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007B1 -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 Google Patents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007B1
KR101660007B1 KR1020140139816A KR20140139816A KR101660007B1 KR 101660007 B1 KR101660007 B1 KR 101660007B1 KR 1020140139816 A KR1020140139816 A KR 1020140139816A KR 20140139816 A KR20140139816 A KR 20140139816A KR 101660007 B1 KR101660007 B1 KR 101660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support
shading
integrally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4839A (ko
Inventor
유재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림원
유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림원, 유재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림원
Priority to KR1020140139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0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7/00Tiltable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44Article supports adapted to be stuck into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31Cantilever umbrellas or sunshades with a support a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31Cantilever umbrellas or sunshades with a support arm
    • A45B2023/0037Cantilever umbrellas or sunshades with a support arm the support arm being attached to the stick or to the crown, the canopy being suspended there below

Landscapes

  • Blinds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주춧돌의 상부에 고정되며 중앙에 원형의 지지축이 구비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원형의 지지축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며 상단이 측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하향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메인지주와, 상기 메인지주와 나란하게 일체로 결합되는 보강지주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며 접철용 와이어에 의해 차양막을 펴거나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차양수단과,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접철용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차양 작동수단과,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이 수평 회동되도록 상기 메인지주를 수평회전시키는 회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은 접이식 차양수단의 차양막을 차양 작동수단으로 펴거나 접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회동수단으로 접이식 차양수단을 수평회전시킬 수 있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차양막을 펼쳐 직사광선이나 비를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 A FOLDABLE PARASOL }
본 발명은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직사광선이나 비를 피할 수 있도록 파라솔의 차양막을 펼거나 접을 수 있으면서도 방향전환이 가능한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파라솔인 썬차일 등을 포함하는 파라솔은 빛을 차단하여 차양면적을 확보하는 기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레저활동 및 야외활동시 뜨거운 햇볕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거나 비를 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야외에서 우산형태로 펼친 후에 중앙에 지주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파라솔의 일 예로 공개특허 제10-2013-0010540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복합 지주구조를 갖춘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차양막 중앙에 형성된 중앙지주에 지지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수단을 이용해 상기 차양막을 지탱하도록 구성되는 파라솔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중앙지주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1지주와; 상기 제1지주의 양측단에 수직으로 각각 결합되는 제2지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는 수동식 파라솔로서 차양이나 비가림을 위해서는 파라솔의 사용자가 차양막을 펼치는 동작을 단순 수동에 의존해야 하므로 차양막의 설치 높이가 낮고 그 사용이 불편하다.
또한, 파라솔의 방향회전이 불가능해 차양 및 비가림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어렵고, 강풍 등의 바람이 부는 경우 사용자가 차양막을 접어야 하므로 그 사용이 번거롭고, 접지 않고 내버려두는 경우 파손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파라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양막의 개폐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양막의 설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차양 및 비가림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상 여건에 따라 차양막을 적절하게 접철하여 파라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주춧돌의 상부에 고정되며 중앙에 원형의 지지축이 구비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원형의 지지축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며 상단이 측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하향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메인지주와, 상기 메인지주와 나란하게 일체로 결합되는 보강지주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며 접철용 와이어에 의해 차양막을 펴거나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차양수단과,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접철용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차양 작동수단과,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이 수평 회동되도록 상기 메인지주를 수평회전시키는 회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은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며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다수의 차양막 지지용 살대와,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의 중간부위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다수의 접철용 살대와, 상기 접철용 살대의 타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으로 연결되는 접철용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는 상단과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의 상측에는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의 중앙 상측을 차양하기 위한 보조막을 설치하기 위한 보조 살대가 설치되며 링크부재에 의해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 살대는 상단과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살대와 차양막 지지용 살대의 일단은 메인지주의 가이드부 상단에 결합되는 상측허브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허브에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복수의 상측 및 하측 날개편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보조 살대와 차양막 지지용 살대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구의 힌지공에 힌지볼트 및 너트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살대의 하측 끼움홈과 차양막 지지용 살대의 상측 끼움홈에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지지구가 지지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지지구의 힌지공에 대응되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의 하측 끼움홈에는 길이방향으로 보강살대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 하단에는 하측허브가 고정되는 승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재에 접철용 와이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마감구가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 내부로 접철용 와이어가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접철용 와이어는 복수의 안내롤러에 의해 지지되며 보강지주에 설치되는 차양 