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930B1 -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 - Google Patents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930B1
KR101660930B1 KR1020140034584A KR20140034584A KR101660930B1 KR 101660930 B1 KR101660930 B1 KR 101660930B1 KR 1020140034584 A KR1020140034584 A KR 1020140034584A KR 20140034584 A KR20140034584 A KR 20140034584A KR 101660930 B1 KR101660930 B1 KR 10166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winding
sea
screen
wat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108A (ko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창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창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창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40034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93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06Arresting, diverting or chasing away fish in water-courses or water intake ducts, seas or lakes, e.g. fish barrages, deterrent devices ; Devices for cleaning fish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해의 차가운 해수와 위험한 각종 해양 생물들이 내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해의 수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해수욕장의 개장 기간을 늘리면서도 안전한 해수욕을 보장할 수 있는 무동력 친환경의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SCREEN FOR STANDARDIZING INNER SEA WATER TEMPERATURE BY PREVENTING OUTER SEA WATER FROM FLOWING INTO}
본 발명은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해(外海)로부터 내해(內海)로의 해수 유입을 차단하여 내해의 수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해수욕장은 대략 7월 초에 개장하여 8월 중순에 폐장한다. 이렇듯 해수욕장의 개장 기간이 짧은 것은, 외해로부터 내해 쪽으로 차가운 해수가 유입되어 피서객들이 해수욕을 즐기는 영역인 내해의 해수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특히 동해안의 경우 수심이 깊고 해수의 온도가 낮은 편이므로 더욱 개장 기간이 짧은 편이다. 이로 인해 여름 휴가철에 해수욕장으로 대규모 인파가 몰리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대규모 인파에 따른 교통 체증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해수욕장 인근 상점들이 불법적인 폭리를 취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파도에 의해 해안으로 수송된 물은 표층에서 평행하게 흐르는 "연안류"를 이루는 반면, 수면 아래에서는 외해 측으로 나가는 강한 흐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이안류"라고 한다. 동해안과 남해안의 경우 이안류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해수욕을 즐기는 사람들이 이안류에 의해 외해로 쓸려나가는 위험한 상황이 종종 발생된다. 또한 해파리나 상어 등의 해양 위험생물들이 해수욕장에 출몰하게 되는 경우 이로 인해 심각한 인명 피해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해수욕 인원 감소로 인근 상권이 경제적 손실을 입을 수 있다.
한편, "냉수대"란 주변 수온보다 5℃ 이상 낮은 수온의 해역을 의미하는 용어로, 이러한 냉수대는 바람으로 인하여 표층의 따뜻한 해수가 밀려난 후 저층수가 표층으로 올라오는 용승(upwelling)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냉수대로 인하여 해수욕을 하기에 적합한 해수 온도인 20~24℃보다 낮은 15~17℃로 연안해역의 해수가 차가워져 해수욕장 개점 휴업으로 인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연안해역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가두리 양식장의 경우에는 냉수대 현상으로 인해 양식 어류가 대량 폐사되는 등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입게 된다.
이에 대하여, "육지는 펄펄 끓는 폭염, 바다는 냉수대, 해수욕장은 개점 휴업 - 현재 영일대 해수욕장 등 경북지역 주요 해수욕장의 해수 온도가 15~17℃에 불과하여 해수욕을 하기에 적당한 약 27℃보다 훨씬 낮다. 바다에 뛰어들었다간 10초 이상 버티지 못할 정도다", "냉수대의 영향으로 포항시 남구 장기면 신창 1,2리 인근 해역의 가두리 양식장에서 1~3년생 참돔 등 100만 마리가 폐사했고, 60여 km 떨어진 영덕군 경정1리 가두리 양식장에서도 방어 3000여 마리가 냉수대 피해를 입었다."와 같은 관련 기사가 보도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0012호(2010.11.12.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해의 차가운 해수와 위험한 각종 해양 생물들이 내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해의 수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해수욕장의 개장 기간을 늘리면서도 안전한 해수욕을 보장할 수 있는 무동력 친환경의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유체(10)에 하향 연결된 차단막(20)이 하부 말단에 구비된 권취부(30)에 의해 수중에서 펼쳐지는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S)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10)는 부력에 의해 해수면 상에 노출되어 부상되고, 상기 차단막(20)은 외해로부터 내해로의 해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부유체(10)의 저부에 연결되어 해저면에 이르기까지 수중에서 펼쳐지며, 상기 권취부(30)는, 상기 차단막(20)의 저부와 권취식(winding)으로 연결되어 축 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부유체(10)의 승하강에 따른 상기 차단막(20)의 전개를 단속하는 권취 회전축(31); 및 상기 권취 회전축(31)에 회전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2);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30)의 저부에 구비되어 하향으로 늘어져 상기 권취부(30)와 해저면 사이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하부 