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181B1 -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 Google Patents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181B1
KR101661181B1 KR1020140137490A KR20140137490A KR101661181B1 KR 101661181 B1 KR101661181 B1 KR 101661181B1 KR 1020140137490 A KR1020140137490 A KR 1020140137490A KR 20140137490 A KR20140137490 A KR 20140137490A KR 101661181 B1 KR101661181 B1 KR 101661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tate
inner pot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3310A (ko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40137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1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1Locking devices using a number of pivotable clamp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oking-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3Locking devices using a clamping ring or clamping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은, 상부측에 제1걸림부가 형성된 내솥과; 상기 내솥이 안착되며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한 외솥과; 상기 외솥에 안착된 상기 내솥의 상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에 대응하여 동작하고, 더욱, 상기 뚜껑이 상기 내솥을 덮은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며,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내솥의 상기 제1걸림부와 결합되거나 또는 해제되어 상기 내솥을 압력잠금상태 또는 압력잠금해제상태로 만드는 제2걸림부를 구비한 회전체와; 인가되는 전력공급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모듈과; 상기 내솥을 압력잠금상태 또는 압력잠금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수신하는 조작부와; 및 상기 조작부에서 수신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구동모듈에 대한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ELECTRIC RICE COOKER HAVING FUNCTION OF AUTOMATED CLOSING AND RELEASING}
본 발명은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압력 잠금 및 압력잠금해제될 수 있는 전기 밥솥에 관한 것이다.
내솥을 밀폐함으로써 수증기에 의해 내솥의 내부가 가압되도록 하여 취사를 수행하는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취사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뚜껑을 본체에 자동으로 록킹시켜 주도록 하고 취사가 끝났을 경우에는 상기 뚜껑의 본체 록킹을 자동으로 해제하여 주도록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의 종래 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자료가 있다.
즉, 한국공개특허 제1999-0070037호(1999.09.06)를 참고하면, 동력발생부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끝단에 구비되어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 오븐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록킹편으로 구성된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 구비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된 적소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가 미치는 동안 온되는 제1리드 스위치 및 제2리드 스위치와, 상기 제1리드 스위치 및 제2리드 스위치가 온상태일 때 출력되는 출력파형에 따라 상기 동력발생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하여서 된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 및 잠금해제상태 감지장치가 제공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 및 잠금해제상태 감지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수동식 압력잠금 및 압력잠금해제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밥솥의 기구적 구성과는 전혀 별개의 새로운 구조가 추가적으로 설계되고 제조되어야 하므로, 제품 비용의 상승을 유발한다.
한편,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압력밥솥에서는, 정전과 같은 상황에서는 밥솥의 뚜껑을 열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999-0070037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가 다르거나 또는 신호 분배기를 통해 다수의 동축 케이블이 연결가능한 경우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임피던스 매칭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모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은, 상부측에 제1걸림부가 형성된 내솥과; 상기 내솥이 안착되며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한 외솥과; 상기 외솥에 안착된 상기 내솥의 상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전기 밥솥으로서: 상기 뚜껑이 상기 내솥을 덮은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며,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내솥의 상기 제1걸림부와 결합되거나 또는 해제되어 상기 내솥을 압력잠금상태 또는 압력잠금해제상태로 만드는 제2걸림부를 구비한 회전체와; 인가되는 전력공급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모듈과; 상기 내솥을 압력잠금상태 또는 압력잠금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수신하는 조작부와; 및 상기 조작부에서 수신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구동모듈에 대한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한다.