작동수단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양 작동수단은, 상기 보강지주 내부에 장착되어 안내롤러에 의해 안내되는 접철용 와이어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중심축에 일체로 결합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치합되는 웜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보강지주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동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차양 작동수단은, 상기 보강지주 내부에 장착되어 접철용 와이어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회전축이 일체로 결합되는 제1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메인지주에 일체로 설치되되 내부에 안내공간이 형성되는 브라켓에 상하로 관통되며 상단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형상의 고정핀과, 베이스부재에 일체로 고정되는 원형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동일 원주 상에 다수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의 하단부가 삽입가능한 고정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의 안내공간에는 상기 고정핀에 끼워져 일단부는 상기 안내공간의 상측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핀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편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핀을 하측방향을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의 일측에 '┓'형상의 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원통형 케이스가 일체로 되고,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상단에는 회동가능하게 원형 마감판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보강지주에 장착되며 제어판넬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베이스부재의 지지축을 감싸는 지지관체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보강지주에 장착되며 제어판넬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켓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지지축을 감싸는 지지관체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종동스프로켓과, 메인지주의 하부일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안내스프로켓과, 상기 구동 및 종동스프로켓과 안내스프로켓이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보강지주에 장착되며 제어판넬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베이스부재의 지지축과 이격되는 동일 원주상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톱니가 치합되는 복수의 톱니홈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내접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은, 제어판넬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수평으로 회전축이 향하도록 메인지주와 보강지주을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판에 장착되는 제3모터와, 상기 제3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베이스부재의 지지축과 이격되는 동일 원주상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페이스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에는 진동센서가 구비되어 제어판넬에 진동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차양 작동수단은,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을 작동시키는 접철용 와이어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보빈과, 메인지주의 하단에 수평하게 돌출되는 고정플레이트에 장착되며 상기 보빈이 회전축이 일체로 결합되는 제1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는 상단과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 끼움홈이 형성되고, 보조 살대는 상단과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 끼움홈이 형성되므로, 상기 보조 살대의 하측 끼움홈과 차양막 지지용 살대의 상측 끼움홈에 링크부재가 연결되는 지지구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링크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지지구의 힌지공에 대응되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힌지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는 사각봉 형상의 몸체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끼움홈이 형성되는 끼움부재를 체결수단으로 일체로 고정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살대는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와 동일한 형상으로서, 사각봉 형상의 몸체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끼움홈이 형성되는 끼움부재를 체결수단으로 일체로 고정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살대의 하측에는 링크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지지구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조 살대는 사각봉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끼움홈이 형성되는 끼움부재와, 상기 몸체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밀착되는 보강대가 볼트 및 너트로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대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홈이 형성되어 지지구의 지지날개가 지지되며, 상기 지지구에 형성되는 힌지공에 링크부재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는 사각봉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끼움홈이 형성되는 끼움부재와, 상기 몸체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밀착되는 보강대가 체결수단으로 일체로 결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은 접이식 차양수단의 차양막을 차양 작동수단으로 펴거나 접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회동수단으로 접이식 차양수단을 수평회전시킬 수 있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차양막을 펼쳐 직사광선이나 비를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접이식 차양수단에 진동센서를 구비하여 바람 등에 의해 차양막이 흔들리는 경우 차양막을 접어 파라솔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의 차양막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의 상측 허브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의 차양 작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의 차양 작동수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의 회동수단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의 회동수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의 회동수단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의 회동수단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의 회동수단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의 차양 작동수단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의 차양막 지지용 살대의 다양한 변형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지지용 살대에 차양막을 설치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의 작동 및 회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1)은 지면에 설치되는 주춧돌(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중앙에 원형의 지지축(22)이 구비되는 베이스부재(20)와, 상기 원형의 지지축(22)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며 상단이 측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하향하는 가이드부(32)가 형성되는 메인지주(30)와, 상기 메인지주(30)와 나란하게 일체로 결합되는 보강지주(40)와, 상기 가이드부(32)에 설치되며 차양막(101)을 펴거나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차양수단(100)과,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100)을 작동시키는 차양 작동수단(200)과,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100)이 수평 회동되도록 상기 메인지주(30)를 수평회전시키는 회동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파라솔(1)은 통상의 파라솔은 물론 썬차일과 같은 대형 파라솔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춧돌(10)에는 복수의 볼트(11)가 일체로 고정되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재(20)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공(21)을 관통하여 너트(13)로 고정하게 된다.
