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269B1 - Retaining wall having vertical continuous hole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 having vertical continuous hole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6269B1 KR100736269B1 KR1020060027021A KR20060027021A KR100736269B1 KR 100736269 B1 KR100736269 B1 KR 100736269B1 KR 1020060027021 A KR1020060027021 A KR 1020060027021A KR 20060027021 A KR20060027021 A KR 20060027021A KR 100736269 B1 KR100736269 B1 KR 1007362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hollow
- panel
- retaining wall
- front pan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02D2200/1664—Shapes polygonal made from multipl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근입식 블록 옹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pproach block retaining wal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근입식 블록 옹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roximity block retaining wall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근입식 블록 옹벽의 옹벽 구조물을 축조하게 되는 중공 블록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ure 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ollow block to build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f the access block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 및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중공 블록의 중공부가 연통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역대응 블록을 형성하는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3B and 3C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relationship of forming the counter-corresponding block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the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block shown in FIG. 3A to communicate.
도 3d는 도 3a에 도시된 상기 중공 블록에 역대응하는 역대응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 3D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nverse counter block corresponding to the hollow block shown in FIG. 3A.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근입식 블록 옹벽의 평단면도로서 (a), (b), (c)는 각각 중공 블록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행과, 역대응 블록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행과, 상기 제2행의 위에 또다시 중공 블록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3행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고, (d)는 중간에 형성되는 앵커 블록 층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FIG. 4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proximity block retaining wall shown in FIG. 2, wherein (a), (b), and (c) are first rows formed by hollow blocks and second rows formed by inverse corresponding blocks, respectively. And a third,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row formed by stacking hollow blocks on top of the second row, and (d)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nchor block layer formed in the middle.
도 5는 빔 설치 위치에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t the beam installation position.
도 6은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ariant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A.
도 7a는 앵커 블록 층을 이루는 앵커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7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nchor block making up the anchor block layer.
도 7b는 앵커 블록 층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7B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anchor block layer.
도 8은 도 4의 (c)에 대응되는 평단면도로서, 앵커 블록의 배치를 변형한 실시예의 평단면도이다. FIG. 8 is a plan 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4C and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n arrangement of an anchor block is modified.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도 4의 (c)에 대응되는 평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의 평단면도이다. 9A and 9B are plan sectional view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FIG. 4C, and are plan sectional views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블록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정면패널과 배면패널 사이에 두 개의 격벽패널이 배치되어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평단면형상의 중공 블록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0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llow block having a flat cross-section in which a hollow part is formed by arranging two partition panels between a front panel and a rear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중공 블록(10)의 변형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 10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nt embodiment of the
도 11은 도 10a에 도시된 중공 블록을 이용하여 근입식 블록 옹벽이 시공되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the proximity block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using the hollow block illustrated in FIG. 10A.
도 12는 도 4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근입식 블록 옹벽의 평단면도이다. FIG. 12 is a plan view of the proximity block retaining wall illustrated in FIG. 11 a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4.
도 13은 도 12의 (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토류판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중공 블록을 사용하여 축조된 옹벽의 평단면도이다. FIG. 13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12A, which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using a hollow block to which an earth plate is integrally attached.