커튼(50)을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10)에 연결되어 상기 부유체(10)의 부력을 조절하는 보조 부유체(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부유체(70)는, 상기 부유체(10)와 소통되는 보조 부표(71) 및 보조 관체(72)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10) 내부에 저장된 부력 제공 물질이 상기 보조 관체(72)를 통해 상기 부유체(10)와 보조 부표(71) 상호 간에 이동됨으로써, 상기 부유체(10)의 부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32)는 상기 권취 회전축(31)에 회전 탄성을 부여하여 상기 차단막(20)의 전개를 단속하는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다양한 탄성 부재가 차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 회전축(31) 양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 회전축(31)에 회전 탄성을 부여하는 태엽 형태의 스프링 부재일 수 있고, 또한 상기 권취 회전축(31) 상에 구비되는 토션(torsion) 스프링 부재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스크린(S)을 폭 방향으로 복수 개 연결하여 해수욕을 즐기는 내해 연안과 외해의 경계에 격벽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연결수단(40)을 통해 상기 차단막(20)의 폭 방향 양 말단 소정 영역이 중첩되어 연결되도록 하여 해수의 유출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40)은 인접한 스크린(S) 상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고리이거나 고정용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연결 고리 혹은 고정용 자석 등의 형태인 연결수단(40)은 인접한 스크린(S)의 부유체(10)가 중첩되는 영역 혹은 권취부(30)가 중첩되는 영역에 구비되거나, 차단막(20)의 폭 방향 양 말단에서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지퍼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권취 회전축(31)과 탄성부재(32)를 내부에 보관하도록 외부를 감싸는 형태의 하우징(3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권취 회전축(31)을 상기 하우징(33)으로 감싸는 경우에는 권취 회전축(31)에 연결된 차단막(20)이 출입하기 위한 입구가 상기 하우징(33)의 일측에 권취 회전축(31)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중에 의해 권취부(30)가 해저면으로 하강되도록, 하우징(33)의 잔여 공간에 웨이트 추와 같은 중량체(3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권취부(30)의 저부에 구비되어 하향으로 늘어져 상기 권취부(30)와 해저면 사이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하부 커튼(5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하부 커튼(50)은 장막 형태의 면 부재일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실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실 커튼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권취부(30)와 해저면의 사이 공간의 높이보다 더 길게 여장을 두어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자중에 의해 하부 커튼(50)이 해저면으로 늘어지도록 하기 위해 부재 말단에 커튼추(5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린(S)이 일정 영역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 측이 권취부(30)의 저부에 설치되고 타 측이 해저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앵커(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파랑이나 태풍 등의 해양 상황에 따라 부유체(10)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 부유체(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 부유체(70)는 부유체(10)와 소통되는 보조 부표(71) 및 보조 관체(72)를 포함하고, 부유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부력 제공 물질이 상기 보조 관체(72)를 통해 부유체(10)와 보조 부표(71) 상호 간에 이동됨으로써, 부유체의 부력이 조절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은, ① 해수욕장의 내해 수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해수욕장의 개장 시간을 늘려 피서객들이 분산되어 오랜 시간 쾌적하게 해수욕을 즐길 수 있고, 해수욕장 운영이나 인근 상권의 경제적 가치를 제고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② 이안류에 따른 피해나 위험한 해양생물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여 안전한 해수욕을 보장할 수 있고, ③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냉수대 현상으로 인한 연안해역에서의 양식장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④ 무동력으로 친환경적이고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S)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S)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S)의 측면도로서, 파랑에 의한 해수면 높이 변화에 따라 차단막(20)의 전개 정도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스크린(S)을 폭 방향으로 연결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 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보조 부유체(70)가 부유체(10) 상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보조 부유체(70)가 작동되는 원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부유체(10), 차단막(20) 및 권취부(30)로 구성되는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S)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S)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3은 스크린(S)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은 부력에 의해 해수면 상에 노출되어 부상되는 부유체(10), 외해로부터 내해로의 해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부유체(10)의 저부에 연결되어 해저면에 이르기까지 수중에서 펼쳐지는 차단막(20) 및 권취 회전축(31)과 탄성부재(32)를 포함하는 권취부(30)로 이루어져 있다. 차단막(20)은 부유체(10)의 저부에 하향 연결되고, 권취부는 차단막(20)의 하부 말단에 구비된다.