물론, 상기 메인지주(30) 및 보강지주(40)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1)의 전체적인 사이즈 또는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할 수 있고, 상기 메인지주(30) 및 보강지주(40)는 철근콘크리트, 목재,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지주(30)의 가이드부(32)에는 접이식 차양수단(100)이 설치된다.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100)은 차양막(101)과 상기 차양막(101)을 지지하며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부(32)의 상측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다수의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와,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중간부위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다수의 접철용 살대(120)와, 상기 접철용 살대(120)의 타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32)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130)와, 상기 승강부재(130)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32)의 상단으로 연결되는 접철용 와이어(14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는 상단과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 끼움홈(111,11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차양막(101)의 일측부를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 상측에 밀착시키고 쫄대(111a)를 상측 끼움홈(111)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상측 끼움홈(111)은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끼움홈(111)에 차양막(101)을 연속적으로 고정함으로서 전체적으로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상측을 감싸는 구조의 차양막(101)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상측에는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중앙 상측을 차양하기 위한 보조막(151)을 설치하기 위한 보조 살대(150)가 설치되며 링크부재(160)에 의해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가 연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보조 살대(150) 역시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형상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단과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 끼움홈(151,1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보조 살대(150)의 상측 끼움홈(151)은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끼움홈(151)에 서로 인접한 각각의 보조막(151)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보조막(151)을 고정한다.
물론 상기 보조 살대(150)와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일단은 메인지주(30)의 가이드부(32) 상단에 결합되는 상측허브(170)에 힌지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32) 상단에 결합되는 상측허브(170)에는 콘 형상의 마감캡(34)가 더 결합되어 가이드부(32)의 상단을 타고 빗물이 상측허브(170)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살대(150)의 하측 끼움홈(152)과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상측 끼움홈(111)에는 힌지공(161a,162a)이 형성되는 지지구(161,162)가 지지되고, 상기 링크부재(160)의 양단에는 상기 지지구(161,162)의 힌지공(161a,162a)에 대응되는 힌지공(160a,160b)이 형성되어 힌지볼트(163a,164a) 및 너트(163b,164b)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측허브(170)에는 힌지공(171a,172a)이 형성되는 복수의 상측 및 하측 날개편(171,17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보조 살대(150)와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구(159,119)의 힌지공(159a,119a)에 힌지볼트(173a,174a) 및 너트(173b,174b)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은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하측 끼움홈(112)에는 길이방향으로 보강살대(115)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보강살대(115)의 상측에는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하측 끼움홈(112)에 체결되는 끼움돌부(115a)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보강살대(115)의 하측에는 끼움홈(115b)이 더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보강살대(115)를 더 체결하거나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지주(30)의 가이드부(32) 하단에는 하측허브(132)가 고정되는 승강부재(130)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재(130)에 접철용 와이어(140)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물론 상기 하측허브(132)에는 접철용 살대(120)의 타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재(130)가 승강하며 접철용 살대(120)가 접철되며 차양막(101)을 펴거나 접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32)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마감구(32a)가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32) 내부로 접철용 와이어(140)가 관통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접철용 와이어(140)는 복수의 안내롤러(141)에 의해 지지되며 보강지주(40)에 설치되는 차양 작동수단(200)에 의해 권취된다.
한편, 상기 메인지주(30)는 접이식 차양수단(100)이 설치되어 주된 하중을 받게 되므로 변형의 우려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메인지주(30)와 나란하게 보강지주(40)가 일체로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메인지주(30)의 상단은 보강지주(40)의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메인지주(30)와 보강지주(40)의 하부는 연결판()을 용접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이하, 접이식 차양수단(100)을 작동시키는 차양 작동수단(200)을 설명한다. 이때, 차양 작동수단(200)은 수동식 및 전동식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수동식의 차양 작동수단(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지주(40) 내부에 장착되어 안내롤러(201)에 의해 안내되는 접철용 와이어(140)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보빈(210)과, 상기 보빈(210)의 중심축에 일체로 결합되는 웜기어(212)와, 상기 웜기어(212)에 치합되는 웜(214a)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보강지주(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동레버(21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수동레버(214)를 회전시키게 되면 웜(214a)이 회전하면서 웜기어(212)가 회전하게 되어 보빈(210)에 접철용 와이어(140)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차양막(101)을 펴거나 접을 수 있다.
즉, 수동레버(21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접철용 와이어(140)를 감게 되어 승강부재(130)가 상승하면서 접철용 살대(120)가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를 밀면서 차양막(101)이 펼쳐진다. 그리고 수동레버(214)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보빈(210)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접철용 와이어(140)를 풀게 되어 승강부재(130)가 하강하면서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가 접히면서 차양막(101)이 접히게 된다.
이때, 수동식의 차양 작동수단(200)은 웜기어 방식을 채용함에 따라 접철용 와이어(140)가 감긴 상태의 보빈(210)이 풀리지 않게 되어 차양막(101)이 펼쳐지거나 감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 차양막(101)을 펼거나 감을 수 있다.