이때, 적어도 상기 회전체는 상기 뚜껑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력에 의해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왕복 스윙하도록 구성되며, 스윙할 때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모듈은 상기 회전레버를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왕복 스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회전방향이 제어될 수 있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회전레버의 일측과 접촉하는 제1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레버는, 상기 제1기어와 접촉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기 위한 제2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레버의 왕복 스윙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레버가 제1방향으로의 제1제한범위에 도달할 때 상기 회전레버에 의해 조작되어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서와, 상기 회전레버가 제2방향으로의 제2제한범위에 도달할 때 상기 회전레버에 의해 조작되어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전레버의 일측이 접촉함에 따라 상기 회전구동모듈로의 전력 입력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리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임의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회전구동모듈을 작동시키기 위한 직류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비상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전원부는, 사용자가 특정 배터리의 (+)단자 및 (-)단자를 직접 접촉시킬 수 있도록 노출되어 있는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모듈은 상기 배터리에 의한 직류전원의 인가상태에 따라 회전방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에 대하여 상기 배터리의 (+)단자 및 (-)단자의 극성을 반대로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회전구동모듈의 작동 방향이 역전되어 상기 회전레버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스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은,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밥솥이 압력잠금 상태 및 압력잠금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어서,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가 압력잠금/해제를 수동식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존의 기구적 구성물을 그대로 활용하여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품 설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정전 등과 같이 전원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압력잠금 상태 및 압력잠금해제 상태로 동작시킬 수 있는 비상 동작 기능을 갖는 전기 밥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뚜껑에 배치된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구적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의 비상 전원 공급 기능을 제공하는 비상전원부의 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전기 밥솥은 일반적으로 내솥(100)과 외솥(200)과 뚜껑(300)으로 이루어진다.
내솥(100)은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이며, 상부측에는 둘레를 따라서 뚜껑의 회전체의 제2걸림부(332)와 맞추어져 뚜껑(300)에 의해 내솥(10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걸림부(101)가 구성되어 있다. 제1걸림부(101)는 예를 들면 내솥(100)의 둘레에서 바깥쪽을 향해 굽어진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외솥(200)은 내솥(1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솥(100)의 표면을 통해 내솥(100)에 담겨진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외솥(200)은 상용으로 제공되는 교류 전력을 히터에 공급하여 가열을 수행하게 된다.
뚜껑(300)은 외솥(200)에 안착된 내솥(1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2걸림부(332)가 형성된 회전체(330)를 구비하여 내솥(100)을 압력잠금상태로 밀폐시킬 수 있다. 회전체(330)의 제2걸림부(332)는 회전체(330)의 회전에 따라서 제1걸림부(101)와 맞추어질 수 있다. 제2걸림부(332)는 제1걸림부(101)와 맞추어질 수 있도록 중심방향을 향해 굽어진 돌기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뚜껑 또는 외솥의 일측에는 조작부(210)가 노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210)는 사용자가 전기밥솥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조작 수단(예를 들면, 버튼, 스위치, 다이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뚜껑(300)을 압력잠금상태 또는 압력잠금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210)는 터치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뚜껑 또는 외솥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상용 교류전력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 케이블 및 전원 플러그가 배치될 수 있다.
더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은, 건전지와 같은 외부 전원과 결합될 수 있는 전극이 노출된 비상전원부(22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는, 상술한 바와 같은 외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은, 회전체(330)와 회전구동모듈(310)과 조작부(210)와 제어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회전레버와 제1 내지 제3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330)는, 뚜껑(300)에서 내솥(100)을 향하여 배치되며 뚜껑(300)이 내솥(100)을 덮은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회전체(330)는 회전레버(320)의 회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회전체(330)는,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내솥의 제1걸림부(101)와 결합되거나 또는 해제될 수 있는 제2걸림부(332)를 갖는다. 이때, 제2걸림부(332)가 제1걸림부(101)에 맞추어지면(걸리게 되면) 내솥(100)은 압력잠금상태가 된다. 한편, 제2걸림부(332)가 제1걸림부(101)로부터 맞춤해제되면 내솥(100)은 압력잠금해제상태가 된다. 회전체(330)는 360°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으나, 제1걸림부(101)와 제2걸림부(332)가 충분히 맞추어지고 해제될 수 있는 최소의 각도 범위로 왕복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구동모듈(310)은, 상용교류전원과 전원 플러그를 통해 연결되는 상용교류전원입력부로부터의 전력(전압 또는 전류가 조정된 전력)을 입력받으면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회전구동모듈(310)의 구동력은 회전체(330)를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전기밥솥에서는, 회전체(330)는 회전레버(32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레버(32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핸들을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핸들에 의해 회전체(330)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되고, 뚜껑(300)이 압력잠금상태 또는 압력잠금해제상태로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핸들(적어도, 사용자가 직접 붙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뚜껑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뚜껑(300)의 내부에 배치된 회전레버(320)에 회전구동모듈(310)로부터의 구동력을 직접 전달받을 수 있는 구조(예를 들면, 제2기어)를 부가함으로써, 기존의 수동 회전레버 방식의 기구물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회전구동모듈(310)은 모터(312)와 제1기어(3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레버(320)는 제1기어(311)에 직접 접촉하거나 또다른 동력전달기구(예를 들면, 링크 또는 추가적인 기어)를 통해 연결되는 제2기어(3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레버(320)는 모터(312)로부터의 구동력을 직접 전달받을 수 있다.