권취부(30)의 세부 구조 및 차단막(20)이 펼쳐지는 원리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권취부(30)는 차단막(20)의 저부와 권취식(winding)으로 연결되어 축 방향 회전을 통해 부유체(10)의 승하강에 따른 차단막(20)의 전개를 단속하는 권취 회전축(31)과, 이에 회전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2)를 포함한다.
권취 회전축(31)에는 차단막(20)의 말단이 장착되어 길이 방향으로 감겨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권취 회전축(31)에 탄성부재(32)가 연결되어 회전 탄성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2)는 상기 권취 회전축(31)에 회전 탄성을 부여하여 상기 차단막(20)의 전개를 단속하는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다양한 탄성 부재가 차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 회전축(31) 양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 회전축(31)에 회전 탄성을 부여하는 태엽 형태의 판형 스프링 부재일 수 있고, 또한 상기 권취 회전축(31) 상에 구비되는 토션(torsion) 스프링 부재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2)는 권취 회전축(31)에 효과적으로 회전 탄성을 제공하여, 초기 설치시 권취부(30)에 따른 자중에 의해 펼쳐진 차단막(20)이 펼쳐지는 정도나, 부유체(10)의 승하강 정도에 따라 차단막(20)의 전개를 일정한 탄성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 4를 참고할 때, 해수면의 파랑의 변화나 해수면 근처의 바람에 영향에 따라 부유체(10)가 상하 혹은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에 본 발명의 스크린(S) 설치 지점의 수심보다 길게 여장을 갖는 차단막(20)이 고파랑에 의해 펼쳐지거나 저파랑에 의해 감겨지는 것을 상기 권취 회전축(31)과 탄성부재(32) 간의 회전 탄성 작용으로 제어된다.
상기 차단막(20)은 외해로부터 내해로의 차가운 해수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린(S)이 설치되는 지점의 수심,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적으로 해수욕장 수영 제한 안전부표가 설치된 지점인 1.8~2.0m 정도의 수심보다 일정 길이 여유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막(20)의 재질은 별도로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강도나 탄성, 진동흡수력 등의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고 높은 내화학성을 지닌 케블라(Kevlar) 등의 폴리아마이드계 섬유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권취 회전축(31)과 탄성부재(32)의 외부를 감싸는 하우징(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3)은 권취부(30)의 외부 케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2)로의 해수 유입이나 기타 이물질의 유입 등을 차단하여 탄성부재(32)의 염분으로 인한 부식과 이물질 유입에 따른 오작동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연결수단(40),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용 자석이나 연결 고리가 하우징(33)의 외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권취 회전축(31)을 감싸는 하우징(33) 부분에는 권취 회전축(31)과 연결되는 차단막(20)이 출입하기 위한 입구가 권취 회전축(31)에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스크린(S)의 설치 작업시 또는 해상 상황이 변동될 시에 차단막(20)의 유출입을 제한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권취부(30)는 일정 이상의 자중을 부여하여 자중에 의해 권취부(30)가 해저면으로 하강되어 차단막(20)이 펼쳐지도록 해야 하므로, 하우징(33) 내부 잔여 공간에 웨이트(weight) 추와 같은 중량체(3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33)은 또한 해수면에 직접 노출되는 구성이므로, 부식에 강한 내화학성을 지니며 해수의 흐름 등 기타 기계적인 충격에도 강한 물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스크린(S)의 권취부(30) 저부에 하부 커튼(50) 또는 하부 앵커(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고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하부 커튼(50)은 권취부(30)의 저부에 구비되어 해저면에 하향으로 늘어져 권취부(30)와 해저면 사이 공간을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양한 요철을 갖는 해저면으로 인해 권취부(30)와 해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외해의 찬 해수가 유입되거나 위험한 해양 생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하부 커튼(50)이 차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장막 형태의 면 부재나 복수 개의 실 형상의 부재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권취부(30)와 해저면의 사이 공간의 높이보다 길게 여장을 갖도록 하고,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사이 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자중에 의해 부재가 해수의 흐름에 따라 흔들리지 않고 해저면 방향으로 잘 늘어지도록 하기 위해 해저면 방향 말단에 중량감을 부여하는 커튼추(51)를 더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앵커(60)는 권취부(30)를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해수의 흐름이나 각종 해양생물에 의해 본 발명의 스크린(S)이 설치 지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 측이 권취부(30) 저부에 설치되고 타 측이 해저면에 삽입된다. 다양한 방식의 앵커 수단이 이에 차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쐐기형 말뚝 형태의 앵커를 들 수 있다. 