한편, 전동식의 차양 작동수단(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지주(40) 내부에 장착되어 접철용 와이어(140)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보빈(220)과, 상기 보빈(220)에 회전축이 일체로 결합되는 제1모터(22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차양막(101)을 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판넬(50)의 제어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제1모터(222)가 작동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정회전)하면 보빈(22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접철용 와이어(140)를 감게 되어 승강부재(130)가 상승하면서 접철용 살대(120)가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를 밀면서 차양막(101)이 펼쳐진다. 그리고 차양막(101)을 감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판넬(50)의 제어에 의해 제1모터(222)가 작동하여 타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역회전)하면 보빈(220)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접철용 와이어(140)를 풀게 되어 승강부재(130)가 하강하면서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가 접히면서 차양막(101)이 접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판넬(50) 및 제1모터(222)는 제어판넬(50)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수단(미도시됨)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용전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지만,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솔라셀과 축전지를 병행하여 사용함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 메인지주(30)를 수평회전시키는 회동수단(300)을 설명한다. 이때, 회동수단(300)은 수동식 및 전동식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수동식의 회동수단(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주(30)에 일체로 설치되되 내부에 안내공간(302a)이 형성되는 브라켓(302)에 상하로 관통되며 상단에는 손잡이부(304a)가 구비되는 '┓'형상의 고정핀(304)과, 베이스부재(20)에 일체로 고정되는 원형의 지지축(22)을 중심으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동일 원주 상에 다수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304)의 하단부가 삽입가능한 고정공(30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02)의 안내공간(302a)에는 상기 고정핀(304)에 끼워져 일단부는 상기 안내공간(302a)의 상측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핀(304)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편(305)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핀(304)을 하측방향을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308)이 장착된다.
물론 상기 회동수단(300)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재(20)에는 원통형 케이스(310)가 일체로 되고, 상기 원통형 케이스(310)의 상단에는 회동가능하게 원형 마감판(312)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고정핀(304)의 손잡이부(304a)를 들어올리면 베이스부재(20)에 형성된 고정공(306)에서 고정핀(304)의 하단부가 이탈되어 베이스부재(20)의 지지축(22)을 중심으로 메인지주(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메인지주(3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전체적으로 차양 작동수단(200)이 수평으로 회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적절한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304)을 놓게 되면 코일스프링(308)의 탄성에 의해 고정핀(304)이 하측으로 가압되어 고정핀(304)의 단부가 베이스부재(20)에 형성된 임의의 고정공(306)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메인지주(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메인지주(30)와 보강지주(40)가 모두 일체로 연결되므로 메인지주(30)가 회전함에 따라 보강지주(40)도 동일한 궤적으로 함께 움직이게 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지주(30)와 보강지주(40) 사이에 접철용 와이어(140)가 위치하며 제1모터(222)에 의해 회전하는 보빈(220)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전동식의 회동수단(300)은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먼저, 도 6 내지 도 8에 의하면 회동수단(300)은 보강지주(40)에 장착되며 제어판넬(5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제2모터(320)와, 상기 제2모터(32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322)와, 베이스부재(20)의 지지축(22)을 감싸는 지지관체(324)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구동기어(322)와 치합되는 종동기어(326)로 구성된다.
이때, 메인지주(30)에 일체로 설치되되 내부에 안내공간(302a)이 형성되는 브라켓(302)에 상하로 관통되며 상단에는 손잡이(304a)가 구비되는 '┓'형상의 고정핀(304)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재(20)에는 원형의 지지축(22)을 중심으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동일 원주 상에 다수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304)의 하단부가 삽입가능한 고정공(30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304)에는 코일 스프링(308)이 끼워져 일단부는 상기 안내공간(302a)의 상측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핀(304)의 일측에 고정되는 '┓'형상의 스토퍼(309)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핀(304)을 하측방향을 가압하는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고정핀(304)의 손잡이(304a)를 들어올리면 베이스부재(20)에 형성된 고정공(306)에서 고정핀()의 하단부가 이탈되고 그 손잡이(304a)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형상의 스토퍼(309)의 하단부가 브라켓(302)의 안내공간(302a) 바닥에 밀착되어 베이스부재(20)에 형성된 고정공(306)에서 고정핀(304)의 하단부가 이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제어판넬(50)의 제어에 따라 제2모터(320)가 작동되어 구동기어(322)가 회전하면서 종동기어(326)와 치합되어 메인지주(30)가 원형의 지지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적당한 위치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후에는 제어판넬(50)의 제어에 의해 제2모터의 작동을 멈추고, 손잡이(304a)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형상의 스토퍼(309)의 하단부가 브라켓(302)에서 이탈하게 되어 고정핀(304)의 하단부가 베이스부재(20)에 형성된 임의의 고정공(306)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메인지주(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메인지주(30)와 보강지주(40)가 모두 일체로 연결되므로 메인지주(30)가 회전함에 따라 보강지주(40)도 동일한 궤적으로 함께 움직이게 됨은 당연하다.