도 14는 도 12의 (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3개의 중공부를 가지는 중공 블록을 사용하여 축조된 옹벽의 평단면도이다. FIG. 14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12A and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using a hollow block having three hollow portions.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중공 블록 10: hollow block
20 : 역대응 블록20: counter block
30 : 중공부30: hollow part
본 발명은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는 근입식 블록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블록을 차례로 적층하여 근입식 옹벽을 축조함에 있어서, 중공부를 구비한 중공 블록의 상기 중공부가 옹벽의 수직방향으로 상, 하 연통하도록 시공됨으로써, 블록 내부에 식물이 활착할 수 있는 식생용 토사부를 형성하여 친환경적인 옹벽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블록의 중량을 경감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근입식 블록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ximity block retaining wall in which a continuous through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pecifically, the hollow part of the hollow block having a hollow portion in the hollow block provided with a hollow part in stacking blocks in sequence to form a retaining wall Since it is constructed to communicate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lant, a vegetation earth and sand portion for vegetation can stick to the inside of the block can be formed to form an environmentally friendly retaining wall and reduce the weight of the block to improve work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block retaining wall having a new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종래의 일반적인 근입식 옹벽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빔(300)을 수직하게 설치하고, 빔(300) 배면으로는 토류판(301)을 설치한 후, 상기 빔(300) 사이에 블 록(302)을 삽입 설치하면서 상기 토류판(301) 배면으로 토사를 쌓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대형 블록이나 패널을 조립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근입식 옹벽을 시공하는 경우도 있다.In the conventional general access retaining wall, as shown in FIG. 1, the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근입식 옹벽의 경우, 블록(302)이 하나의 덩어리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중량이 크며, 그에 따라 블록(302)을 들어 올려 상기 빔(300) 사이에 끼어 적층하거나 빔을 포괄하여 적층할 때의 작업성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미관상으로도 빔이 전면에 노출되거나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적층 구조로 인해 위압감을 주거나 삭막한 분위기를 조성하게 된다. 특히, 근입식 옹벽은 그 구조 특성상 절취 사면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절취 사면의 대부분이 산악 지대의 도로나 아파트 배후 사면에 많기 때문에 환경친화성과 좋은 미관이 강하게 요구된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proximity retaining wall, since the
환경 및 미관에 대한 요구 수준이 증가하면서, 기존의 삭막한 콘크리트 옹벽 대신 블록식 보강토 옹벽이 많이 쓰이고 있다. 이러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소형 블록을 사용하기 때문에 단위 블록의 무게가 적고 상하층 블록들이 엇갈리게 적층되기 때문에 미관상으로 매우 유리하기 때문이다. As the level of demand for environment and aesthetics increases, block reinforced retaining walls are use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concrete retaining walls. This is because the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ses a small block, which is aesthetically advantageous because the weight of the unit block is small and the upper and lower blocks are stacked alternately.
그러나, 절취 사면 전면부 등에서는 보강토 옹벽의 배면에 설치되는 보강재(그리드)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상의 여유가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미관상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보강토 옹벽을 사용하지 못하거나, 사용한다고 해도 배면 사면을 별도로 보강한 이후에 마감 옹벽의 개념으로 블록식 옹벽을 설치하기 때문에 공사비가 많이 소요된다. However, in the front of the cut slope, etc., the reinforcement (grid) that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often insufficient. After reinforcing the back slope separately, the construction cost is high because the block retaining wall is installed as the concept of the finishing retaining wall.
이러한 경우, 근입식 옹벽은 배면 지반에 보강재(그리드)를 깔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유리한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사용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In this case, the access retaining wall is advantageous because it does not need to lay a reinforcing material (grid) on the back ground, which is subject to many limitations due to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의 근입식 옹벽이 가지는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중공 블록을 이용함으로써 블록의 중량을 경감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하층 중공 블록을 엇갈리게 적층하여 전면에서 볼 때 블록식 보강토 옹벽과 같은 미감을 연출하고, 도 나아가, 엇갈리는 적층 구조에도 불구하고 중공부가 옹벽의 상, 하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벽체 내부에 식물 식재용 토사부가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 식재를 통해 친환경적인 옹벽을 이룰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근입식 블록 옹벽과, 이러한 근입식 블록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roximity retaining wall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hollow block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block to improve the workability, by stacking the upper and lower hollow blocks alternately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block-lik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produces the same aesthetics, and furthermore, despite the staggered laminated structure, the hollow part communicates with the retaining wall up and down so that the soil for plant planting can be easily secured inside the wal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structure of the access block retaining wall that can form an eco-friendly retaining wall through planting,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such access block retaining wal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옹벽의 전면이 되는 전면패널과,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을 이어주는 격벽패널을 구비하고 있으며 블록 내에 한 개 또는 다수개의 중공부를 갖는 중공 블록을 포함하며; 단부가 지중에 근입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빔이 상기 중공 블록의 중공부에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중공 블록이 수직하게 적층되고; 상기 중공 블록의 배면으로는 토류판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축조되며; 상기 토류판 배면에는 배면 토사가 채워져 있고; 옹벽의 정면이 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을 이어주는 