하부 앵커(60)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권취부(30) 저부에 직접 설치되어 해저면에 삽입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으나, 권취부(30) 소정 영역에 로프 등을 통해 연결되어 소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가 해저면에 삽입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목적하는 연안해역에서의 해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스크린(S)을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할 때 복수 개(S1, S2 및 S3 등)의 스크린(S)을 횡 방향으로 연결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S)은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폭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내해 측 영역과 외해 측 영역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해수 유입 차단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단막(20)이 일정 부분 중첩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하는 스크린(S)을 일정 부분 중첩하여 연결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연결수단(40)이 차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인접한 스크린(S)의 중첩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고리 혹은 고정용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고리나 고정용 자석을 사용하게 되면 탈부착이 용이하여 손쉽게 스크린(S)을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다.
이때 연결 고리나 고정용 자석 등과 같은 연결수단(40)은 본 발명의 스크린(S)이 중첩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부유체(10)가 중첩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상부 연결수단(40) 또는 인접하는 권취부(30)가 중첩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하부 연결수단(40)의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차단막(20)에도 구비될 수 있는데, 차단막(20)의 폭 방향 양 말단에서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영역 즉, 인접하는 차단막(20)과 중첩되는 영역에, 차단막(20)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지퍼의 형태로 인접 차단막(2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부유체(10)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 부유체(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태풍이나 고 파랑이 내습하는 등 급변하는 해양 상황에 대해 부유체(10)의 부력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해양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여 장치의 파손이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부유체(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 부유체(70)는 부유체(10)와 소통되는 보조 부표(71)와 보조 관체(72)를 포함하고, 부유체(10)에 저장되어 있는 부력 제공 물질이 보조 관체(72)를 통해 부유체(10)와 보조 부표(71) 상호 간에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부유체(10)의 부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유체(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부력을 가져 해수면 상에 부상되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부력 제공 물질을 저장하고 있다. 공기 등의 기체일 수도 있으며, 해수보다 밀도가 낮은 다양한 유체가 필요에 따라 차용될 수 있다.
태풍이나 높은 파도가 본 발명의 스크린(S)이 설치된 영역에 내습하는 경우, 부유체(10)에 저장된 부력 제공 물질이 일정 부분 보조 관체(72)를 통해 보조 부표(71)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부력이 작아진 부유체(10)는 권취부(30)에 의해 해수면 아래로 하강되고, 보조 부표(71)가 갖는 부력과 권취부(30)가 갖는 회전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에 부유체(10)가 위치하게 된다. 이렇듯, 부유체(10)를 수중으로 하강시키고 차단막(20)의 펼쳐진 면적을 줄임으로써, 태풍이나 고 파랑에 의한 장치의 파손 혹은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추후에 보조 관체(72)를 통해 보조 부표(71) 내 부력 제공 물질을 다시 부유체(10) 측으로 주입함으로써 원 설치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S : 본 발명의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
10 : 부유체 20 : 차단막
30 : 권취부 31 : 권취 회전축
32 : 탄성부재 33 : 하우징
34 : 중량체 40 : 연결수단
50 : 하부 커튼 60 : 하부 앵커
70 : 보조 부유체 71 : 보조 부표
72 : 보조 관체

Claims (8)

  1. 부유체(10)에 하향 연결된 차단막(20)이 하부 말단에 구비된 권취부(30)에 의해 수중에서 펼쳐지는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S)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10)는 부력에 의해 해수면 상에 노출되어 부상되고,
    상기 차단막(20)은 외해로부터 내해로의 해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부유체(10)의 저부에 연결되어 해저면에 이르기까지 수중에서 펼쳐지며,