이 경우 원형 마감판(312)은 2개의 부속으로 나누어지는 반원형 마감판(312a)의 제1결합부(312b)를 반원형 마감판(312c)의 제2결합부(312d)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수단(미도시됨)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원형 마감판(312)에는 메인지주(30)와 보강지주(40)가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지주(30)의 하단과 종동기어(326) 사이에는 스러스트베어링(328)이 장착되어 상기 메인지주(30)의 하중을 지지해주며 메인지주(3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에 의하면 회동수단(300)은 보강지주(40)에 장착되며 제어판넬(5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제2모터(320)와, 상기 제2모터(32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켓(330)과,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지지축(22)을 감싸는 지지관체(324)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종동스프로켓(332)과, 메인지주(30)의 하부일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안내스프로켓(334)과, 상기 구동 및 종동스프로켓(330,332)과 안내스프로켓(334)이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체인(33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어판넬(50)의 제어에 따라 제2모터(320)가 작동되어 구동스프로켓(330)이 회전하면서 체인의 견인력에 의해 메인지주(30)가 원형의 지지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제어에 의해 메인지주(3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방향이 전환된다. 이 경우 메인지주(30)와 보강지주(40)가 모두 일체로 연결되므로 메인지주(30)가 회전함에 따라 보강지주(40)도 동일한 궤적으로 함께 움직이게 됨은 당연하다.
또한, 도 11에 의하면 회동수단(300)은 보강지주(40)에 장착되며 제어판넬(5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제2모터(320)와, 상기 제2모터(32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340)와, 베이스부재(20)의 지지축(22)과 이격되는 동일 원주상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340)의 톱니가 치합되는 복수의 톱니홈(342a)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내접기어(342)로 구성된다.
이 경우 메인지주(30)와 보강지주(40) 사이에 텐션을 유지시켜 주기 위해 텐션유지구(344)가 더 장착되어 상기 구동기어(340)의 톱니와 내접기어(342)의 톱니홈(342a) 간에 안정적인 치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어판넬(50)의 제어에 따라 제2모터(320)가 작동되어 구동기어(340)가 회전하면 내접기어(342)의 톱니홈(342a)과 치합되어 메인지주(30)가 원형의 지지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제2모터(3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제어에 의해 메인지주(3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방향이 전환된다. 이 경우 메인지주(30)와 보강지주(40)가 모두 일체로 연결되므로 메인지주(30)가 회전함에 따라 보강지주(40)도 동일한 궤적으로 함께 움직이게 된다.
또한, 도 12에 의하면 회동수단(300)은 제어판넬(5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수평으로 회전축이 향하도록 메인지주(30)와 보강지주(40)을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판(31)에 장착되는 제3모터(350)와, 상기 제3모터(35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352)와, 베이스부재(20)의 지지축(22)과 이격되는 동일 원주상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352)와 치합되는 페이스기어(35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어판넬(50)의 제어에 따라 제3모터(350)가 작동되어 구동기어(352)가 회전하면 메인지주(30)가 원형의 지지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제3모터(35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제어에 의해 메인지주(3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방향이 전환된다. 이 경우 메인지주(30)와 보강지주(40)가 모두 일체로 연결되므로 메인지주(30)가 회전함에 따라 보강지주(40)도 동일한 궤적으로 함께 움직이게 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100)의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에는 진동센서(400)가 구비되어 바람 등에 의해 차양막이 흔들리는 경우 진동의 세기를 감지하게 된다. 이 경우 3D진동센서 등의 다양한 종류의 진동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동센서(400)의 진동감지신호는 상기 제어판넬(50)에 입력되며, 상기 제어판넬(50)은 진동감지신호에 따라 제1모터(222)를 제어하여 차양막(101)의 접철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즉, 제어판넬(50)의 제어에 의해 차양막(101)이 펼쳐진 상태에서 진동센서(400)에서 감지된 진동이 설정진동을 초과하면 제어판넬(50)은 상기 제1모터(222)를 제어하여 차양막(101)을 접어 접이식 차양수단(100)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는 강한 바람이나 지진으로부터 전동 접이식 차양수단(100)을 보호하기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전동식 차양 작동수단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차양 작동수단(200)은 접이식 차양수단(100)을 작동시키는 접철용 와이어(140)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보빈(250)과, 메인지주(30)의 하단에 수평하게 돌출되는 고정플레이트(252)에 장착되며 상기 보빈(250)이 회전축이 일체로 결합되는 제1모터(22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1모터(222)를 보강지주(40)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1모터(222)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차양막(101)을 펴거나 접는 경우에는 제어판넬(50)의 제어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제1모터(222)가 작동하여 접철용 와이어(140)를 감거나 풀게 된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다양한 변형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에 의하면,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는 상단과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 끼움홈(111,112)이 형성되고, 보조 살대(150)는 상단과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 끼움홈(151,152)이 형성되므로, 상기 보조 살대(150)의 하측 끼움홈(152)과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상측 끼움홈(111)에 