격벽패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중공 블록을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였을 때, 상기 중공 블록의 좌측 격벽패널과 우측 격벽패널이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측면으로 연결시켜 일체를 이루고 있는 평단면형상을 가지는 역대응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 블록의 전면패널과 상기 역대응 블록의 전면패널이 엇갈리도록 상기 역대응 블록이 상기 중공 블록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어도 상기 블록들의 격벽패널들이 중공부를 폐쇄하지 않도록 중첩됨으로써, 상기 중공부가 옹벽의 상,하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입식 블록 옹벽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ont panel which is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 rear panel in the back earth and sand direction, and a partition panel which connects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one or more in a block. A hollow block having two hollow portions; The hollow blocks are vertically stacked such that an end portion of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and penetra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block is inserted vertically; A rear surface of the hollow block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an earth plate is installed; The soil plate back is filled with rear soil; And a front panel which is a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 rear panel in the rear earth and sand direction, and a partition panel connecting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wherein the hollow block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a center line. A left side partition panel and a right side partition panel of the hollow block include opposite inverse blocks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changing their positions; Even if the counter block is stacked above or below the hollow block such that the front panel of the hollow block and the front panel of the counter block are alternately stacked, the partition panels of the blocks overlap so as not to close the hollow. An indented block retaining wall is provided, which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하로 연통된 중공부 중의 하나 이상의 중공부에는 식물의 뿌리가 식재되어 활착할 수 있는 토사가 상,하로 연통되도록 채워져 있는 토사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배수 및 각각의 블록 행의 전단지지력 보강을 위하여 골재가 상,하로 연통되도록 채워져 있는 골재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communicated with the up and down is formed with a soil portion that is filled so that the soil to be communicated up and down, the roots of the plant is planted, or the drainage and each In order to reinforce the leaflet force of the row of blocks, the aggregate may be formed so that the aggregate is communicated up and down.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부가 지중에 근입되도록 빔을 수직하게 설치하고, 상기 빔이 중공 블록에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중공 블록이 수직하게 적층하고, 상기 중공 블록의 배면으로는 토류판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옹벽을 축조하고, 상기 옹벽 구조물의 토류판 배면으로는 배면 토사를 되메우는 공정을 포함하는 근입식 블록 옹벽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중공 블록은, 벽의 전면이 되는 전면패널과,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을 이어주는 격벽패널을 구비하고 있으며 블록 내에 한 개 또는 다수개의 중공부를 갖거나 일렬로 나란히 놓일 때 인접 블록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중공 블록의 중공부에 상기 빔이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중공 블록이 수직하게 적층하고, 옹벽의 정면이 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을 이어주는 격벽패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중공 블록을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였을 때, 상기 중공 블록의 좌측 격벽패널과 우측 격벽패널이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측면으로 연결시켜 일체를 이루고 있는 평단면형상을 가지는 역대응 블록을, 상기 중공 블록과 엇갈리도록 적층하여, 상기 중공부가 옹벽의 상, 하로 연통되는 구조를 되도록 블록 옹벽을 축조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입식 블록 옹벽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과 상기 블록은 일체로 이루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wall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eam is vertically installed so that the end part enters the ground, the hollow blocks are vertically stacked so that the beam is inserted through the hollow block, and the earth plate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llow block.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block retaining wall comprising a step of constructing a wall, and backing soil back to the earth plat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wherein the hollow block includes a front panel serving as a front surface of the wall and a rear panel in the rear soil direction. And a partition panel connecting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and the beam passes through the hollow part of the hollow block in which the hollow part is formed between adjacent blocks when one or a plurality of hollow parts are arranged in a block or placed side by side. The hollow block is vertically stacked so as to be inserted, and the front panel which is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And a partition panel that connects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When the hollow block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the left partition panel and the right partition panel of the hollow block are positioned to each other. Inverted counter blocks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being connected to the side, are laminated so as to cross the hollow block, and the block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so that the hollow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top and bottom of the retaining wall. An approach block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i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th plate and the block may be formed integrally.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근입식 블록 옹벽에서, 물을 급수하여 토사부 내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유공 급수관이 상기 토사부 내에 관통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type block retaining wall, the air supply water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to the earth and sand portion may be disposed in the earth and sand through.
