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212B1 - 상흔들림 보정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상흔들림 보정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212B1
KR101661212B1 KR1020090081488A KR20090081488A KR101661212B1 KR 101661212 B1 KR101661212 B1 KR 101661212B1 KR 1020090081488 A KR1020090081488 A KR 1020090081488A KR 20090081488 A KR20090081488 A KR 20090081488A KR 101661212 B1 KR101661212 B1 KR 101661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ing member
lens holding
imag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716A (ko
Inventor
마사에 미야카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75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소형화 및 경량화와 함께 구동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게 한 상흔들림 보정 기구를 제공한다.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여러 개의 렌즈 중 적어도 1개의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유지부재(31)를 지지부에 대해 광축과 직교하는 면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흔들림을 보정하는 상흔들림 보정 기구로서, 렌즈 유지부재(31)와 지지부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축부(35)가 다른 쪽에 마련된 장공(37)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렌즈 유지부재(31)가 지지부에 대해 장공(37)에 따른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축부(35)를 중심으로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상흔들림 보정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Device for compensating for image-shaking and photographic apparatus with the same}
손떨림 등에 의한 상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상흔들림 보정 기구 및 그와 같은 상흔들림 보정 기구를 구비한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러 개의 렌즈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의 촬상 소자로 수상하고, 이 촬상 소자가 수상한 광을 광전 변환하여 전기 신호로서 출력하고 피사체의 상에 대응한 디지털 화상을 생성하여 기록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또 이와 같은 촬상장치에서는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여러 개의 렌즈 중 적어도 1장 이상의 렌즈 또는 렌즈군(보정 렌즈라고 한다.)을 그 광축과 직교하는 면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 등에 기인한 상흔들림을 광학적으로 보정하는, 이른바 상흔들림 보정 기구(손떨림 보정 기구라고도 한다.)를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촬상장치에서는 최근의 소형(경량)화 및 절전화의 요구에 따라 상술 한 여러 개의 렌즈 및 촬상 소자 등을 탑재한 렌즈 경통의 소형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 이에 따라 렌즈 경통에 탑재되는 상흔들림 보정 기구에 대해서도 그 소형(경량)화 및 절전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소형화 및 경량화와 함께 구동시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상흔들림 보정 기구 및 그와 같은 상흔들림 보정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소형(경량)화 및 절전화를 실현 가능하게 한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여러 개의 렌즈 중 적어도 1장 이상의 렌즈 또는 렌즈군을 유지하는 렌즈 유지 부재를 지지부에 대해 광축과 직교하는 면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흔들림을 보정하는 상흔들림 보정 기구로서, 상기 렌즈 유지 부재와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축부가 다른 쪽에 마련된 장공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렌즈 유지 부재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장공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흔들림 보정 기구를 구비한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상흔들림 보정 기구는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렌즈 유지 부재와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코일과 다른 쪽에 마련된 마그넷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에 통전(通電)함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와, 이 코일에 대향하는 상기 마그넷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와의 자기적인 작용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광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축부 및 상기 장공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구동부와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구동부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상흔들림 보정 기구에서는 렌즈 유지 부재와 지지부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축부가 다른 쪽에 마련된 장공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렌즈 유지 부재가 지지부에 대해 장공에 따른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축부를 중심으로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의 절감에 의해 소형화 및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축부와 장공의 걸어 맞춤에 의해 렌즈 유지 부재 전(全) 중량의 대략 반 정도가 지지부에 지지되기 때문에 구동시에 렌즈 유지 부재를 피칭 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촬상장치(1)는, 예를 들면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상할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이다. 아울러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뿐 아니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 개시된 상흔들림 보정 기구를 구비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의 촬상장치도 가능하다.