조작부(210)는 내솥(100)을 압력잠금상태 또는 압력잠금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조작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압력잠금" 버튼과 "압력해제" 버튼, 또는 하나의 "압력잠금/해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제어모듈(250)은 기본적으로는 히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전기밥솥의 취사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제어모듈(250)은, 조작부(210)에서 수신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회전구동모듈(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때, 모터(312)에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모터(312)의 회전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회전체(33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압력잠금/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50)은, 제1센서(341) 또는 제2센서(342)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모터(31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50)은, 제3센서(343)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뚜껑(300)의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센서의 배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동작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뚜껑에 배치된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구적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은 뚜껑(300)의 상부에서 바라본 내부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b)은 뚜껑(300)을 하부에서 바라본 외부 형태를 도시한다.
먼저, 도 3(a)은 뚜껑(300)의 상부측에서 뚜껑(300)의 최외곽 커버를 제거한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핸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 회전레버(320)를 볼 수 있다. 한편, 회전레버(320)의 회전축 주변에는 다수의 톱니를 포함하는 제2기어(322)가 구성되어 있다. 회전레버(320)의 연장된 부분에는 회전축을 향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에는 회전체(330)로부터 돌출된 돌기(도면 부호로 표시하지 않음)가 끼워진 상태이다. 그리고, 회전레버(32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체(330)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회전체(330)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회전레버(320)의 제2기어(322)에는 회전구동모듈(310)의 제1기어(311)가 맞물려 있다. 제1기어(311)는 모터(31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기어(311)의 단지 일부분의 톱니와, 모터(312)의 단지 일부분이 보여지고 있다.
한편, 뚜껑(300)의 일측에는 뚜껑이 현재 열려있는지 또는 닫혀있는지를 판정하여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3센서(343)가 배치되어 있다. 제3센서(343)는 뚜껑(300)의 열림상태 또는 닫힘상태에 따라 자체적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능동센서일 수 있으나, 뚜껑(300)의 상태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치일 수도 있다.
한편, 회전레버(320)의 측면에는, 회전레버(320)가 일방향으로 특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경우에 회전레버(320)의 일측과 접촉하거나 근접하도록 배치된 제1센서(341)와, 회전레버(320)가 타방향(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특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경우에 회전레버(320)의 또다른 일측과 접촉하거나 근접하도록 배치된 제2센서(342)를 볼 수 있다. 제1센서(341) 및 제2센서(342)는, 회전레버(320)가 접촉하거나 근접할 때 고유한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능동센서이거나, 온오프되는 스위치일 수도 있다. 제1센서(341) 및 제2센서(342)는 제어모듈(250)과 연결되어 회전레버(320)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예를 들면, 제1센서(341)는 회전체(330)가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걸림부(101)와 제2걸림부(332)가 걸림 해제된 상태인 경우에 동작하도록 배치되고, 제2센서(342)는 회전체(33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걸림부(101)와 제2걸림부(332)가 걸림상태로 된 경우에 동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센서(341) 또는 제2센서(342)가 동작하게 되면, 제어모듈(250)은 모터(312)의 회전을 정지시켜 회전체(330)의 회전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즉, 제1센서(341)와 제2센서(342)는 회전레버(320)의 회전각도를 제어함으로써 회전체(33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수단이 된다.
이와 같이, 제2기어(322)가 형성된 회전레버(320)를 이용하는 구성에 의하면, 기존의 수동 핸들을 갖는 뚜껑에서 이용되는 구성품인 회전레버를 그대로 활용하여(단지 제2기어가 형성된 형태의 회전레버로 교체함)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제1 내지 제3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레버(320) 또는 뚜껑(300)의 일측에 배치된 자성물체가 접근함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리드 스위치일 수도 있다.