다음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봄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근입식 블록 옹벽(1)이 시공되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상기 근입식 블록 옹벽(1)을 축조하게 되는 중공 블록(10)의 일실시예가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b 및 도 3c에는 도 3a에 도시된 중공 블록 (10)의 중공부가 연통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역대응 블록(20)을 형성하는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d에는 도 3a에 도시된 상기 중공 블록(10)에 역대응하는 역대응 블록(2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proximity block retaining wall 1 is constru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근입식 블록 옹벽(1)에서는 빔(40)이 그 단부가 지중에 근입된 상태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빔(40) 사이에는 중공부(30)를 가진 중공 블록(10)과, 상기 중공 블록(10)에 역대응 하는 역대응 블록(20)이 차례로 엇갈리게 수직하게 적층된다. 상기 빔(40)은 상기 중공 블록(10)의 중공부(30) 또는 상기 역대응 블록(20)에 의하여 만들어진 중공부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 옹벽(1)의 배면에는 배면 토사(200)가 채워진다. As shown in Fig. 2 and Figs. 3A to 3D, in the access block retaining wall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는 "ㅁ"자 형상을 가지는 중공 블록(10)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중공 블록(10)은 전면패널(11)과 배면패널(12), 그리고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전면패널(11)과 배면패널(12)을 이어주는 격벽패널(13)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격벽패널(13)에 의하여 중공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중공 블록(10)의 평단면형상은 일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상기 중공 블록(10)의 평단면형상은 전면패널(11), 배면패널(12) 및 격벽패널(13)의 크기 및 배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부(30)의 개수에도 제한이 없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a is disclosed a
상기 중공 블록(10) 층의 상, 하층에는 역대응 블록(20) 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역대응 블록(20)은 도 3d에 도시된 것처럼, 옹벽의 정면이 되는 전면패널(21)과, 상기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22)과, 상기 전면패널(21)과 배면패널(22)을 이어주는 격벽패널(2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중공 블록(10)과 전면패널이 엇갈리도록 상기 중공 블록(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어 상기 중공 블록(10)이 배치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30)가 상, 하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평단면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역대응 블록(20)에 있어서, 상기 격벽패널(23)은 상기 중공 블록(10)을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였을 때, 상기 역대응 블록(20)은 상기 중공 블록(10)의 좌측 격벽패널(13-1)과 우측 격벽패널(13-2)이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측면으로 연결시켜 일체를 이루고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지게 된다. On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역대응 블록(20)의 단면 형상을 이루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중공 블록(10)을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측 격벽패널(13-1)이 있는 부분과 우측 격벽패널(13-2)이 있는 부분으로 구분하여 분리한 후, 상기 좌측 격벽패널(13-1)과 상기 우측 격벽패널(13-2)이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수평 이동하여 자리바꿈을 하고, 좌,우측의 배면패널과 전면패널을 각각 연결하고 전면패널의 모양을 상기 중공 블록(10)과 동일하게 되도록 수정하게 되면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역대응 블록(20)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진 상기 중공 블록(10)과 역대응 블록(20)을 엇갈리도록 차례로 적층하게 되면 상, 하층에 적층된 블록에서 중공부(30)가 상, 하로 연통된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form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근입식 블록 옹벽의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a), (b), (c)는 각각 중공 블록(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행(예를 들면, 도 2의 부재번호 101로 표시된 행)과, 역대응 블록(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행(예를 들면, 도 2의 부재번호 102로 표시된 행)과, 상기 제2행의 위에 또다시 중공 블록(10)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3행(예를 들면, 도 2의 부재번호 103로 표시된 행)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상기 도 4의 (d)는 중간에 형성되는 앵커 블록 층(예를 들면, 도 2의 부재번호 104로 표시된 행)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빔 설치 위치에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FIG. 4 shows a planar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ximity block retaining wall shown in FIG. 2, wherein (a), (b), and (c) are the first rows formed by the hollow blocks 10 (for example, A row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101 in FIG. 2), a second row formed by the counter-corresponding block 20 (for example, a row indicated by the
