측면(130)과 이와 마주보는 우측면(140), 좌측면(130)과 우측면(140) 사이를 가로질러 제1 격실(160)과 제2 격실(170)을 구획하는 구획벽(150), 및 제1 격실(160)의 하방을 폐쇄하는 바닥면(180)을 구비한다. 전방 단위블록(100)은 전면(110)과, 구획벽(150), 좌측면(130), 우측면(140), 및 바닥면(180)으로 한정된 제1 격실(160)과 함께 구획벽(150)과, 좌측면(130), 우측면(140), 및 후면(120)으로 한정된 제2 격실(170)을 갖춘 이중 격실을 갖추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격실(160)은 상부를 개방하고 있는데 반해 제2 격실(170)은 상부와 하부를 개방한 관통 구조를 갖는다. As shown, the front unit block 100 'includes a front surface 110 and a rear surface 120 facing the left surface 130, a right surface 140 facing the left surface 130, a left surface 130 and a right surface 140, A partition wall 150 for partitioning the first compartment 160 and the second compartment 170 between the first compartment 160 and the first compartment 160 and a bottom surface 180 closing the first compartment 160 downward. The front unit block 100 includes a first compartment 160 defined by a front surface 110 and a compartment wall 150, a left side surface 130, a right side surface 140 and a bottom surface 180, And a second compartment 170 defined by a left side 130, a right side 140, and a back side 120. [ As shown, the first compartment 160 is open at the top while the second compartment 170 is open at the top and bottom.

특히, 구획벽(150)은 배수공(151)을 구비하여 제1 격실(160)과 제2 격실(170)을 유체연통가능하게 한다. 배수공(151)은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용 배선의 안내경로로 사용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partition wall 150 includes a drain hole 151 to allow fl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mpartment 160 and the second compartment 170. The drain 151 may not only provide a path of movement of water as described below but may also be used as a guide path for power supply wiring.

앞서 기술되었듯이, 제1 격실(160)은 상부를 개방한 공간부로서 그 내부에 흙을 채워 넣어 초목류를 식재할 수도 있다. 이는 옹벽의 전면을 녹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제1 격실(160)은 개방 상부와 후방 단위블록(200)의 배수공(211)을 통해 우수 혹은 지하수 등의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구획벽(150)의 배수공(151)을 통해 여분의 물을 제2 격실(170)로 배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mpartment 160 may be an open space formed by filling up the inside of the first compartment 160 with planting material. This has the effect of recording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The first compartment 160 can be supplied with water such as rainwater or ground water through the drain holes 211 of the open upper and rear unit blocks 200, To the second cell (170).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 조립체에 다양한 전면(前面) 연출을 혼합하여 시공한 축조상태를 도해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built state in which various front surfaces are mixed with a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방 단위블록(100) 사이에 마감 패널(300)을 통해 마감 패널(300)의 문양 혹은 무늬를 통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마감 패널(300) 배면에 조명설비를 장착하여 다양한 조명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s can be seen,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esthetics through the pattern or pattern of the finishing panel 300 through the finishing panel 300 between the front unit blocks 100.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various lighting effects by mounting lighting equipment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nishing panel 300.

본 발명은 다른 유형의 전방 단위블록(100')을 채용함으로써 식생가능한 옹벽을 제공하여 자연친화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natural-friendly environment by providing a vegetable retaining wall by employing another type of forward unit block 100 '.

또한, 본 발명은 토지 또는 절개지의 형상에 따라 오목 혹은 볼록하게 다양한 각도로 굴곡가능하게 조적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so that it can be bent concavely or convexly at various angl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land or cut-out paper.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 조립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can be made by the person having.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100' ----- 전방 단위블록,
200 ----- 후방 단위블록,
300 ----- 마감 패널,
400 ----- 연결핀,
500 ----- 커플러,
600 ----- 지오그리드,
700 ----- 성토체.
100, 100 '---- - forward unit block,
200 ----- rear unit block,
300 ----- Finishing panel,
400 ----- connecting pin,
500 ----- Coupler,
600 ----- Geogrids,
700 ----- Embedded body.

Claims (7)