이 촬상장치(1)는 여러 개의 렌즈(미도시)를 유지하는 렌즈 경통(2)을 구비하고, 이 렌즈 경통(2) 안에 광축을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된 여러 개의 렌즈 중 주 밍(zooming)용 렌즈와 초점용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변위 구동함으로써 주밍(배율 변경) 조작과 포커싱(초점 조절) 조작을 함과 동시에 이들 여러 개의 렌즈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렌즈 경통(2)의 후단에 설치된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의 촬상 소자(미도시)로 수상하고, 이 촬상 소자가 수상한 광을 광전 변환하여 전기 신호로서 출력하고 피사체의 상에 대응한 디지털 화상을 생성하여, 예를 들면 HDD(Hard Disk Drive)나 메모리 카드, 광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촬상장치(1)를 구성하는 렌즈 경통(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축의 전후 방향에서 전부(前部) 경통(2a)과 후부(後部) 경통(2b)으로 분할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중에서 전부 경통(2a)의 배면쪽 외주부에는 나사구멍(3a)이 형성된 피설치부(3)가 둘레방향으로 여러 개 나열되어 마련되어 있다. 한편, 후부 경통(2b)의 전면쪽 외주부에는 여러 개의 피설치부(3)에 대응하여 관통공(4a)이 형성된 설치부(4)가 둘레방향으로 여러 개 나열되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전부 경통(2a)과 후부 경통(2b)은 여러 개의 관통공(4a)을 통해 여러 개의 나사구멍(3a)에 나사(5)를 조임으로써 서로 결합된다.
또 촬상장치(1)는 전부 경통(2a) 내에 배치된 줌용 렌즈와, 후부 경통(2b) 내에 배치된 초점용 렌즈를 각각 광축 방향으로 변위 구동하기 위한 렌즈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렌즈 구동 기구는 줌용 렌즈가 유지된 렌즈 유지 틀과, 초점용 렌즈가 유지된 렌즈 유지 틀을 각각 한쌍의 가이드축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지지하며, 전부 경통(2a)과 후부 경통(2b)에 설치된 스테핑 모터 등의 구동 모터(6a),(6b)에 의해 이들 한쌍의 가이드축에 지지된 렌즈 유지 틀을 각각 독립적으로 광축 방향으로 변위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아울러 도 2에는 구동 모터(6a),(6b) 외에 초점용 렌즈가 유지되는 렌즈 유지 틀(7)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 촬상장치(1)는 전부 경통(2a)과 후부 경통(2b) 사이의 광경로 안에 조리개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조리개의 개구를 조정하는 조리개 조정 기구와, 이 조리개의 개구를 통과한 광의 광경로에, 예를 들면 ND(Neutral Density) 필터 등 광학 필터를 삽탈하는 필터 삽탈기구가 일체화된 광학 유닛(8)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광학 유닛(8)은 조리개의 개구(9a)가 형성된 베이스 부재(9)와, 베이스 부재(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아이리스 날개와, 베이스 부재(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광학 필터를 가지고, 베이스 부재(9)의 일면에 설치된 갈바노미터 등 구동 모터(10a)에 의해 한쌍의 아이리스 날개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조리개의 개구(9a)를 조절함과 동시에 베이스 부재(9)의 다른 면에 설치된 갈바노미터 등 구동 모터(10b)에 의해 광학 필터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조리개의 개구(9a)를 통과하는 광의 광경로에 대해 삽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촬상장치(1)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부 경통(2a)과 후부 경통(2b) 사이에 적용한 상흔들림 보정 기구(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흔들림 보정 기구(30)는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여러 개의 렌즈 중 적어도 1장 이상의 렌즈 또는 렌즈군(이하, 통합하여 보정 렌즈라고 한다.)을 그 광축과 직교하는 면 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 등에 기인한 상흔들림을 광학적으로 보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상흔들림 보정 기구(30)는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정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유지부재(31)와, 렌즈 경통(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2)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 유지부재(31)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대략 중앙부에 보정 렌즈를 유지하는 원형의 유지공(33)과, 이 유지공(33)의 중심(광축)을 통과하는 수평 방향(제1 방향)의 일단쪽 외주부에서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 돌출편(34)을 가지고 있다. 