    상기 권취부(30)는, 상기 차단막(20)의 저부와 권취식(winding)으로 연결되어 축 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부유체(10)의 승하강에 따른 상기 차단막(20)의 전개를 단속하는 권취 회전축(31); 및 상기 권취 회전축(31)에 회전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2);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30)의 저부에 구비되어 하향으로 늘어져 상기 권취부(30)와 해저면 사이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하부 커튼(50)을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10)에 연결되어 상기 부유체(10)의 부력을 조절하는 보조 부유체(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부유체(70)는, 상기 부유체(10)와 소통되는 보조 부표(71) 및 보조 관체(72)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10) 내부에 저장된 부력 제공 물질이 상기 보조 관체(72)를 통해 상기 부유체(10)와 보조 부표(71) 상호 간에 이동됨으로써, 상기 부유체(10)의 부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스크린(S)을 폭 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차단막(20)의 폭 방향 양 말단의 소정 영역이 중첩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수단(40)을 더 포함하는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 공간에 상기 권취 회전축(31)과 탄성부재(32)가 보관되며, 상기 차단막(20)이 출입하기 위한 입구가 상기 권취 회전축(31)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하우징(33)을 더 포함하는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
  4. 제3항에 있어서,
    자중에 의해 상기 권취부(30)가 해저면으로 하강되도록, 상기 하우징(33) 내부 잔여 공간에 중량체(3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30)를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일 측이 상기 권취부(30)의 저부에 설치되고 타 측이 해저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앵커(60)를 더 포함하는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
  7. 삭제
  8. 삭제
KR1020140034584A 2014-03-25 2014-03-25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 KR10166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584A KR101660930B1 (ko) 2014-03-25 2014-03-25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584A KR101660930B1 (ko) 2014-03-25 2014-03-25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108A KR20150111108A (ko) 2015-10-05
KR101660930B1 true KR101660930B1 (ko) 2016-09-28

Family

ID=5434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584A KR101660930B1 (ko) 2014-03-25 2014-03-25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9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834B1 (ko) * 2022-05-06 2023-07-0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범람 방지용 물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1543A (ja) * 2006-02-28 2007-09-13 Kajima Corp 人工干潟の造成方法及び人工干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1495A (en) * 1977-06-13 1980-05-06 Paul Preus Protected aquatic sports area
KR20090124351A (ko) * 2008-05-29 2009-12-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침식 연직막체 방파제
KR101159780B1 (ko) 2009-05-04 2012-06-26 신성복 파력발전시스템
KR101383796B1 (ko) * 2012-06-08 2014-04-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가동식 커튼부재가 장착된 잔교식 안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1543A (ja) * 2006-02-28 2007-09-13 Kajima Corp 人工干潟の造成方法及び人工干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108A (ko) 201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001B1 (ko) 조류를 이용한 해상 부유 쓰레기 차집장치 및 그 방법
KR101284196B1 (ko) 보의 상류 측 수중에 위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어류의 이동이 연중 가능한 어도
BR112012010871A2 (pt) "usina elétrica de poço".
KR101660930B1 (ko) 해수 차단을 통한 수온 유지용 스크린
CN103498458A (zh) 一种水面漂浮物拦截系统
KR100423152B1 (ko) 잠수 조절 기능과 균형 부유 기능을 갖는 가두리 양식장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KR100308581B1 (ko) 잠수 조절 기능을 갖는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CN107849861B (zh) 用于冲浪运动的人造动态波浪设备
KR100583368B1 (ko) 교각기초 세굴방지대
KR101643735B1 (ko) 조력발전 시스템
KR100948552B1 (ko) 해양구조물용 어도
KR102262159B1 (ko) 그물 구조물
KR20150091547A (ko)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KR101162985B1 (ko) 발전소 취수구로의 해파리 유입방지장치
JP4403056B2 (ja) 取水システム
JP4082260B2 (ja) フロート式選択取水設備
JP2002275865A (ja) フロート式選択取水設備
CN215888131U (zh) 一种水下升降闸门及核电厂冷源取水系统
CN219430700U (zh) 辅助洄游鱼类进入鱼道进口的设施
KR102258075B1 (ko)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
KR100963952B1 (ko) 발전소 취수구로의 해파리 유입방지장치
KR101089349B1 (ko) 발전소 취수구로의 해파리 유입방지장치
JP5300815B2 (ja) 取水装置、取水方法
KR100975930B1 (ko) 발전소 취수구로의 해파리 유입방지장치
CN107130901A (zh) 一种窗体喷雾防尘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