링크부재(160)가 연결되는 지지구(161,162)가 지지된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160)의 양단에는 상기 지지구(161,162)의 힌지공(161a,162a)에 대응되는 힌지공(160a,160b)이 형성되어 힌지볼트(163a,164a) 및 너트(163b,164b)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측허브(170)에는 힌지공(171a,172a)이 형성되는 복수의 상측 및 하측 날개편(171,17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보조 살대(150)와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구(119,159)의 힌지공(119a,159a)에 힌지볼트(173a,173c) 및 너트(173b,173d)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구(119,159)는 상기 링크부재(16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6에 의하면,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는 사각봉 형상의 몸체(110a)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끼움홈(111)이 형성되는 끼움부재(110b)를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수단(119)으로 일체로 고정하여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조 살대(150)도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와 동일한 형상으로서, 사각봉 형상의 몸체(150a)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끼움홈(151)이 형성되는 끼움부재(150b)를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수단(118)으로 일체로 고정하여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보조 살대(150)의 하측에는 링크부재(160)를 연결하기 위한 지지구()가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물론 상기 링크부재(160)의 양단에는 상기 지지구(161,162)의 힌지공(161a,162a)에 대응되는 힌지공(160a,160b)이 형성되어 힌지볼트(163a,164a) 및 너트(163b,164b)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된다.
또한 도 17에 의하면, 보조 살대(150)는 사각봉 형상의 몸체(150a)와, 상기 몸체(150a)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끼움홈(151)이 형성되는 끼움부재(150b)와, 상기 몸체(150a)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밀착되는 보강대(150c)가 볼트 및 너트로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강대(150c)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홈(150d)이 형성되어 지지구(161)의 지지날개(161b)가 지지되며, 상기 지지구(161)에 형성되는 힌지공(161a)에 링크부재(160)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도 사각봉 형상의 몸체(110a)와, 상기 몸체(110a)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끼움홈(111)이 형성되는 끼움부재(110b)와, 상기 몸체(110a)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밀착되는 보강대(110c)가 볼트 및 너트 등이 체결수단(118)으로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측 끼움홈(111)에는 지지구(162)가 지지되며, 상기 지지구(162)에 형성되는 힌지공(162a)에 링크부재(160)의 타단부가 힌지결합된다.
또한,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지지용 살대에 차양막을 설치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측 끼움홈(111)에 차양막(101)이 지지된다. 이 경우 전체적으로 부채꼴 또는 삼각 형상의 조각천의 양측에 PP 또는 PE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재 로프(102)를 말아 박음질한 상태의 끼움부(101b)를 갖는 차양막 조각(101a)을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측 끼움홈(111)에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즉, 차양막 조각(101a)의 끼움부(101b)를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상측 끼움홈(111)에 끼우고,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상측 끼움홈(111)의 양단으로 나사(103,104)를 끼우게 된다. 이 경우 합성수지재 로프(102)의 단부에 나사(103,104)가 합성수지재 로프(102)의 단부를 파고들어 확관시키면서 합성수지재 로프(102)의 단부가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상측 끼움홈(111) 내주면에 밀착되어 차양막 조각(101a)을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하면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수량과 차양막의 사이즈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은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고, 이들은 그 형상이나 모양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0: 주춧돌 20: 베이스부재
30: 메인지주 40: 보강지주
100: 접이식 차양수단 200: 차양 작동수단
300: 회동수단

Claims (28)

  1. 지면에 설치되는 주춧돌(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중앙에 원형의 지지축(22)이 구비되는 베이스부재(20)와, 상기 원형의 지지축(22)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며 상단이 측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하향하는 가이드부(32)가 형성되는 메인지주(30)와, 상기 메인지주(30)와 나란하게 일체로 결합되는 보강지주(40)와, 상기 가이드부(32)에 설치되며 접철용 와이어(140)에 의해 차양막(101)을 펴거나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차양수단(100)과,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100)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접철용 와이어(140)를 감거나 푸는 차양 작동수단(200)과,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100)이 수평 회동되도록 상기 메인지주(30)를 수평회전시키는 회동수단(300)으로 이루어지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100)은 차양막(101)과, 상기 차양막(101)을 지지하며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부(32)의 상측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다수의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와,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중간부위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다수의 접철용 살대(120)와, 상기 접철용 살대(120)의 타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32)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130)와, 