도 4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중공부(30)에 빔(40)이 삽입되도록 중공 블록(10)이 설치되고 상기 빔(40) 간의 공간에도 중공 블록(10)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상기한 중공 블록(10)의 층 위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역대응 블록(20)이 적층되는데, 상기 빔(40)은 역대응 블록(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공부를 관통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중공 블록(10)의 다른 중공부(30)는 역대응 블록(20)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상,하로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연통된 중공부(30)에는 식물(110)의 뿌리가 식재되어 활착할 수 있는 토사가 채워져 있는 토사부(31)를 형성하거나, 또는 굵은 골재가 채워져 있는 골재부(32)를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4,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중공 블록(10)과 역대응 블록(20)을 이용하여 근입식 옹벽을 구축하게 되므로, 블록 자체의 중량이 경감되고 그에 따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미관이 우수하여 일반적으로 선호되고 있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과 동일한 전면 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특히, 중공부가 수직하게 상,하로 연속되고, 이러한 중공부(30)에 식물의 뿌리가 식재되어 활착될 수 있는 토사부 (31)를 상,하로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충분한 토사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식물을 옹벽 전면 즉, 블록의 전면패널 사이의 틈을 통해 상기 토사부(31)에 식재할 수 있으므로 옹벽 전면의 녹화가 가능하게 되고 친환경적인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ximity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using the
식물 생육을 위한 수분은 상기 블록의 배면패널 사이의 틈을 통해서 옹벽 배면의 토사로부터 상기 토사부(31)로 유입될 수 있다. 도 6에는 상기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중공 블록(10)의 전면패널(11)에 토사부(31) 방향으로 경사진 우수 유입용 경사부(15)를 형성하여 옹벽(1)의 전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우수 등이 상기 경사부(15)를 통하여 용이하게 토사부(31)로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토사부(31)내에 토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유공 급수관(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여 옹벽의 상부를 통하여 상기 유공 급수관으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토사부(31) 내에 식물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재되는 식물은 블록의 전면패널 사이의 틈을 이용하여 토사부(31)에 식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줄기가 굵은 관목류의 식물을 식재하는 경우처럼, 필요한 경우에는 블록의 전면패널에 양측에 반원부와 같은 홈을 형성하여 블록을 이웃하여 배치하였을 때 식물 식재공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Moisture for plant growth may be introduced into the earth and
한편, 본 발명에서 상,하로 연통된 중공부(30)는 토사부(31) 뿐만 아니라, 골재가 채워지는 골재부(32)로서 활용될 수 있다. 즉,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중공부(30)에 골재가 채워져 연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골재부(32)는 옹벽(1)으로 유입 되는 우수 등을 용이하게 배수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도 4의 (d)에 도시된 것처럼, 필요한 경우, 중간에 앵커 블록 층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앵커 블록 층을 이루는 앵커 블록(40)의 사시도가 도 7a에 도시되어 있고, 상기 앵커 블록 층의 정면도가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앵커 블록(50)에는 빔(40)이 관통하게 되는 빔 관통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 블록(50)의 양 측면으로는 앵커(52)가 지나갈 수 있는 앵커 삽입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토사부(31) 내에 수분 공급을 위하여 유공 급수관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앵커 블록(50)에는 상기 유공 급수관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형성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d), if necessary, the anchor block layer may be provided in the middle. A perspective view of the
상기 앵커 블록(50)으로만 이루어진 별도의 층을 이룰 수도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앵커 블록(50)과 중공 블록(10)을 함께 한 층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도 4의 (c)에 대응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빔(40)이 관통되는 중공 블록(10)의 격벽패널(13) 외측에 턱(16)을 형성하여 두고, 상기 앵커 블록(50)이나 이를 대신할 수 있는 강재 빔(54)을 상기 중공 블록(10) 사이에서 상기 턱(16)에 걸쳐지도록 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A separate layer consisting of only the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중공 블록(10)과 역대응 블록(20)을 차례로 엇갈리도록 적층하고, 중간에 앵커 블록(50)의 층을 설치하면서, 상기 블록(10, 20)의 배면으로는 토류판(19)을 설치하고, 배면 토사(200)를 채워 근입식 옹벽(1)을 완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강재 빔(54)이 위치하고 있는 중공부(30)에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등의 채움재가 채워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도 4의 (c)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 중공 블록(10)의 중공부(30)에 빔(40)이 관통되도록 설치함에 있어서, 격벽(13)을 수평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로 중공 블록(10)을 제작하여, 상기 빔(40)의 전후 방향으로 중공 블록(10)을 조립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중공 블록(10) 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일부 