전면과, 후면, 외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연결홈과, 상기 외부면의 전단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 전단측 상면에 형성된 상부 연결공, 및 전단측 하면에 형성된 하부 연결공을 갖춘 좌측면, 및 외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연결홈과 상기 외부면의 전단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 전단측 상면에 형성된 상부 연결공, 및 전단측 하면에 형성된 하부 연결공을 갖춘 우측면을 구비한 전방 단위블록과;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통형상의 돌기부와 내부 영역에 하나 이상의 배수공을 갖춘 전면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을 갖춘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구비한 후방 단위블록;
상기 전방 단위블록의 상기 상부 연결공과 수직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된 상기 전방 단위블록의 상기 하부 연결공 사이에 끼워 넣어져 상호 조립하는 연결핀; 및
상기 후방 단위블록의 결합공에 결합되어 배면의 성토체로 길이연장되는 커플러;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후방 단위블록의 반원통형상의 돌기부가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전방 단위블록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기 반원통형상의 연결홈에 수용되어, 상기 후방 단위블록이 상기 전방 단위블록을 회동가능하게 지지보유하는 전면 연출 시공이 가능한 옹벽블록 조립체.
A connecting groov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outer surface, an upper connecting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n the front end side, and a lower connecting hol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n the front end side, And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outer surface, an upper connecting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n the front end side, and a lower connecting hol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n the front end side, A front unit block having a right side with a connecting hole;
A rear unit block having a semi-cylindrical project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a front surface having one or more drain holes in the inner area, a rear surface, a left surface, and a right surface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connecting pin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connecting holes of the front unit block arranged adjacently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connecting hole of the front unit block and assembled with each other; And
And a coupler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rear unit block and extend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rear surface unit block,
Cylindrical semi-cylindrical protrusions of the rear unit block are accommodated in the semi-cylindrical connection groove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the front unit block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rear unit block is rotatable Th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front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단위블록의 후면은 양 단부에 경사면을 구비하는 옹벽블록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ar surface of the front unit block has sloped surfaces at both ends thereof.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전방 단위블록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기 수용홈 사이에 삽입되는 마감 패널을 추가로 구비하는 옹벽블록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nishing panel inserted between the receiving grooves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front unit block arranged to be mutually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단위블록은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를 가로지르는 구획벽을 통해 제1 격실과 제2 격실을 구획하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제1 격실과 제2 격실 사이를 유체연통하는 배수공을 추가로 구비하는 옹벽블록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unit block defines a first compartment and a second compartment through a partition wall that crosses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Wherein said partition wall further comprises a drain for fluid communication between said first compartment and said second compartmen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전방 단위블록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연결홈보다 후단측에 배치되는 옹벽블록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artition wall is disposed on a rear end side of a semicylindrical connection groove formed on a left side surface and a right side surface of the front unit blo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가늘고 긴 수평 바아와, 상기 수평 바아의 일단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수직 바아, 및 상기 수평 바아의 타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옹벽블록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er comprises an elongated horizontal bar, a vertical bar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and a bend bent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a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단위블록은 상기 제1 격실의 하방을 폐쇄하는 바닥면을 추가로 구비하는 옹벽블록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ront unit block further comprises a bottom surface that closes below the first compartment.
KR1020160071030A 2016-06-08 2016-06-08 Retaining wall block KR1016613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030A KR101661350B1 (en) 2016-06-08 2016-06-08 Retaining wall block
PCT/KR2017/005891 WO2017213406A1 (en) 2016-06-08 2017-06-07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030A KR101661350B1 (en) 2016-06-08 2016-06-08 Retaining wall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350B1 true KR101661350B1 (en) 2016-10-04

Family

ID=5716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030A KR101661350B1 (en) 2016-06-08 2016-06-08 Retaining wall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3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492U (en) 2017-12-11 2019-06-19 정재우 wall block with lighting fun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627U (en) * 1998-03-28 1999-10-25 오성훈 Connecting Block for Retaining Wall Support
KR200255686Y1 (en) * 2001-08-28 2001-12-13 강정용 a block for a breast wall
KR200354766Y1 (en) * 2004-03-16 2004-06-30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Retaining wall block
KR20100037275A (en) * 2008-10-01 2010-04-09 유희주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20120078581A (en) 2010-12-31 2012-07-10 비더씨건설 주식회사 Retaining wall of raising the groun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627U (en) * 1998-03-28 1999-10-25 오성훈 Connecting Block for Retaining Wall Support
KR200255686Y1 (en) * 2001-08-28 2001-12-13 강정용 a block for a breast wall
KR200354766Y1 (en) * 2004-03-16 2004-06-30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Retaining wall block
KR20100037275A (en) * 2008-10-01 2010-04-09 유희주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20120078581A (en) 2010-12-31 2012-07-10 비더씨건설 주식회사 Retaining wall of raising the grou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492U (en) 2017-12-11 2019-06-19 정재우 wall block with light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530B1 (en) Retaining wall block assembling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407968B1 (en) Concrete Panel for Retaining Wall, and Reinforcing Method of Inclined Surface, and Constructing Method of Water Channel Wall using such Concrete Panel
US20040161307A1 (en) Hybrid retaining wall system
KR20180002439U (en) Retaining wall block
KR101661350B1 (en) Retaining wall block
KR200393052Y1 (en)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KR101678127B1 (en) Block for engineering works
KR100644795B1 (en) the revetment of prefabricated panel
KR100878716B1 (en) Coupling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with Vegetation
KR20180106715A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KR100736269B1 (en) Retaining wall having vertical continuous hole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0636085B1 (en) Assembly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0631379B1 (en) The environmental-friendly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KR100765341B1 (en) Tree planting wall structure
KR20150107437A (en) Block unit for vertical retaining wall
KR100593181B1 (en) A terrace-revetment unit and a process of construction unsing the same
KR100999185B1 (en) Block and construction structure thereby
KR200387146Y1 (en) Coupling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KR100645600B1 (en) Construction block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ed by the construction block
KR100719281B1 (en) A Block assembly for retaining wall
KR101784779B1 (en) An assembly breast wall block having a fixing groove and method of constructing breast wall using the same
KR200372057Y1 (en) vegetation block for assembly revetment
KR100582651B1 (en) Block for installing at housing development
KR101331826B1 (en) Plantable block
KR100794802B1 (en) Plate for revetment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