상기 승강부재(130)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32)의 상단으로 연결되는 접철용 와이어(140)로 구성되고;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는 상단과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 끼움홈(111,112)이 형성되고,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상측에는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중앙 상측을 차양하기 위한 보조막(151)을 설치하기 위한 보조 살대(150)가 설치되며 링크부재(160)에 의해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가 연동되며;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는 사각봉 형상의 몸체(110a)와, 상기 몸체(110a)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끼움홈(111)이 형성되는 끼움부재(110b)와, 상기 몸체(110a)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밀착되는 보강대(110c)가 체결수단(118)으로 일체로 결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살대(150)는 상단과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 끼움홈(151,152)이 형성되고 ,
    상기 보조 살대(150)와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일단은 메인지주(30)의 가이드부(32) 상단에 결합되는 상측허브(170)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허브(170)에는 힌지공(171a,172a)이 형성되는 복수의 상측 및 하측 날개편(171,17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보조 살대(150)와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구(159,119)의 힌지공(159a,119a)에 힌지볼트(173a,174a) 및 너트(173b,174b)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살대(150)의 하측 끼움홈(152)과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상측 끼움홈(111)에는 힌지공(161a,162a)이 형성되는 지지구(161,162)가 지지되고, 상기 링크부재(160)의 양단에는 상기 지지구(161,162)의 힌지공(161a,162a)에 대응되는 힌지공(160a,160b)이 형성되어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 지지용 살대(110)의 하측 끼움홈(112)에는 길이방향으로 보강살대(115)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32) 하단에는 하측허브(132)가 고정되는 승강부재(130)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재(130)에 접철용 와이어(14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32)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마감구(32a)가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32) 내부로 접철용 와이어(140)가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접철용 와이어(140)는 복수의 안내롤러(141)에 의해 지지되며 보강지주(40)에 설치되는 차양 작동수단(200)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 작동수단(200)은,
    상기 보강지주(40) 내부에 장착되어 안내롤러(201)에 의해 안내되는 접철용 와이어(140)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보빈(210)과, 상기 보빈(210)의 중심축에 일체로 결합되는 웜기어(212)와, 상기 웜기어(212)에 치합되는 웜(214a)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보강지주(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동레버(2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 작동수단(200)은,
    상기 보강지주(40) 내부에 장착되어 접철용 와이어(140)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보빈(220)과, 상기 보빈(220)에 회전축이 일체로 결합되는 제1모터(2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300)은,
    상기 메인지주(30)에 일체로 설치되되 내부에 안내공간(302a)이 형성되는 브라켓(302)에 상하로 관통되며 상단에는 손잡이부(304a)가 구비되는 '┓'형상의 고정핀(304)과, 베이스부재(20)에 일체로 고정되는 원형의 지지축(22)을 중심으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동일 원주 상에 다수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304)의 하단부가 삽입가능한 고정공(30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02)의 안내공간(302a)에는 상기 고정핀(304)에 끼워져 일단부는 상기 안내공간(302a)의 상측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핀(304)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편(305)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핀(304)을 하측방향을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308)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304)의 일측에 '┓'형상의 스토퍼(309)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20)에는 원통형 케이스(310)가 일체로 되고, 상기 원통형 케이스(310)의 상단에는 회동가능하게 원형 마감판(312)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300)은,
    상기 보강지주(40)에 장착되며 제어판넬(5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제2모터(320)와, 상기 제2모터(32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322)와, 베이스부재(20)의 지지축(22)을 감싸는 지지관체(324)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구동기어(322)와 치합되는 종동기어(3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300)은,
    상기 보강지주(40)에 장착되며 제어판넬(5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제2모터(320)와, 상기 제2모터(32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켓(330)과,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지지축(22)을 감싸는 지지관체(324)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종동스프로켓(332)과, 메인지주(30)의 하부일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안내스프로켓(334)과, 상기 구동 및 종동스프로켓(330,332)과 안내스프로켓(334)이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체인(33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300)은,