또 렌즈 유지부재(31)의 고정부재(32)와 대향하는 면(전면)에는 가이드 핀(35)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핀(35)은 돌출편(34)의 고정부재(32)와 대향하는 면에서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축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 가이드 핀(35)은 후술하는 제1 구동부(38)를 구성하는 코일(40a)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고정부재(32)는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경통(2)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대략 중앙부에 개구부(36)를, 상기 가이드 핀(35)과 대향하는 위치에 가이드 슬릿(37)을 가지고 있다. 개구부(36)는 보정 렌즈를 투과한 광을 통과시키는 원형의 구멍부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슬릿(37)은 수평 방향(제1 방향)에 걸쳐 뚫린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또 가이드 슬릿(37)은 후술하는 제1 구동부(38)를 구성하는 마그넷(41a)이 배치되는 설치공(45a)의 바깥쪽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흔들림 보정 기구(30)에는 가이드 슬릿(37)에 가이드 핀(35)이 걸어 맞춰짐으로써 지지부가 되는 고정부재(32)에 렌즈 유지부재(31)가 대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렌즈 유지부재(31)는 가이드 핀(35)이 가이드 슬릿(37)에 따른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고정부재(32)에 대해 보정 렌즈를 좌우로 흔드는 요잉 방향(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렌즈 유지부재(31)는 가이드 핀(35)을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고정부재(32)에 대해 보정 렌즈를 상하로 흔드는 피칭 방향(제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울러 이들 요잉 방향(제1 방향)과 피칭 방향(제2 방향)은 광축과 직교하는 면내에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가이드 슬릿(37)과 가이드 핀(35)의 각각의 중심은 보정 렌즈의 중심, 즉 유지공(33)의 중심(광축)을 통과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 위에 배치된다.
또 상흔들림 보정 기구(30)는 렌즈 유지부재(31)를 요잉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부(38)와, 렌즈 유지부재(31)를 피칭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부(39)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들 제1 및 제2 구동부(38),(39)는, 도 4∼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유지부재(31)쪽에 마련된 한쌍의 코일(40a),(40b)과, 고정부재(32)쪽에 마련된 한쌍의 마그넷(41a),(41b)을 가지고 있다.
한쌍의 코일(40a),(40b)은 렌즈 유지부재(31)의 고정 부재(32)를 향하는 내측면에 설치된 한쌍의 설치 볼록부(42a),(42b)에 각각 감겨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이들 한쌍의 코일(40a),(40b)은 유지공(33)의 중심(광축)을 사이에 두고 수평 방향(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코일(40a),(40b)의 각각의 중심은 보정 렌즈의 중심, 즉 유지공(33)의 중심(광축)을 통과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 위에 배치된다. 이 중에서 제1 구동부(38)를 구성하는 코일(40a)은 연직 방향(제2 방향)으로 길어지는 타원 형상, 제2 구동부(39)를 구성하는 코일(40b)은 수평 방향(제1 방향)으로 길어지는 타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렌즈 유지부재(31)의 상기 내측면의 반대측인 외측면에는 한쌍의 코일(40a),(40b)과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의 설치 오목부(43a),(43b)가 설치되고, 이들 한쌍의 설치 오목부(43a),(43b)에 한쌍의 백 요크(44a),(44b)(제1 요크)가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재(32)는 렌즈 유지부재(31)를 향하는 고정부재(32)의 내측면과 고정부재(32)의 내측면의 반대측의 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설치공(45a),(45b)을 구비한다. 한쌍의 마그넷(41a),(41b)은 고정부재(32)에 형성된 한쌍의 설치공(45a),(45b)의 안쪽에 렌즈 유지부재(31)를 향하는 고정부재(32)의 내측면에서 끼워 맞춰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이들 한쌍의 마그넷(41a),(41b)은 개구부(36)의 중심(광축)을 사이에 두고 수평 방향(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마그넷(41a),(41b)의 각각의 중심은 보정 렌즈의 중심, 즉 유지공(33)의 중심(광축)을 통과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 위에 배치된다. 이 중에서, 제1 구동부(38)를 구성하는 마그넷(41a)은 수평 방향(제1 방향)으로 착자(着磁)되고, 제2 구동부(39)를 구성하는 마그넷(41b)은 연직 방향(제2 방향)으로 착자(着磁)된다.