중공 블록의 경우 도 9a, 9b에 도시된 것처럼 정면패널(11a)이 배면패널(12) 방향으로 후퇴된 위치에 설치된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아래층에 연통된 중공부에 형성된 토사부(31)가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노출된 토사부(31)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식물을 식재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9A and 9B are diagrams corresponding to Fig. 4C, respectively, illustrat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도 10a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블록(10)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정면패널(11)과 배면패널(12) 사이에 두 개의 격벽패널(13)이 배치되어 중공부(30)가 형성되어 있는 평단면형상의 중공 블록(10)이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중공 블록(10)의 변형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우수 유입용 경사부(15)의 형상이 변화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중공 블록(10)과 역대응 블록(20)이 동일한 형상을 갖는 특수한 경우이다. 10A,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11은 상기 도 10a에 도시된 중공 블록(10)을 이용하여 근입식 블록 옹벽(1)이 시공되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4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근입식 블록 옹벽의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a), (b), (c)는 각각 중공 블록(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행과, 역대응 블록(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행과, 상기 제2행의 위에 또다시 중공 블록(10)이 적층되어 형성 되는 제3행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며, (d)는 중간에 형성되는 앵커 블록 층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기타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도 2 및 도 4와 관련된 설명이 적용되는 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FIG.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the proximity block retaining wall 1 is constructed using the
도 13은 도 12의 (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토류판(19)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중공 블록(10)을 사용하여 축조된 옹벽(1)의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중공 블록(10)의 배면패널(12) 외면에 토류판(19)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가 되도록 중공 블록(10)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별도의 토류판(19) 설치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FIG. 13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12A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taining wall 1 constructed using the
한편, 도 10a에 도시된 중공 블록(10)은 3개의 중공부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격벽패널(13)이 3개가 되며, 블록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의 개수도 3개가 된다. 도 14는 도 12의 (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위와 같이 3개의 중공부를 가지는 중공 블록(10)을 사용하여 축조된 옹벽(1)의 평단면도이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토류판(19)을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 블록(10)을 적층하여 옹벽(1)을 축조하여 근입식 블록 옹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기존 근입식 옹벽과 달리 블록식 보강토 옹벽과 동일한 전 미감을 연출할 수 있어 미관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나아가 적층된 블 록에 종방향으로 연속하게 형성되는 중공부에 토사부(31)를 형성하여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충분한 토사 수용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옹벽(1)의 전면을 통해서 식물이 자랄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자연친화적인 옹벽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tacking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층된 블록에 수직방향으로 중공부(30)가 연속되도록 하고 상기 연속된 중공부(30)에 골재를 연속적으로 채워 골재부(32)를 형성함으로써 배수를 용이하게 하고 골재부의 억물림 효과가 증가하여 옹벽(1)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특히, 본 발명에서는 중공 블록(10)을 사용하므로, 그만큼 중량이 줄어들어 시공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위와 같이 상, 하층 블록(10, 20)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전단력에 대한 안정성이 증가되므로, 블록(10, 20) 자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블록(10, 20)의 경량화 및 그에 따른 경제성 제고, 작업성 향상의 효과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7021A KR100736269B1 (en) | 2006-03-24 | 2006-03-24 | Retaining wall having vertical continuous hole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7021A KR100736269B1 (en) | 2006-03-24 | 2006-03-24 | Retaining wall having vertical continuous hole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36269B1 true KR100736269B1 (en) | 2007-07-06 |
Family