    상기 보강지주(40)에 장착되며 제어판넬(5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제2모터(320)와, 상기 제2모터(32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340)와, 베이스부재(20)의 지지축(22)과 이격되는 동일 원주상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340)의 톱니가 치합되는 복수의 톱니홈(342a)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내접기어(3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300)은,
    제어판넬(5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수평으로 회전축이 향하도록 메인지주(30)와 보강지주(40)을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판(31)에 장착되는 제3모터(350)와, 상기 제3모터(35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352)와, 베이스부재(20)의 지지축(22)과 이격되는 동일 원주상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352)와 치합되는 페이스기어(3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100)에는 진동센서(400)가 구비되어 제어판넬(50)에 진동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10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 작동수단(200)은,
    상기 접이식 차양수단(100)을 작동시키는 접철용 와이어(140)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보빈(250)과, 메인지주(30)의 하단에 수평하게 돌출되는 고정플레이트(252)에 장착되며 상기 보빈(250)이 회전축이 일체로 결합되는 제1모터(2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살대(150)는 사각봉 형상의 몸체(150a)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끼움홈(151)이 형성되는 끼움부재(150b)를 체결수단(118)으로 일체로 고정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살대(150)의 하측에는 링크부재(160)를 연결하기 위한 지지구(161)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살대(150)는 사각봉 형상의 몸체(150a)와, 상기 몸체(150a)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끼움홈(151)이 형성되는 끼움부재(150b)와, 상기 몸체(150a)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밀착되는 보강대(150c)가 볼트 및 너트로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대(150c)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홈(150d)이 형성되어 지지구(161)의 지지날개(161b)가 지지되며, 상기 지지구(161)에 형성되는 힌지공(161a)에 링크부재(160)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40139816A 2014-10-16 2014-10-16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KR101660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816A KR101660007B1 (ko) 2014-10-16 2014-10-16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816A KR101660007B1 (ko) 2014-10-16 2014-10-16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839A KR20160044839A (ko) 2016-04-26
KR101660007B1 true KR101660007B1 (ko) 2016-09-27

Family

ID=5591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816A KR101660007B1 (ko) 2014-10-16 2014-10-16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362B1 (ko) * 2016-05-13 2019-08-09 유재춘 이중원단을 갖는 스카이 어닝의 이동부재
KR101721410B1 (ko) * 2016-05-30 2017-03-30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회전식 파라솔
KR101977564B1 (ko) * 2018-10-29 2019-09-10 한희철 선풍기가 구비된 파라솔
KR102092154B1 (ko) * 2019-02-18 2020-03-23 유채화 접이식 파라솔
KR102273347B1 (ko) * 2019-08-05 2021-07-05 정운성 자동접이식 파라솔에 형성된 환기구의 상부에 설치된 덮개막의 접철구조
KR102209410B1 (ko) * 2020-07-24 2021-01-29 주식회사 태양광솔루션 그늘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465Y1 (ko) * 2007-04-20 2008-02-18 강형국 파라솔
KR101005019B1 (ko) * 2009-12-22 2010-12-30 메탈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자동 개폐식 그늘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143A (ko) * 2007-03-26 2007-07-25 정기석 파라솔
KR20120007802U (ko) * 2011-05-04 2012-11-14 서선철 어닝장치의 다기능 프론트 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465Y1 (ko) * 2007-04-20 2008-02-18 강형국 파라솔
KR101005019B1 (ko) * 2009-12-22 2010-12-30 메탈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자동 개폐식 그늘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839A (ko)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007B1 (ko)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KR101005019B1 (ko) 자동 개폐식 그늘막 장치
KR101377432B1 (ko) 자동 접이식 파라솔
KR101796394B1 (ko) 접이식 대형 파라솔
US7503336B2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KR101492038B1 (ko) 전동 접이식 파라솔
US10492579B1 (en) Arthritic-aiding triple-sail wind-rotating wind-aligning umbrella
KR20010051485A (ko) 프리 암 차양막
KR20150026425A (ko) 전동 접이식 어닝을 구비한 파고라
US7779849B2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KR102079204B1 (ko) 포켓부를 구비한 파라솔
KR102042193B1 (ko) 개량형 그늘막 장치
JPH05506385A (ja) パラソル、特に大型パラソル
KR101771155B1 (ko) 루프탑 텐트의 개폐장치
KR102152372B1 (ko) 와이어 파손방지기능을 갖는 접이식 대형 파라솔
KR101873769B1 (ko) 차량용 어닝
CN207144337U (zh) 一种全自动遮阳蓬
JP2009041234A (ja) テント式車庫および固定装置
WO2017041561A1 (zh) 一种汽车遮阳装置
KR100706638B1 (ko) 휴대용 텐트의 차양막 고정구조
CN115708614A (zh) 一种具有自助力扶手机构的户外伞
KR102092154B1 (ko) 접이식 파라솔
KR102102722B1 (ko) 의자가 구비된 이중 접이식 파라솔
KR100473381B1 (ko) 자동 파라솔
CN112554456B (zh) 一种新型电动折叠遮雨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