또한 한쌍의 설치공(45a),(45b)에 한쌍의 마그넷(41a),(41b)과 대향하는 한쌍의 마그넷 요크(46a),(46b)(제2 요크)가 삽입된다. 마그넷 요크(46a),(46b)가 설치공(45a),(45b)에 삽입되면 마그넷 요크(46a),(46b)는 고정부재(32)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이들 마그넷 요크(46a),(46b)는 마그넷(41a),(41b)에 자기적으로 흡인됨으로써 설치공(45a),(45b)으로부터의 이탈이 억제되고, 마그넷 요크(46a),(46b)의 가장자리는 설치공(45a),(45b) 안쪽에 형성된 단차부(45c),(45d)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이로써 마그넷(41a),(41b) 및 마그넷 요크(46a),(46b)의 설치공(45a),(45b)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그리고 이 상흔들림 보정 기구(30)에서는 렌즈 유지부재(31)와 고정부재(32)가 대향한 상태에서 렌즈 유지부재(31)쪽의 백 요크(44a),(44b)가 고정부재(32)쪽의 마그넷(41a),(41b)에 자기적으로 흡인됨으로써 렌즈 유지부재(31)와 고정부 재(32)가 서로 눌린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써 가이드 슬릿(37)에 가이드 핀(35)이 걸어 맞춰진 상태를 유지한다.
또 렌즈 유지부재(31)와 고정부재(32) 사이에는 여러 개의 볼(47)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여러 개의 볼(47)은 고정부재(32)에 대해 렌즈 유지부재(31)를 광축과 직교하는 면내에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부재(32)의 배면쪽에 설치된 여러 개의 볼 수용부(48)와, 이들 볼 수용부(48)에 대향하여 렌즈 유지부재(31)의 전면쪽에 설치된 여러 개의 볼 접촉부(49) 사이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아울러 볼(47)은 렌즈 유지부재(31)와 고정부재(32) 사이에서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3곳 이상 나열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흔들림 보정 기구(30)에서는 볼 수용부(48)와 볼 접촉부(49) 사이에 여러 개의 볼(47)을 개재시키면서 상술한 마그넷(41a),(41b)과 백 요크(44a),(44b)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적인 흡인력에 의해 이들 여러 개의 볼(47)을 렌즈 유지부재(31)와 고정부재(32) 사이에 끼워넣는다. 이로써 고정부재(32)에 대해 렌즈 유지부재(31)를 광축과 직교하는 면내에서 요잉 방향과 피칭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상흔들림 보정 기구(30)에서는 코일(40a)에 통전함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와, 이 코일(40a)에 대향하는 마그넷(41a)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와의 자기적인 작용에 의해 제1 구동부(38)가 렌즈 유지부재(31)를 요잉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코일(40b)에 통전함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와, 이 코일(40b)에 대향하는 마그넷(41b)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와의 자기적인 작용에 의해 제2 구동부(39)가 렌즈 유지부재(31)를 피칭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진 상흔들림 보정 기구(30)에서는 보정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유지부재(31)를 고정부재(32)에 대해 피칭 방향과 요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촬상장치(1)의 움직임에 기인한 화상의 흔들림을 광학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상흔들림 보정 기구(30)에서는 상술한 렌즈 유지부재(31)가 고정부재(32)에 대해 가이드 슬릿(37)을 따라 요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가이드 핀(35)을 중심으로 피칭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상흔들림 보정 기구(30)는 렌즈 유지부재(31)를 피칭 방향과 요잉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있어서 합계 2개의 부품으로 해결되기 때문에 부품 개수의 절감에 의해 소형화 및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상흔들림 보정 기구(30)에서는 가이드 핀(35)과 가이드 슬릿(37)의 걸어 맞춤에 의해 렌즈 유지부재(31)가 고정부재(32)에 지지된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핀(35)과 가이드 슬릿(37)의 걸어 맞춰짐에 의해 렌즈 유지부재(31) 자중(G)의 반 정도(1/2G)를 제2 구동부(39)를 구성하는 코일(40b)과 마그넷(41b) 간에 작용하는 자기적인 구동력(유지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흔들림 보정 기구(30)에서는 구동시에 렌즈 유지부재(31)를 피칭 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소비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 상흔들림 보정 기구(30)에서는 제1 구동부(38)와 제2 구동부(39)가 광축 을 사이에 두고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렌즈 경통(2)에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줌용 렌즈나 초점용 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6a),(6b)가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술한 조리개 조정 기구나 필터 삽탈(揷脫)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10a),(10b)가 윗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구동 모터(6a),(6b),(10a),(10b)와, 제1 구동부(38)와 제2 구동부(39)의 간섭을 피함으로써 렌즈 경통(2)을 보다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 상흔들림 보정 기구(30)에서는 가이드 핀(35) 및 가이드 슬릿(37)이 제1 및 제2 구동부(38),(39)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또한 제1 구동부(38)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 핀(35)과는 떨어진 쪽에 위치하는 제2 구동부(39)에 의해 가이드 핀(35)을 중심으로 렌즈 유지부재(31)를 피칭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흔들림 보정 기구(30)에서는 부품 개수의 절감에 의해 소형화 및 경량화를 꾀할 수 있으며 구동시의 