ID=3850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7021A KR100736269B1 (en) | 2006-03-24 | 2006-03-24 | Retaining wall having vertical continuous hole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36269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5831B1 (en) | 2010-07-28 | 2010-11-22 | (주)대흥이엔지 | A self-reliance wall |
KR20160116601A (en) | 2015-03-30 | 2016-10-10 | 유한회사 강원이앤씨 | Prefabricated concrete retaining wall using recycle aggregate |
CN111206616A (en) * | 2020-02-28 | 2020-05-29 | 苏州金螳螂园林绿化景观有限公司 | A assembled wall brick and retaining wall for ecological retaining wall |
CN115977138A (en) * | 2022-12-22 | 2023-04-18 | 中国农业大学 | Construction method of equipment foundation base based on metamateria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4819A (en) | 1996-06-27 | 1998-01-13 | Sanyu Create:Kk | Shore bank protective block for fish nest |
JPH10152848A (en) | 1996-11-21 | 1998-06-09 | Modern Mateiriaru:Kk | Retaining wall block |
JPH1113074A (en) | 1997-06-26 | 1999-01-19 | Takeshige Shimonohara | Retaining wall forming method, and sheathing board used for formation of retaining wall |
JP2001311169A (en) | 2000-04-26 | 2001-11-09 | Modern Material:Kk | Block for earth retaining wall |
-
2006
- 2006-03-24 KR KR1020060027021A patent/KR10073626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4819A (en) | 1996-06-27 | 1998-01-13 | Sanyu Create:Kk | Shore bank protective block for fish nest |
JPH10152848A (en) | 1996-11-21 | 1998-06-09 | Modern Mateiriaru:Kk | Retaining wall block |
JPH1113074A (en) | 1997-06-26 | 1999-01-19 | Takeshige Shimonohara | Retaining wall forming method, and sheathing board used for formation of retaining wall |
JP2001311169A (en) | 2000-04-26 | 2001-11-09 | Modern Material:Kk | Block for earth retaining wall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5831B1 (en) | 2010-07-28 | 2010-11-22 | (주)대흥이엔지 | A self-reliance wall |
KR20160116601A (en) | 2015-03-30 | 2016-10-10 | 유한회사 강원이앤씨 | Prefabricated concrete retaining wall using recycle aggregate |
CN111206616A (en) * | 2020-02-28 | 2020-05-29 | 苏州金螳螂园林绿化景观有限公司 | A assembled wall brick and retaining wall for ecological retaining wall |
CN115977138A (en) * | 2022-12-22 | 2023-04-18 | 中国农业大学 | Construction method of equipment foundation base based on metamateri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768975B (en) | Greening retaining wall building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with building block | |
KR101405088B1 (en) | Assembled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0736269B1 (en) | Retaining wall having vertical continuous hole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JP2011144615A (en) | Assembly vegetation block compatible with environment | |
CN110306589B (en) | Method for forming assembl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
KR100402843B1 (en) | Afforestation Retaining-Wall laying Concrete-block | |
KR20090019591A (en) |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864813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punching holed steel-plate box unit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201574509U (en) | Greening retaining wall building block | |
KR200345937Y1 (en) |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 |
KR100636085B1 (en) | Assembly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20050035846A (en) | The revetment of prefabricated panel | |
KR100827782B1 (en) | Wall structure having continuous hollow holes blocks | |
KR100768484B1 (en) | Retaining wall having -type blocks and i-type blocks | |
KR100393515B1 (en) | Afforestation Retaining-Wall laying Concrete-block | |
KR100694874B1 (en) | Revetment block | |
KR200300440Y1 (en) | Revetment block | |
KR200448481Y1 (en) | Structure of retaining wall having a possible planting for cutting slope | |
KR100593181B1 (en) | A terrace-revetment unit and a process of construction unsing the same | |
KR100827783B1 (en) | Retaining wall using block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0994426B1 (en) | Landscape block for reinforcing slope | |
KR100946224B1 (en) | Soil mass block for front side vegetation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100514086B1 (en) | Revetment block | |
KR100783672B1 (en) | Wall structure having continuous hollow holes blocks | |
KR200235107Y1 (en) | Afforestation Retaining-Wall laying Concrete-b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