동작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뚜껑(300)이 닫혀진 상태에서 "압력잠금"버튼 또는 "압력잠금/해제"버튼을 조작하면, 제어모듈(250)은, 모터(312)를 회전시켜 회전레버(3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레버(320)가 제2센서(342)에 접근 또는 접촉하게 되면, 제어모듈(250)은 모터(312)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되며, 뚜껑(300)은 압력잠금상태가 된다.
한편, 사용자가 "잠금해제"버튼 또는 "압력잠금/해제"버튼을 재차 조작하면, 제어모듈(250)은, 모터(312)를 위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또는 임의의 기어나 동력전달기구를 이용하여) 회전레버(320)를 타방향(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레버(320)가 제1센서(341)에 접근 또는 접촉하게 되면, 제어모듈(250)은 모터(312)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되며, 뚜껑(300)은 압력잠금해제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에 있어서,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의 동작 방식을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모듈(250)은, 뚜껑(300)이 닫혀져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0). 뚜껑(300)의 닫혀진 상태는 제3센서(343)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제3센서(343)가 온신호를 출력한다면(또는, 온된 상태라면) 뚜껑이 닫혀져 있는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S120).
만일, 제3센서(343)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1센서(341)가 더욱 확인될 수 있으며(S160), 제1센서(341)가 온 된 상태라면, 회전레버(320)가 압력잠금해제상태로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정상적으로 뚜껑(300)이 열려진 상태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S170). 하지만, 제1센서(341)가 오프된 상태라면, 회전레버(320)가 압력잠금해제상태가 아닌 다른 상태(예를 들면, 압력잠금상태이거나 압력잠금상태와 압력잠금해제상태의 중간위치일 수 있음)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이 상태는, 비정상적으로 뚜껑(300)이 열려있는 상태이므로, 단계(S200)으로 진행하여 작동 오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계(S120)에서 뚜껑(300)이 닫혀진 상태로 판단되었다면, 압력잠금상태인지 압력잠금해제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130). 이러한 판단은 제1센서(341)와 제2센서(342)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만일, 제2센서(342)가 온신호를 출력한다면(또는, 온된 상태라면) 회전레버(320)가 잠금위치로 회전하여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 판정될 수 있으며, 이 상태는 압력잠금상태를 의미한다(S150). 한편, 제1센서(341)가 온신호를 출력한다면(또는, 온된 상태라면), 이 상태는 회전레버(320)가 잠금해제 위치로 회전하여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써, 압력잠금해제상태를 의미한다(S190). 만일, 제1센서(341)가 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있다면, 이는, 회전레버(320)가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의 중간위치에 있는 것으로서, 단계(S200)로 진행하여 작동 오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도 4의 제어방식에서는, 제2센서(342) 또는 제3센서(343)의 온/오프에 따라서 모터(312)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또다른 제어 방식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모터(312)를 회전시키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회전 동작의 완료 상태를 판단하는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제어모듈(250)은 타이머를 더 구비하고(도시하지 않음), 사용자로부터 압력잠금상태 또는 압력잠금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모듈(250)이 모터(312)에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2초) 동안 전력을 공급하여 지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시간이 종료하면, 제1센서(341) 및 제2센서(342)의 온 또는 오프 상태가 이전의 상태로부터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검사하고, 뚜껑(30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뚜껑(300)이 압력잠금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압력잠금을 해제하고자 조작한 경우에, 제어모듈(250)은 모터(312)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카운트를 시작하고, 2초가 지난 후에 제1센서(341)가 온되었는지 검사하고, 제1센서(341)가 온되었다면 0.2초간 추가로 전원을 공급하고(이 절차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 모터(312)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하여 압력잠금해제 동작을 완료한다.
반대로, 뚜껑(300)이 압력잠금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압력잠금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조작을 행하면, 제어모듈(250)은 모터(312)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카운트를 시작하고, 2초가 지난 후에 제2센서(342)가 온되었는지를 검사하고, 제2센서(342)가 온되었다면 선택적으로 0.2초간 추가로 전원을 공급하고, 모터(312)로의 전원공급을 중지하여 압력잠금 동작을 완료한다.