소비전력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상흔들림 보정 기구(30)를 구비한 촬상장치(1)에서는 소형화 및 경량화와 함께 절전화를 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추가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상흔들림 보정 기구(30)와 동등한 부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함과 동시에 도면에서 같은 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상기 상흔들림 보정 기구(30)에서는 렌즈 유지부재(31)쪽에 가이드 핀(35) 이, 고정부재(32)쪽에 가이드 슬릿(37)이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뿐 아니라 예를 들면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유지부재(31)쪽에 가이드 슬릿(37)이, 고정부재(32)쪽에 가이드 핀(35)이 마련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고정부재(32)에 마련된 가이드 핀(35)을 렌즈 유지부재(31)에 마련된 가이드 슬릿(37)에 계합(契合)시킴으로써 렌즈 유지부재(31)를 고정부재(32)에 대해 가이드 슬릿(37)에 따른 요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가이드 핀(35)을 중심으로 피칭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상흔들림 보정 기구(30)에서는 제1 및 제2 구동부를 구성하는 코일(40a),(40b)과 마그넷(41a),(41b) 중 렌즈 유지부재(31)쪽에 코일(40a),(40b)이, 고정부재(32)쪽에 마그넷(41a),(41b)이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뿐 아니라 렌즈 유지부재(31)쪽에 마그넷(41a),(41b)이, 고정부재(32)쪽에 코일(40a),(40b)이 배치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촬상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광학 유닛 및 상흔들림 보정 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흔들림 보정 기구를 배면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흔들림 보정 기구를 전면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렌즈 유지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고정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흔들림 보정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상흔들림 보정 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촬상장치 2…렌즈 경통
30…상흔들림 보정 기구 31…렌즈 유지부재
32…고정부재(지지부) 35…가이드 핀(축부)
37…가이드 슬릿(장공) 38…제1 구동부
39…제2 구동부 40a,40b…코일
41a,41b…마그넷

Claims (5)

  1.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여러 개의 렌즈 중 적어도 1장 이상의 렌즈 또는 렌즈군을 유지하는 렌즈 유지 부재를 지지부에 대해 광축과 직교하는 면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흔들림을 보정하는 상흔들림 보정 기구로서,
    상기 렌즈 유지 부재와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축부가 다른 쪽에 마련된 장공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렌즈 유지 부재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장공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부와,
    상기 렌즈 유지 부재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상기 면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볼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 유지 부재는 상기 지지부를 향하는 내측면에 상기 볼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볼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렌즈 유지 부재의 상기 내측면의 반대측인 외측면에 제1 요크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향하는 내측면에 상기 볼을 지지하는 볼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의 상기 내측면의 반대측인 외측면에 제2 요크가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의 각각은 상기 렌즈 유지 부재와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코일과 다른 쪽에 마련된 마그넷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에 통전(通電)함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와, 상기 코일에 대향하는 상기 마그넷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와의 자기적인 작용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렌즈 유지 부재와 상기 지지부 중 상기 코일이 마련되는 다른 한쪽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요크나 상기 제2 요크가 배치되는 설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 유지 부재와 상기 지지부 중 상기 마그넷이 마련되는 다른 한쪽에는 상기 제1 요크나 상기 제2 요크가 삽입되는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에는 상기 제1 요크나 상기 제2 요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가 상기 광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의 각각의 상기 마그넷의 중심과 상기 코일의 중심이 상기 렌즈 유지 부재가 지지하는 상기 렌즈 또는 상기 렌즈군의 중심을 통과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 위에 배치되고,
    상기 축부 및 상기 장공은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와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구동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축부와 상기 장공은 상기 렌즈 유지 부재가 지지하는 상기 렌즈 또는 상기 렌즈군의 중심을 통과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직선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복수 개의 렌즈와,