한편, 2초간의 전원공급 이후에 목적하는 제1센서(341) 또는 제2센서(342)로부터 온 상태가 검출되지 않았다면, 회전구동모듈(310), 회전레버(320), 및/또는 회전체(330)가 비정상적으로 구속된 상태로 판정될 수 있으며, 제어모듈(250)은 조작부(210)를 통해서 시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오류 상태를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의 비상 전원 공급 기능을 제공하는 비상전원부의 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에서는, 일반적으로 수동 핸들을 제거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기밥솥에서는, 반드시 모터(312)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어야만 뚜껑(300)의 압력잠금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의 경우에는, 사용자는 뚜껑(300)의 압력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없으며, 이는 뚜껑(300)을 열지 못하는 사태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합리한 사태를 해소하기 위한 추가적인 실시예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는, 비상전원부(220)를 제공하여, 상용외부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뚜껑(300)의 압력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비상전원부(220)는 예를 들면, 외솥(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외솥(200)의 외부로 노출된 전극들(221, 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전극들(221, 222)은, 회전구동모듈(310)의 모터(312)의 전원 단자와 연결된 (+)단자와 (-)단자일 수 있다.
또한, 비상전원부(220)의 제1단자(221)와 제2단자(222)의 배치는, 일반적인 막대형 건전지의 양극과 각각 동시에 접촉할 수 있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자형 9V 건전지의 (+)단자와 (-)단자와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상자형 9V 건전지는 (+)단자와 (-)단자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건전지를 비상전원부의 제1단자(221)와 제2단자(222)에 간단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간단하게 모터(312)에 직류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모터(312)는 건전지로부터 직류전원이 인가되면, 극성의 연결 방향에 따라서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사용자가 비상전원부의 양 단자에 건전지의 양 단자의 접촉 방식을 바꿈으로써 모터(312)의 회전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간단하게 회전레버(320)를 압력잠금상태 또는 압력잠금해제상태로 구동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상부측에 제1걸림부(101)가 형성된 내솥(100)과; 상기 내솥이 안착되며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한 외솥(200)과; 상기 외솥에 안착된 상기 내솥의 상부를 덮는 뚜껑(300)을 포함하고,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전기 밥솥으로서:
    상기 뚜껑(300)이 상기 내솥(100)을 덮은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며,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내솥(100)의 상기 제1걸림부(101)와 결합되거나 또는 해제되어 상기 내솥(100)을 압력잠금상태 또는 압력잠금해제상태로 만드는 제2걸림부(332)를 구비한 회전체(330)와;
    인가되는 전력공급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체(33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모듈(310)과;
    상기 회전체(330)가 회전하여 상기 압력잠금해제상태로 되었을 때 온되는 제1센서(341)와;
    상기 회전체(330)가 회전하여 상기 압력잠금상태로 되었을 때 온되는 제2센서(342)와;
    상기 뚜껑(300)이 상기 내솥(100)을 덮은 닫힘 상태인지 또는 열림 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제3센서(343)와;
    상기 내솥(100)을 압력잠금상태 또는 압력잠금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수신하는 조작부(210)와;
    상기 조작부(210)에서 수신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구동모듈(310)에 대한 전력공급을 제어하되, 상기 내솥(100)을 압력잠금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수신하면, 상기 제3센서(343)가 닫힘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회전구동모듈(310)을 동작시키고 이후 상기 제2센서(342)가 온될 때 압력잠금상태로 판단하는 제어모듈(2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왕복 스윙하도록 구성되며, 스윙할 때 상기 회전체(33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레버(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모듈(310)은 상기 회전레버(320)를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왕복 스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모듈(310)은:
    상기 제어모듈(250)의 제어에 따라 회전방향이 제어될 수 있는 모터(312)와,
    상기 모터(3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회전레버(320)의 일측과 접촉하는 제1기어(311)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레버(320)는:
    상기 제1기어(311)와 접촉하여 상기 모터(312)의 회전력을 제공받기 위한 제2기어(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320)의 왕복 스윙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레버(320)가 제1방향으로의 제1제한범위에 도달할 때 상기 제1센서(341)는 상기 회전레버(320)에 의해 조작되어 제1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회전레버(320)가 제2방향으로의 제2제한범위에 도달할 때 상기 제2센서(342)는 상기 회전레버(320)에 의해 조작되어 제2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341) 및 상기 제2센서(34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전레버(320)의 일측이 접촉함에 따라 상기 회전구동모듈(310)로의 전력 입력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리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7. 제1항에 있어서,
    임의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회전구동모듈(310)을 작동시키기 위한 직류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비상전원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원부(220)는, 사용자가 특정 배터리의 (+)단자 및 (-)단자를 직접 접촉시킬 수 있도록 노출되어 있는 제1단자(221) 및 제2단자(2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모듈(310)은 상기 배터리에 의한 직류전원의 인가상태에 따라 회전방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9. 삭제
KR1020140137490A 2014-10-13 2014-10-13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KR101661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490A KR101661181B1 (ko) 2014-10-13 2014-10-13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490A KR101661181B1 (ko) 2014-10-13 2014-10-13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310A KR20160043310A (ko) 2016-04-21
KR101661181B1 true KR101661181B1 (ko) 2016-09-29

Family

ID=5591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490A KR101661181B1 (ko) 2014-10-13 2014-10-13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837B1 (ko) * 2019-11-19 2021-12-09 주식회사 에스제이클레이브 가열식 멸균 가습기
KR102374115B1 (ko) * 2020-03-16 2022-03-14 주식회사 에스제이클레이브 가열식 멸균 가습기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752Y1 (ko) 1997-07-02 1999-08-02 윤홍구 전기 압력밥솥의 잠금장치 제어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634B1 (ko) 1998-02-16 2000-09-01 구자홍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 및 잠금해제상태 감지장치
KR20000018896U (ko) * 1999-03-31 2000-10-25 유병진 교류/직류 겸용 전기 보온/취반기
KR20090060002A (ko) * 2007-12-07 2009-06-11 웅진쿠첸 주식회사 전동개폐식 뚜껑을 갖는 전기압력밥솥 및 이전기압력밥솥의 뚜껑 여닫힘 제어방법
KR100953981B1 (ko) * 2008-10-02 2010-04-21 조용래 자동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밥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752Y1 (ko) 1997-07-02 1999-08-02 윤홍구 전기 압력밥솥의 잠금장치 제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310A (ko)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4154B2 (en) Split-type electric pressure cooker
JP5485167B2 (ja) 家電製品の制御された開扉
JP6127044B2 (ja) 電気機械方式取り外し可能把握装置
KR100978235B1 (ko) 전기 밥솥
KR101661181B1 (ko) 자동식 압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JP2009541613A (ja) ドア開閉制御を備えた家電製品
KR20120028101A (ko) 전기 밥솥
KR101713965B1 (ko) 뚜껑 개폐 상태에 기초하여 압력 잠금 동작을 제어하는 전기밥솥 및 전기밥솥의 뚜껑 개폐 상태에 기초한 압력 잠금 동작 제어 방법
CN211582584U (zh) 烹饪器具
CN205107315U (zh) 上盖组件及其烹饪器具以及用于烹饪器具的连动滑块
US20220211214A1 (en) Blender
KR20160087617A (ko) 자동 압력잠금 및 잠금해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밥솥
KR101658642B1 (ko) 뚜껑 자동 개폐장치가 구비된 전기밥솥
JP2019141338A (ja) 調理器
CN205214945U (zh) 上盖组件及其烹饪器具以及用于烹饪器具的连动滑块
KR200489674Y1 (ko) 가정용 가스밸브자동차단기
CN111109999B (zh) 烹饪器具和用于烹饪器具的控制方法
CN205493528U (zh) 一种智能电压力锅
KR20180000973U (ko) 센서링을 이용한 가스차단기
CN212788252U (zh) 电热器具
CN220735157U (zh) 烹饪器具
CN215738394U (zh) 多用途压力锅
RU2798458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верхнего залив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чайника
CN219331316U (zh) 上盖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109068897B (zh) 用于家电系统的加热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