    상기 복수 개의 렌즈 중 적어도 1장 이상의 렌즈 또는 렌즈군을 유지하는 렌즈 유지 부재와,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 개의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경통과,
    상기 복수 개의 렌즈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광축과 직교하는 면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흔들림을 보정하는, 제1항의 상흔들림 보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KR1020090081488A 2008-12-25 2009-08-31 상흔들림 보정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KR101661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28931A JP2010152020A (ja) 2008-12-25 2008-12-25 像振れ補正機構及び撮像装置
JPJP-P-2008-328931 2008-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716A KR20100075716A (ko) 2010-07-05
KR101661212B1 true KR101661212B1 (ko) 2016-10-10

Family

ID=42571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488A KR101661212B1 (ko) 2008-12-25 2009-08-31 상흔들림 보정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152020A (ko)
KR (1) KR101661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2549A1 (ja) 2010-07-02 2012-01-05 Necソフト株式会社 予測装置、予測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2120303A (ja) * 2010-11-30 2012-06-21 Panasonic Corp アクチュエータ、ならびにこれを備える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5744591B2 (ja) * 2011-03-28 2015-07-08 キヤノン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光学機器、及び撮像装置
JP5460637B2 (ja) 2011-03-31 2014-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光学機器および撮像装置
JP6049267B2 (ja) * 2012-01-30 2016-12-21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6029830B2 (ja) * 2012-02-07 2016-11-2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14077876A (ja) 2012-10-10 2014-05-01 Canon Inc 像振れ補正装置、それを備える光学機器および撮像装置
JP6128821B2 (ja) * 2012-12-04 2017-05-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ブレ補正装置
JP6180304B2 (ja) * 2013-11-29 2017-08-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6001312A (ja) * 2015-07-10 2016-01-0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及びレンズ駆動装置
KR101959251B1 (ko) 2017-01-26 2019-03-18 자화전자(주)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JP6564007B2 (ja) * 2017-12-20 2019-08-21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及びレンズ駆動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5422A (ja) 2002-03-04 2003-09-10 Canon Inc 補正光学系加振装置
WO2008155906A1 (ja) 2007-06-20 2008-12-24 Panasonic Corporation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カメ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5422A (ja) 2002-03-04 2003-09-10 Canon Inc 補正光学系加振装置
WO2008155906A1 (ja) 2007-06-20 2008-12-24 Panasonic Corporation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716A (ko) 2010-07-05
JP2010152020A (ja)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212B1 (ko) 상흔들림 보정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US7253976B2 (en) Optical apparatus
US7460775B2 (en) Optical apparatus including efficiently arranged shake correction means
US7747149B2 (en) Optical apparatus having image-blur correction/reduction system
KR100935312B1 (ko) 초소형 카메라 모듈용 손떨림 보정장치
US8213783B2 (en) Anti-shake device and optical system having the same
JP2021103271A (ja) 手振れ補正機能付き撮像装置
US8248722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CN113050341A (zh) 相机模块
US7460171B2 (en) Lens apparatus having stop blade, optical filter and shutter blade
US8634138B2 (en)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22134188A1 (zh) 摄像装置用防振机构、光学系统、相机及电子设备
WO2022134191A1 (zh) 摄像装置用防振机构、光学系统、相机及电子设备
JP2010048984A (ja) 光学機器
US8194176B2 (en) Switching mechanism for optical component,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CN113050340B (zh) 相机模块
KR101643615B1 (ko) 광학 시스템
JP2013073201A (ja) 像振れ補正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KR20210011269A (ko)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16057386A (ja) 像ぶれ補正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光学機器
JP5867994B2 (ja) レンズ鏡筒及び光学機器
JP2010152220A (ja) 光学防振装置及び光学機器
JP5650906B2 (ja) 像振れ補正機構及び撮像装置
US20080225413A1 (en) Lens device
JP2007212821A (ja) レンズ鏡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